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89B1 -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89B1
KR101422089B1 KR1020130087521A KR20130087521A KR101422089B1 KR 101422089 B1 KR101422089 B1 KR 101422089B1 KR 1020130087521 A KR1020130087521 A KR 1020130087521A KR 20130087521 A KR20130087521 A KR 20130087521A KR 101422089 B1 KR101422089 B1 KR 101422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mposition
silver
weight
solvent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숙
김인영
이택민
곽선우
양상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8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로, 높은 일함수를 갖는 전극의 제조가 가능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Ag Ink Composition for Metal Electrode of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높은 일함수를 갖는 전극의 제조가 가능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은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규제하기 위하여 1997년 12월 교토의정서가 채택된 후, 방대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과 같은 재생 가능하며, 청정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청정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는 태양전지(태양광 소자)는 반도체가 빛을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이 발생되는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류-전압을 생성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태양전지의 반도체로 안정성 및 효율이 입증된 실리콘이나 갈륨아르세나이드(GaAs)와 같은 무기물 반도체의 n-p 다이오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그 제조 비용이 높아 태양전지의 실질적 활용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보다 값싼 태양전지를 개발하고자, 염료 감응 물질, 유기/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유기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매우 낮고 열화에 의한 수명이 짧아, 실제 시장 점유 비율은 3% 내외로 미미한 한계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태양전지 기술은 고분자 혹은 저분자 유기반도체를 이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환경친화형 신발전기술로, 유기물의 가장 큰 장점인 저렴한 비용과 제조공정의 용이성을 바탕으로 박막형 소자, 대면적 소자, 롤루롤(roll-to-roll) 방법 등에 의한 플렉시블(flexible) 소자 등 초저가, 다양도의 대량생산 특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태양전지이다.
그러나, 유기태양전지의 경우 여전히 절대적인 소자의 효율이 낮아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유기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각 층의 계면에서 광전하의 손실이 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6413호와 같이 칼슘(Ca), 바륨(Ba), 나트륨(Na), 세슘(Cs), 또는 리튬(Li)과 같은 금속 버퍼층을 도입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진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칼슘, 리튬과 같은 금속은 반응성이 높고 수분에 민감하여 태양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추가의 금속 막이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유기 태양전지의 큰 장점인 제조공정의 용이성 및 플렉시블 특성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한계가 있다.
본 출원인은 광 전하 소멸을 방지하여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장기간 연구를 수행한 결과, 종래와 같이 유기 태양전지의 신뢰성이나 수명을 감소시키면서 투명 전극의 대향 전극인 금속 전극의 일 함수를 낮추기 보다는, 인버티트 구조의 유기태양전지에서 금속 전극의 일 함수를 높임으로써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 높은 일함수를 갖는 금속 전극의 제조가 가능한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6413호
본 발명은 높은 일함수를 갖는 전극의 제조가 가능한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은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이며,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 및 분산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은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에 있어, 부용매는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에 있어, 부용매는 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4 내지 10중량%의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에 있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Mn)은 190 내지 63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에 있어,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rylamide), 폴리아크릴(polyacrylic) 및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은 10 내지 60 중량%의 은 입자; 30 내지 80 중량%의 주 용매;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 내지 10중량%의 알코올; 0.1 내지 2 중량%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은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을 포함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은 높은 일함수를 갖는 전극의 제조가 가능하여, 태양전지의 개방전압을 증가시켜 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은 전극의 일 함수를 측정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Ag 입자의 XPS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5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의 XPS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의 XPS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의 XPS 분석 결과 중 산소 피크(붉은 선으로 도시)를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Ag 입자의 산소 피크(검은 선으로 도시)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은 잉크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 잉크 조성물은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인 특징이 있다.
인버티트 구조(inverted structure)의 유기 태양전지는 금속 전극인 양극, 전도성 투명 전극인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양극과 광활성층 및/또는 음극과 광활성층 사이에 금속 산화물층이 위치하는 유기 태양전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티트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는 전도성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는 통상적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 대비, 매우 우수한 안정성 및 향상된 수명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기 태양전지의 일반적인 구조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금속은 Al이다. 하지만 Al은 낮은 일함수를 갖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는 포장(encapsulation)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중에 짧은 시간 노출시에도 소자의 효율이 떨어지는 장기적 안정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버티드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는 투명 전도성 전극의 음극/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자 수송층/유기 광활성층/유기 정공 수송층/금속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인버티드 구조에서는 금속 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Al이 아닌 일함수가 높은 Ag와 같은 금속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기 중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정공 수송층보다 높은 일함수를 갖기 때문에 전자와 정공의 흐름 방향이 원활하다.
투명 전도성 전극은 인버티드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투명 전도성 물질일 수 있으며, 비한정적이며 구체적인 일 예로, ITO(Indium-Tin Oxide)를 들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의 금속 산화물은 인버티드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자를 이송시킬 수 있는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비한정적이며 구체적인 일 예로, 타이타늄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유기 활성층의 광전 물질은 인버티드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광전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이며 비한정적인 일 예로, P3HT:PCBM((poly(3-hexylthiophene):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를 들 수 있으며, 정공 수송층의 유기 정공 전달 물질은 인버티드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기 정공 전달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이며 비한정적인 일 예로,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를 들 수 있다.
인버티트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에서,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개방전압(Voc), 단략전류(Isc) 및 충실도(FF)를 들 수 있으며, 특히 개방전압은 양극과 음극간의 비 대칭적인 일함수 차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인버티트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에서 양극(금속 전극)의 높은 일함수는 광에 의해 생성된 광전자를 외부회로로 쉽게 이동시켜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버티트 구조의 유기 태양전지에서 높은 일함수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갖고, 유기물과의 화학적 안정성 또한 금속 전극(양극)을 제조할 수 있는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인버티트 구조 유기 태양전지 양극용 잉크 조성물이며,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 및 분산제를 함유한다.
본 출원인은 금속 전극의 일함수를 높이기 위해 장기간 연구를 지속한 결과, 놀랍게도, 잉크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매에 의해 금속 전극의 일함수가 달라짐을 발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와 함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 제조된 은 전극이 현저하게 높은 일함수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세하게,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와 산소(-O-) 또는 히드록시(hydroxy) 작용기(-OH)를 갖는 용매나 부용매를 혼합한 경우, 일함수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놀랍게도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와 혼합되는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의 표면에 결합한 산소 함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높은 일함수를 갖는 은 전극이 제조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지 인버티트 구조 유기 태양전지에서, 일함수 향상을 위한 다른 이종 물질의 층이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양극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은 잉크 조성물의 용매를 변화시킴으로써, 매우 높은 일함수를 갖는 은 전극(양극)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은 전극을 제조하는 경우, 은 전극 자체의 일함수가 높아짐에 따라,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전자를 양극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높아져 광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전도성 투명 전극과의 일함수 차가 커져 높은 에너지 변환효율을 나타내는 유기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함수를 높이기 위해 추가의 다른 층의 도입 없이, 은 전극 자체가 높은 일함수를 가짐에 따라, 종래 확립된 인버티트 구조 유기 태양전지 공정의 재설계 또는 추가적인 공정 개발이 불필요하고, 기 확립된 공정 및 유/무기 물질들을 그대로 이용하여 유기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이하, 캡핑된 은 입자로 칭함)는 은염, 환원성 용매 및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은 입자를 제조하는, 통상의 폴리올 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캡핑된 은 입자의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올 법을 이용한 은 입자의 제조시 사용된 수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세하게, 폴리올 법의 환원성 용매는 은염 및 수용성 고분자를 용해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은 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제의 역할을 수행하며, 수용성 고분자는 생성되는 은(고상의 은)과 결합하여, 은의 성장을 방지함으로써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상의 은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비 한정적이며 구체적인 일 예로,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5708호에 공개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 법을 이용한 은 입자의 제조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rylamide), 폴리아크릴(polyacrylic) 및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실질적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구체적으로, 캡핑된 은 입자에 있어, 은 입자를 둘러싼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rylamide), 폴리아크릴(polyacrylic) 및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실질적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 캡핑된 은 입자의 평균 직경은 10nm 내지 500nm, 구체적으로 10nm 내지 200nm,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nm 내지 100nm일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이 이러한 미세한 은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인쇄법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은 전극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인쇄된 은 전극의 치밀화를 위한 후속 열처리 공정의 온도를 140 내지 180 ℃로 낮출 수 있으며, 이러한 낮은 열처리를 통해 유기태양전지의 유기 구성요소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의 캡핑된 은 입자, 구체적으로 30 내지 60 중량%의 캡핑된 은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고 농도의 은 입자에 의해, 보다 치밀하고 전도도가 우수한 은 전극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 부용매로 함유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의한 일함수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는 과량일 경우 일함수의 증가는 미미한 반면, 잉크의 점도가 증가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잉크의 점도 증가는 패턴을 형성하는데 가지치기 혹은 홀(hole)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다 균일하고 정교한 패턴을 인쇄하는데 영향을 준다. 또한 2 중량%를 초과하는 과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2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도 잔류하기 때문에 치밀한 은 전극이 형성되지 못해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제조되는 은 전극의 일 함수를 높이고 점도 증가를 방지하며, 치밀한 은 전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1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부용매로 함유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이 극히 미량임에도 불구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 기준 잉크 조성물 대비 8% 이상 일함수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기준 잉크 조성물은 후술하는 본 발명과 유사하게,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 및 부용매;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60 중량%의 은 입자; 30 내지 80 중량%의 주 용매; 4.1 내지 12 중량%의 알코올계 부용매; 0.1 내지 2 중량%의 분산제를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원발명과 동일한 물질 및 조성으로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2차 알코올을 부용매로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전극의 일 함수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 또는 기준 잉크 조성물이 유리와 같은 비 전도성 기재에 도포 및 160℃에서 20분 동안 건조되어 제조된 200~250 nm의 두께의 은 전극의 일 함수일 수 있으며, 비 접촉 방식으로 은 전극의 정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일함수일 수 있으며, 켈빈 프루브(Kelvin Probe) 방법으로 공기 중에서 측정된 은 전극 표면의 전위일 수 있다. 상세하게, 일정 거리 이격된 프루브와 은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측정된 일 함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은 190 내지 630 g/mol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주용매와 우수한 혼화성을 가져 캡핑된 은 입자와 결합된 산소의 함량을 균일하고 균질하게 증진시킬 수 있는 분자량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와 함께,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를 주용매로 함유할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계의 주용매는 에테르기의 비공유 전자쌍에 의해, 은 입자의 함량이 높아도 매우 안정적으로 은 입자의 분산이 가능하며, 인쇄법을 이용하여 은 전극(양극)을 제조할 경우 필요한 점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코올계 용매가 아닌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를 주 용매로 함유하고,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태양전지의 금속 전극 형성 시 계면 접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기 바인더(일 예로, 글라스 프릿등)나 유기 바인더(일 예로, 셀룰로오스나 폴리비닐알코올등)등을 함유하지 않아도, 제조되는 은 전극이 우수한 계면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는 200 ℃ 이상의 끓는점(Boiling point)을 갖기 때문에 잉크의 건조 지연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글리콜 에테르계의 주용매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 메틸에테르(triethyleneglycol dimethyl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riethyleneglycol monobutyl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triethyleneglycol monoethylether),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diethyleneglycol diethylether),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butylether),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diethyleneglycol dibutylether),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ethyleneglycol monopropyl ether)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dipropyleneglycol methyl ether)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혼합용매일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를 30 내지 8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주용매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캡핑된 은 입자가 액상 매질 내에서 안정적으로 분산되지 못할 위험 및 은 전극 인쇄시 요구되는 공정 시간 동안 잉크의 건조 지연이 담보되지 못할 위험이 있으며, 주용매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 조성물의 단위 부피당 금속 성분(은 입자)의 비율이 너무 낮아, 인쇄법등에 의해 형성된 전극이 치밀한 막을 형성하지 못해, 전기전도도가 감소할 위험이 있다. 이때, 잉크 조성물이 30 내지 60중량%의 은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잉크 조성물은 주용매를 30 내지 6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에 의해, 잉크 조성물 내 은 입자들의 원활한 흐름성 및 균질한 분산성이 담보되고, 인쇄 적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와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입자에 의해 유/무기 바인더를 함유하지 않아도 우수한 계면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인쇄법, 구체적으로, 스크린 프린팅, 그라비아 인쇄,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과 같은 인쇄법을 통해 인버티트 구조 태양전지의 양극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를 주 용매로 함유함에 따라, 부용매로 상술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함께, 알코올계 용매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부용매로 에틸렌글리콜과 함께 함유되는 알코올계 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사놀, 시클로헥사놀, 에틸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부용매로 에틸렌글리콜과 함께 함유되는 알코올계 용매는 도포, 구체적으로 인쇄된 잉크 조성물 막을 보다 빠르게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술한 주용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상용성 측면에서, 부용매는 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상술한 알코올계 용매를, 잉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10중량% 함유할 수 있다. 부용매로 함유되는 알코올계 용매 함량이 4 중량% 미만인 경우, 잉크 조성물의 도포, 구체적으로 잉크 조성물의 인쇄 후 건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정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미세 선(line) 형상으로 도포되는 경우, 제조되는 선형 은 전극의 종횡비(aspect ratio)가 감소될 위험이 있다. 알코올계 용매인 부용매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에 의해, 잉크 조성물의 계면 점착력, 캡핑된 은 입자의 분산성이 저해될 위험이 있으며, 인쇄 공정에 필요한 시간(공정 시간) 내에 잉크 조성물이 부분적으로 건조될 수 있어 전극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상술한 캡핑된 은 입자, 글리콜 에티르계 주용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 및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는데, 분산제는 금속 입자상을 함유하며 도포 공정이 수행되는 통상의 잉크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산제이면 족하다.
일 예로, 분산제는 지방산염(비누), α-술포지방산 에스테르염(MES), 알킬벤젠술폰산염(ABS), 직쇄(直鎖) 알킬벤젠 술폰산염(LAS), 알킬황산염(AS),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AES) 및 알킬황산트리에탄올을 포함하는 저분자 음이온성 (anionic) 화합물; 지방산 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AE),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APE), 솔비톨 및 솔비탄을 포함하는 저분자 비(非)이온계 화합물;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알킬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저분자 양이온성(cationic) 화합물; 알킬카르복실베타인, 술포베타인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저분자 양성계 화합물; 나프탈렌술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폴리아크릴산염, 비닐화합물과 카르복실산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계 분산제; 폴리아크릴산 부분 알킬 에스테르 및 폴리알킬렌폴리아민를 포함하는 고분자 비수계 분산제; 및 폴리에틸렌이민 및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양이온계 분산제;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일 예로, 분산제는 상용제품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로, DisperBYK101, DisperBYK102, DisperBYK106, DisperBYK108, DisperBYK111, DisperBYK116, DisperBYK130, DisperBYK140, DisperBYK142, DisperBYK145, DisperBYK161, DisperBYK162, DisperBYK163, DisperBYK164, DisperBYK166, DisperBYK167, DisperBYK168, DisperBYK170, DisperBYK171, DisperBYK174, DisperBYK180, DisperBYK182, DisperBYK192, DisperBYK193, DisperBYK2000, DisperBYK2001, DisperBYK2020, DisperBYK2025, DisperBYK2050, DisperBYK2070, DisperBYK2155, DisperBYK2164, BYK220S, BYK300, BYK306, BYK320, BYK322, BYK325, BYK330, BYK340, BYK350, BYK377, BYK378, BYK380N, BYK410 또는 BYK425, BYK43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의 은 입자; 30 내지 80 중량%의 주 용매;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4 내지 10중량%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부 용매; 및 0.1 내지 2 중량%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은 잉크 조성물이 고 함량의 은 입자을 함유하는 경우, 30 내지 60 중량%의 은 입자; 30 내지 65 중량%의 주 용매;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4 내지 10중량%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부 용매; 및 0.1 내지 2 중량%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단지 부용매로 첨가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의 표면에 결합한 산소의 함량이 놀랍도록 증가하여, 제조된 은 전극의 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글리콜 에티르계 용매를 주용매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별도의 유/무기 바인더를 함유하지 않아도 잉크 조성물이 우수한 점착력을 가질 수 있고,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에 의해, 우수한 입자 흐름성 및 분산성이 담보되어 30 내지 60 중량%에 이르는 고 함량의 은 입자(캡핑된 은 입자)를 함유할 수 있고, 고 함량의 은 입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단순 인쇄법을 이용하여 전극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 용매로 알코올계 용매를 더 함유하는 경우, 도포, 구체적으로 인쇄된 잉크 조성물의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상술하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의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폴리올 법을 통해 평균 입자 크기가 60nm인 PVP(Polyvinylpyrrolidone) 캡핑된 은 입자를 사용하였다.
상세하게, 에틸렌 글리콜 용매 50 ml에 질산은 14 g을 넣어 교반하여 제1용액을 제조한 후, PVP(Sigma Aldrich-856568) 56.2 g을 에틸렌 글리콜 450 ml와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ml의 혼합 용액에 녹인 제2용액을 165 ℃로 가열한 후, 가열된 제2용액을 300 rpm으로 교반하며 제1용액을 투입하고 3 분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PVP로 캡핑된 은 나노입자(이하, PVP 캡핑된 은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은 나노 입자를 아세톤과 THF(Tetrahydrofuran)를 1:1(v/v)로 혼합한 용액에 넣고 원심분리(4000rpm, 20분)를 통해 세척하고, 세척에 의해 얻어진 순수한 은 나노 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평균 입자크기는 60 nm이었다.
(실시예)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의 주용매 63.75중량%,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은 입자 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400 g/mol) 1 중량%, 에틸렌글리콜 5 중량% 및 분산제(BYK-111, BYK 사) 0.25 중량%가 되도록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PVP 캡핑된 은입자,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은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을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을 통해 글라스 기판에 인쇄한 후, 160℃에서 20분 동안 건조하여 200~250 nm의 두께를 갖는 은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에탄올을 동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은 잉크 조성물 및 은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MC(Methyl Cellosolve)을 동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은 잉크 조성물 및 은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EGPE(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을 동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은 잉크 조성물 및 은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NMP(1-Methyl-2-pyrrolidone)을 동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은 잉크 조성물 및 은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에틸렌글리콜을 동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은 잉크 조성물 및 은 전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은 전극 각각에 대해 일함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은 전극의 일함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에스케이피5050 스캐닝 켈빈 프루브(SKP5050 Scanning Kelvin Probe)를 이용하였으며, 상온에서 제조된 은 전극을 홀더에 올려 직경 2 mm의 팁(Tip)으로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일함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장치의 일함수 분해능(resolution)은 1-3meV이었으며, 모든 샘플에 대해 동일한 조건으로 일함수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은 전극의 일함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은 전극의 경우, 4.7952eV, 4.8312eV, 4.8611eV, 4.8401eV, 4.8234eV의 일 함수를 가지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은 잉크 조성물의 경우, 5.2612eV로 현저하게 높은 일함수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은 입자, 실시예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을 기판인 글라스에 코팅하여 용매를 건조시킨 후 기판에 코팅된 은 입자에 대해 표면 원소 분석(XPS)을 수행하였다.
도 2는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은 입자의 XPS 분석 결과이며, 도 3은 비교예 5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에 대한 XPS 분석 결과이며, 도 4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에 대한 XPS 분석 결과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은 입자가 PVP에 캡핑되어 있음에 따라, Ag 피크와 함께, 탄소(C), 질소(N) 및 산소(O)에 의한 피크가 관찰됨을 확인하였으며, 원소비는 Ag 3d 기준 Ag 54.83 atomic%, C 1s 기준 C 26.98 atomic%, O 1s 기준 10.97 atomic%, N 1s 기준 N 7.21 atomic%임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비교예 5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의 XPS 분석 결과로, 원소분석 결과, Ag 3d 기준 Ag 56.89 atomic%, C 1s 기준 C 27.83 atomic%, O 1s 기준 10.23 atomic%, N 1s 기준 N 5.05 atomic%임을 확인하였으며,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은 입자와 거의 유사한 함량임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또한 비교예 5와 유사하게, PVP 캡핑된 은 입자와 유사한 측정 결과를 얻었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의 XPS 분석 결과로, 원소분석 결과, Ag 3d 기준 Ag 20.94 atomic%, C 1s 기준 C 58.35 atomic%, O 1s 기준 17.46 atomic%, N 1s 기준 N 3.25 atomic%로, PVP 캡핑된 은 입자 대비 탄소 및 산소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제조예에서 제조된 PVP 캡핑된 은 입자의 산소(O 1s) 피크와 실시예의 은 잉크 조성물에 함유된 은 입자의 산소(O 1s) 피크를 중첩 도시한 것으로,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단지 산소의 함량이 증진한 것이 아니라, 은 입자 표면에 히드록시기(-OH)가 다량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수용성 고분자로 캡핑된 은 입자; 글리콜 에테르계 주용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부용매;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 잉크 조성물은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용매는 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용매는 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4 내지 10중량%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Mn)은 190 내지 630 g/mol인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rylamide), 폴리아크릴(polyacrylic) 및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은 잉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의 은 입자; 30 내지 80 중량%의 주 용매; 0.1 내지 2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4 내지 10중량%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부 용매; 0.1 내지 2 중량%의 분산제를 포함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양극용 은 잉크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은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을 포함하는 인버티트 구조 유기태양전지.
KR1020130087521A 2013-07-24 2013-07-24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KR101422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521A KR101422089B1 (ko) 2013-07-24 2013-07-24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521A KR101422089B1 (ko) 2013-07-24 2013-07-24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89B1 true KR101422089B1 (ko) 2014-07-24

Family

ID=5174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521A KR101422089B1 (ko) 2013-07-24 2013-07-24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27A (ko) 2017-08-24 2019-03-06 전자부품연구원 구리계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극
US10898952B2 (en) 2018-04-23 2021-01-26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347A (ja) * 2006-06-14 2007-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伝導性インク組成物
KR2011012109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전도성 잉크의 대면적 인쇄방법
KR20120132111A (ko) * 2011-05-27 2012-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은 나노잉크의 광소결 방법
KR20130027634A (ko) * 2011-07-06 2013-03-18 광 석 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347A (ja) * 2006-06-14 2007-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伝導性インク組成物
KR2011012109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전도성 잉크의 대면적 인쇄방법
KR20120132111A (ko) * 2011-05-27 2012-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은 나노잉크의 광소결 방법
KR20130027634A (ko) * 2011-07-06 2013-03-18 광 석 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27A (ko) 2017-08-24 2019-03-06 전자부품연구원 구리계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극
KR20230131453A (ko) 2017-08-24 2023-09-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구리계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극
US10898952B2 (en) 2018-04-23 2021-01-26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ubhan et al. Overcoming interface losses in organic solar cells by applying low temperature, solution processed aluminum-doped zinc oxide electron extraction layers
Reilly III et al. A Self‐Doping, O2‐Stable, n‐Type Interfacial Layer for Organic Electronics
Ruscello et al. Nanocomposite of nickel oxide nanoparticles and polyethylene oxide as printable hole transport layer for organic solar cells
CN100563043C (zh) 一种聚合物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Liu et al. Roll-coating fabrication of flexible large area small molecule solar cells wit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exceeding 1%
Zhang et al. Roll to roll compatible fabrication of inverted organic solar cells with a self-organized charge selective cathode interfacial layer
TW200937694A (en) Conducting formulation
Zhang et al. Oleamide as a self-assembled cathode buffer layer for polymer solar cells: the role of the terminal group on the function of the surfactant
CN102884102A (zh) 掺杂的共轭聚合物和装置
WO2009111675A1 (en) Modified planarizing agents and devices
JP2016515759A (ja) Pedot/pss分散液の接着促進剤添加物としての非極性溶媒
Wong-Stringer et al. Efficient perovskite photovoltaic devices using chemically doped PCDTBT as a hole-transport material
Kwon et al. A systematic approach to ZnO nanoparticle-assisted electron transport bilayer for high efficiency and stable perovskite solar cells
Borse et al. Interface engineering through electron transport layer modification for high efficiency organic solar cells
Ha et al. Enhancing the efficiency of opto-electronic devices by the cathode modification
Wang et al. Novel 2D material from AMQS-based defect engineering for efficient and stable organic solar cells
Gribkova et al. The specific effect of graphene additives in polyaniline-based nanocomposite layers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electroluminescent and photovoltaic devices
Kim et al. Microwave-reduced graphene oxide for efficient and stable hole extraction layers of polymer solar cells
KR101422089B1 (ko) 태양전지 전극용 은 잉크 조성물
CN104893640A (zh) 一种导电胶及其制备和应用方法
Hong et al. Effect of aggregation behavior and phenolic hydroxyl group content on the performance of lignosulfonate doped PEDOT as a hole extraction layer in polymer solar cells
EP3413367A1 (en) Charge transport varnish
Wu et al. Effect of trifluoroacetic acid treatment of PEDOT: PSS layers on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organic solar cells
WO2009119871A1 (ja) 有機光電変換素子
CN102769103A (zh) 一种聚合物太阳能电池阳极修饰材料及其修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