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98B1 -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98B1
KR101425598B1 KR1020130076715A KR20130076715A KR101425598B1 KR 101425598 B1 KR101425598 B1 KR 101425598B1 KR 1020130076715 A KR1020130076715 A KR 1020130076715A KR 20130076715 A KR20130076715 A KR 20130076715A KR 101425598 B1 KR101425598 B1 KR 10142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ontrol
main facility
terminal
exter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민
곽승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3007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jor equipment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The major equipm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a holder; an adjacent employee terminal; and a control center computer. The smartphone includes: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used to record images;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detects vibration; a speaker transmitting alarm sound; a microphone measuring the noise;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used for data exchange; an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a security USIM card; and an NFC module.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a facility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요 설비에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구비된 전후방 카메라, 가속도 센서, 마이크, 스피커, 입출력 단자 등을 이용하여 주요 설비의 영상, 진동, 소음, 온도,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 감지시 통신을 통해 주변 현장 근무자와 원거리 근무자(제어실)에게 이를 알리고, 주변 현장 근무자 또는 원거리 근무자(제어실)가 통신을 통해 제어 설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in which a smart phone is installed in a main facility requiring monitoring, and a front camera, an acceleration sensor, a microphone, Vibration, noise, temperature, pressure, etc. of the main facilities in real time to inform the near-field workers and remote workers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case of danger, and the surrounding field worker or remote worker (control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that allows control equipment to be controlled through communication.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정 장소에 설비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의 서버에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The monitoring system is a system for monitoring a video shot by a camera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from a remote server.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CCTV 시스템이 있다.A typical example of such a monitoring system is a CCTV system.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특정 장소의 한정된 모니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 is a system that transmits a signal to a limited monitor at a specific place using a video camera.

CCTV 시스템은 신호를 직접 케이블 등을 사용해서 전달하며, 외부로 전파가 나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이라고 명명되었다.CCTV system is called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because it transmits signals directly using cables and the like.

원리는 방송용 텔레비전과 같으나 방식은 응용분야나 텔레비전 신호의 통신로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매초 화면수(每秒畵面數), 주사선수(走査線數) 등은 방송규격에 얽매이지 않고 용도에 따라 독자적인 규격을 사용할 때가 많다. 카메라의 감응파장(感應波長)도 가시광선 영역만이 아니고 자외선, 적외선, X선, 중성자선 등의 영역을 대상으로 할 때도 있다.The principle is the same as that of broadcasting television, but there are various methods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or the communication path of the television signal, and the number of screens per second (second screen plane) and scanning line is not bound to the broadcasting standard, Often using proprietary standards. The sensitive wavelength (sensible wavelength) of the camera is not only the visible light region but also the ultraviolet ray, infrared ray, X-ray, and neutron ray.

용도도 다양하여 댐의 취수구(取水口) 상황, 수위(水位), 수문의 자동개폐 상황 등의 감시, 화력발전소나 용광로의 연소 상황, 그리고 굴뚝으로부터의 매연 감시, 기중기(起重機) 등의 운전 감시 또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 감시, 선수(船首)에서 보는 수로(水路)의 상황, 고속도로 터널 내부의 교통 상황 감시, 플랫폼이나 역 구내의 승강 상황 파악, 그리고 방사성 물질의 원격감시 및 원방조작용 등, 먼 곳에서 실정을 파악하기를 원하거나 위험해서 접근할 수 없을 경우, 멀리서 감시하고 싶을 때 등에 많이 사용된다. 산업의 자동화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병원에서 수술하는 광경 등도 실외에서 볼 수 있다.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observation of dam intake, water level, automatic opening / closing status of watercraft, burning situation of thermal power plant or blast furnace, smoke monitoring from chimney, Monitoring the traffic situation inside the highway tunnel, ascertaining the elevation situation in the platform or the station, remote monitoring of the radioactive materials, It is often used when you want to know the situation from a distance, when you can not approach it in danger, when you want to monitor from afar. Surgical sightings in hospitals are indispensable for industrial automation and can also be seen outdoors.

CCTV 시스템은 간단한 TV카메라와 수상기의 조합으로, 양자간 전송로로서는 유선방송파 방식을 취한 것이 많으며, 카메라의 초점, 카메라의 방향을 수상기(디스플레이) 근처에서 원격조작 하는 것이 보통이다. 카메라용 촬상관으로는 비디콘이 손쉽고 안전하므로 많이 쓰인다. 카메라는 오랜 시간에 걸친 안정성과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내풍우성(耐風雨性), 내고온성, 내방사선성 등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는 방송용 정도이면 양호하고, 전송로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A CCTV system is a combination of a simple TV camera and a receiver. In many cases, a cable broadcasting system is used as a two-way transmission path. In general, the focus of the camera a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are remotely controlled near the receiver. It is widely used as an imaging tube for a camera because it is easy and safe. Cameras are required to have long-term st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high temperature resistance, and radiation resistanc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 display is good for broadcasting, and most of the transmission lines use coaxial cable.

상업, 교육, 연구, 경찰, 국방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할 때가 많다. 의료용으로서는 X선 텔레비전 등이 사용되며, 이 경우 형광판, 촬상관, 카메라 등의 감도를 높여줌으로써 보통의 경우보다 X선의 강도를 줄일 수 있어서 장애가 적다. 또 한번만 촬영하면 반복해서 볼 수 있고 위험한 곳에서는 떨어져서 연속적으로 관찰과 녹화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나 의사의 안전을 위해서도 이상적이다.Commercial, educational, research, police, and defense sectors are often used. For medical use, X-ray television is used. In this case, the sensitivity of the fluorescent plate, the image pickup tube, and the camera is increased,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X-ray can be reduced more than usual. It is also ideal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 and the doctor because it can be repeatedly viewed once again and can be continuously observed and recorded away from dangerous places.

이밖에 내시경(內視鏡) 텔레비전, 자외선 현미경 텔레비전 등이 있어서 많은 사람이 동시에 관측하거나 기록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의학 교육용으로 외과수술을 수술실 외부에서 여러 사람이 볼 수 있게 하고 있다.In addition, endoscopic television and ultraviolet microscope television have many advantages such that many people can observe or record at the same time, and for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the surgical operation can be seen from outside the operation room.

교육용으로서는 대강당 등에서 많은 인원의 교육 또는 실험의 데먼스트레이션으로, 그리고 세부의 확대전시, 실험지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용 텔레비전을 ETV(education TV)로 약칭한다. 또 백화점 등에서의 감시용, 가정에서의 대문 앞 감시용 등으로도 사용된다.For educational purposes, it can be used for demonstration of education or experimentation of large number of people in the auditorium, and for enlarging display of detail, and for experimental guidance. Such educational television is abbreviated as ETV (education TV). It is also used for surveillance at department stores and for monitoring front doors at home.

근래 저장 수단의 발달에 힘입어 촬상관을 통한 단순한 모니터링에서 나아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까지 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으며 이때의 저장 수단으로는 VCR, DVR(Digital Video Recorder) 등이 사용된다.In recent years, a system has been introduced for simple monitoring through an imaging tube and storage of photographed ima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storage means. A VCR,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or the like is used as the storage means at this tim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가 육안으로 모든 것을 확인해야만 하고, 별도로 시스템을 구축해야만하기 때문에 설치 운영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requires the administrator to check everything with the naked eye, and has to install the system separately, which causes a problem that installation operation cost is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380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has been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38049.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저장하는 감시 서버로 이루어져, 장소에 제한받지 않는 스마트폰을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mart phone comprises a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surveillance data includ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a built-in camera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real time, and a surveillance server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urveillance data, And the unlimited smart phone is used as an input mean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단순히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고, 마이크를 통해 현장음을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는 정도의 단순한 구성이어서 열병합발전설비와 같은 주요 설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is a simple configuration that captures an image with a camera of a smart phone, inputs a scene sound through a microphone, transmits the sound, and transmits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It is impossible to apply it to a monitoring system of a main facility such as a computer.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3804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804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요 설비에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구비된 전후방 카메라, 가속도 센서, 마이크, 스피커, 입출력 단자 등을 이용하여 주요 설비의 영상, 진동, 소음, 온도,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 감지시 통신을 통해 주변 현장 근무자와 원거리 근무자(제어실)에서 이를 알리고, 주변 현장 근무자 또는 원거리 근무자(제어실)가 통신을 통해 제어 설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with a smart phone, (Vibration, noise, temperature, pressure, etc.) in real time to inform the near field worker and remote worker (control room) through communication in case of danger detection, and the surrounding field worker or remote worker (control roo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을 촬영하는 전후방 카메라,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 충전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단자, 외부 입출력 단자, 보안을 위한 유심카드(USIM)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하며, 위험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이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주요 설비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고, 각도 조절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 입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를 조정하는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폰의 유심카드와 상호 인증된 유심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를 제어하는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실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ront and rear camera for capturing images,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a speaker for emitting a warning sound, a microphone for measuring noise,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smart phone installed with a monitoring application and monitoring major facilities,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monitoring application to the outside when a risk is detected; The smartphone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main facility so that the smartphone can monitor main facilities. 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n angle adjusting motor, and the angle adjusting motor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an external input /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A short-distance worker terminal having a wake-up card mutually authenticated with the wake-up card of the smartphone, detecting a dang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to control main equipment; And a control room computer for detecting a danger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to control the main facility.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 입출력 단자는 주요 설비의 밸브류, 센서류 및 스위치류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 또는 제어실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 박스로 전달하여 밸브류, 센서류, 스위치류 및 상기 거치대의 각도 조절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류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컨트롤 박스를 통해 입력받는다.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valves, sensors, and switches of a main facility,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ear-end worker terminal or the control room computer to the control box, The sensor, the switches, and the angle adjusting motor of the cradle, and receives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through the control box.

여기에서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전후방 카메라는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하는 주파수 변환필터 또는 압력 및 온도를 밀도로 변환하여 가시화시키는 밀도 측정필터가 설치된다.Herein, the front and rear cameras of the smartphone are provided with a frequency conversion filter for converting infrared rays into visible light, or a density measurement filter for converting pressure and temperature into density to be visible.

여기에서 또, 상기 거치대는 주요 설비의 증기 라인 또는 진동 발생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Here, the cradle is fixedly installed at the steam line or vibration generating position of the main equipment.

여기에서 또,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의 변화가 감지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기준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마이크를 통해 기준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거나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를 통해 센서류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로 위험을 알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실 컴퓨터로 위험을 알린다.Here, the monitor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the image through the front and rear cameras, to detect vibration above a reference level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to detect noise above a reference level through the microphone, When the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sensor through the speaker, the warning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the danger is informed to the near-end work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isk is informed to the control room comput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에서 또, 상기 스마트폰은 기사용된 공기기를 이용한다.Here again, the smartphone uses the airplane already us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요 설비에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구비된 전후방 카메라, 가속도 센서, 마이크, 스피커, 입출력 단자 등을 이용하여 주요 설비의 영상, 진동, 소음, 온도,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 감지시 통신을 통해 주변 현장 근무자와 원거리 근무자(제어실)에서 이를 알리고, 주변 현장 근무자 또는 원거리 근무자(제어실)가 통신을 통해 제어 설비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이 간단하고, 버려지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하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is installed in the main facility in the main facility requiring monitoring, and the front and rear cameras, acceleration sensor, microphone, speaker, input / output terminal Vibration, noise, temperature, pressure, etc. of the main facilities in real time to inform the near field worker and remote worker (control room) through communication in case of danger detection, and the surrounding field worker or remote worker (control room) By controlling the control equipment through communication, system construction is simple and waste of resources can be reduced by recycling abandoned smart phon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1)은, 스마트폰(10)과, 거치대(20)와, 컨트롤 박스(30)와,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와, 제어실 컴퓨터(50)를 포함한다.1 and 2,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1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10, a cradle 20, a control box 30, a near- (40), and a control room computer (50).

먼저, 스마트폰(10)은 통상의 스마트폰으로서 주요 설비(A)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후방 카메라(11),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2),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13),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14), 충전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단자(15), 외부 입출력 단자(16), 보안을 위한 유심카드(USIM)(17) 및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8)을 구비하고,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19)이 설치되어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하며, 위험이 감지되면 감지된 위험과, 해당 위치를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와, 제어실 컴퓨터(5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스마트폰(10)의 전후방 카메라(11)는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하는 주파수 변환필터(11a) 또는 압력 및 온도를 밀도로 변환하여 가시화시키는 밀도 측정필터(11b)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스마트폰(10)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19)은 전후방 카메라(11)를 통해 영상의 변화(증기 누출, 진동에 의한 영상 흔들림 등)가 감지되거나, 가속도 센서(12)를 통해 기준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거나, 마이크(14)를 통해 기준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거나 외부 입출력 단자(16)를 통해 센서류(S1)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스피커(13)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 모듈(18)을 통해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로 위험을 알리고, 데이터 통신 단자(15)를 통해 제어실 컴퓨터(50)로 위험을 알린다. 이때, 스마트폰(10)은 기사용된 공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 장소에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First, the smartphone 10 includes a front and rear camera 11, a vibration sensor 12, a speaker 13 for emitting a warning sound,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capable of charg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16, a USIM card 17 for security,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and Bluetooth A monitoring application 19 is installed to monitor the main facility and transmits the detected risk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near room worker terminal 40 and the control room computer 50 when a danger is detected . The front and rear cameras 11 of the smartphone 10 may be provided with a frequency conversion filter 11a for converting infrared light into visible light or a density measurement filter 11b for converting pressure and temperature into density to be visualized . Here, the monitoring application 19 of the smartphone 10 can detect the change of the image (steam leakage, image blur due to vibration) through the front and rear cameras 11 or the acceleration sensor 12 When a vibration is detected or a noise over a reference is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14 or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sensor S1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16, a warning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3, (40) to inform the risk to the control room computer (50) via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martphone 10 use the air units already used, and may be installed alone or in the same place.

그리고, 거치대(20)는 스마트폰(10)이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주요 설비(A)의 증기 라인 또는 진동 발생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이에 스마트폰(10)이 거치되고, 스마트폰(10)의 상하 좌우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모터(21)가 구비되어 스마트폰(10)의 외부 입출력 단자(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도 조절 모터(21)가 구동되어 스마트폰(10)의 위치를 조정한다.
The platform 20 is fixedly installed at a steam line or a vibration generating position of the main facility A so that the smartphone 10 can monitor the main facility and thus the smartphone 10 is mounted, The angle adjusting motor 21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16 of the smartphone 10 to control the angle of the smartphone 10 Adjust the position.

또한, 컨트롤 박스(30)는 주요 설비(A)의 밸브류(V), 센서류(온도, 압력, 수질, 대기 환경 등)(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스마트폰(10)의 외부 입출력 단자(16)로부터 전달되는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 또는 제어실 컴퓨터(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밸브류(V), 센서류(S1), 스위치류(S2) 및 거치대(20)의 각도 조절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류(S1)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스마트폰(10)의 외부 입출력 단자(16)로 출력한다.
The control box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lves V of the main facility A, sensors (temperature, pressure, water quality, atmospheric environment, etc.) S, The sensor S1, the switch S2 and the angle adjusting motor 20 of the cradle 2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terminal 40 or the control room computer 50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6, And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S1 to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16 of the smartphone 10. [

또,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는 통상의 스마트폰으로서 스마트폰(10)의 유심카드(17)와 상호 인증된 유심카드(미도시)가 구비되고, 스마트폰(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스마트폰(10)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A)를 제어한다.
The short-range worker terminal 40 is provided with a wake-up card (not shown) mutually authenticated as a wake-up card 17 of the smartphone 10 as a normal smartphone, And controls the main facility A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10.

한편, 제어실 컴퓨터(50)는 스마트폰(10)의 데이터 통신 단자(15)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스마트폰(1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스마트폰(10)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A)를 제어한다.
The control room computer 50 is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of the smartphone 10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enses the danger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 and controls the control through the smart phone 10 And outputs a signal to control the main facility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a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시스템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19)은 전후방 카메라(11)를 통해 영상의 변화(증기 누출, 진동에 의한 영상 흔들림 등)가 감지되거나, 가속도 센서(12)를 통해 기준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거나, 마이크(14)를 통해 기준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거나 외부 입출력 단자(16)를 통해 센서류(S1)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스피커(13)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 모듈(18)을 통해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로 위험과 해당 위치를 알리고, 데이터 통신 단자(15)를 통해 제어실 컴퓨터(50)로 위험과 해당 위치를 알린다.The monitoring application 19 of the smartphone 10 detects the change of the image (steam leakage, image blur due to vibration) through the front and rear cameras 11 or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outputs a warning sound via the speaker 13 when a vibration exceeding a reference is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14 or a noise exceeding a reference is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14 or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sensor S1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16 The local office worker terminal 40 is informed of the danger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8 and the risk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are notified to the control room computer 50 via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15. [

그러면, 근거리 근무자는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40)를 통해 스마트폰(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스마트폰(10)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A)를 제어한다.Then, the near-field worker senses the dang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near-field worker terminal 40,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10 to control the main facility A.

이와 동시에, 원거리 근무자는 제어실 컴퓨터(50)를 통해 스마트폰(1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스마트폰(10)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A)를 제어한다.At the same time, the remote worker senses the danger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control room computer 50,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10 to control the main facility A.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본 발명은 주요 설비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필요한 모든 장소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ny place where monitoring is required as well as in major facilities.

10 : 스마트폰 20 : 거치대
30 : 컨트롤 박스 40 :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
50 : 제어실 컴퓨터
10: Smartphone 20: Cradle
30: Control box 40: Terminal for near-distance workers
50: control room computer

Claims (6)

영상을 촬영하는 전후방 카메라,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 충전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단자, 외부 입출력 단자, 보안을 위한 유심카드(USIM)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하며, 위험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이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주요 설비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고, 각도 조절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 입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를 조정하는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폰의 유심카드와 상호 인증된 유심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를 제어하는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실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A front and rear camera for capturing images,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a speaker for emitting a warning sound, a microphone for measuring noise,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smart phone installed with a monitoring application and monitoring major facilities,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monitoring application to the outside when a risk is detected;
The smartphone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main facility so that the smartphone can monitor main facilities. 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n angle adjusting motor, and the angle adjusting motor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an external input /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A short-distance worker terminal having a wake-up card mutually authenticated with the wake-up card of the smartphone, detecting a dang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to control main equipment; And
And a control room computer for detecting a danger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controlling a main facility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 입출력 단자는,
주요 설비의 밸브류, 센서류 및 스위치류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 또는 제어실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 박스로 전달하여 밸브류, 센서류, 스위치류 및 상기 거치대의 각도 조절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류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컨트롤 박스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input /
A control box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for controlling valves, sensors and switches of the main facility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ear-end worker terminal or the control room computer to the control box to control the valves, sensors, switch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operation of the control motor and receives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through the control bo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전후방 카메라는,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하는 주파수 변환필터 또는 압력 및 온도를 밀도로 변환하여 가시화시키는 밀도 측정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and rear cameras of the smartphone may include:
A frequency conversion filter for converting infrared light into visible light, or a density measurement filter for converting pressure and temperature into density and visualizing the infrared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주요 설비의 증기 라인 또는 진동 발생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Wherein the main facility is fixedly installed at a vapor line or vibration generating position of the main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의 변화가 감지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기준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마이크를 통해 기준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거나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를 통해 센서류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로 위험을 알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실 컴퓨터로 위험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comprises:
If a change in the image is sen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cameras, a vibration above the reference is sens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 noise over the reference is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or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sensor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And notifies the risk to the near-term work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notifies the risk to the control room comput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기사용된 공기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martphone,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s used as the air conditioner.
KR1020130076715A 2013-07-01 2013-07-01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KR101425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15A KR101425598B1 (en) 2013-07-01 2013-07-01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15A KR101425598B1 (en) 2013-07-01 2013-07-01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598B1 true KR101425598B1 (en) 2014-08-04

Family

ID=5174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15A KR101425598B1 (en) 2013-07-01 2013-07-01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9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50A1 (en) * 2014-10-27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6089067A1 (en) * 2014-12-03 2016-06-09 황호정 Unmanne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812777B1 (en)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System for monitoring district heating customer facility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improving efficiency
KR20180013250A (en)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location of heavy equipment
KR101901644B1 (en) * 2018-07-04 2018-09-28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Apparatus for managing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monitoring pr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003A (en) * 2002-07-13 2002-08-24 (주) It 커뮤니티 Tele-monitoring camera system using personal data association
KR100597807B1 (en) 2004-09-21 2006-07-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noticing an emergency
KR20120071300A (en) * 2010-12-22 2012-07-0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Using smart device for the error of a local power plant diagnosis device and method
KR101188536B1 (en) 2010-01-08 2012-10-05 (주)넥스챌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fac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003A (en) * 2002-07-13 2002-08-24 (주) It 커뮤니티 Tele-monitoring camera system using personal data association
KR100597807B1 (en) 2004-09-21 2006-07-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noticing an emergency
KR101188536B1 (en) 2010-01-08 2012-10-05 (주)넥스챌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facility
KR20120071300A (en) * 2010-12-22 2012-07-0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Using smart device for the error of a local power plant diagnosis device and method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50A1 (en) * 2014-10-27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170077113A (en) * 2014-10-27 2017-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nito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KR101969804B1 (en) * 2014-10-27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nito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US10582161B2 (en) 2014-10-27 2020-03-03 Lg Electronics Inc. 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6089067A1 (en) * 2014-12-03 2016-06-09 황호정 Unmanne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812777B1 (en)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System for monitoring district heating customer facility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improving efficiency
KR20180013250A (en)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location of heavy equipment
KR101901644B1 (en) * 2018-07-04 2018-09-28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Apparatus for managing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monitoring program
WO2020009347A1 (en) *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Usim management apparatus and industrial communication terminal
US11051148B2 (en) 2018-07-04 2021-06-29 Unionplace Co., Ltd. USIM management device and industrial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rared intruder detection
KR101635000B1 (en) Fire detector and system using plural cameras
KR101425598B1 (en) System for monitoring mai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CN205670807U (en) Monitoring system
WO20141967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using synthetic images
KR1014116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ire
KR101025426B1 (en) Sensor Location Tracking Pan Tilt Network Camera Apparatus
KR101726315B1 (en) Network based monitoring system and network based monitoring camera having event notifying function
KR101483614B1 (en) Outdoor security apparatus using motion detection
KR100929921B1 (en) Ubiquitous integrated security video device and system
KR20150041939A (en) A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1747022B1 (en) The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in connection with CCTV
KR101250956B1 (en) A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KR101840019B1 (en) Camera for privacy protect and monitoring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35385A (en) Surveillance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50035108A (en) System for robot cleaner and preventing crime using wifi direct
KR20080076201A (en) Movable type security system by omnidirectional perception camera
JP2017122948A (en) Monitoring system of approaching to charge unit, and monitoring method of approaching to charge unit
KR101305990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KR101079076B1 (en) Safety-improved cctv system
KR20130019598A (en) Prevention of crimes system that lighting uses ip psensor camera
CN104427315A (en) Real-time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101424237B1 (en) SVC codec based CCTV system for smart phone using channel recognition
KR20160010633A (en) Invader Monitoring and Alarm System using Thermal Image Fusion Camera
WO2020095383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