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03B1 - 현악기 턱받침 - Google Patents

현악기 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03B1
KR101426003B1 KR1020130075216A KR20130075216A KR101426003B1 KR 101426003 B1 KR101426003 B1 KR 101426003B1 KR 1020130075216 A KR1020130075216 A KR 1020130075216A KR 20130075216 A KR20130075216 A KR 20130075216A KR 101426003 B1 KR101426003 B1 KR 10142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ead
plate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의석
Original Assignee
임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의석 filed Critical 임의석
Priority to KR102013007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현악기 턱받침(string instrument chin rest)은 현악기의 상판(upper plate)과 이격되어 있는 저면(bottom surface)을 포함하고 턱이 받쳐지는 받침부(supporting portion), 그리고 받침부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holder)를 포함하고, 홀더는,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2 개의 제1 축부(shaft portion)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재(upper supporter), 2 개의 제1 축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현악기의 현(string)을 고정하는 나사부(screw portion)와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연결재(connector), 그리고 상부 지지재를 고정하고 현악기의 하판(lower plate)과 접촉하는 하부 지지재(lower support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악기 턱받침{STRING INSTRUMENT CHINREST}
현악기 턱받침이 제공된다.
연주자가 바이올린, 비올라 등의 현악기를 연주할 때, 보통 연주자는 연주자의 턱과 어깨 사이에 현악기를 놓는다. 연주자가 현악기를 편한한 자세에서 연주하기 위하여 현악기의 끝 부분에 턱받침을 고정한 후 턱받침 위에 턱을 올려 놓는다.
턱받침은 현악기의 앞판의 하단에 일반적으로 위치하는데, 현악기의 앞판은 소리의 진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턱받침과 현악기의 앞판의 접촉하는 면적이 넓을수록 현악기의 음질이 변할 수 있으며, 현악기 앞판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현악기의 음질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현악기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턱받침(string instrument chin rest)은 현악기의 상판(upper plate)과 이격되어 있는 저면(bottom surface)을 포함하고 턱이 받쳐지는 받침부(supporting portion), 그리고 받침부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holder)를 포함하고, 홀더는,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2 개의 제1 축부(shaft portion)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재(upper supporter), 2 개의 제1 축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현악기의 현(string)을 고정하는 나사부(screw portion)와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연결재(connector), 그리고 상부 지지재를 고정하고 현악기의 하판(lower plate)과 접촉하는 하부 지지재(lower supporter)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재는 상기 하부 지지재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굴곡부(bend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부의 상면(upper surface)은 현악기의 하판과 접촉하면서 상부 지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나사부는 속이 비어 있지 않은 제1 나사와 제1 나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나사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재는 제1 나사와 제2 나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연결재는 제1 나사와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나사부는 상기 제2 나사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3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재는 구멍(hole)을 갖는 고리부(r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구멍에는 나사부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현악기의 음질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현악기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현악기와 턱받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턱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현악기와 턱받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자른 현악기와 턱받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현악기와 턱받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턱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턱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현악기와 턱받침의 측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현악기 턱받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현악기와 턱받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턱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현악기와 턱받침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자른 현악기와 턱받침의 단면도이며, 도 5는 현악기와 턱받침의 단면도이며, 도 6은 턱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턱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현악기와 턱받침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현악기(100)는 몸체부(body portion)(110)를 포함한다. 현악기(100)는 바이올린, 비올라 등이 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판(upper plate)(111) 및 하판(113), 그리고 상판(111)과 하판(113)의 둘레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측판(side plate)(112)을 포함한다. 현악기(100)는 복수개의 현(string)(121)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현(121)은 테일피스(tale piece)(131)를 통과하며, 현의 단부(string end portion)(122)는 나사부(screw portion)(150)에 걸려 있다. 몸체부(110)의 상판(111)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는 완충재(buffer)(161)를 따라 현의 단부(122)가 굴곡되어 있다.
현악기(100)의 끝 부분에는 턱받침(chin rest)(140)이 위치한다. 턱받침(140)은 턱이 받쳐지는 받침부(supporting portion)(141)를 포함하며, 받침부(141)의 저면(bottom surface)과 상판(111)의 정상면(top surface)은 접촉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받침부(141)의 저면과 상판(111)의 정상면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받침부(141)가 현악기의 진동에 영향을 덜 줄 수 있으며, 현악기의 음질의 변화는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현악기(100)의 상판(111)의 물리적인 변형도 최소화될 수 있다.
턱받침(140)은 받침부(141)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holder)(149)를 포함하며, 홀더(149)는 나사부(150) 및 하판(113)과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다. 홀더(149)에 연결되어 있는 받침부(141)의 저면부터 홀더의 하단부 까지의 길이는 상판(111) 및 하판(113)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받침부(141)의 저면과 상판(111)의 정상면이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홀더(149)는 받침부(141)에 연결되어 받침부(141)를 지지하고 있는 상부 지지재(upper supporter)(142)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재(142)는 서로 마주보고 있고 각각 받침부(141)에 연결되어 있는 2 개의 제1 축부(shaft portion)를 포함한다. 2 개의 제1 축부는 받침부(141)에 위치하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2 개의 제1 축부와 받침부(141)는 나사 결합, 용접 결합 등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홀더(149)는 2 개의 제1 축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재(connector)(145)를 포함한다. 연결재(145)는 나사부(150)와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다. 연결재(145)의 하면(lower surface)은 나사부의 상면(upper surface)과 접촉하면서 연결재(145)가 나사부(15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받침부(141)를 턱으로 눌러 힘을 가하여도 턱받침(140)이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며, 받침부(141)의 저면과 상판(111)이 미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재(145)는 2 개의 제1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연결재(145)는 2 개의 제1 축부 중 적어도 하나와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결합되는 방법은 나사 결합, 용접 결합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연결재(145)의 양단은 용접에 의하여 2 개의 제1 축부와 결합되어 있다. 연결재(145)는 전체적으로 V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더(149)는 하판(113)과 접촉하면서 상부 지지재(142)를 고정하는 하부 지지재(lower supporter)(146)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가 받침부(141)를 턱으로 힘을 가하여도 받침부(141)가 좌우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지지재(146)는 연결관(connecting pipe)(143)을 통하여 상부 지지재(14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외에도, 하부 지지재(146)는 나사 결합, 용접 결합 등의 방법으로 상부 지지재(142)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하부 지지재(146)와 상부 지지재(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부 지지재(146)는 2 개의 제2 축부를 포함하며, 2 개의 제2 축부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ce surface) 각각에는 숫나선부(bolt spiral portion)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관(143)의 하부 내주면에는 암나선부(nut spiral portion)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지지재(146)의 축부와 연결관(143)의 하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재(142)의 2 개의 제2 축부의 외주면 각각에는 숫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관(143)의 상부 내주면에는 암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지지재(142)의 축부와 연결관(143)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지지재(14)의 2 개의 제2 축부의 끝 부분에는 각각 2 개의 굴곡부(bending portion)가 위치하며, 2 개의 굴곡부의 상면은 하판(113)과 접촉하면서 상부 지지재(142)를 고정하고 있다. 2 개의 굴곡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외에도 2 개의 굴곡부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나사부(150)는 속이 비어 있지 않은 제1 나사(151), 제1 나사(1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나사(152), 제2 나사(152)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3 나사(153), 그리고 제2 나사(152)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4 나사(154)를 포함한다. 제1 나사(151)의 외주면에 숫나선부가 위치하고, 제2 나사(152)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ce surface)에 암나선부가 위치하여, 제1 나사(151)의 외주면과 제2 나사(152)의 내주면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나사(151)의 머리부(head portion)와 제2 나사(152)의 사이에 연결재(145)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나사(151) 및 제2 나사(152)에 의해 연결재(145)가 고정됨으로써, 턱받침(140)이 홀더(149)에 더욱 강하게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제2 나사(152)의 외주면에 숫나선부가 위치하고, 제3 나사(153)의 내주면에 암나선부가 위치하여, 제2 나사(152)의 외주면과 제3 나사(153)의 내주면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나사(152)의 머리부와 제3 나사(153)의 사이에 현의 단부(122)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제3 나사(153)의 외주면에 숫나선부가 위치하며, 숫나선부에 의하여 제3 나사(153)가 측판(112)에 결합되어 있다. 제3 나사(153)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제3 나사(153)의 단부는 측판(122)의 겉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현악기(100)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4 나사(154)의 내주면에 암나선부가 위치하며, 제2 나사(152)의 외주면과 제4 나사(154)의 내주면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4 나사(154)는 측판(122)과 접촉하며, 이에 의해 제2 나사(152)는 제3 나사(153)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4 나사(154)는 생략될 수 있으며, 또는 제4 나사(154)는 제2 나사(152)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현의 단부(122)는 연결재(145)와 제2 나사(152)의 머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나사(153)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제2 나사(152)의 외주면에 위치한 숫나선부에 의하여 제2 나사(152)가 측판(1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나사(151)의 머리부와 제2 나사(152)의 머리부 사이에 연결재(145)가 고정되어 있다. 제2 나사(152)의 외주면은 암나선부가 위치하는 제4 나사(154)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4 나사(154)는 측판(122)과 접촉하며, 이에 의해 제2 나사(152)는 측판(112)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4 나사(154)는 생략될 수 있으며, 또는 제4 나사(154)는 제2 나사(152)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2 나사(152)의 머리부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나사(151)의 머리부와 제2 나사(152) 및 측판(112)의 사이에 현의 단부(122)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현의 단부(122)는 연결재(145)와 제2 나사(152)의 머리부 사이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연결재(145)는 구멍(hole)(148)을 갖는 고리부(ring portion)(147)를 포함한다. 고리부(147)는 구멍(148)에 제1 나사(151)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연결재(145)가 더욱 강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턱받침(140)이 홀더(149)에 더욱 강하게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고리부(147)는 원 형상을 가지며, 이외에도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현악기 110: 몸체부
111: 상판 112: 측판
113: 하판
121: 현 122: 현의 단부
131: 테일피스
140: 턱받침 141: 받침부
142: 상부 지지재 143: 연결관
145: 연결재 146: 하부 지지재
147: 고리부 148: 구멍
150: 나사부 151: 제1 나사
152: 제2 나사 153: 제3 나사
154: 제4 나사 161: 완충재

Claims (7)

  1. 현악기의 상판(upper plate)과 이격되어 있는 저면(bottom surface)을 포함하고 턱이 받쳐지는 받침부(suppor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holder)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2 개의 제1 축부(shaft portion)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재(upper supporter),
    상기 2 개의 제1 축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현악기의 현(string)을 고정하는 나사부(screw portion)와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연결재(connector),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재를 고정하고 현악기의 하판(lower plate)과 접촉하는 하부 지지재(lower supporter)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재, 상기 연결재,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재는 상기 현악기의 상판의 상면(upper surface)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재의 길이 방향은 상기 현악기의 측판에 대면하는 현악기 턱받침(string instrument chin rest).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 지지재는 상기 하부 지지재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굴곡부(bend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부의 상면(upper surface)은 현악기의 하판과 접촉하면서 상기 상부 지지재를 고정하는 현악기 턱받침.
  3. 제2항에서,
    상기 나사부는 제1 나사와 상기 제1 나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재는 상기 제1 나사와 상기 제2 나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재는 상기 제1 나사와 접촉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현악기 턱받침.
  4. 제3항에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제2 나사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3 나사를 포함하는 현악기 턱받침.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제2 나사가 삽입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4 나사를 포함하고, 제4 나사는 측판과 접촉하는 현악기 턱받침.
  6. 제2항에서,
    상기 연결재는 구멍(hole)을 갖는 고리부(ring portion)를 포함하는 현악기 턱받침.
  7. 제6항에서,
    상기 구멍에는 상기 나사부가 삽입되는 현악기 턱받침.
KR1020130075216A 2013-06-28 2013-06-28 현악기 턱받침 KR10142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216A KR101426003B1 (ko) 2013-06-28 2013-06-28 현악기 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216A KR101426003B1 (ko) 2013-06-28 2013-06-28 현악기 턱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03B1 true KR101426003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216A KR101426003B1 (ko) 2013-06-28 2013-06-28 현악기 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1705A1 (en) * 2000-03-23 2001-09-27 William Benham Collar bone rest for a stringed instrument
KR20120019966A (ko) * 2010-08-27 2012-03-07 임의석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1705A1 (en) * 2000-03-23 2001-09-27 William Benham Collar bone rest for a stringed instrument
KR20120019966A (ko) * 2010-08-27 2012-03-07 임의석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9755B1 (en) A microphone mounting apparatus
JP5433778B2 (ja) 肩当て
WO2009034801A1 (ja) 弦楽器
KR101214895B1 (ko)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US20070272068A1 (en) Ergonomic Classical Guitar
USD866655S1 (en) Stringed instrument plectrum
US8884143B2 (en) Musical instrument
KR101426003B1 (ko) 현악기 턱받침
US10467993B2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neck and body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containing said device
US7893329B2 (en) Chin-rest for a violin
JP4824513B2 (ja) 眼鏡フレーム
US9305528B1 (en) Clamping device for holding shoulder rest to violin and viola
US10297236B1 (en) Universal capo for variety of instruments and string gauges
JP4695225B1 (ja) 楽器のリガチャー
JP2018028639A (ja) ギター、及びその弦係止構造
JP2017062388A (ja) 楽器用キャリア
USD854611S1 (en) Stringed instrument plectrum
JP6893977B2 (ja) 弦楽器の支持装置用のアダプタ
JP2007052196A (ja) ギター
KR20200135855A (ko)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US9336757B2 (en) Shoulder rest for violin/viola
USD597125S1 (en) Fret for stringed instruments
US20100236374A1 (en) Tail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WO2019235600A1 (ja) 弦楽器用肩当て
JP3210732U (ja) 日常用下腿義足ソケットの後方型板バネ足へ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