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419B1 -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419B1
KR101434419B1 KR1020130011035A KR20130011035A KR101434419B1 KR 101434419 B1 KR101434419 B1 KR 101434419B1 KR 1020130011035 A KR1020130011035 A KR 1020130011035A KR 20130011035 A KR20130011035 A KR 20130011035A KR 101434419 B1 KR101434419 B1 KR 10143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sonant
vowel
button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422A (ko
Inventor
정광모
박영충
최광순
안양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4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는 TV나 모바일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편하고 쉬우며 비교적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버튼 선택을 위해 비교적 적은 제스처 횟수를 요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버튼들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선택 동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명확한 버튼입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Based On Dreg}
본 발명은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TV나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서비스 이용 환경이 PC에서 TV나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으로 점차 바뀌고 있다.
PC는 많은 키 버튼을 구비한 QWERTY 자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TV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구조적 특성상 가상 키보드의 QWERTY 자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나, 가상 키보드의 QWERTY 자판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을 경우, TV 인터페이스나 모바일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의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세세한 컨트롤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TV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용 문자 판들이 하나씩 생겨나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그 작은 크기로 인해 언어의 모든 자소에 대응되는 충분한 개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한정된 개수의 버튼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특정 언어의 모든 자소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를 사용할 경우, 여러 자소가 하나의 버튼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자소의 위치를 파악하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한글의 경우,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따르면 한글의 초성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ㅎ,ㄲ,ㄸ,ㅃ,ㅆ,ㅉ의 19개이며, 중성은 모음인 ㅏ,ㅑ,ㅓ,ㅕ,ㅗ,ㅛ,ㅜ,ㅠ,ㅡ,l,ㅐ,ㅒ,ㅔ,ㅖ,ㅘ,ㅙ,ㅚ,ㅝ,ㅞ,ㅟ,ㅢ의 21개이며, 종성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ㅎ,ㄲ,ㄳ,ㄵ, ㄶ, ㄺ, ㄻ, ㄼ, ㄽ, ㄿ, ㄾ, ㅀ, ㅄ, ㅆ의 27개이다.
그러므로, 초성과 종성을 모두 통틀어 한글에서 쓰이는 자음은 30가지, 모음은 21가지나 되어 한정된 개수의 버튼을 사용하여 이를 모두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최근 모바일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메일이나 인터넷, 채팅, 은행이나 증권, 각종 비즈니스의 주문이나 결재 등을 휴대폰이나 PDA 등에서 이용하게 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문자입력의 편의성이 더욱 요구되는 추세이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체계는 일명 천지인 방식과 EZ 한글방식이 있고, 이러한 방법을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모두 버튼의 배열을 3열 4행의 12개 이외의 형태로 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점은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해진 미적 감각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휴대폰이나 기타 전자기기의 디자인에 있어서 제약으로 작용하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종래 PC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는바, 이러한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방식은 종래의 입력방식이 아닌 좁은 공간에서도 유효하게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4개의 신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은 휠마우스 또는 트랙볼 등 길이의 장단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가 요구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 휴대폰 등에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다수의 글자를 4개의 키로 입력함으로 인해, 장자음, 단자음 등 자음의 길이에 의해 반음신호를 구성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며, 입력속도 또한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글입력의 경우, 자음/모음/받침의 상태를 정해주는 상태변환 키가 별도로 존재해야함으로, 입력횟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입력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키를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키보드 및 휴대폰 입력 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입력횟수를 감소시켜 입력속도를 증가시키는 다른 차원의 입력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TV나 모바일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편하고 쉬우며 비교적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는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키버튼부;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배치된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이 상기 화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키버튼부를 제어하고,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레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부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며,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고,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며,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은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버튼 선택을 위해 비교적 적은 제스처 횟수를 요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버튼들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선택 동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명확한 버튼입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는 키버튼부(110), 터치스크린(120), 제어부(130) 및 화면(140)을 포함한다.
키버튼부(110)는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140)에 배치한다.
예컨대, 키버튼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즉 'ㅡ, l,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 버튼을 화면(140)에 배치한다.
키버튼부(110)는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 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중 'ㅡ, l'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하고, 'ㅗ, ㅜ, ㅏ, ㅓ' 버튼을 두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하며, 'ㅛ, ㅠ, ㅑ, ㅕ' 버튼을 세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하고, 9개의 자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배치한다.
여기서 사용빈도 순은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기설정된 것이다.
예컨대, 자음 'ㅇ, ㄴ, ㄱ, ㄹ, ㅅ'과 모음 'ㅣ, ㅏ, ㅓ, ㅡ, ㅗ'는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자모로서, 대략 74.9%의 사용빈도를 차지하며, 이러한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따라 모음 버튼의 크기는 3 종류로 구분된다.
터치스크린(120)은 표출된 9개의 자음 버튼과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즉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20)은 'ㄱ' 버튼이 터치되면, 터치된 'ㄱ' 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특정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이 화면(140)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연관 자음이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ㅋ, ㄲ, ㅌ, ㄸ, ㅍ, ㅃ, ㅆ, ㅊ, ㅉ, ㅎ'이고, 'ㄱ'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ㅋ,ㄲ'이며, 'ㄷ'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ㅌ, ㄸ'이고, 'ㅂ'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ㅍ,ㅃ'이며, 'ㅅ'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ㅊ, ㅉ'이고, 'ㅇ'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연관 자음은 'ㅎ'이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ㄱ'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ㄱ'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 즉 'ㅋ,ㄲ'버튼이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된 상태로 다시 ㄲ'버튼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ㄲ'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이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선택된 연관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으로 드래그면,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이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ㄲ'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과 선택된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 'ㅏ'로 이루어진 음절 '까'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까'가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를 다시 정리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ㄱ'버튼이 터치되면, 'ㅋ,ㄲ'버튼이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하고,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하측 방향으로 다시 드래그되면, 'ㄲ'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140)에 'ㄲ'이 표출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된 상태로 'ㄲ'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과 선택된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 'ㅏ'로 이루어진 음절 '까'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까'가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하며,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 'ㅋ,ㄲ'버튼이 화면(140)에 표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된 자음 버튼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고,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이 드래그되면,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며, 구성된 음절이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ㅁ'버튼이 터치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ㅁ'버튼이 터치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ㅁ'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140)에 'ㅁ'이 표출되도록 하고, 터치된 상태로 'ㅁ'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140)에 'ㅏ'가 표출되도록 하며, 터치된 상태로 'ㅏ'버튼에서부터 'ㅣ'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l'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ㅁ'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ㅁ',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ㅏ' 및 'l'버튼에 대응되는 모음'l'로 이루어진 음절 '매'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매'가 화면(140)에 표출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6개의 자음 버튼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된 것으로 인식되면,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의 표출을 중지시키기 위한 자음 입력 취소용 취소버튼이 화면(140)에 배치되도록 키버튼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ㄱ'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ㄱ'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 즉 'ㅋ,ㄲ'버튼이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배치된 'ㄲ'버튼으로 드래그되고, 터치된 상태로 'ㄲ'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자음 입력을 취소한 것으로 인식하여 배치된 'ㅋ,ㄲ'버튼이 화면(140)에 표출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ㄱ'버튼이 터치되고, 터치된 'ㄱ'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ㅏ'버튼의 터치가 해제되면, 음절 '가'를 화면에 표출한다. 즉, 터치(선택)--> 드래그-->(터치)해제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한 동작에 따라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버튼 선택을 위해 비교적 적은 제스처 횟수를 요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버튼들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선택 동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여줌과 동시에 명확한 버튼입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기반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에 표출한다(S500).
예컨대,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즉 'ㅡ, l,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 버튼을 화면(140)에 표출하고,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3 종류의 크기로 구분된 모음 버튼 중 'ㅡ, l'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하며, 'ㅗ, ㅜ, ㅏ, ㅓ' 버튼을 두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하고, 'ㅛ, ㅠ, ㅑ, ㅕ' 버튼을 세 번째 큰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하며, 9개의 자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화면(140)에 표출한다.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
판단결과,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과 취소 버튼을 화면(140)에 배치한다(S502).
예컨대,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ㄱ'버튼 영역의 데이터를 토대로 'ㄱ'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ㄱ'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 즉 'ㅋ,ㄲ'버튼을 'ㄱ'버튼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하고, 취소 버튼을 배치한다.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
판단결과,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된 경우이면, 배치된 연관 자음 버튼 및 취소 버튼을 화면(140)에 표출하지 않는다(S504).
그러나, 판단결과, 터치된 자음 버튼에서부터 취소버튼으로 드래그되지 않은 경우이면, 취소 버튼을 제외한 다른 버튼으로 드래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
판단결과, 다른 버튼으로 드래그 되지 않은 경우이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판단결과, 터치 해제된 경우이면, 터치 해제된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140)에 표출한다(S507).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태로 'ㄱ'버튼에서부터 'ㄲ'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거나, 터치된 상태로 다시 'ㄲ'버튼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ㄲ'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을 화면(140)에 표출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에 의해 터치된 상대로 'ㄲ'버튼에서부터 'ㅏ'버튼으로 드래그된 후 터치 해제되면, 'ㅏ'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ㄲ'버튼에 대응되는 자음 'ㄲ'과 선택된 'ㅏ'버튼에 대응되는 모음 'ㅏ'로 이루어진 음절 '까'를 구성하고, 구성된 음절 '까'를 화면(140)에 표출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키버튼부 120 : 터치스크린
130 : 제어부 140 : 화면

Claims (8)

  1.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키버튼부;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배치된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이 상기 화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키버튼부를 제어하고,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레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부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며,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고,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며,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이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고,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이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음절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이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연관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음절이 상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의 표출을 중지시키기 위한 자음 입력 취소용 취소버튼이 상기 화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키버튼부를 제어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5. 크기가 동일한 9개의 자음 버튼과, 기설정된 사용빈도 순에 따라 크기가 3종류로 구분된 10개의 모음 버튼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배치된 상기 9개의 자음 버튼과 상기 10개의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터치된 자음 버튼이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기설정된 연관 자음 버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터치된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한국어의 통계적 모음 사용빈도 수에 따라 '-' 및 'l'의 모음 버튼을 가장 큰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ㅗ', 'ㅜ', 'ㅏ' 및 'ㅓ'의 모음 버튼을 중간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ㅛ', 'ㅠ', 'ㅑ' 및 'ㅕ'의 모음 버튼을 가장 작은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9개의 자음 버튼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상기 모음 사용빈도 수가 가장 높은 가장 큰 크기의 모음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터치된 자음 버튼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자음 버튼인 것으로 인식되면,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을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연관 자음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음절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서부터 모음 버튼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모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에 대응되는 자음과 선택된 상기 모음 버튼에 대응되는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음절을 상기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배치된 상기 연관 자음 버튼의 표출을 중지시키기 위한 자음 입력 취소용 취소버튼을 상기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방법.
KR1020130011035A 2013-01-31 2013-01-31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3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35A KR101434419B1 (ko) 2013-01-31 2013-01-31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35A KR101434419B1 (ko) 2013-01-31 2013-01-31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22A KR20140098422A (ko) 2014-08-08
KR101434419B1 true KR101434419B1 (ko) 2014-08-26

Family

ID=5174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035A KR101434419B1 (ko) 2013-01-31 2013-01-31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13B1 (ko) * 2019-10-23 2021-06-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KR102293303B1 (ko) * 2019-10-23 2021-08-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514A (ko) * 2007-01-12 2008-07-16 김예은 한글입력단말기
KR20100080043A (ko) * 2008-12-31 2010-07-08 엔에이치엔(주) 한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56532A (ko) * 2010-11-25 2012-06-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514A (ko) * 2007-01-12 2008-07-16 김예은 한글입력단말기
KR20100080043A (ko) * 2008-12-31 2010-07-08 엔에이치엔(주) 한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56532A (ko) * 2010-11-25 2012-06-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22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697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50302774A1 (en) Devic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KR20140073245A (ko)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1001489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20162086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US20150193011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116629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JP5512379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プログラム
KR101434419B1 (ko)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EP2942704A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US20140215397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Derivatives
US9250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entry
US20160162099A1 (en) Input device
KR20120074175A (ko)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10082310A (ko)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200126149A (ko) 정보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1269633B1 (ko)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Banubakode et al. Survey of eye-free text entry techniques of touch screen mobile devices designe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WO2016108780A1 (en) A mobile device for enabling visually-impaired users to make text en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