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35B1 - Buckle device - Google Patents

Buck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35B1
KR101430435B1 KR1020140035273A KR20140035273A KR101430435B1 KR 101430435 B1 KR101430435 B1 KR 101430435B1 KR 1020140035273 A KR1020140035273 A KR 1020140035273A KR 20140035273 A KR20140035273 A KR 20140035273A KR 101430435 B1 KR101430435 B1 KR 10143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tcher
buckle
stra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태욱
Original Assignee
장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욱 filed Critical 장태욱
Priority to KR102014003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35B1/en
Priority to PCT/KR2015/002652 priority patent/WO2015147476A1/en
Priority to EP15768532.2A priority patent/EP3017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device. The buckle device includes a strap part having gear teeth that ar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buckle part interlock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strap part in stages to move or hold the strap part. The buckle part includes a holde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rap part, a catcher coupled to the holder and having an uneven part interlock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strap part, and a le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tcher.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coupled to the holder by using one coupling pin so that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axially rotatable, and only the lever rotates within a preset rotation angle. The buckle device is especially used for a helmet for a bicycle and a motorcycle or the like, and a buckle is not separated from an adjusting band to secure safety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Furthermore, when a user separates the buckle from the adjusting band, the buckle may be simply separat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버클 장치{BUCKLE DEVICE}Buckle device {BUCKLE DEVICE}

본 발명은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용 헬멧 등에 사용되는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le device used in a helmet for a bicycle or a motorcycle.

일반적으로 버클 장치는 밴드 등을 걸어 멈추는 장치로서, 버클을 이용해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버클 장치는 밴드를 걸어 멈출 때 밴드를 견고하게 고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버클로부터 밴드를 이탈시킬 때 용이하게 버클로부터 밴드를 이탈시킬 수 있어야 한다.
In general, the buckle device is a device for hanging a band or the like and used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band by using a buckle. The buckle device not only has to securely fasten the band when stopping the band, but also be able to easily release the band from the buckle when releasing the band from the buckle.

종래의 버클 장치는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단속레버가 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버클과, 단속레버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단계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다단의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조절밴드로 이루어진다.
The conventional buckle device comprises an adjusting band having a buckle rotatably mounted on the intermittent lever by the spring pin, and an adjusting band having a multi-stage locking protrusion fixed stepwise on a stopper formed on the intermittent lever.

이러한 종래의 버클 장치는 조절밴드를 버클에 끼워 넣으면 조절밴드에 형성된 다단의 걸림돌기가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단속레버에 형성된 스토퍼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조절밴드와 버클을 결속시킨다.
In such a conventional buckle device, when the adjusting band is inserted into the buckle, the multi-stage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adjusting band engage the adjusting band and the buckle while being stepped on the stopper formed on the interlock lever.

여기서, 버클의 단속레버는 일측을 누르거나 들어올려 스토퍼를 걸림돌기로부터 이격시킴에 따라 버클 장치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단속레버에는 누름부 또는 올림부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단속레버의 누름부를 누르거나 올림부를 들어 올리게 되면 단속레버가 회동하여 스토퍼가 걸림돌기로부터 이격되고, 결속 상태가 해제되므로 조절밴드를 버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the intermittent lever of the buckle releases the binding state of the buckle device by pushing or lifting one side to separate the stopper from the locking pawl.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portion of the intermittent lever or lifts up the lifting portion, the intermittent lever is rotated, the stopper is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the binding state is released.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클 장치는 버클의 단속레버가 살짝만 눌리거나 들어 올려지게 되더라도 결속 상태가 해제되므로 조절밴드를 버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는 있지만, 특히,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에 버클이 조절밴드와 우발적으로 분리되면서 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서 탈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없게된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buckle device, even if the intermittent lever of the buckle is slightly pressed or lifted, the binding state can be released so that the adjusting b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uckle. However, The helmet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user's head while being accidentally disconnected.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단속레버를 직접적으로 들어올려 조절밴드의 구속을 해제할 경우에는, 단속레버의 스토퍼와 조절밴드의 걸림돌기가 서로 이격되도록 유도하는 단속레버의 회전 각도가 최대 25°밖에 되지 않아 단속레버를 조금만 들어올리더라도 조절밴드와 단속레버의 구속이 해제되어 조절밴드가 버클로부터 손쉽게 분리되어 버클 장치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directly lifts the intermittent lever to release the restriction b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intermittent lever for guiding the stopper of the intermittent lever to be apart from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adjustment band is only 25 degrees at maximum, Even if the lever is lifted a little, restraint of the adjustment band and the intermittent lever is canceled, so that the adjustment ban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buckle, and the safety of the buckle device is deteriorated.

JP 2010-272215JP 2010-2722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버클이 조절 밴드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한, 버클을 조절 밴드로부터 사용자가 분리할 때에도 작동이 간편한 구조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le which is not separated from an adjustment band even when an impact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a buckle device having a simple operation and improved user convenience.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일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기어산을 갖는 스트랩부와, 상기 스트랩부의 기어산과 단계적으로 교합됨에 따라 상기 스트랩부를 이동 또는 구속시키는 버클부를 포함하는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부의 기어산과 교합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캐처; 상기 캐처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캐처 및 레버는 하나의 결합핀에 의해 상기 레버와 상기 캐처가 축회전 가능하게 홀더에 결합되는 동시에,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구간 내에서는 상기 레버만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p portion having a gear tooth which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buckle portion for moving or restraining the strap portion as the gear portion of the strap portion is step- Wherein the buckle portion comprises: a hold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trap portion; A catcher coupled to the holder, the catcher being formed with irregularities that are engaged with gears of the strap portion; Wherein the holder, the catcher, and the lever are coupled to the holder such that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pivotally rotatable by a single engagement pin, and at the same time, within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nterval, Is rot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처의 일단부에 캐처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는 상기 각도조절용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접촉되는 레버의 접촉면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n angle adjusting protrusion for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catche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atcher, and the predetermined angle of rotation is determined by an angle formed by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lever contacting the protrusion .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가 캐처상에서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구간을 초과하여 회전될 때 레버의 접촉면이 상기 캐처의 각도조절용 돌기부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와 상기 캐처가 동시에 축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when the lever is rotated on the catcher beyond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secti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ev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for angle adjustment of the catcher so that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simultaneously rot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처는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클레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클레비스부 사이에 삽입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레비스부가 상기 홀더 내에 제1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부가 상기 클레비스부 내에 제2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atcher includes a clevis portion projecting from both ends, and the lever portion includes a joint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clevis portions, the clevis portion being resiliently coupled by the first torsion spring in the holder, And the joint portion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clevis portion by a second torsion spr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은 상호 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are different in strength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용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접촉되는 레버의 접촉면이 이루는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는 50°내지 80°내에서 선택되고, 상기 버클부와 스트랩부가 해제되는 회전 각도 범위는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로부터 40°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range formed by the angle-adjusting protrusion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lever contacting the protrusion is selected within a range of 50 to 80 degrees, and a rotation angle range at which the buckle portion and the strap portion are released is determined by the predetermined And is selected within 40 DEG from the rotation angle rang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레버 및 캐처가 하나의 결합핀에 의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버클 장치의 분리 동작을 수행할 때 레버와 캐처가 동일한 축상에서 회전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한 방향으로만 레버를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캐처가 회전됨에 따라 레버 및 캐처의 회전 동작이 연속성을 갖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되고 걸림감이 저하되어 작동이 간편하게 된다.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coaxially and rotatably coupled by a single engagement pin so that when the user performs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buckle device, the lever and the catcher rotate on the same axis, 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only in one direction,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lever and the catcher becomes continuous as the catcher rotates correspondingly, so that the operability is improved and the feeling of latching is reduced and the operation is simplified.

또한, 사용자가 레버를 미리정해진 각도까지 들어 올리더라도 안전구간 내에서 레버가 위치하게 되므로, 스트랩부와 버클부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특히, 사고 발생시 레버가 우발적으로 회전되더라도 레버가 충분한 회전 각도를 가진 안전구간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스트랩부와 버클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헬멧이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lifts the lever up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lever is positioned within the safety zone, so that the strap portion and the buckle portion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safety. Particularly, Since the lever is rotated within a safety zone having a sufficient rotation angle, the strap portion and the buckle portion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elme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user's head,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서 레버는 적어도 2개의 동작 구간에서 동작하는 한편 레버만이 회전되는 안전구간보다 레버와 캐처가 동시에 회전되는 보조안전구간에서 더 큰 힘이 요구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안정성과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is designed to operate in at least two operation sections and to require a larger force in the auxiliary safety section in which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rotated simultaneously than the safety section in which only the lever is rotated. Stability and operation feeling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스트랩부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버클부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B-B' 방향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view showing the strap portion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y diagram showing a buckle portion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ion of arrow BB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oreover, terms used herein (to be referred 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스트랩부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버클부를 나타낸 조립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view showing a strap portion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portion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100) 및 버클부(200)를 포함한다. 스트랩부(100)는 후술되는 버클부(200)에 도시된 바와 같은 A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버클부(200)에 결속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스트랩(110) 및 스트랩 홀더(120)를 포함한다.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p portion 100 and a buckle portion 200 as shown in Fig. The strap portion 100 is slidably inserted in the A direction as shown in a buckle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bound to the buckle portion 200. The strap portion 100 includes the band strap 110 and the strap portion 100, And a strap holder 120.

밴드 스트랩(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휘어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버클부(200)에 슬라이딩 진입한다. 이러한 밴드 스트랩(110)의 상측에는 복수의 기어산(111)이 형성된다.
2,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 strap 110 is formed in a warped plate shape and slides in the buckle 20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gear teeth 111 are formed on the band strap 110.

기어산(111)은 밴드 스트랩(110)의 진입시 버클부(200)에 단계적으로 걸리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스트랩(110)의 상측 표면에서 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기어산(111)은 밴드 스트랩(110)이 버클부(200)에 진입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복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클부(200)의 조작에 의해 밴드 스트랩(110)과 교합 또는 해제되어, 밴드 스트랩(110)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The gear 111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t the upper surface of the band strap 110 as shown in FIG. 2, and is a portion that is stepped on the buckle 200 when the band strap 110 is advanc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ear teeth 111 are continuously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strap 110 enters the buckle 200, 110 so that the band strap 110 is moved.

여기서, 밴드 스트랩(110)은 버클부(200)에 진입시 기어산(111)이 버클부(200)의 요철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슬라이딩 진입하게 되는데, 버클부(200)와의 체결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 방향으로 휘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and strap 110 is moved to the buckle part 200, the gear tooth 111 slides into the concave and convex parts of the buckle part 200 in a stepwise manner,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plate shape bent in one direction.

스트랩 홀더(120)는 밴드 스트랩(110)을 미도시된 헬멧의 턱끈이나 기타 고정장치의 일측에 연결하기 위해 밴드 스트랩(110)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스트랩(110)을 감싸는 브래킷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벽에 스트랩홀(120a)이 형성되어 스트랩핀(130)에 의해 핀결합하면서 밴드 스트랩(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트랩 홀더(120)는 하측에 홈이나 고리 형태의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부(121)에는 헬멧의 턱끈이나 기타 고정장치의 일측이 연결되어 밴드 스트랩(110)을 헬멧 또는 고정장치에 연결시킨다.
The strap holder 12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band strap 110 to connect the band strap 110 to a chuck strap of a helmet or other fixing device not shown, A strap hole 120a is formed in both side walls and is fixed to the band strap 11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strap pin 130 by a pin. The strap hold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121 or a ring-shaped connecting portion 121 on the lower side thereof. The strap 110 of the helmet or other fix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1, Device.

버클부(200)는 전술한 스트랩부(100)에 형성된 기어산(111)과 단계적으로 교합됨에 따라 스트랩부(100)를 이동 또는 구속시키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 캐처(220) 및 레버(230)를 포함한다. 이때, 홀더(210), 캐처(220) 및 레버(230)는 하나의 결합핀(240)에 의해 결합된다.
The buckle part 200 moves or restrains the strap part 100 in a stepwise manner with the gear tooth 111 formed on the strap part 100 described above, 210, a catcher 220, and a lever 230. At this time, the holder 210, the catcher 220, and the lever 230 are coupled by one coupling pin 240.

홀더(210)는 스트랩부(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저면부(211) 및 저면부(211)에서 절곡 연장되는 격벽부(212)를 구비한다.
The holder 210 guides slide movement of the strap 100 and has a plate-like bottom face portion 211 and a partition wall portion 212 bent and extended at the bottom face portion 211 as shown in FIG. 3 .

저면부(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스트랩(110)의 하면과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휘어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밴드 스트랩(110)의 진입 또는 후퇴시 상측면을 따라 밴드 스트랩(110)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때, 저면부(211)의 하측에는 전술한 스트랩 홀더(120)의 연결부(121)와 같이 홈이나 고리 형태의 고정부(2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213)는 홀더(210)를 헬멧의 턱끈이나 기타 고정장치에 연결시킨다.
The bottom part 211 is formed in a plate shape bent in one dir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nd strap 110 as shown in the figure, and when the band strap 110 is moved in or out, Thereby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oove or a ring-shaped fixing part 213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art 211 like the connection part 121 of the strap holder 120. The fixing part 213 has a holder 210 ) To the chin strap or other fastening device of the helmet.

격벽부(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2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대향하면서 각각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격벽부(212) 사이에 후술되는 캐처(220)가 장착된다. 이때, 격벽부(212)에는 캐처(220)가 결합핀(240)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공(210a)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artition wall portions 212 ar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opposite side edges of the bottom wall portion 211, respectively, and the catchers 220 described later are mount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s 212.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hole 210a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12 so that the catcher 2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240.

즉, 홀더(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더의 저면부(211)를 통해 밴드 스트랩(110)의 이동을 안내하고 격벽부(212)의 사이 공간에 캐처(220)가 장착되며, 결합핀(240)에 의해 캐처(220)와 서로 결합 된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er 210 is formed in a bracket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band strap 110 through the bottom portion 211 of the holder, 220 and is coupled to the catcher 220 by the engagement pin 240. [

다음으로 캐처(220)에 대해 설명한다. 캐처(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220)는 스트랩부(100)를 버클부(200)에 결속시키는 것으로, 스트랩부(100)의 기어산(111)과 결합되는 요철(221), 홀더(210) 및 레버(230)와의 결합을 위한 클레비스부(222), 제1 결합공(210a)과의 핀결합을 위해 클레비스부(222)에 형성된 제2 결합공(220a), 및 캐처(220)의 해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클레비스부(222)의 외측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돌기부(223)를 포함한다.
Next, the catcher 220 will be described. 1, the catcher 220 is configured to bind the strap portion 100 to the buckle portion 200 and to engage with the gear tooth 111 of the strap portion 100, A clevis 222 for engagement with the holder 210 and the lever 230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220a formed in the clevis 222 for pin engagement with the first engagement hole 210a, And an angle adjusting protrusion 223 formed outside the clevis portion 222 for adjusting the release angle of the catcher 220. [

요철(221)은 캐처(220)의 하측에 밴드 스트랩(110)의 기어산(111)과 결합되도록 기어산(1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또한, 형성되는 요철(221)의 개수는 둘 이상인 것이 체결의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cave and convex 221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ear tooth 111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gear tooth 111 of the band strap 110 below the catcher 220. Although the number of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221 to be formed is preferably two or more for the sake of stability of the faste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캐처(220)는 U자형의 클레비스부(222)를 포함하는데, 클레비스부(222)는 후술되는 레버(23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220)의 캐처 바디(224)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다. 클레비스부(222)에는 제2 결합공(220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클레비스부(222)가 홀더(210)의 격벽부(212)에 끼워질 때 클레비스부(222)의 제2 결합공(220a)이 홀더(210)의 제1 결합공(210a)과 위치 정렬되고, 후술되는 레버(230)와 함께 결합핀(240)에 의해 지지된다.
The catcher 220 also includes a clevis portion 222 having a U-shaped clevis portion 222 which is adapted to engage the catcher body 224 of the catcher 220, as shown by the portion where the lever 230, Respectively. The second engaging hole 220a is formed in the clevis portion 222. The second engaging hole 220a is formed in the clevis portion 222. When the clevis portion 222 is fitted into the partition wall portion 212 of the holder 210, The engaging hole 220a is aligned with the first engaging hole 210a of the holder 210 and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pin 240 together with the lever 23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캐처(220)의 클레비스부(222)의 외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용 돌기부(223)가 클레비스부(2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레버(230)가 캐처(220)상에서 축회전할 때, 이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에 레버(230)의 접촉면(233)이 접촉되고, 레버(230)의 접촉면(233)이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230)가 회전함에 따라 캐처(220)가 레버(230)와 함께 회전하도록 걸림턱의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각도조절용 돌기부(223)는 클레비스부(222) 상에서 일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레버(230)와의 접촉에 따른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3 and 4, the protrusion 223 for adjusting the angle is protruded from the clevis portion 222 at the outer side of the clevis portion 222 of the catcher 220. The lever 230 When the lever 2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233 of the lever 230 and the contact surface 233 of the lev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23 when the shaft 230 is rotated on the catcher 220, The catcher 220 protrudes in the form of a latching jaw such that the catcher 220 rotates together with the lever 230. The protrusion 223 for adjusting the angl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clevis portion 222 so that the angle of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lever 230 can be adjusted.

또한, 캐처(220)는 스토퍼(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레비스부(222) 상에서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의 외측에 형성되어, 캐처(22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시 홀더(210)에 형성된 회전방지턱(210b)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캐처(2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캐처(220)의 축회전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50)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되는데, 사용자가 탄성부재(250)의 복원력을 초과한 회전 각도로 캐처(220)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스토퍼(225)의 정지 각도는 스토퍼(225)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홀더(210) 상에 형성된 회전방지턱(210b)의 높이에 따라 달라 지는데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로서 당업자가 적당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atcher 22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225. The stopper 225 is formed on the clevis portion 222 on the outer side of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23 so that the rotation stopper 225 is formed on the rotation preventing tuck 210b formed on the holder 210 when the catcher 220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Respectively. In this way, the rotation angle of the catcher 220 is restored by the elastic member 250 such as a spring when the catcher 220 is rotated. Thereby preventing the catcher 220 from rotating. The stopping angle of the stopper 225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slant surface formed on the stopper 225 and the height of the rotation stopping tails 210b formed on the holder 210. As a known technique, .

다음으로 레버(230)에 대해 설명한다. 레버(2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레버 바디(231), 상기 레버 바디(231)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클레비스부(222)에 끼워지는 조인트부(232), 상기 조인트부(23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 결합공(230a)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에 접촉되는 접촉면(233)을 포함한다.
Next, the lever 230 will be described. 1 and 3, the lever 230 includes a lever body 231 for operating the user, a joint portion 232 projecting from the center of the lever body 231 and fitted to the clevis portion 222, And a contact surface 233 contacting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23 of the third coupling hole 230a formed through the joint portion 232. [

레버 바디(231)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유선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레버 바디(231)의 중앙부의 일단부로부터 조인트부(231)가 돌출된다. 조인트부(232)는 캐처(220)의 클레비스부(222)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조인트부(232)에는 제3 결합공(230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레버(230)는 캐처(220)에 결합되는데, 레버(230)의 조인트(232)부가 캐처(220)의 클레비스부(222) 사이에 끼워질때 조인트부(232)의 제3 결합공(230a)이 캐처(220)의 제2 결합공(220a)과 위치 정렬되고, 결합핀(240)에 의해 지지된다.
The lever body 231 is made of a streamlined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lever body 231 and the joint portion 231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lever body 231. The joint portion 232 is a portion to be fitted in the clevis portion 222 of the catcher 220. The joint portion 232 is formed with a third coupling hole 230a. The lever 230 is coupled to the catcher 220 so that when the joint 232 of the lever 230 is inserted between the clevis portions 222 of the catcher 220, 230a are align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holes 220a of the catcher 220 and are supported by the engagement pins 240. [

즉,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홀더(210), 캐처(220) 및 레버(230)가 하나의 결합핀(2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버클부(200)를 이루게 되며, 레버(230)와 캐처(220)가 결합핀(240)을 중심으로 축회전하게 된다.
That is, in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210, the catcher 220 and the lever 230 are combined by the single engagement pin 240 to form the buckle part 200, (220) is axially rotated about the coupling pin (240).

또한, 레버(230)는 클레비스부(222)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에 접촉되는 접촉면(233)이 형성되는데, 조인트부(232)가 레버 바디(23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레버 바디(23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면이 클레비스부(222)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와의 접촉되는 접촉면(233)으로 기능하게 된다. 접촉면(233)은 클레비스부(222)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와의 정밀한 각도 조절을 위해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ever 230 is formed with a contact surface 233 which contacts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23 of the clevis portion 222. Since the joint portion 232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ever body 231 The surfac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lever body 231 functions as the contact surface 233 that contacts the angle adjusting projection 223 of the clevis portion 222. [ The contact surface 233 may be further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projection 223 for precise angle adjustment with the angle adjusting projection 223 of the clevis portion 222. [

한편, 캐처(220)와 레버(23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축회전시 탄성부재(250)의 탄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토션스프링(251)과 제2 토션스프링(25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우선, 캐처(220)는 제1 토션스프링(25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레비스부(222)의 일측에 제1 스프링홈(220b)이 형성된다. 이러한 캐처(220)의 제1 스프링홈(220b)에는 제1 토션스프링(251)이 탄성결합되며, 제1 토션스프링(251)은 캐처(220)가 결합핀(240)을 축으로 축회전할 때 캐처(2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캐처(220)가 제자리로 복귀되도록 한다.
The catcher 220 and the lever 230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250 such as a spring and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0 when the shaft is rotated.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respectively. First, the catcher 22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and a first spring groove 22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levis portion 222 as shown in FIG.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first spring groove 220b of the catcher 220 so that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is rotated by the catcher 220 about the axis of the coupling pin 240 The catcher 220 is resiliently supported to allow the catcher 22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레버(230)는 제2 토션스프링(25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부(232)의 일측에 제2 스프링홈(230b)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버(230)의 제2 스프링홈(230b)에는 제2 토션스프링(252)이 탄성결합되며, 제2 토션스프링(252)은 레버(230)가 결합핀(240)을 축으로 축회전할 때 레버(2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230)가 제자리로 복귀되도록 한다.
The lever 2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The second spring groove 23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joint portion 232 as shown in FIG.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spring groove 230b of the lever 2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is rotated by the lever 230 in such a manner that the lever 230 rotates about the coupling pin 240 The lever 230 is elastically supported to return the lever 230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은 탄성부재(250)는 제1 토션스프링(251)이 제2 토션스프링(252) 보다 강한 인장력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토션스프링(252)의 인장력이 대략 10의 힘을 갖는다면, 제1 토션스프링(251)은 10보다 강한 인장력,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의 힘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로서 당업자가 적당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250 is set such that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has a higher tensile force than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For example, if the tensile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has a force of approximately 10,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may be set to have a tensile force greater than 10, preferably greater than 1.5 time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killed person can select within a proper range.

이러한 탄성부재(250)는 사용자가 레버(230)를 회전시킬 때, 레버(2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토션스프링(252)을 작동시키는 힘을 가하게 되더라도, 제2 토션스프링(252)보다 강한 인장력이 요구되는 제1 토션스프링(251)이 우발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1 토션스프링(251)에 의해 지지되는 캐처(2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230)만 회전되도록 한다.
The elastic member 250 may be biased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actuate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ever 230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230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which is required to have a strong tensile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accidentally operated so that the catcher 220 supported by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is prevented from rotating so that only the lever 230 is rotated do.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주로 모터사이클용 헬멧에 장착될 수 있는 바, 스트랩부(100)와 버클부(200)가 헬멧의 턱끈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스트랩부(100)를 버클부(200)에 체결하기 위해 밴드 스트랩(110)을 홀더(210)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홀더와 캐처의 사이 공간에 진입시키게 되면, 제1 토션스프링(25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캐처에 의해 밴드 스트랩(110)의 기어산(111)이 캐처(220)의 요철(221)과 탄력적 및 단계적으로 교합하게 된다.
First,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motorcycle helmet, and the strap 100 and the buckle 20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hin strap of the helmet. When the user moves the band strap 110 into the holder 210, specifically between the holder and the catcher, in order to fasten the strap 100 to the buckle 200, The gear tooth 111 of the band strap 110 is resiliently and step-wis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221 of the catcher 220 by a catcher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ainer 251.

캐처(220)의 요철(221)은 기어산(1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처의 요철(221)이 기어산(111)과 일단 교합하고 나면 요철(221)에 의해 기어산(111)이 구속되어 밴드 스트랩(110)이 후퇴하는 것이 방지되어, 이에 따라 스트랩부(100)가 버클부(200)에 단단하게 결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 밴드 스트랩(110)을 진입시킴으로써 스트랩부(100)를 버클부(200)에 체결시켜 턱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cave and convex 221 of the catcher 2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ear tooth 111. When the concave and convexes 221 of the catcher are once engaged with the gear tooth 111, 111 are restrained and the band strap 110 is prevented from being retreated so that the strap portion 100 is tightly bound to the buckle portion 200. [ In this way,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chin strap by fastening the strap 100 to the buckle 200 by entering the band strap 110 as desired.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B-B' 방향의 단면도로,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버클의 동작 구간은 크게 안전구간(Safety Zone, SZ), 보조안전구간(Assistance safety Zone, AZ), 연장구간(Extension Zone, EZ)에서 동작되며, 안전구간(SZ)은 레버(230)의 접촉면(233)이 캐처(220)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와 만나기 전의 레버(230)의 회전구간을 의미하고, 보조안전구간(AZ)은 레버(230)의 접촉면(233)이 캐처(220)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와 만난 후의 회전 구간으로 레버(230)와 캐처(220)가 동시에 회전하지만 캐처(220)의 요철(221)이 밴드 스트랩(110)의 기어산(111)과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는 회전 구간을 의미하며, 연장구간(EZ)은 레버(230)와 캐처(220)의 동시 회전에 의해 캐처(220)의 요철(221)이 밴드 스트랩(110)의 기어산(111)과 해제되는 상태의 회전 구간을 의미한다.
5 to 8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and FIGS. 5 to 8 show the operating states of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operation period of the buckle is largely operated in a safety zone (SZ), an auxiliary safety zone (AZ), an extension zone (EZ), a safety zone (SZ) And the auxiliary safety section AZ means that the contact surface 233 of the lev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catcher 220 of the catcher 220. The contact surface 233 of the lever 230 is a rotation section of the lever 230 before the protrusion 223 of the catcher 220 meets the protrusion 223 of the catcher 220,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section after the protrusion 221 of the band strap 110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221 of the band strap 110, And the extended section EZ is a rotation section in which the unevenness 221 of the catcher 2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in the gear range of the band strap 110, Quot; means a rotating section in a state of being released from the rotating shaft 11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구간(SZ)에서는 사용자가 스트랩부(100)를 버클부(200)로부터 분리하고자 레버(230)의 레버 바디(231) 또는 자유단부를 밴드 스트랩(110)의 진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30)가 결합핀(240)을 축으로 축회전하게 되며, 레버(230)가 회전하면서 캐처(220)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와 접촉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안전구간(SZ)에서는 사용자가 레버(230)를 회전시키더라도 레버(230)의 접촉면(233)이 캐처(220)의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캐처(220)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레버(230)만이 회전하기 때문에 레버(230)의 회전은 캐처(220)와 밴드 스트랩(110)의 잠금상태에 대해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5, in the safety zone SZ, in order to disengage the strap 100 from the buckle 200, the lever body 231 of the lever 230 or the free end of the lever 230 may be separated from the band strap 110 The lever 230 is pivoted about the coupling pin 240 as shown in FIG. 6 and the lever 230 is rotated to rotate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not shown) of the catcher 220 223). Since the contact surface 233 of the lever 230 does not contact the protrusion 223 of the catcher 220 even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230 in the safety zone SZ, Lt; / RTI > That is, since only the lever 230 rotates in this state,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has no effect on the locking state of the catcher 220 and the band strap 11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구간(SZ)은 수평면에 대한 레버(230)의 회전 각도가 최소 50°이상 또는 최대 80°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레버(230)의 회전 각도가 50°이하가 되면 안전구간(SZ)에서 보조안전구간(AZ)으로 넘어가는 회전 길이가 짧아 충분한 안전구간(SZ)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80°를 초과하면 레버(230)가 보조안전구간(AZ)으로 진입한후 연장구간(EZ)으로 진입할 때의 회전 각도가 커지게 되어 탄성부재(250)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조작감에도 불편함을 주게 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interval SZ can be set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23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at least 50 degrees or at most 80 degrees or less.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230 is 50 degrees or less, the rotation length passing from the safety zone SZ to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is short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afety zone SZ. When the rotation angle exceeds 80 degrees, 230 may enter into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and then enter the extended zone EZ. This may cause a problem in the durability of the elastic member 250, .

이어서, 레버(230)의 접촉면(233)이 각도조절용 돌기부(223)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230)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220)가 레버(230)와 함께 축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처(220)의 요철(221)이 밴드 스트랩(110)의 기어산(111)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면서 캐처(220)에 구속된 밴드 스트랩(110)의 잠금 상태의 해제가 시작된다. 즉 레버(230)의 회전에 따라 캐처(220)는 결합핀(24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보조안전구간(AZ)에서는 캐처(220)가 회전됨에 따라 캐처(220)에 형성된 요철(221)들 중 결합핀(240)으로부터 먼거리에 위치된 요철(221)부터 차례대로 밴드 스트랩(110)의 기어산(111)으로부터 해제되기 시작하고 레버(230)가 보조안전구간(AZ)을 벗어나 회전되면(연장구간으로 진입하면) 캐처(220)의 요철(221)들이 모두 스트랩부(100)의 기어산(111)으로부터 해제된다.
7, when the user further rotates the lever 230 while the contact surface 233 of the lev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23 for adjusting the angle, the catcher 220 moves the lever 230, As shown in FIG. The unevenness 221 of the catcher 220 is spaced upward from the gear crest 111 of the band strap 110 and the release of the locked state of the band strap 110 restrained by the catcher 220 is started. That is, as the lever 230 rotates, the catcher 220 rotates around the coupling pin 240. Therefore, in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as the catcher 220 is rotated, the unevenness 221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oupling pin 240 out of the unevenness 221 formed in the catcher 220 is moved in turn to the band strap 110 The protrusions 221 of the catcher 220 are all lifted from the strap portion 100 when the lever 230 starts to be released from the gear tooth 111 of the catcher 220 and is rotated beyond the auxiliary safety interval AZ And is released from the gear mount 111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조안전구간(AZ)은 레버(230)와 캐처(220)가 동시에 회전되는 동시 회전 각도로부터 대략 40°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25°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레버(230)의 안전구간이 80°도까지 설계되면 보조안전구간(AZ)은 120°범위, 바람직하게는 105°범위까지 설정될 수 있다. 보조안전구간(AZ)의 각도가 커지게 되면 버클 장치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지만 버클 장치의 탄성부재(250) 내구성이나 조작감은 떨어지게 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is set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40 degree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25 degrees, from the simultaneous rotation angle at which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are simultaneously rotated. For example, if the safety interval of the lever 230 is designed to be 80 degrees,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may be set to a range of 120 degrees, preferably 105 degrees. When the angle of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is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buckle device can be improved, but the durability and operation feeling of the elastic member 250 of the buckle device are lowered.

또한, 이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제1 토션스프링(251)에 의해 캐처(220)가 홀더(210)에 탄성 지지되고, 제2 토션스프링(252)에 의해 레버(230)가 캐처(220)에 탄성 지지되며, 제1 토션스프링(251)이 제2 토션스프링(252) 보다 강한 인장력을 갖도록 설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서 안전구간(SZ)에서의 레버(230)의 회전은 순수하게 제2 토션스프링(252)의 영향을 받게 되는 반면, 안전구간(SZ)을 지나 보조안전구간(AZ)에서는 레버(230)와 캐처(220)의 동시 회전은 제1 토션스프링(251)의 인장력과 함께 제2 토션스프링(252)의 인장력이 더해진다. 따라서 버클 장치가 해제가 시작되는 보조안전구간(AZ)에서 사용자는 안전구간(SZ)에 비해 더 큰 힘으로 레버(230)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레버(230)의 상태가 안전구간(SZ) 상태인지 아니면 보조안전구간(AZ)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버클 장치의 조작감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레버(230)의 우발적인 과회전에 의해 버클 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cher 22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holder 210 by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and the lever 230 is retracted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is set to have a stronger tensile force than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atcher 220, Therefore, in the buck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in the safety zone SZ is influenced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while the safety zone SZ passes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Th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adds the tensile force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51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52. [ Therefore, since the user must rotate the lever 230 with a greater force than the safety interval SZ in the auxiliary safety zone AZ at which the buckle device starts to be released,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lever 230 in the safety interval SZ) state or an auxiliary safety zone (AZ) state,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buckle device is improved, and the buckle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due to accidental over-rotation of the lever 230, Can be improved.

이후, 레버(230)와 캐처(220)의 회전은 보조안전구간(AZ)을 지나 연장구간(EZ)으로 진입되는데, 연장구간(EZ)으로의 회전이 더 진행될수록 캐처(220)의 요철(221)들이 스트랩부(100)의 기어산(111)으로부터 더 들러진 상태로 된다. 연장구간(EZ)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장구간(EZ)이 지나치게 큰 범위로 설정되면 탄성부재(250) 등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술했던 보조안전구간(AZ)의 범위(안전구간(SZ)으로부터 최대 40°)를 벗어난 범위에서 캐처(220)의 스토퍼(225)와 홀더(210)의 회전방지턱(210b)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after,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enters the extended section EZ afte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safety section AZ. As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further progresses to the extended section EZ, 221 are further stopped from the gear mount 111 of the strap portion 100. [ Although the extension section EZ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f the extension section EZ is set in an excessively large range, the durability of the elastic member 250 or the like may be considerably deteriorated. Therefore, the range of the auxiliary safety section AZ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225 of the catcher 220 and the rotation preventing tuck 210b of the holder 210 are limited within a range exceeding 40 degrees from the base end SZ.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230) 및 캐처(220)는 하나의 결합핀(240)에 의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버클 장치의 분리 동작을 수행할 때 레버(230)와 캐처(220)가 동일한 축상에서 회전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한 방향으로만 레버(230)를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캐처(220)가 회전됨에 따라 레버(230) 및 캐처(220)의 회전 동작이 연속성을 갖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되고 걸림감이 저하되어 작동이 간편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are rotatably and coaxially rotatably coupled by a single engagement pin 240. When the user performs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buckle device,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becomes continuous as the catcher 220 rotates correspon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230 in only one direction The operability is improved and the feeling of latching is lowered, so that the operation is simplified.

또한 사용자가 레버(230)를 미리정해진 각도까지 들어 올리더라도 안전구간(SZ) 내에서 레버(230)가 위치하게 되므로, 스트랩부(100)와 버클부(20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특히, 사고 발생시 레버(230)가 우발적으로 회전되더라도 레버(230)가 충분한 회전 각도를 가진 안전구간(SZ)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스트랩부(100)와 버클부(200)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헬멧이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even if the user lifts the lever 230 to a predetermined angle, since the lever 230 is positioned within the safety zone SZ, separation between the strap portion 100 and the buckle portion 200 is not performed, The strap portion 100 and the buckle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ecause the lever 230 is rotated within the safety section SZ having a sufficient rotation angle even if the lever 230 is accidentally rotate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helme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ead of the user because it is not easily detached,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서 레버(230)는 적어도 2개의 동작 구간에서 동작하는 한편 레버(230)만이 회전되는 안전구간(SZ)보다 레버(230)와 캐처(220)가 동시에 회전되는 보조안전구간(AZ)에서 더 큰 힘이 요구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안정성과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230 is operated in at least two operating periods, while the auxiliary safety (SZ) in which the lever 230 and the catcher 220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safety zone SZ in which only the lever 230 is rotated It is designed to require a larger force in the zone (AZ), thus providing the use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operational feel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트랩부 110 : 밴드 스트랩
111 : 기어산 120 : 스트랩 홀더
120a : 스트랩홀 121 : 연결부
130 : 스트랩핀 200 : 버클부
210 : 홀더 210a : 제1 결합공
210b : 회전방지턱 211 : 저면부
212 : 격벽부 213 : 고정부
220 : 캐처 220a : 제2 결합공
220b : 제1 스프링홈 221 : 요철
222 : 클레비스부 223 : 각도조절용 돌기부
224 : 캐처 바디 225 : 스토퍼
230 : 레버 230a : 제3 결합공
230b : 제2 스프링홈 231 : 레버 바디
232 : 조인트부 233 : 접촉면
240 : 결합핀 250 : 탄성부재
251 : 제1 토션스프링 252 : 제2 토션스프링
SZ : 안전구간 AZ : 보조안전구간
EZ : 연장구간
100: strap portion 110: band strap
111: Gear mount 120: Strap holder
120a: Strap hole 121: Connection
130: strap pin 200: buckle part
210: holder 210a: first engaging hole
210b: rotation stop pin 211:
212: partition wall portion 213:
220: catcher 220a: second engaging ball
220b: first spring groove 221: concave / convex
222: clevis portion 223: projection for angle adjustment
224: catcher body 225: stopper
230: lever 230a: third engaging hole
230b: second spring groove 231: lever body
232: joint portion 233: contact surface
240: engaging pin 250: elastic member
251: first torsion spring 252: second torsion spring
SZ: safety section AZ: auxiliary safety section
EZ: Extension section

Claims (6)

일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기어산을 갖는 스트랩부와, 상기 스트랩부의 기어산과 단계적으로 교합됨에 따라 상기 스트랩부를 이동 또는 구속시키는 버클부를 포함하는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부의 기어산과 교합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캐처; 및
상기 캐처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처는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클레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클레비스부 사이에 삽입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레비스부가 상기 홀더 내에 제1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부가 상기 클레비스부 내에 제2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결합되며,
상기 홀더, 캐처 및 레버는 하나의 결합핀에 의해 상기 레버와 상기 캐처가 축회전 가능하게 홀더에 결합되는 동시에,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구간 내에서는 상기 레버만이 회전되고, 상기 레버가 캐처상에서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구간을 초과하여 회전될 때 상기 레버와 상기 캐처가 동시에 축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A buckle device comprising a strap portion having a gear tooth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one direction and a buckle portion for moving or restraining the strap portion in a stepwise engagement with the gear tooth of the strap portion,
The buckle portion
A hold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trap portion;
A catcher coupled to the holder, the catcher being formed with irregularities that are engaged with gears of the strap portion; And
A le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tcher,
Wherein the catcher includes a clevis portion projecting from both ends,
Wherein the lever includes a joint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clevis portions,
Wherein the clevis portion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holder by a first torsion spring, the joint portion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clevis portion by a second torsion spring,
Wherein the holder, the catcher, and the lever are coupled to the holder such that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pivotally rotatable by a single engagement pin, and only the lever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section, And the lever and the catcher are simultaneously rotated axially when rotated beyo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처의 일단부에 캐처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는 상기 각도조절용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접촉되는 레버의 접촉면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ngle adjusting protrusion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catche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atcher and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s defined by an angle formed by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lever contacting the protrusion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은 상호 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have different strength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용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접촉되는 레버의 접촉면이 이루는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는 50°내지 80°내에서 선택되고, 상기 버클부와 스트랩부가 해제되는 회전 각도 범위는 상기 미리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로부터 40°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range formed by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lever contacting the protrusion is selected within a range of 50 to 80 degrees and a rotation angle range at which the buckle portion and the strap portion are released is set to a range from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range 40 < / RTI > or l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35273A 2014-03-26 2014-03-26 Buckle device KR101430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273A KR101430435B1 (en) 2014-03-26 2014-03-26 Buckle device
PCT/KR2015/002652 WO2015147476A1 (en) 2014-03-26 2015-03-19 Buckle device
EP15768532.2A EP3017714B1 (en) 2014-03-26 2015-03-19 Buck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273A KR101430435B1 (en) 2014-03-26 2014-03-26 Buck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435B1 true KR101430435B1 (en) 2014-08-14

Family

ID=5175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273A KR101430435B1 (en) 2014-03-26 2014-03-26 Buckle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17714B1 (en)
KR (1) KR101430435B1 (en)
WO (1) WO2015147476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8558A1 (en) 2016-04-26 2017-11-01 HJC Corp. Buckle for helmet
KR102200070B1 (en)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Lock device for handbag
WO2023224281A1 (en) * 2022-05-20 2023-11-23 (주) 에이치제이씨 Helmet buckle
KR20230171249A (en) * 2022-06-13 2023-12-20 구재선 Buckle device for helmet wear str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6745B (en) * 2017-10-23 2018-10-01 泊采企業有限公司 A buckle apparatus
KR20200027353A (en) * 2018-09-04 2020-03-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Mask
IT202000014779A1 (en) * 2020-06-19 2021-12-19 Dainese Spa PROTECTIVE HELMET STRAP CLOSURE BUCKLE AND PROTECTIVE HELMET STRAP CLOSURE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75B1 (en) 2009-04-06 2011-08-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Adjustable buckle device
JP2012120608A (en) * 2010-12-07 2012-06-28 Shoei Co Ltd Ratchet buckle for helmet
KR20130016071A (en)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A device for regulating and fastening a strap of protecting helme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386B2 (en) * 1998-12-25 2006-04-26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Buckle device
KR200229414Y1 (en) * 1999-06-16 2001-07-19 박병규 ratchet-type buckle attached on boots strap for snow board
DE20002436U1 (en) * 2000-02-11 2000-07-13 Hsu Chen Hua buckle
ITPD20010151A1 (en) * 2001-06-19 2002-12-19 Bauer Italia Spa TOOTHED BELT LACING, PARTICULARLY FOR HELMETS, HELMETS AND SIMILAR OIL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75B1 (en) 2009-04-06 2011-08-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Adjustable buckle device
JP2012120608A (en) * 2010-12-07 2012-06-28 Shoei Co Ltd Ratchet buckle for helmet
KR20130016071A (en)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A device for regulating and fastening a strap of protecting helme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8558A1 (en) 2016-04-26 2017-11-01 HJC Corp. Buckle for helmet
KR102200070B1 (en)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Lock device for handbag
WO2023224281A1 (en) * 2022-05-20 2023-11-23 (주) 에이치제이씨 Helmet buckle
KR20230171249A (en) * 2022-06-13 2023-12-20 구재선 Buckle device for helmet wear strap
KR102633442B1 (en) * 2022-06-13 2024-02-06 구재선 Buckle device for helmet wear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7714A1 (en) 2016-05-11
WO2015147476A1 (en) 2015-10-01
EP3017714A4 (en) 2017-01-25
EP3017714B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35B1 (en) Buckle device
US8225905B2 (en) Ascender device with cam for belaying on a fixed rope
CA2900819C (en) Center-pull latch mechanism
US20140138510A1 (en) 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
CA3007156A1 (en) Suppor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US10455902B2 (en) Child's safety belt connection buckle
TWI617467B (en) Belt webbing adjustment device
JPS6021898B2 (en) Adjustable holding device for safety belt driver
US20140262610A1 (en) Systems for Assisted Braking Belay with a Lever Disengagement Mechanism
US9884209B2 (en) Rope grab
JP2661731B2 (en) Seat belt suspension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KR19990067891A (en) Child seat
EP3050450A1 (en) Locking clip and anchor assembly for a tether
EP1928390A2 (en) Hoisting device for persons and clasp belonging thereto
KR101954885B1 (en) Slide-type carrier for motorcycle
EP3238558B1 (en) Buckle for helmet
KR20160061162A (en) Rail dolly integrated gripper
KR20160114589A (en) Coupling system
WO2010122072A1 (en) Coupling and restraint device for a child seat
JP2009100828A (en) Falling preventing device
JP3831791B1 (en) Safety strapping device
JP5501216B2 (en) Adjustable anchor device
JPS625180Y2 (en)
KR20170014044A (en) Safe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KR101584238B1 (en)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