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125B1 -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 Google Patents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125B1
KR101429125B1 KR1020130070925A KR20130070925A KR101429125B1 KR 101429125 B1 KR101429125 B1 KR 101429125B1 KR 1020130070925 A KR1020130070925 A KR 1020130070925A KR 20130070925 A KR20130070925 A KR 20130070925A KR 101429125 B1 KR101429125 B1 KR 10142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terminal device
cable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규일
Original Assignee
심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일 filed Critical 심규일
Priority to KR102013007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1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case with a flash. The terminal device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flash which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able which connects the flash and a terminal formed in the terminal device. The photographing quality of the terminal device is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is improved.

Description

플래시를 구비한 단말장치 케이스{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0001]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0002]

본 발명은 단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시를 구비한 단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case, and more particularly , to a terminal device case having a flash.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단말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음성통화를 위해 주로 사용했던 과거의 단말장치와는 달리, 그 용도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말장치로 영상통화, 인터넷, 게임, 그리고 사진 및 동영상촬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단말장치에는 고화질의 디지털카메라가 내장되며, 플래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트가 구비되어 출시되는 추세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ermi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become widespread. Unlike in the past, which is mainly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call, internet, game, photographing and movie shooting can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In particular, terminal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equipped with high-quality digital cameras, and are equipped with a light for the role of flash.

그러나, 기존의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라이트는 빛의 도달거리가 짧아 야간촬영시 촬영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여행지 등에서 풍경을 배경으로 한 실내 촬영일 경우, 주간 태양광 환경에서는 역광이 심해, 피사체인 인물이 매우 어둡게 촬영된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ight provided to an existing terminal device has a short light reaching distance, which results in poor imaging quality at night. In addition, when indoor scenes are taken with a scenery as a background in a travel destination, the backlight is deep in the daytime solar environment, and a person as a subject is photographed very darkly.

이처럼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라이트를 사용해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요즘에도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낮은 플래시 성능에 머물고 있다. When photographing using a light provided in a terminal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otographing quality is poor, and the flash performance is still lower than that of a general digital camera nowadays.

한편, DSLR등의 카메라나 외장 플래시는 실생활에서 휴대하기에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amera such as a DSLR or an external flash is not easy to carry in real life.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성능의 플래시를 구비하여 단말장치의 촬영품질을 향상시키고 휴대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case having a high-performance flash and improving the photographing qua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arry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와 결합하는 단말장치 케이스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플래시,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플래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케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device case coupled to a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a flash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cable connecting the terminal terminal and the flash, A terminal device case is provided.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블을 삽입시키기 위한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의 일 면에 상기 플래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끼임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 inserting the cable. And a recessed portion for fixing the flas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roove.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블을 내장하기 위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의 일 면에 상기 플래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끼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홀이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include a hole for accommodating the cable. A hole for fixing the flash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e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area where the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플래시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lash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that can receive power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cable and supply or cut off power supplied from the terminal to the flash according to a user input.

또한,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입력에 따라 상기 플래시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sh may be driven by a driv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able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e switch for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the flash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 케이스에 고성능의 플래시를 구비하여 단말장치의 촬영품질을 향상시키고 휴대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hotographing qua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by providing a high-performance flash in the terminal device case.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장치 케이스와 단말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devic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device are combin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devic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단말장치를 단말장치 케이스의 본체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device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terminal device ca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100)는 터미널 단자(11)를 구비하는 단말장치(10)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device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a terminal device 10 having a terminal terminal 11.

단말장치(1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 카메라가 내장된 다양한 종류의 개인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단자(11)는 단말장치(10)와 외부장치(미도시) 간의 데이터통신 또는 단말장치(10)의 전원충전을 위한 단자로서, 단말장치(10)의 제조사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personalization devices including camera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nd a tablet PC. The terminal terminal 11 is a terminal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for charging the power of the terminal device 10,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100)는 본체(110), 플래시(120) 및 케이블(1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terminal device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flash 120, and a cable 130.

본체(110)는 단말장치(10)의 외부에 가해지는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장치(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본체(110)는 단말장치(10)의 배면을 커버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전면과 배면을 모두 커버하는 지갑형 케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erminal device 10 in order to prevent damage and contamination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device 10. The main body 1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allet-type case covering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as well as the back cover of the terminal device 1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케이블(130)를 삽입하기 위한 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홈(111)의 일 면에는 케이블(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끼임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는 플래시(120)와 단말장치(10)를 연결하는 케이블(130)을 본체(110) 내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표면에 노출된 홈(111)은 형성된 경로에 따라 홈(111)의 전체가 노출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11)의 일부만 노출되어 케이블의 거치가 더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2, a groove 111 for inserting the cable 13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and a cutout portion for fixing the cable 130 to one side of the groove 111 113 may be formed. That is, the terminal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mount the cable 130 connecting the flash device 120 and the terminal device 10 in the main body 110. The groove 111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may be exposed entirely along the formed path but only a part of the groove 111 is exposed as shown in FIG. It can be implemented so as to be easier to mount.

도 2a는 본체(110)에 형성된 홈(111)에 케이블(130)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2b는 케이블(130)이 터미널단자(11)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2A shows a state in which a cable 130 is mounted in a groove 111 formed in a main body 110 and FIG. 2B shows a state in which a cable 130 is connected to a terminal terminal 1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홈(111)에 거치되어 있는 케이블(130)을 꺼내어 단말장치(10)의 터미널 단자(11)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the user can take out the cable 130 placed in the groove 111 and connect the cable 130 to the terminal terminal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Thus, the portabl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플래시(120)는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가 단말장치(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 플래시는(120)는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0)가 단말장치(1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 플래시(120)는 본체(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 케이스(100)가 전면과 배면을 모두 커버하는 지갑형 케이스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케이스(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플래시(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flash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When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device 10, the flash device 12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device 10 The flash 12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case 100 is implemented as a wallet-type case covering bot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the flash 12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ase 100.

플래시(120)는 단말장치(10)의 터미널단자(11)에 연결된 케이블(13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플래시(12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케이블(130)을 통해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장치(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플래시(12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에 설치된 촬영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구동신호를 통해 촬영 시 자동으로 플래시(120)가 구동될 수 있으며, 촬영 이외에도 알림과 같은 여러 기능과의 동기화를 통해 특정한 순간에 플래시(120)가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flash 120 may be powered via a cable 130 connected to the terminal terminal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 In addition, the flash 120 can be driven by a drive signal received via the cable 130 from the terminal device 10. [ That is, the user can operat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10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flash 120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For example, the flash 120 can be automatically drive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rough the drive signal received in the application of the photographing func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10, and in addition to the photographing, The flash 120 can be automatically driven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100)는 필요에 따라 전원스위치(140) 및 구동스위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the terminal device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140 and a driving switch 150, if necessary.

먼저, 전원스위치(140)는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며, 단말장치(10)로부터 케이블(13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플래시(120)에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원스위치(140)를 조작하여 플래시(12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말장치(10)에 구비된 배터리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ower switch 1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an supply or block the power suppli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 through the cable 130 to the flash 120. That is, the user can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flash 120 by operating the power switch 140.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 from being consumed.

구동스위치(150)는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플래시(120)로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즉, 사용자는 구동스위치(150)를 조작하여 플래시(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스위치(150)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장치(10)에서의 별도의 조작없이도 플래시(120)를 구동시킬 수 있고, 플래시(120)를 카메라의 라이트 용도 이외에도 조명이나 알림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The driving switch 1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flash 120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at is, the user can operate the flash 120 by operating the drive switch 150. [ The user can operate the flash 120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on the terminal device 10 through the drive switch 150 and can use the flash 120 for lighting or notification purposes hav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devic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홈(111)이 아닌 홀(112)이 형성되어, 케이블(130)이 홀(112)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12)의 길이보다 긴 케이블(130)이 홀(112) 내에 내장될 수 있도록 홀(112)의 단면은 케이블(13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3, a terminal apparatus cas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having a hole 112, not a groove 111, so that the cable 1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12 ). 3A, the cross-section of the hole 11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cable 130 so that the cable 130, which is longer than the hole 112, may be embedded in the hole 112. In this case, have.

또한, 홀(112)의 일 면에는 케이블(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끼임부(113)가 형성되어 홀(112)의 길이보다 긴 케이블(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atching portion 113 for fixing the cable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e 112, so that the cable 130 longer than the hole 1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케이스(100)는 홀(112)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14)는 케이블(13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케이블(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케이블(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 더 보기 좋다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d 114 for opening and closing a region where the hole 11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114 protects the cable 13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able 130 is not used. In addition, since the cable 1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ble 130 is more beautiful.

도 3a는 본체(110)에 형성된 홀(112)에 케이블(130)이 내장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케이블(130)이 터미널단자(11)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3A shows a state in which a cable 130 is embedded in a hole 112 formed in a main body 110 and 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a cable 130 is connected to a terminal terminal 1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덮개(140)를 개방하고, 홀(112)에 내장되어 있는 케이블(130)을 꺼내어 단말장치(10)의 터미널 단자(11)에 연결할 수 있다.
3, the user can open the cover 140, take out the cable 130 built in the hole 112, and connect the terminal 130 to the terminal terminal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단말장치 11: 터미널단자
100: 케이스 110: 본체
111: 홈 112: 홀
113: 끼임부 114: 덮개
120: 플래시 130: 케이블
140: 전원스위치 150: 구동스위치
10: terminal device 11: terminal terminal
100: Case 110: Body
111: groove 112: hole
113: pinch 114: cover
120: flash 130: cable
140: power switch 150: drive switch

Claims (10)

단말장치에 결합되는 단말장치 케이스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는 플래시; 및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플래시를 연결하는 케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장치 케이스.
A terminal apparatus case coupled to a terminal apparatus,
main body;
A flas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able for connecting the terminal to the flash terminal; / RTI >
Wherein the flash is driven by a drive signal received via the cable from the termin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면에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단말장치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for inserting the cab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일 면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끼임부가 형성되는 단말장치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groove for fixing the cab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내장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단말장치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e for accommodating the cabl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일 면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끼임부가 형성되는 단말장치 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catching portion for fixing the cab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 region where the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단말장치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s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cable.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플래시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ower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from the terminal device to the flash according to a user's inpu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플래시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ive switch for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the flash according to a user's input.
KR1020130070925A 2013-06-20 2013-06-20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KR101429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25A KR101429125B1 (en) 2013-06-20 2013-06-20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25A KR101429125B1 (en) 2013-06-20 2013-06-20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125B1 true KR101429125B1 (en) 2014-08-11

Family

ID=5175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925A KR101429125B1 (en) 2013-06-20 2013-06-20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1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23A (en) * 2010-12-14 2011-01-10 전용중 Removable device in integrated case for portable rechargeable power supply of auxiliary function and optical zoom of digital camera funtion
KR20110002938U (en) * 2009-09-16 2011-03-23 박재복 Recharging Battery Built in Protecting Case for Mobile Phone
KR20120008082U (en) * 2011-05-18 2012-11-28 (주) 바닐라브리즈 Carrying case for mobile device with attachable connection c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938U (en) * 2009-09-16 2011-03-23 박재복 Recharging Battery Built in Protecting Case for Mobile Phone
KR20110002823A (en) * 2010-12-14 2011-01-10 전용중 Removable device in integrated case for portable rechargeable power supply of auxiliary function and optical zoom of digital camera funtion
KR20120008082U (en) * 2011-05-18 2012-11-28 (주) 바닐라브리즈 Carrying case for mobile device with attachable connection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4939A1 (en) Cover plate, photograph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20190253541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7888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KR101594367B1 (en) A mobile terminal
EP3675469A1 (en) Mobile phone comprising master and slave portions
US20170102116A1 (en) Mobile light source
CN208401903U (en) Mobile terminal
CN102340632A (en) Wireless lightning flash device, mobile terminal, wireless lightning flash shooting system and method
CN208956091U (en) Mobile terminal
CN208956096U (en) Mobile terminal
JP2007108545A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US20180338027A1 (en) Battery Case with Built-in Data Path
WO2019242468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11866231A (en) Terminal device
CN204031308U (en) A kind of auxiliary photo-taking mechanism
US7826867B2 (en) Wireless terminal having a flashlight
CN103731525A (en) External flashlight of mobile phone
KR101429125B1 (en) Case for terminal device having flash
CN209046678U (en) Terminal device
CN105892196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lash lamp
CN205622726U (en) Twin -lens glasses camera
WO2020038153A1 (en) Mobile terminal
CN209472641U (en) Mobile terminal
CN202217117U (en) Externally-arranged exposure device, mobile terminal and externally-arranged exposure camera system
CN208987023U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