KR101435205B1 -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205B1
KR101435205B1 KR1020080063470A KR20080063470A KR101435205B1 KR 101435205 B1 KR101435205 B1 KR 101435205B1 KR 1020080063470 A KR1020080063470 A KR 1020080063470A KR 20080063470 A KR20080063470 A KR 20080063470A KR 101435205 B1 KR101435205 B1 KR 10143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lt
contact
nu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3533A (en
Inventor
정희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205B1/en
Publication of KR2010000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01H85/62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the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being adapted for screwing into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01H85/00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casings for the fusibl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2001/001Contacts providing easy replacement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및 이를 포함한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에 홈이 형성된 머리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비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볼트; 및 상기 머리부에 장착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용단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너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및 상기 용단부와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를 구비하는 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and a bolt assembly including the f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 having a head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at a center and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thread, the bolt being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 fuse including a fusing part mounted on the head part and fused when an overcurrent flows,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mounted on the body part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and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using part and the contact part Lt; / RTI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퓨즈를 한 번의 볼트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퓨즈의 양단이 조립 후에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오염에 강하며 기타 발생가능한 감전 등에 보다 안전하고 미관이 개선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se can be assembled by one bolt connection, and both ends of the fus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assembling, so that they are resistant to contamination.

볼트, 퓨즈, 볼트형 퓨즈 Bolts, fuses, bolt-type fuses

Description

퓨즈 및 이를 포함한 볼트 어셈블리{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A fuse and a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퓨즈 및 이를 포함한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퓨즈 및 이를 포함한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and a bolt assembly including the f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se and a bolt assembly including the fuse.

퓨즈는 전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퓨즈는 전선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The fuse is a device for stable use of electricity. In other words, a fus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uts off excessive currents exceeding a specified value.

예를 들어, 퓨즈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퓨즈가 녹아서 끊어진다.For example, when an overcurrent flows through a fuse, the heat generated by the current melts the fuse.

퓨즈는 주로 허용용량에 따라 그리고 용단특성에 따라 구분이 되어 있으며 허용용량에 따라 일반 블레이드 타입, 대용량 슬로우 블로우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대용량 슬로우 블로우 타입은 60A 이상의 용량의 경우 작은 접촉저항의 증가에도 발열 등으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저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회로를 구성해야 한다.Fuses are main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llowable capa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allowable capacity, the fuses can be divided into general blade type and large capacity slow blow type. In the case of the large-capacity slow blow type, a circuit having a capacity of 60 A or more is required to minimize the contact resistance and stabilize the power supply because the increase of the small contact resistance may cause problems such as heat gener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가 설치된 회로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퓨즈는 양단이 볼트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 중간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용단되는 부분이 형성된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fuse. The fuse shown in Fig. 1 is fixed at both ends by bolts, and a portion to be fused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the middle is formed.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a fus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원분배 박스(10)에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단자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금속단자는 고정부(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ower distribution box 10 is provided with a metal termina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load. Further, the metal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4.

그리고, 퓨즈(12)를 상기 고정부(14)에 위치시키고, 볼트(13)로 상기 고정부(14)와 상기 퓨즈(12)를 결합시킨다. 이때, 볼트결합은 기계적 결합이지만, 퓨즈(12)와 상기 고정부(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use 12 is positioned in the fixing portion 14 and the fixing portion 14 and the fuse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bolts 13. At this time, although the bolt coupling is mechanical coupling, the fuse 12 and the fixing portion 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때, 상기 볼트(13)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4)의 반대편에는 너트(15)가 상기 볼트(13)의 일단을 고정한다. 이러한 너트(15)는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부(14) 등의 반대편 쪽에 금속 용접되어 있다.At this time, a nut (15) fixes one end of the bolt (13)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portion (14) to fix the bolt (13). The nut 15 is generally metal-wel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portion 14 or the like.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는 퓨즈 양단을 두 개의 볼트와 두 개의 너트로 각각 회로에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퓨즈를 연결할 때에 두 번의 볼트 결합작업이 필요하며, 각각의 볼트 결합시 토크를 확인하는 작업이 두 번 필요하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fuse has to connect both ends of the fuse to the circuit with two bolts and two nuts respectively. 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fus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two bolting oper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torque when each bolt is connected twice.

그리고, 퓨즈가 박스에 수평으로 조립되기 퓨즈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넓은 조립면적이 필요하다.In addition, a large assembly area is required to couple the fuses so that the fuses are assembled horizontally in the box.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시에 넓은 조립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퓨즈 및 이를 포함하는 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s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assembly space when assembled, and a bolt assembly including the f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볼트의 머리부에 장착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용단부; 볼트의 몸체부에 장착되어 너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및 상기 용단부 및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lt, comprising: a fusing part mounted on a head of a bolt and fused when an overcurrent flows;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bolt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And a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end and the contact portion.

그리고, 상기 용단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의 중심을 가로질러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And, the fusing end can be mounted across the center of the head of the bolt.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free end portion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의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e toward the body portion of the bolt.

특히, 상기 접촉부는 그 횡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본 발명은 중심에 홈이 형성된 머리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비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볼트; 및 상기 머리부에 장착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용단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너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및 상기 용단부와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를 구비하는 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 having a head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at a center and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thread, the bolt being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 fuse including a fusing part mounted on the head part and fused when an overcurrent flows,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mounted on the body part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and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using part and the contact part Lt; / RTI >

또한,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lt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t extend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free end portion and have different lengths.

그리고, 상기 접촉부는 그 횡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퓨즈를 한 번의 볼트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퓨즈의 양단이 조립 후에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오염에 강하며 기타 발생가능한 감전 등에 보다 안전하고, 미관이 개선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fuse with one bolt connection, and both ends of the fus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assembly, so that they are more resistant to contamination.

또한, 퓨즈를 한 번의 볼트 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토크확인만 하면 되므로 조립 공수가 50퍼센트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fuse can be assembled with a single bolt connection, assembly torque can be reduced by 50% since only one torque check is required.

그리고, 퓨즈를 조립할 때, 종래 퓨즈 조립시보다 볼트가 1개 줄어들고, 퓨즈가 나사산에 의한 접촉으로 바뀌게 되어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fuse is assembled, the number of bolts is reduced by one compared with that in assembling the conventional fuse, and the fuse is changed into contact with the thread, so that the contact area can be increased.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및 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30) 및 퓨즈(50)를 포함한다. The bol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lt (30) and a fuse (50).

상기 볼트(30)는 그 중심에 홈(34)이 형성된 머리부(32) 및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40)를 포함한다. 즉, 작업자가 상기 머리부(32)를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40)가 너트에 회전하면서 결합한다.The bolt 30 includes a head portion 32 formed with a groove 34 at the center thereof and a threaded body portion 40. That is,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head part 32, the body part 40 rotates and engages with the nut.

상기 머리부(32)에는 홈(34)이 일자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4)에 퓨즈(50)의 용단부(52)가 안착되어, 상기 용단부(52)에 변형이 발생되었는지 또는 과전류가 흘러 퓨즈(50)의 용단부(52)가 절단되었는지 여부 등을 쉽게 알 수 있다.A groove 34 may be formed in the head portion 32 in a straight direction. Whether the fusing end portion 52 of the fuse 50 is seated in the groove 34 and whether the fusing end portion 52 is deformed or overcurrent flows and the fusing end portion 52 of the fuse 50 is cut .

한편, 볼트 어셈블리의 전기 용량에 따라 볼트 어셈블리의 색깔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상기 볼트(30)의 상기 머리부(32)의 색깔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lor of the bolt assembly may vary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bolt assembly.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of the head 32 of the bolt 30 which can be easily seen by the user is different.

상기 몸체부(40)에도 퓨즈(50)의 접촉부(54,56)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6)은 상기 몸체부(4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어 있다.A seating groove 36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40 so that 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of the fuse 50 can be seated. The seating groove 36 is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40.

상기 몸체부(40)에 상기 안착홈(36)은 두 개가 설치되어, 상기 퓨즈(50)의 접촉부(54,56)가 각각의 안착홈(36)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wo of the seating grooves 36 are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40 so that 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of the fuse 50 are seated in the respective seating grooves 36.

특히,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36)은 상기 몸체부(40)의 중심을 향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착홈(36)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36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40. In other words, the seating grooves 36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180 degrees.

한편, 상기 몸체부(4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경을 달리하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몸체부(40)의 반경은 하나의 동일한 값을 갖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2, the body 40 may have two portions having different radii.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adius of the body portion 40 has one and the same value.

상기 볼트(30)는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볼트(30)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lt 30 is preferably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For example, the bolt 3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볼트 어셈블리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그 일부가 녹아서 끊어질 수 있는 퓨즈(50)를 포함한다.The bolt assembly includes a fuse 50, which can be melted and partially blown by heat generated by an electric current when an overcurrent flows.

한편, 상기 퓨즈(50)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32)에 장착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용단부(52), 상기 볼트(30)의 몸체부(40)에 장착되어 너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54,56)를 포함한다.The fuse 50 is mounted on the head portion 32 of the bolt and is fused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rein. The fuse 50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40 of the bolt 30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And includes contact portions 54, 56.

상기 접촉부(54,56)는 다각형의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접촉부(54,56)가 상기 몸체부(40)의 안착홈(36)에 삽입되는 반대편 쪽의 횡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해서 추후에 설명한다.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preferabl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hape of a polygon.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ar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36 of the body portion 40 has a polygonal shap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접촉부(54,56)는 전원을 입력받아 전달할 수 있는 제1접촉부(54) 및 제2접촉부(5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는 각각 상기 안착홈(36)에 삽입된다.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56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power. Meanwhile,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ar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36,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접촉부(54,56)는 상기 몸체부(40)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몸체부(40)의 중심을 향해서 소정 두께만큼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촉부(54,56)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40)의 안착홈(36)에 삽입되어 결합시키기 위함이다.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ar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40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body portion 40. This is because a part of 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36 of the body portion 40 to be engaged therewith.

또한, 상기 퓨즈(50)는 상기 용단부(52) 및 상기 접촉부(54,5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58,60)를 포함한다.The fuse 50 includes connecting portions 58 and 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using end portion 52 and the contact portions 54 and 56.

상기 연결부(58,60)는 상기 용단부(52)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8,60)는 각각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에 연결된다. 이는 상기 제1접촉부(54) 또는 상기 제2접촉부(5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상기 제1접촉부(54) 또는 상기 제2접촉부(56) 중 다른 하나로 전달하기 위함이다.The connecting portions (58, 60) extend vertically from the ends of the free ends (52). The connection portions 58 and 60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the current input from either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is transmitted to the other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한편, 상기 연결부(58,60)는 상기 용단부(52)의 양끝단으로부터 연장되므로 제1연결부(58) 및 제2연결부(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ortions 58 and 60 ma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free end portion 52 and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58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58) 및 상기 제2연결부(60)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상기 제1연결부(58)의 길이가 상기 제2연결부(60)의 길이보다 짧게 도시되지만, 상기 제2연결부(60)의 길이가 상기 제1연결부(58)의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connection part 58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60 may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2,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8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60, but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6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8 .

만약에, 상기 제1연결부(58) 및 상기 제2연결부(60)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에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너트의 위치가 동일해서,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에서 접촉하는 위치가 동일해진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를 통해서 전류가 동시에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회로가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8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are the same, the positions of the nuts electrically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are the same So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ame position. In this case, the circuit may not be constituted because a current can flow in or out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및 볼트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se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FIG.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상기 퓨즈(50) 및 상기 볼트(30)가 결합된 볼트 어셈블리의 형상은 종래의 볼트(30)와 유사하다. The shape of the bolt assembly to which the fuse 50 and the bolt 30 are coupled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bolt 30.

상기 퓨즈(50)의 용단부(52)는 상기 볼트(30)의 머리부(32)에 위치한다. 상기 용단부(52)는 상기 머리부(32)에 충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단부(52)가 상기 머리부(32)와 유사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용단부(52)가 상기 머리부(32)의 상부로 많이 돌출되면, 볼트 어셈블리를 설치할 때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해,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The fusible end portion 52 of the fuse 50 is located at the head portion 32 of the bolt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ee end portion 52 is fully inserted into the head portion 32.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ree end portion 52 has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head portion 32. This is because, when the fusing end portion 52 protrudes muc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32, a space is required for installing the bolt assembly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lowered.

그러나, 상기 퓨즈(50)의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는 상기 안착홈(36)에 완전히 함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는 소정 두께 범위만큼 상기 몸체부(40)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of the fuse 50 are not completely recessed into the seating groove 36. [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40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왜냐하면,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2접촉부(56)가 너트와 결합되면서 너트와 충분한 면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are brought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with a sufficient area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nut.

도 5는 퓨즈 및 볼트가 설치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5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fuse and a bolt are install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볼트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너트(70,72)에 결합된다. 상기 볼트(30)의 몸체부(4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산이 회전되면서 상기 볼트(30)가 상기 너트(70,72)에 결합되게 된다.The bolt assembly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nuts 70,72. Since the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40 of the bolt 30, the bolt 30 is coupled to the nuts 70 and 72 while the thread is rotated.

한편, 상기 너트(70,72)는 상기 제1접촉부(5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너트(70) 및 상기 제2접촉부(5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너트(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nuts 70 and 72 may include a first nut 70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54 and a second nut 72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56, .

그리고, 상기 너트(70,72)는 상기 너트(70,72)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면 서, 상기 너트(70,72)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74,76)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74,76)는 도체로 이루어진 금속 바(ba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uts 70 and 72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s 74 and 76 capable of fixing the nuts 70 and 72 while being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s 70 and 72, respectively Do.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s 74 and 76 may include a metal bar made of a conductor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74,76)는 중 어느 하나는 부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원에 연결된다.One of the fixing members 74 and 76 is connected to a load,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도 6은 도 5에서 너트가 결합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nut is coupled in FIG. 5;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1너트(70)가 결합된 부분의 단면의 요부를 도시하였다.6 shows a cross section of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first nut 70 are coupled.

상기 제1접촉부(54)의 단면은 상기 제1접촉부(54)가 상기 제1너트(70)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접촉부(54)와 상기 제1너트(70)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을 넓히기 위함이다.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preferably has a polygonal shape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is engaged with the first nut 70. This is to widen the area w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first nut 70 can be electrically contacted.

또한,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1너트(70)는 도 6의 단면 뿐만 아니라, 공간상에서 복수 개의 전기적 접점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1접촉부(54) 및 상기 제1너트(70)는 상기 볼트(30)의 몸체부(4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만큼 존재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first nut 70 may have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s in the space as well as the cross section of FIG.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and the first nut 70 exist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40 of the bolt 30.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는 퓨즈가 볼트 또는 너트 등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에 면접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면접촉은 전기적 접촉으로 볼 때 3점 접촉으로 볼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generally in surface contact when the fus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bolt, a nut or the like. In general, surface contact can be seen as a three-point contact when viewed in electrical contact.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는 세 개의 점에서만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 기를 전달한다. Therefore, the 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tacts the electric only by electrically contacting at only three points.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퓨즈는 나사산을 따라 각각의 공간상에서도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바. 종래 기술에 비해서 더 많은 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electrical contact in each space along the thread. And can be electrically contacted in more detail than the prior art.

한편, 상기 제2연결부(60)는 상기 제1너트(7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40)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퓨즈(50)가 과전류가 흐를 때 상기 용단부(52)가 용단되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should be mounted on the body portion 4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is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nut 70. This is for realizing a basic function of blowing the fusing end portion 52 when the fuse 50 is overcurrent as described above.

상기 볼트(30)는 전기를 통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퓨즈(50)를 통해서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Since the bolt 30 is made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curren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load through the fuse 50. [

상술한 퓨즈 및 이를 포함하는 볼트 어셈블리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use and the bolt assembly including the fus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상기 고정부재(76)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76)와 상기 제2너트(72), 상기 제2너트(72)와 상기 제2접촉부(56)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는 상기 제2접촉부(56)에 도달한다. A current is transmit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fixing member 76. Since the fixing member 76, the second nut 72, the second nut 7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current flows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

그리고, 상기 제2접촉부(56)는 상기 제2연결부(6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60)는 상기 용단부(52)에 연결되어, 전류가 상기 용단부(52)에 전달된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56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portion 52 so that a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free end portion 52 .

또한, 상기 용단부(52)는 상기 제1연결부(58)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부(58)는 상기 제1접촉부(54)에 연결되어, 전류가 상기 제1접촉부(54)에 전달된다.The free end portion 5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8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8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so that a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54 do.

상기 제1접촉부(54)는 상기 제1너트(7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제1너 트는 상기 고정부재(74)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전원의 전류는 최종적으로 부하에 전달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54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nut 70 and the first nut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74. [ Therefore, the current of the power source can be finally delivered to the load.

한편, 상기 퓨즈(50)로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상기 용단부(52)가 절단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exceeding the allowable value flows into the fuse 50, the fusing end portion 52 is cut.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용단부(52)가 절단되었는 지 여부만을 확인하여, 상기 퓨즈(50)로 과전류가 흘렀는지 또는 상기 퓨즈(50)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Then, the user can easily know whether the fuse 50 is blown or not, by checking only whether the fusing end portion 52 is cut or not, and whether the overcurrent flows to the fuse 50 or the fuse 50 is operating properl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가 설치된 회로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fus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및 볼트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및 볼트가 결합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se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단면도.Fig. 4 is a sectional view of Fig. 3; Fig.

도 5는 퓨즈 및 볼트가 설치된 회로구성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use and a bolt.

도 6은 도 5에서 너트가 결합된 부분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where the nut is engaged in FIG. 5;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30: 볼트 32: 머리부30: Bolt 32: Head

36: 안착홈 40: 몸체부36: seat groove 40: body portion

50: 퓨즈 52: 용단부50: fuse 52:

54: 제1접촉부 56: 제2접촉부54: first contact portion 56: second contact portion

58: 제1연결부 60: 제2연결부58: first connection part 60: second connection part

70: 제1너트 72: 제2너트70: first nut 72: second nut

74, 76: 고정부재74, 76: Fixing member

Claims (8)

볼트의 머리부에 장착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용단부;A fusing portion mounted on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and fused when the overcurrent flows; 볼트의 몸체부에 장착되어 너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및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bolt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And 상기 용단부 및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And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end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단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의 중심을 가로질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Said fusible end being mounted across the center of the head of said bol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t extend perpendicularly from an end of the free end portion and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의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es toward the body portion of the bol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접촉부는 그 횡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polygonal cross-section. 중심에 홈이 형성된 머리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비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볼트; 및A bolt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bolt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groove at the center and a threaded body portion; And 상기 머리부에 장착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는 용단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너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및 상기 용단부와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를 구비하는 볼트 어셈블리.And a fuse including a fusing portion mounted on the head portion and fused when an overcurrent flows,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ut, and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us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Bolt assembly.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어셈블리.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free end portion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접촉부는 그 횡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어셈블리.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polygonal cross-section.
KR1020080063470A 2008-07-01 2008-07-01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435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70A KR101435205B1 (en) 2008-07-01 2008-07-01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70A KR101435205B1 (en) 2008-07-01 2008-07-01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33A KR20100003533A (en) 2010-01-11
KR101435205B1 true KR101435205B1 (en) 2014-08-28

Family

ID=4181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470A KR101435205B1 (en) 2008-07-01 2008-07-01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2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6587A1 (en) * 2014-12-18 2016-06-23 Eaton Power Quality Oy An electric protective element holde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816A (en) * 1995-04-10 1996-11-01 Tokin Corp Fuse holder
JPH08315802A (en) * 1995-05-16 1996-11-29 Sony Corp Fuse built-in terminal and battery or power source appliance
KR0135621Y1 (en) * 1993-12-22 1999-03-30 전성원 Fuse connecting device
KR200255126Y1 (en) * 2001-06-22 2001-12-13 글로리테크 텍노로지 코포레이션 주식회사 Equipment of the safety w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21Y1 (en) * 1993-12-22 1999-03-30 전성원 Fuse connecting device
JPH08287816A (en) * 1995-04-10 1996-11-01 Tokin Corp Fuse holder
JPH08315802A (en) * 1995-05-16 1996-11-29 Sony Corp Fuse built-in terminal and battery or power source appliance
KR200255126Y1 (en) * 2001-06-22 2001-12-13 글로리테크 텍노로지 코포레이션 주식회사 Equipment of the safety wi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200255126 Y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33A (en)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065B1 (en) Electric fuse with torque restricting terminals
EP1406282B1 (en) Fusible link unit
EP0699565B1 (en) Fused car battery therminal and fuselink therefor
CA2714649C (en) Universal dual stud modular fuse holder assembly for bussed and non-bussed power connections
EP1548785B1 (en) Fusible link unit
US10283916B2 (en) Fuse assembly
US7234968B2 (en) Power distribution fuseholder
US20110285496A1 (en) Fuse assembly
US6545585B2 (en) Fuse
EP1103998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fuse link and external terminals
KR20150041036A (en) Fuse unit
US4951026A (en) Weld projections on fuse terminals
KR101435205B1 (en) Fuse and Bol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4949063A (en) End closure system for high speed fuse
US4949062A (en) Fuse having a non-electrically conductive end bell
US4935716A (en) Fuse having a ball plug
US6734780B2 (en) Fuse assembly
JP4699629B2 (en) Multipolar fuse element for vehicles
JP3165637U (en) Terminal block
JP2004127696A (en) Fusible link unit
JP2001338635A (en) Battery terminal
JP2004186005A (en) Fusible link unit
US9774148B1 (en) Socket which is turned off at a limiting temperature
WO2012132213A1 (en) Fuse unit
JP2013037877A (en)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