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46B1 -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 Google Patents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46B1
KR101421946B1 KR1020120139896A KR20120139896A KR101421946B1 KR 101421946 B1 KR101421946 B1 KR 101421946B1 KR 1020120139896 A KR1020120139896 A KR 1020120139896A KR 20120139896 A KR20120139896 A KR 20120139896A KR 101421946 B1 KR101421946 B1 KR 10142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touch panel
transparen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5856A (en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46B1/en
Publication of KR2014007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 가능한 터치판넬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인몰드라벨링 필름에 원하는 칼라 및 무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칼라필터 인쇄층을 포함함으로써 2개 이상의 패턴을 하나의 버튼에 적용할 수 있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은 칼라필터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몰드라벨링(in-mold labelling) 필름,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의 배면(背面)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층, 상기 투명 소재층의 배면에 결합되는 터치센서 및 조명구조를 포함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을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or a touch panel applicable to a vehicle, and can include two or more patterns on one button by including a color filter print layer on the in-mold labeling film, And a film for a touch pane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mold labeling film comprising a color filter print layer,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bonded to a back surface of the in-mold labeling fil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including a touch sensor and an illumination structure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a material layer.

Description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0002]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 가능한 터치판넬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인몰드라벨링 필름에 원하는 칼라 및 무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칼라필터 인쇄층을 포함함으로써 2개 이상의 패턴을 하나의 버튼에 적용할 수 있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or a touch panel applicable to a vehicle, and can include two or more patterns on one button by including a color filter print layer on the in-mold labeling film, And a film for a touch panel.

종래의 차량에 사용되는 버튼은 push 타입의 버튼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에어컨의 on/off 스위치, 라디오의 on/off 스위치 및 볼륨의 up/down 스위치 등은 모두 push 타입을 취하고 있다.The buttons used in conventional vehicles were push type buttons. Therefore, air conditioner on / off switch, radio on / off switch and volume up / down switch all take the push type.

그러나 최근 터치판넬 및 터치센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에도 다양한 종류의 터치판넬 및 터치센서가 사용되고 있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터치판넬 및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네비게이션이 있다.However, as the touch panel and touch sensor technologies have recently developed, various types of touch panels and touch sensors are used in vehicles. Among them, navigation systems using touch panels and touch sensor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cases.

이러한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종래의 터치판넬 또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기기의 경우 외부 판넬을 TFT 또는 LCD를 이용하게 되고, 이는 유리기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곡면 등 원하는 디자인 형상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ouch panel or a device using a touch sensor such as navigation, a TFT or an LCD is used as an outer panel, which is difficult to satisfy a desired design shape such as a curved surface by using a glass substrate.

또한, 기존의 버튼 공조 판넬의 경우 6 ~ 15개 가량의 버튼이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나, 이는 각 버튼에 아이콘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장 후 레이저 커팅을 하게 되고, 각각에 대해 PCB 회로기판 위에 LED 램프와 함께 적용되어야 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button air conditioning panel, 6 to 15 buttons are usually assembled and used.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an icon on each button, laser cutting is performed after paint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to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lamp.

아울러 차량에 오디오 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능이 추가되면서 사용해야 할 버튼의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공간 제약에 따른 버튼의 레이아웃 또한 차량 디자인 및 설계에 있어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buttons to be used increases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electronic functions including audio functions to the vehicle. Accordingly, the layout of the buttons according to the space limitation is also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vehicle design and design.

한편, 현재 차량의 내장 부품에 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필름 성형 공법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인서트 필름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성형성은 우수한 반면 불투명하고 두꺼운 backing 시트를 사용함에 따라 빛 투과에 의한 조명 구현이 어렵고, 패턴의 위치 맞춤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film molding methods for patterning on the interior parts of vehicles. Conventionally, an insert film is mainly used. However, since it is excellent in formability, opaque and thick backing sheets are used, it is difficult to realize illumination by light transmission and it is difficult to align patterns.

따라서, 위치 맞춤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몰드 필름, 인몰드라벨링 필름을 이용한 공법이 도입되었으나, 이러한 공법들은 원하는 특정 부위에 패턴 구현을 위한 위치 맞춤은 가능하나, 베이스 필름의 신율 부족에 의해 성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alignment, an in-mold film or an in-mold labeling film is employed. However, these methods can be positioned for patterning a desired specific area,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moldability is poor.

결국, 칼라 및 패턴 구현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칼라 및 패턴의 구현이 가능한 터치판넬용 필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As a result, it has become urgent to develop a film for a touch panel which is excellent in color and pattern realization and can realize various colors and pattern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리기판이 아닌 필름 성형공법을 이용하여 굴곡이 있는 형상에도 구현 가능한 터치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nel which can be formed into a curved shape by using a film molding method rather than a glass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동일 부위에 2종 또는 3종의 패턴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능에 따른 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터치판넬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nel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buttons according to functions by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two or three kinds of patterns in the same area.

아울러 본 발명은 고객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칼라에 따라 모드를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패턴 조명을 구현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ttern illumination which can be used by switching a mode according to a color reflecting a trend of a custom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칼라필터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몰드라벨링(in-mold labelling) 필름,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의 배면(背面)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층, 상기 투명 소재층의 배면에 결합되는 터치센서 및 조명구조를 포함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mold labeling film including a color filter print layer,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bonded to a back surface of the in-mold labeling film, And a touch sensor and an illumination structure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은 투명 필름층, 칼라 구현층, 칼라필터 인쇄층 및 바인더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mold labeling film preferably comprises a transparent film layer, a color layer, a color filter print layer, and a binder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필름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는 투명도가 70% 이상이고, 신율(伸率)이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film lay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C (polycarbonate), and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has a transparency of 70% Elongation) is preferably less than 150%.

본 발명에서 상기 칼라 구현층은 빨강(red), 파랑(blue) 및 초록(green)을 포함하는 칼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크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금속 증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implementation layer may be a color including red, blue, and green,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among silk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and metal deposition. .

본 발명에서 상기 칼라필터 인쇄층은 실크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1 내지 5㎛의 두께로 구현되며,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에 표현하고자 하는 패턴이 겹치는 부위에는 인쇄를 하지 않거나 빛의 투과가 가능한 흰 색상으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filter print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 to 5 탆 by using at least one method selected from silk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or ink jet printing, It is preferable to print in a white color which is not printed or is transparent to light.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소재층은 0.4 내지 0.8㎜ 두께의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mong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or PC (polycarbonate) having a thickness of 0.4 to 0.8 mm.

본 발명의 칼라필터 인쇄를 포함하는 인몰드라벨링 필름을 이용한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에 의하면, 필름 성형공법을 이용함으로써 굴곡이 있는 형상에도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일 부위에 2종 이상의 패턴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에 적용되는 버튼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using the in-mold labeling film including the color filter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it be realized in a shape having a curved shape by using the film molding metho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buttons applied to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칼라로 구현될 수 있는 칼라 구현층을 포함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에 의하면, 동일한 판넬에 오디오 모드 및 네비게이션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드를 전환시키면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트렌드를 반영한 듀얼 패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including the color implementation layer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ol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modes including an audio mode and a navigation mode on the same panel,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and dual pattern illumination reflecting the trend of the customer can be implemented.

도 1은 종래의 push 타입 버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터치판넬을 이용한 버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필름 성형 공법과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성형 공법을 비교하여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의 상이한 조명에 의한 구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판넬의 모드 전환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의 공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의 층별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push type butt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conventional film forming method and a film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different illumination implementation of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mode switching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layered structure of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종래의 push 타입 버튼(push type button)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터치판넬(touch panel)을 이용한 버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ush type button,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utton using a conventional touch panel. .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난 종래의 push 타입 버튼은 차량에 적용되는 기기의 다양화에 따라 사용되어야 할 버튼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ush type button shown in FIG.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buttons to be used increases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appliances to be applied to a vehicle,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s.

또한, 도 2에 나타난 기존의 TFT(thin film transistor)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한 터치판넬의 경우 유리기판을 사용하게 되어 곡면 등 디자인 형상의 형성을 만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 touch panel using a conventional thin film transistor (TFT)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hown in FIG.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formation of a design shape such as a curved surface because a glass substrate is used.

따라서, 하나의 버튼에 2종 이상의 패턴(pattern)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버튼을 단순화하고, 굴곡이 있는 형상에도 구현이 가능한 터치판넬을 위한 본 발명은 칼라필터 인쇄층(130)을 포함하는 인몰드라벨링 필름(in-mold labeling film)(100)과,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의 배면(背面)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층(200)과, 상기 투명 소재층(2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터치센서(touch sensor) 및 조명구조(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a touch panel capable of implementing two or more kinds of patterns on one button and simplifying a button and being able to be implemented in a bent shape also includes an in-mold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in-mold labeling film 100;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A touch sensor and an illumination structure 300. [

또한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은 투명 필름층(110), 칼라 구현층(120), 칼라필터 인쇄층(130) 및 바인더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mold labeling film 100 preferably includes a transparent film layer 110, a color reproduction layer 120, a color filter printing layer 130, and a binder layer.

여기서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이란, 종래의 backing 시트를 사용하여 빛 투과에 의한 조명 구현이 어렵고, 성형성은 우수하지만 패턴의 위치 맞춤이 어려워 특정 위치에 패턴 구현이 어려운 인서트 필름(insert film)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공법 중 하나에 해당한다.Here, the in-mold labeling film 100 refers to an insert film which is difficult to realize illumination by light transmission using a conventional backing sheet and has difficulty in pattern alignment at a specific position due to its excellent moldability but difficult alignment of patterns. Which is one of the methods introduc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그러나 이러한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을 통해 원하는 특정 부위에 패턴 구현을 위한 위치 맞춤은 가능하게 되었으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 등의 물질로 이용되는 베이스 필름(base film)의 신율(伸率) 부족에 의해 성형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in-mold labeling film 100 can be positioned for a desired pattern at a desired position. However, the elongation of a base film used as a material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C (polycarbonat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oldability is poor due to insufficient elong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에 칼라필터 인쇄층(130)을 포함하도록 하여 조명 칼라에 따라 2종 이상의 패턴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two or more patterns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lor by including the color filter printing layer 130 on the in-mold labeling film 100.

이에 대한 예시가 도 3에 종래의 필름 성형 공법과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성형 공법을 비교하여 나타나 있다.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3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film molding method and the film mo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상기 인몰드라벨링에 사용되는 필름은 두께가 얇아 터치판넬에 적용 시 정전식(靜電式) 또는 감압식(減壓式) 두 가지 타입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For reference, the film used for the in-mold labeling is thi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both types of electrostatic type or pressure-reducing type when applied to a touch panel.

도 4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의 상이한 조명에 의한 구현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llustrate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fferent illumination implementation of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표시된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의 가장 상측에 위치한 상기 투명 필름층(110)은 PET 또는 PC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film layer 110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in-mold labeling film 100 shown in FIG. 4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PET or PC.

또한, 투명도가 70% 이상, 신율이 15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투명도가 낮아지는 경우 문자 또는 패턴 등 아이콘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되고, 시인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고효율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It is ideal that the transparency is 70% or more and the elongation is less than 150%. When the transparency is lowered, the visibility of the icon such as a character or a pattern is lowered, and a highly efficient LED (light emitting diode) must be applied to improve the visibility.

그리고 신율이 150% 이상인 소재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패턴 늘어짐에 의해 위치 맞춤이 어려워 터치판넬의 적용 시 위치 맞춤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When a material having an elongation of 150% or more is used, positioning is difficult due to pattern sagging, which may cause difficulty in positioning when the touch panel is applied.

바람직하게는 패턴이 적용되는 부품은 신율 100% 이하, 문자가 적용되는 부품은 신율이 5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자의 경우 늘어짐 또는 찌그러짐 현상에 의한 시인성 감소가 더욱 심하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part to which the pattern is applied has a elongation of 100% or less, and the part to which the letter is applied has an elongation of 50% or less. Characters are more likely to be reduced in visibility due to sagging or distortion.

아울러 상기 투명 필름층(110)의 두께는 0.1 ~ 0.25㎜로 형성 가능하나, 0.125 ~ 0.15㎜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0.1㎜ 이하로 형성되면 성형 시 찢어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성 등의 표면물성이 저하되며, 0.25㎜ 이상으로 형성되면 터치감이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film layer 110 may be 0.1 to 0.25 mm, more preferably 0.125 to 0.15 mm. If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less than 0.1 mm, tearing may occur during molding, and the surface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may deteriorate. If the film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0.25 mm or more, the feeling of touch may decrease.

다음으로 상기 투명 필름층(110)의 아래에 위치한 칼라 구현층(120)은 빨강(red), 파랑(blue) 및 초록(green) 등의 칼라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명의 off 시 히든타입 구현을 위한 금속 증착 또는 블랙하이그로시 인쇄층이 적용된다.Next, the color implementation layer 120 located below the transparent film layer 110 may be used including a color such as red, blue, and green, A metal deposition or black high-gloss printing layer for the implementation is applied.

본 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110)의 배면에 위치하여 부품의 전체 칼라를 나타내기 위한 층으로 다양한 칼라의 구현이 가능하며, 칼라 및 잉크의 은폐력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This layer is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layer 110 and is a layer for displaying the entire color of the part. Various colors can be implemented, and the thicknes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iding power of the color and the ink.

아울러 상기 칼라 구현층(120)은 실크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금속 증착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or implementation layer 120 may be formed using a method such as silk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or metal deposition.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란 원하는 상으로 스텐실(stencil)을 만든 후 그 위에 실크를 올려놓고 실크의 망사로 잉크가 새어나가도록 하면 구멍이 난 스텐실 부분에만 잉크가 묻어나 찍혀 나오는 방식이다.The silkscreen printing is a method in which a stencil is formed on a desired image, a silk is placed on the stencil, and the ink is leaked to the stencil hole only when the ink is leaked to the silk screen.

찍는 순서는 맨 밑에 찍을 종이 등의 재료를 깔고, 그 위에 스텐실을 올려놓고 맨 위에 스크린을 올려놓은 후 실크스크린 잉크를 적당량 퍼서 올린 다음 스퀴즈라는 고무를 끼워 넣은 나무판을 위에서부터 훑어주면 스텐실의 막힌 부분이나 글루로 칠해진 부분 이외의 뚫린 부분에 잉크가 새어나가 밑에 깔아놓은 재료 위에 그대로 찍히게 된다.In order to take a picture, put the material such as paper to be printed at the bottom, place the stencil on the top, put the screen on the top, put the silk screen ink in an appropriate amount and raise the wooden plate with the rubber called the squeeze, The ink leaks to the open part except the part or the glue part, and it is put on the material laid down on it as it is.

최근에는 재료가 발달되어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한 필름이나 감광제를 이용하여 사진필름을 노광시키면 그대로 스크린 위에 사진 영상이 떠오르는 방식일 이용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materials are developed, and when a photographic film is exposed using a gelatin-based film or a photosensitive agent, the photographic image is used as it is on the screen.

그리고 상기 그라비아 인쇄란 판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잉크를 채워 튀어 나온 부분의 불필요한 잉크를 긁개(doctor)라고 하는 금속제 기구로 긁어낸 후 움푹 들어간 부분의 잉크를 압력을 걸어 피인쇄물에 전이시키는 방식이다.The gravure printing is a method in which ink is filled in a recessed portion of a plate, and unnecessary ink in a protruding portion is scratched with a metal tool called a doctor, and the ink in the recessed portion is transferred to an object under pressure.

이 방식은 저점도의 용제 타입 잉크를 이용하므로 여러 가지 피인쇄체에 인쇄가 가능하며, 얇은 종이나 유연한 필름 등에도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쇄판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열봉함되는 부분에 인쇄가 있는 경우 접착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is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printed on various types of printed objects using a low-viscosity solvent type ink, and can be printed on thin paper or flexible film.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printing plate work, an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when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portion to be heat sealed.

마지막으로 상기 금속 증착이란 금속 또는 비금속면에 금속 피막을 접착시키는 한 방법으로 진공 속에서 전열기로 금속을 용해·증발시켜서 그 속에 있는 피착물에 부착시키는 방식이다. 주로 사용되는 증착 금속에는 알루미늄과 같이 녹는점이 낮은 금속이 사용된다.Finally, the metal deposition is a method in which a metal film is adhered to a metal or a non-metal surface by dissolving or evaporating the metal with a heater in a vacuum, and attaching the metal to the adherend. A metal with a low melting point, such as aluminum, is used for the deposition metal mainly used.

이어서 상기 칼라 구현층(1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칼라필터 인쇄층(130)은 빛의 선택적 투과를 이용한 2종 이상의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잉크를 적용한 층으로 패턴이 겹치는 부위에는 인쇄를 하지 않거나 흰 색상으로 인쇄하여 빛의 투과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lor filter print layer 130 located below the color implementation layer 120 is a layer to which two or more kinds of patterns can be formed by using selective transmission of light. In the region where the patterns overlap,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본 층은 상기 칼라 구현층(120)과 마찬가지로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할 수 있고, 잉크젯 인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디자인 패턴이 정교해질수록 잉크젯 인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쇄 방법들을 이용해 1 ~ 5㎛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is layer may use silk screen printing or gravure printing as in the case of the color implementation layer 120, or may use ink jet printing. As the design pattern becomes more sophisticated, it is preferable to use inkjet printing, and it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 to 5 탆 by using the printing methods.

또한,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부분 외에는 빛의 누광 방지를 위해 차폐용 인쇄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ortion for implementing the pattern, a shielding printing can be applied to prevent light leakage.

상기 바인더(binder)층은 칼라필터 인쇄층(130) 및 투명 소재층(200)을 연결하기 위한 층에 해당한다. 본 층은 화학 접착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inder layer corresponds to a layer for connecting the color filter print layer 130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This layer is preferably used as a chemical adhesive.

도 4의 칼라필터 인쇄층(13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투명 소재층(200)은 빛의 투과 및 조립 구조의 적용을 위한 층으로, 필름 배면에 위치한 조명의 투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투과도가 95% 이상인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 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located under the color filter print layer 130 of FIG. 4 is a layer for application of light transmission and assembly structure.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has a transmittance of 95 % Or more of a material such as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 or acrylic.

또한, 본 층은 터치센서 및 조명구조(300), 케이스와 조립되는 구조를 체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layer may play a role of fastening the structure to be assembled with the touch sensor and the illumination structure 300 and the case.

상기 투명 소재층(200)의 두께는 0.4㎜ 미만일 경우 강성 저하 및 인몰드 성형 시 사출성 저하가 발생하며, 0.8㎜ 초과인 경우 터치센서와의 간격이 멀어 터치 시 감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0.4 내지 0.8㎜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is less than 0.4 mm, the rigidity deteriorates and the injection properties decrease during the in-mold molding.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0.8 mm,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and the touch sensor may be too small, And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0.8 mm.

상기 터치센서는 버튼의 위치 별 터치 시 센싱이 가능하도록 위치 별로 적용되며, 정전식 및 압력식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동차 전장부품 사용을 위해서는 정전식과 압력식을 혼합하여 특정 압력 이상에서는 정전식과 동시에 구현하여 정확도가 향상된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ouch sensor is applied on a position-by-position basis so that sensing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of the button, and an electrostatic and pressure sensor is used. However, it is desirable to use a sensor that improves accuracy by mixing electrostatic type and pressure type at the same time with the electrostatic type at a specific pressure or higher.

게다가 투명 전극(electrode)을 포함하도록 하여 빛의 투과를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included to smooth the transmission of light.

상기 조명구조는 PCB(printed circuit board)기판 위에 LED 조명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쇄 패턴 및 칼라에 따라 빨강, 파랑, 초록 중 2종 또는 3종의 LED 조명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적용하여 동일 부위에 멀티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llumination structure is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bstrate in a form in which LED lighting is coupled to the substrate, and two or three kinds of LED lights of red, blue, So that the multi-pattern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region.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판넬의 모드 전환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mode switching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드의 전환으로 인해 동일한 부위에 다른 패턴 또는 문자가 나타나게 되며, 상기 패턴 또는 문자는 모드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나타난다.Due to the mode change, different patterns or characters appear in the same area, and the patterns or characters appear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mode.

예를 들어, 라디오 모드에서는 버튼들이 빨강색으로 표시되고, 미디어 모드에서는 버튼들이 파랑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 3의 모드에서는 버튼들이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buttons may be displayed in red in the radio mode, buttons may be displayed in blue in the media mode, and buttons may be displayed in green in the third mode.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의 공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PET 또는 PC 등의 투명필름을 준비하고(s10), 증착 또는 칼라 인쇄를 통해 칼라 구현층(120)을 형성한 후(s20), 빨강, 파랑, 초록 등의 색으로 칼라필터 인쇄층(130)을 구현하고(s30), 인몰트 사출(s40) 후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s50).First, a transparent film such as PET or PC is prepared (s10), and a coloration layer 120 is formed by vapor deposition or color printing (s20). Then, a color such as red, blue, The color filter print layer 130 is implemented (s30), and the 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injection molding (s40) (s50).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의 층별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multi-patterned touch panel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장 위쪽에는 투명 필름층(110), 칼라 구현층(120), 칼라필터 인쇄층(130) 및 바인더층을 포함한 인몰드라벨링 필름(100)이 형성되고, 그 배면에 투명 소재층(200)이 형성되며, 그 아래로 터치센서 및 조명구조(300)가 형성된다.An in-mold labeling film 100 including a transparent film layer 110, a color reproduction layer 120, a color filter printing layer 130 and a binder layer is formed on the uppermost layer, and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200 And a touch sensor and an illumination structure 300 are formed thereunder.

필요에 따라 상기 층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새로운 기능을 위한 층이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rder of the layers may be changed if necessary, and a layer for a new function may be added.

결국, 본 발명은 필름 성형공법을 이용함으로써 굴곡이 있는 형상에도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일 부위에 2종 이상의 패턴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에 적용되는 버튼의 수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공간적 및 디자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not only in a curved shape by using a film molding method but also in a number of buttons applied to a vehicle by making it possible to implement two or more kinds of patterns in the same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emy effect can be maximized.

또한, 동일한 터치판넬에 다양한 모드를 전환시키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적 효율뿐만 아니라 고객의 트렌드를 반영한 듀얼 패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ame touch panel can be used while switching various mode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ual pattern illumination that reflects the trend of customers as well as spatial efficiency.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인몰드라벨링 필름
110: 투명 필름층
120: 칼라 구현층
130: 칼라필터 인쇄층
200: 투명 소재층
300: 터치센서 및 조명구조
100: In-mold de-labeling film
110: Transparent film layer
120: color implementation layer
130: color filter printing layer
200: transparent material layer
300: Touch sensor and lighting structure

Claims (6)

차량에 적용되는 터치판넬용 필름에 있어서,
투명 필름층, 칼라 구현층, 칼라필터 인쇄층 및 바인더층을 포함하는 인몰드라벨링(in-mold labelling) 필름;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의 배면(背面)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층; 및
상기 투명 소재층의 배면에 결합되는 터치센서 및 조명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필터 인쇄층은 2종 이상의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잉크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A film for a touch panel applied to a vehicle,
An in-mold labeling film comprising a transparent film layer, a color implementation layer, a color filter print layer and a binder layer;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in-mold labeling film; And
A touch sensor and an illumination structure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 RTI >
Wherein the color filter print layer is formed of at least two types of ink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는 투명도가 70% 이상이고, 신율(伸率)이 1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C (polycarbonate)
Wherein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has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a elongation of less than 1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구현층은,
빨강(red), 파랑(blue) 및 초록(green)을 포함하는 칼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크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금속 증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A color including red, blue, and green may be used and is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among silk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and metal deposition. Film for touch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필터 인쇄층은,
실크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1 내지 5㎛의 두께로 구현되며,
상기 인몰드라벨링 필름에 표현하고자 하는 패턴이 겹치는 부위에는 인쇄를 하지 않거나 빛의 투과가 가능한 흰 색상으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The color filter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1,
Is implemented in a thickness of 1 to 5 占 퐉 by using at least one method selected from silk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or inkjet printing,
Wherein the pattern is printed in a white color in which the pattern to be expressed on the in-mold labeling film is not printed or light can be transm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소재층은,
0.4 내지 0.8㎜의 두께를 가지며,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4 to 0.8 mm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and polycarbonate (PC).
KR1020120139896A 2012-12-04 2012-12-04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KR1014219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96A KR101421946B1 (en) 2012-12-04 2012-12-04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96A KR101421946B1 (en) 2012-12-04 2012-12-04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56A KR20140075856A (en) 2014-06-20
KR101421946B1 true KR101421946B1 (en) 2014-07-22

Family

ID=5112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896A KR101421946B1 (en) 2012-12-04 2012-12-04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399B1 (en) * 2018-03-09 2019-05-02 주식회사 서연전자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241A (en) * 2007-11-20 2009-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090113371A (en) * 2007-02-27 2009-10-3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00098888A (en) * 2009-03-02 2010-09-10 송광석 In-mold decoration lab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371A (en) * 2007-02-27 2009-10-3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52241A (en) * 2007-11-20 2009-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00098888A (en) * 2009-03-02 2010-09-10 송광석 In-mold decoration l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56A (en)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424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203337980U (en) Window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camera including window structure
TWI485586B (en) Touch-window
CN10246729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put device
JP4896178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12079425A (en) Switch operation panel
JP4979835B2 (en) Illuminated display device
CN100511535C (en) Touch keyboard and mobile terminal with same
JPWO2013157037A1 (en) Operation panel and inform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1421946B1 (en) Multi pattern implementation film for touch panel
JP7180278B2 (en) Decorative film and display device
KR100942742B1 (en) Touch panel
JP2018180158A (en) Graphic display body
TWI632492B (en) A module structure of a touch display panel
CN110958939B (en) Decorative design element in black print
CN209358588U (en) A kind of display module and cover sheet, touch screen
KR102556240B1 (en) Display film for electronic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20134635A (en) Film assembly for protecting lcd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83344B2 (en) Display device
CN221040001U (en) Novel touch panel display device
CN218001798U (en) Arc-shaped air conditioner panel with color screen display
CN218547181U (en) Display panel and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US200600190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a finely registered printed laminated overlay to a substrate
WO2023228531A1 (en) Display member
CN211264284U (en) Optical dot-matrix type interactive handwriting screen laminated structure and interactive handwriting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