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12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12B1
KR101421912B1 KR1020137012471A KR20137012471A KR101421912B1 KR 101421912 B1 KR101421912 B1 KR 101421912B1 KR 1020137012471 A KR1020137012471 A KR 1020137012471A KR 20137012471 A KR20137012471 A KR 20137012471A KR 101421912 B1 KR101421912 B1 KR 10142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portions
male
fema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090A (ko
Inventor
료이치로 다카자쿠라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Buckl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암형 부재(B)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암형 부재(B)의 오목 홈 형상의 피결합부(46)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24)를 돌출 형성한다.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 사이에, 수형 부재(A)의 삽입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를 돌출 형성한다. 다리부(20)의 내측면에, 한 쌍의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갈고리 형상의 이동 규제부(25)를 각각 설치한다. 가이드부(30)에, 다리부(20)를 향해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고,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하였을 때에 이동 규제부(25)가 접촉하는 변형 규제부(32)를 설치한다.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 분리는, 다리부(20)만을 탄성 변형시킬 뿐이면 되어, 최소한의 조작력으로 결합 분리할 수 있다.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해도, 이동 규제부(25)가 변형 규제부(32)에 접촉하고,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1개의 벨트나 테이프, 끈 등의 긴밀 체결용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버클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버클은,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삽입 결합되는 소킷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는, 플러그 본체와, 이 플러그 본체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각 다리부의 선단 부분에는, 조작부 및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소킷은, 소킷 본체와, 이 소킷 본체에 형성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구비한다. 삽입 구멍에는, 다리부와 접촉하여 다리부를 서로 내측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리부의 결합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 및 다리부의 조작부를 노출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를 소킷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의 다리부를 소킷의 삽입 구멍에 삽입한다. 그러면, 각 다리부의 선단이 소킷의 접촉부에 의해 서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간다. 머지않아, 각 다리부의 결합부가 소킷에 형성된 피결합부를 넘으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있었던 각 다리부가 외측으로 탄성 복귀하므로, 각 다리부의 결합부가 소킷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의 조작부가 소킷의 개구부보다 외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를 소킷으로부터 빼기 위해서는, 소킷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플러그의 조작부를 서로 내측으로 압박하여, 다리부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러면, 각 다리부의 결합부가 소킷에 형성된 피결합부로부터 빠진 상태로 되므로,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를 소킷으로부터 인발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를 소킷으로부터 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버클에서는, 플러그의 다리부가 내외측으로 변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예를 들어, 외부에 걸리거나 하여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지나치게 변형시키면, 다리부가 외측으로 소성 변형하거나, 다리부를 억지로 더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변형시키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방지하기 위해, 특허문헌 2, 3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플러그의 한 쌍의 다리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구조가 취해져 있다.
즉, 특허문헌 2에서는, 플러그의 한 쌍의 다리부(아암 부재)의 사이에 중앙 부재를 이들과 평행하게 돌출 설치하고, 이 중앙 부재와 각 아암 부재 사이를 만곡하는 보유 지지 스트랩(굴곡부)으로 연결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플러그의 한 쌍의 다리부 사이를 만곡하는 보유 지지 스트랩(연결 띠)으로 연결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 2, 3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각 다리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면, 보유 지지 스트랩이 신장되고, 각 아암 부재가 그 이상 외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규제하므로,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6016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2930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149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보유 지지 스트랩이 플러그와 일체 성형되는 동일한 재질이며, 또한, 보유 지지 스트랩이 배치된 위치가 플러그의 아암 부재가 가장 변형하는 위치이므로, 플러그를 소킷에 삽입하는 조작이나, 플러그를 소킷으로부터 빼는 조작이 무거워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간을 연결하는 구성이므로, 플러그를 소킷에 삽입하는 조작이나, 플러그를 소킷으로부터 빼는 조작이 무거워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즉, 플러그를 소킷에 삽입할 때, 혹은, 플러그를 소킷으로부터 뺄 때에, 아암 부재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버클에서는, 아암 부재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 시에 보유 지지 스트랩을 보다 만곡하는 상태로 탄성 변형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무거워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다리부가 외측으로 변형되었을 때의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결합, 제거 시의 조작성이 우수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수형측 기부와, 이 수형측 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와, 이들 다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암형측 기부와, 이 암형측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상기 암형측 기부에 상기 삽입 구멍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과,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는, 각 다리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이동 규제부와, 상기 수형측 기부에 상기 이동 규제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이동 규제부가 접촉하여 상기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변형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 다리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한 이동 규제부가, 수형측 기부에 설치한 변형 규제부에 접촉하여,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외력이 작용해도, 이동 규제부와 변형 규제부가 접촉하여 다리부의 절손이나 소성 변형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규제부와 변형 규제부는 이격되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 쌍의 다리부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 결합할 때, 다리부만을 탄성 변형시키면 되고,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결합 혹은 제거할 때의 조작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결합, 제거 시의 우수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결합 조작 시 혹은 제거 조작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변형 규제부는, 상기 수형측 기부에 직접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측 기부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성이 없어, 구조의 간략화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수형측 기부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 돌출되어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가이드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변형 규제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 돌출되어 설치한 가이드부를, 안내부에 결합시켜 수형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구성에서도,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외력이 다리부에 작용해도 다리부의 변형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수형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변형 규제부를 설치하므로, 구조의 공유화에 의해, 구조가 간략화되어 제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다리부가 돌출되는 길이 치수의 절반으로부터 수형측 기부측까지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 구멍을 통해 암형 부재에 수형 부재를 삽입 발출할 때, 다리부의 기단부측에 설치한 이동 규제부, 및, 이동 규제부가 결합 분리되는 변형 규제부가 다른 부위에 간섭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이동 규제부 및 변형 규제부가 다른 부위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이동 규제부를 돌출 형성하는 다리부에 면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변형 규제부는, 상기 접촉면에 대향하고, 상기 이동 규제부를 돌출 형성하는 다리부가, 한 쌍의 다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접촉하는 규제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규제부의 접촉면을, 변형 규제부의 규제면에 대향하는 간단한 구조로, 다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접촉면과 규제면이 접촉하여 다리부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수형측 기부와, 이 수형측 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와, 이들 다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암형측 기부와, 이 암형측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상기 암형측 기부에 상기 삽입 구멍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과,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는, 각 다리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서로 접촉하여 상기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 다리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한 이동 규제부가 서로 접촉하고,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외력이 작용해도, 이동 규제부가 서로 접촉하여 다리부의 절손이나 소성 변형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체의 한 쌍의 다리부에 각각 설치한 이동 규제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 쌍의 다리부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 결합할 때, 다리부만을 탄성 변형시키면 되고,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결합 혹은 제거할 때의 조작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결합, 제거 시의 우수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결합 조작 시 혹은 제거 조작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이동 규제부를 돌출 형성하는 다리부에 면하고, 상기 다리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여 각각 설치된 접촉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의 이동 규제부의 접촉면을 대향하는 간단한 구조로, 다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접촉면끼리가 접촉하여 다리부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외면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다리부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다리부가 탄성 복귀할 때에, 다리부의 오목 홈 형상의 결합부에 볼록 형상의 피결합부가 결합한다. 따라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결합 혹은 제거할 때에, 결합부와 피결합부가 결합 분리되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의 사이드 결합 타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가 설치된 위치가, 다리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외면이며, 다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규제부가 설치되는 위치가, 다리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결합부와 이동 규제부가 간섭하지 않고,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의 사이드 결합 타입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다리부의 선단부에 상기 다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또한 상기 다리부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볼록 형상으로 팽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상기 삽입 구멍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탄성 변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탄성 복귀하는 방향을 따른 오목 홈 형상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다리부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다리부가 복원될 때에, 다리부의 볼록 형상의 결합부에 오목 홈 형상의 피결합부가 결합한다. 따라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결합 혹은 제거할 때에, 결합부와 피결합부가 결합 분리되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의 두께 방향 결합 타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가 설치된 위치가, 다리부의 선단부이며, 다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규제부가 설치되는 위치가, 결합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결합부와 이동 규제부가 간섭하지 않고,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의 두께 방향 결합 타입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분해 평면도.
도 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암형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수형 부재의 다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버클의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버클의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버클의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부재의 가이드부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버클의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버클의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버클의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해 평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버클의 구조>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은, 벨트나 테이프, 끈 등의 도시하지 않은 긴밀 체결용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클(1)은,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으로 버클(1)의 두께 방향(도 3 내지 도 5의 깊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타입이다. 이 버클(1)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형 부재(A)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의 재료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 등의 다른 재료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부분적으로 합성 수지나 금속을 사용하는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수형 부재(A)는, 수형측 기부(10)와, 이 수형측 기부(10)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수형측 기부(10)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측 기부(10)에는, 내부 중앙부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가 삽입 로크되는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끈 장착 구멍(11)의 중간에는 연결 레버(12)가 설치되고, 이 연결 레버(12)에 의해 끈 장착 구멍(11)이 2개의 끈 장착 구멍(11A, 11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수형측 기부(10)에는, 폭 방향, 즉,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형측 기부(10)에는, 한 쌍의 다리부(20)의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1개의 가이드부(3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20)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수형측 기부(10)의 폭 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20)는, 수형측 기부(10)로부터 수형 부재(A)의 길이 방향인 삽입 방향을 따라 일련으로 돌출되는 다리 기부(21)와, 이 다리 기부(21)의 선단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수형 부재(A)의 폭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된 다리 조작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20)는, 다리 조작부(22)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인 외측으로 팽출하는 외측면(22A)이, 한 쌍의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인 내측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다리 기부(21)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다리부(20)의 선단부에는, 다리부(20)의 탄성 변형하는 방향인 폭 방향을 따른 오목 홈 형상의 결합 오목부(23A)가, 버클(1)의 두께 방향, 즉, 수형 부재(1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다리부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다리 조작부(22)의 두께 치수보다 얇은 결합편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0)에 있어서의 결합편부(23)보다 선단에는, 버클(1)의 두께 방향으로 팽출하고, 결합편부(23)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결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4)에는, 폭 방향의 외측에 면하는 면에, 다리부(20)의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는 결합 가이드면(24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24)에는, 결합 오목부(23A)에 면하고 폭 방향으로 평행한 결합면(2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 규제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규제부(25)는, 선단부가 수형측 기부(10)측을 향해 다리 조작부(2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지부(25A)와, 이 가지부(25A)의 선단이 다리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규제 갈고리부(25B)를 구비하고,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 갈고리부(25B)에 있어서의 내측의 면, 즉, 다리부(20)의 선단측에 면하는 면이, 접촉면(25C)으로 된다.
이동 규제부(25)의 선단과는 반대측의 기단부는, 다리부(20)가 돌출되는 길이 치수의 절반으로부터 수형측 기부(10)측까지의 기단부측, 즉, 다리부(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기단부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규제부(25)는,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암형 부재(B)에 결합할 때, 수형측 기부(10)에는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암형 부재(B)에 결합하기 전에 이동 규제부(25)가 수형측 기부(10)에 접촉하면, 다리부(20)의 가일층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규제되어, 결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부(30)는, 수형측 기부(10)의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한 쌍의 다리부(20)와의 사이에서 한 쌍의 다리부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0)에는, 다리부(20)에 대향하는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른 리브 형상으로 설치된 보강 리브(31)가, 선단으로부터 수형측 기부(10)의 근방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30)에는, 보강 리브(31)에 있어서의 수형측 기부(10)측에 연속하여, 다리부(20)를 향해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는 변형 규제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 규제부(32)는, 선단이 이동 규제부(25)에 있어서의 가지부(25A)와 규제 갈고리부(25B) 사이를 향해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다리부(20)의 이동 규제부(25)는, 다리부(20)와, 수형측 기부(10)와, 가이드부(30)와, 변형 규제부(32)로 둘러싸이고, 다리부(20)의 탄성 변형을 위한 공간(20A) 내에 규제 갈고리부(25B)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변형 규제부(32)는, 이동 규제부(25)의 접촉면(25C)에 대향하고, 다리부(20)가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할 때에 이동 규제부(25)에 접촉하는 규제면(32A)을 갖고 있다.
암형 부재(B)는, 암형측 기부로서의 편평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 본체(40)에는, 끈 형상 부재의 단부가 삽입 로크되는 끈 장착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본체(4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A)와의 접합면(42)으로부터 끈 장착 구멍(41)에 관통하여,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 및 가이드부(3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부재 본체(40)에는 삽입 구멍(43)에 연속하고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43A)이 설치되고, 암형 부재 본체(40)는 편평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본체(40)의 폭 방향의 양 측벽에는, 암형 부재 본체(40)의 중앙을 따라 점차 크게 개방되는 원호 오목 형상으로 절결되고, 수형 부재(A)의 다리 조작부(22)를 외표면에 노출시키는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본체(40)에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의 선단측에 대응하는 개구부(44)보다 삽입 구멍(43)의 안측부에 위치하여 삽입 구멍(43) 내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다리부(20)의 결합 오목부(23A)에 들어가 결합부(24)를 로크하는 쌍을 이루는 로크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로크부(45)는, 삽입 구멍(43)측으로부터 안측부측을 따라 삽입 구멍(43)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고, 삽입된 다리부(20)의 결합부(24)의 결합 가이드면(24A)이 접촉하는 결합 안내면(45A)을 각각 갖고 있다. 또한, 로크부(45)는, 삽입 구멍(43)의 안쪽 벽면에 대략 평행하며, 결합부(24)에 있어서의 결합 오목부(23A)에 면하는 결합면(24B)이 접촉하고 다리부(20)의 결합부(24)를 결합하는 빠짐 방지면(45B)을 각각 갖고 있다. 즉, 로크부(45)의 빠짐 방지면(45B)과, 암형 부재 본체(40)의 내측 단부면(40A) 사이에, 다리부(20)의 결합부(24)가 내측으로부터 결합 분리 가능하게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내측에 개방되는 오목 홈 형상의 피결합부(46)가 형성된다.
암형 부재 본체(40)에는, 삽입 구멍(43)의 개구 테두리의 중앙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따라 오목 홈 형상이며, 수형 부재(A)의 가이드부(3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안내부로서의 가이드 홈(47)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홈(47)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43)의 개구 테두리의 근방은, 점차 폭넓게 넓혀져, 가이드부(30)가 위치 어긋나 삽입되어도, 가이드 홈(47)에 도입할 수 있도록 확대 개방 형성되어 있다.
<버클의 삽입 결합의 조작>
다음으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의 삽입 결합의 조작을 설명한다.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를 암형 부재(B)의 삽입 구멍(43)에 삽입한다. 이 삽입 시, 암형 부재(B)의 가이드 홈(47)에 수형 부재(A)의 가이드부(30)가 끼워 맞추어지고, 삽입 조작이 안내된다.
그리고 이 삽입하는 조작에 의해, 다리부(20)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부(24)의 결합 가이드면(24A)이, 암형 부재(B)의 로크부(45)의 결합 안내면(45A)에 접촉하고, 다리부(20)가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간다.
이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은, 폭 방향으로 얇은 부분의 다리 기부(21)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굴곡하도록 탄성 변형하고, 다리 조작부(22)가 내측에 쓰러지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다리부(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동 규제부(25)는 선단측이 변형 규제부(32)로부터 이격되어 수형측 기부(10)에 접근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동 규제부(25)는, 수형측 기부(10)에는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20)가 더욱 삽입되면, 결합부(24)가 로크부(45)를 타고 넘고, 다리부(20)의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다리부(20)는, 원래의 상태, 즉, 외측으로 탄성 복귀한다. 이 다리부(20)의 탄성 복귀에 의해, 결합 오목부(23A)에 로크부(45)가 들어가 결합부(24)가 피결합부(46)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 시에는, 한 쌍의 다리부(20)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킬 뿐인 조작력이면 된다. 즉, 다른 부위를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어, 최소한의 조작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버클의 제거 조작>
다음으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의 제거 조작을 설명한다.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는, 암형 부재(B)의 개구부(4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면하는 한 쌍의 다리부(20)를, 폭 방향으로 잡도록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다리부(20)의 결합부(24)가 피결합부(46)로부터 빠져 로크부(45)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의 삽입 구멍(43)으로부터 인발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가 빠진다. 또한, 결합부(24)가 피결합부(46)로부터 빠질 때에도, 이동 규제부(25)는 수형측 기부(10)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제거할 때에도, 다리부(20)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킬 뿐인 조작력이면 되어, 최소한의 조작력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리부로의 외력의 작용>
다음으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의 다리부(20)에, 외측을 향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의 상황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리부(20)에 끈 등이 걸리고, 다리부(20)의 선단측이 버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외력이 작용하면, 다리부(20)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탄성 변형은, 폭 방향으로 얇은 부분의 다리 기부(21)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굴곡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다리부(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동 규제부(25)는 선단측이 변형 규제부(32)에 접근하고, 접촉한다.
이로 인해, 더욱 다리부(20)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외력이 작용해도, 이동 규제부(25)가 변형 규제부(32)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다리부(20)는 외측으로 변형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다리부(20)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외력이 작용해도, 다리부(20)가 절손이나 소성 변형하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되는 외력이 작용해도, 다리부(20)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이동 규제부(25)가, 암형 부재(B)의 변형 규제부(32)에 접촉하여 가일층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결합할 때에는, 이동 규제부(25)와 변형 규제부(32)는 연결하지 않고, 단순히 다리부(20)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조작력만이면 되어, 최소한의 조작력으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삽입 결합이나 제거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 조작 시 혹은 제거 조작 시의 우수한 조작성과, 다리부(20)의 손상 방지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다리부(20) 사이에 돌출되어 설치한 가이드부(30)를, 가이드 홈(47)에 결합시켜 수형 부재(A)의 삽입을 안내하는 구성에서도,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되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이동 규제부(25)가 가이드부(30)에 설치한 변형 규제부(32)에 접촉하여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수형 부재(A)의 삽입을 안내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변형 규제부(32)를 설치하므로, 가이드부(30)와 변형 규제부(32)의 구조의 공유화가 도모되어, 구조가 간략화되고, 제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구멍(43)을 통해 암형 부재(B)에 수형 부재(A)를 삽입 발출할 때, 다리부(20)의 기단부측에 설치한 이동 규제부(25), 및, 수형측 기부(10)에 설치되고 이동 규제부(25)가 접촉 분리되는 변형 규제부(32)가 다른 부위에 간섭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이동 규제부(25) 및 변형 규제부(32)가 다른 부위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삽입 결합이나 제거 시에 다리부(20)를 탄성 변형할 때, 이동 규제부(25)가 다른 부위에 접촉하여 다리부(20)가 탄성 변형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이동 규제부(25)를 다리부(20)의 기단부측에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25)는,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암형 부재(B)에 결합할 때, 수형측 기부(10)에는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부재(A)의 공간(20A) 내에 이동 규제부(25)의 규제 갈고리부(25B)가 다른 것에 접촉하는 일 없이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삽입 결합이나 제거 시의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규제되는 일이 없고, 다리부(20)를 최소한의 조작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25)의 접촉면(25C)을, 변형 규제부(32)의 규제면(32A)에 대향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다리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접촉면(25C)과 규제면(32A)이 접촉하여 다리부(20)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규제부(25)를 접촉면(25C)이 다리부(20)의 선단측에 면하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될 때에 이동 규제부(25)의 접촉면(25C)이 이동하는 끝에 위치하여, 변형 규제부(32)의 규제면(32A)이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조로, 제조성의 향상이 용이하게 도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다리부(20)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 구멍(43)에 삽입하여 다리부(20)가 탄성 복귀할 때에, 다리부(20)의 볼록 형상의 결합부(24)가 암형 부재(B)의 오목 홈 형상의 피결합부(46)가 결합하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으로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는 타입의 버클(1)에 적용하고 있다.
즉,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규제부(25)가,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한 결합부(24)로부터 이격된다. 이로 인해, 결합부(24)와 이동 규제부(25)가 간섭하지 않고,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의 두께 방향 결합 타입의 버클(1)에서도, 조작성이 우수하고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버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위 사이드 릴리스 방식으로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는 타입의 버클(1)에 적용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사이드 결합 타입의 버클(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와 동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 8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 기부(21)와 다리 조작부(22) 사이에 위치하여, 다리부(20)의 두께 방향의 일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결합부로서의 결합 오목부(51)가, 다리부(20)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암형 부재(B)에는, 개구부(44)의 개구 테두리에, 결합 오목부(51)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결합부로서의 로크 볼록부(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를 암형 부재(B)의 삽입 구멍(43)에 삽입하면, 다리부(20)의 선단이 암형 부재(B)의 로크 볼록부(52)에 접촉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다리부(20)의 결합 오목부(51)가 암형 부재(B)의 로크 볼록부(52)에 위치하였을 때에, 다리부(20)가 탄성 복귀하여 결합 오목부(51)에 로크 볼록부(52)가 결합하고,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가 연결된다.
이 도 7, 8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되어도, 다리부(20)의 이동 규제부(25)가 가이드부(30)의 변형 규제부(32)에 접촉하고,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규제부(25) 및 변형 규제부(32)는, 다리부(20)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할 때에, 서로 접촉하여 다리부(20)가 파손되거나 소성 변형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이면, 어느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부의 기단부측에 이동 규제부(25)를 설치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가이드부(30)의 선단측에 이동 규제부(2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동 규제부(25) 및 변형 규제부(32)의 형상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마찬가지의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촉 분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또한, 이동 규제부(25) 및 변형 규제부(32)의 형상으로서는, 갈고리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도 11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돌기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변형 규제부(32)를 돌출 형성하였지만, 도 12, 13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이동 규제부(25)가 접촉하는 규제면(32A)을 갖고 있으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한 형상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6 실시 형태]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25)로서 강성을 가진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내는 제6 실시 형태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구성을 이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규제부(25)로서, 끈 형상 부재(55)를 다리부(20)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하고, 선단측을 가이드부(30)의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에 관통하고, 끈 형상 부재(55)의 선단에 관통 구멍을 관통할 수 없는 접촉면(25C)을 가진 대경부(56)를 설치한다. 또한, 측면이 규제면(32A)으로 되는 가이드부(30)가 변형 규제부(32)로 된다.
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부(20)와 가이드부(30)의 거리에 따라 접촉면(25C)이 규제면(32A)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다리부(20)가 폭 방향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라도, 접촉면(25C)이 규제면(32A)에 접촉하여 다리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부(30)에 변형 규제부(32)를 설치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내는 제7 실시 형태와 같이, 가이드부(30)를 설치하지 않고, 수형측 기부(10)로부터 변형 규제부(32)를 직접 설치해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변형 규제부(32)를 설치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제8 실시 형태와 같이, 다리부(20)가 외측으로 변형된 경우, 다른 쪽의 다리부(20)의 이동 규제부(25)와 서로 접촉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등의 끈 형상 부재를 연결, 분리하는 버클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수형측 기부나 암형측 기부로서, 의복이나 가방 등에, 끈 형상 부재로서의 실이 의복이나 가방의 천에 꿰매어져 일체로 장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부(30)에 안내부로서의 오목 홈 형상의 가이드 홈(47)을 결합시키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가이드부(30)에 오목 홈부를 설치하고, 암형 부재(B)의 안내부로서 가이드부(30)의 오목 홈이 결합 가능하게 리브를 설치하는 등,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어느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20)를 구비한 구성에서는, 다리부(20)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베이비 카용 안전 벨트의 연결, 이탈용 버클로서 적합하지만, 그 외 어떠한 용도에도 사용 가능하며, 특히, 가벼운 힘에 의한 조작이 요망되는 용도에 적합하다.
1 : 버클
10 : 수형측 기부
11, 11A, 11B : 끈 장착 구멍
20 : 다리부
24 : 결합부
25 : 이동 규제부
25C : 접촉면
30 : 가이드부
32 : 변형 규제부
32A : 규제면
40 : 암형 부재 본체(암형측 기부)
43 : 삽입 구멍
43A : 수용 공간
46 : 피결합부
A : 수형 부재
B : 암형 부재

Claims (9)

  1. 수형 부재(A)와, 이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수형측 기부(10)와, 이 수형측 기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들 다리부(20)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B)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B)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암형측 기부(40)와, 이 암형측 기부(40)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43)과, 상기 암형측 기부(40)에 상기 삽입 구멍(43)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43A)과,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24)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결합부(46)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A)는, 각 다리부(20)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이동 규제부(25)와, 상기 수형측 기부(10)에 상기 이동 규제부(25)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이동 규제부(25)가 접촉하여 상기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변형 규제부(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규제부(32)는, 상기 수형측 기부(10)에 직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A)는, 상기 수형측 기부(10)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 사이에 돌출되어 설치된 가이드부(30)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B)는, 상기 삽입 구멍(43)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가이드부(3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47)를 갖고,
    상기 변형 규제부(32)는, 상기 가이드부(3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25)는, 상기 다리부(20)가 돌출되는 길이 치수의 절반으로부터 수형측 기부(10)측까지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25)는, 상기 이동 규제부(25)를 돌출 형성하는 다리부(20)에 면하는 접촉면(25C)을 갖고,
    상기 변형 규제부(32)는, 상기 접촉면(25C)에 대향하고, 상기 이동 규제부(25)를 돌출 형성하는 다리부(20)가, 한 쌍의 다리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접촉하는 규제면(32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수형 부재(A)와, 이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수형측 기부(10)와, 이 수형측 기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들 다리부(20)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B)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B)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암형측 기부(40)와, 이 암형측 기부(40)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43)과, 상기 암형측 기부(40)에 상기 삽입 구멍(43)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43A)과,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24)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결합부(46)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A)는, 각 다리부(20)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서로 접촉하여 상기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25)는, 상기 이동 규제부(25)를 돌출 형성하는 다리부(20)에 면하고, 상기 다리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형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여 각각 설치된 접촉면(25C)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외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상기 다리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또한 상기 다리부(20)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볼록 형상으로 팽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피결합부(46)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상기 삽입 구멍(43)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탄성 변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탄성 복귀하는 방향을 따른 오목 홈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37012471A 2010-11-15 2010-11-15 버클 KR10142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0304 WO2012066615A1 (ja) 2010-11-15 2010-11-15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090A KR20130101090A (ko) 2013-09-12
KR101421912B1 true KR101421912B1 (ko) 2014-07-22

Family

ID=4608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471A KR101421912B1 (ko) 2010-11-15 2010-11-15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13680B2 (ko)
EP (1) EP2641498B1 (ko)
JP (1) JP5405673B2 (ko)
KR (1) KR101421912B1 (ko)
CN (1) CN103209608B (ko)
TW (1) TWI473578B (ko)
WO (1) WO2012066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5786B (zh) * 2012-02-16 2016-08-24 Ykk株式会社 带扣
WO2014141387A1 (ja) * 2013-03-12 2014-09-1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TW201519818A (zh) 2013-11-19 2015-06-01 Plus Meditech Co Ltd 快拆扣具
KR101777109B1 (ko) * 2015-11-05 2017-09-12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CN105282468B (zh) * 2015-11-13 2018-10-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机
JP6764883B2 (ja) * 2016-02-05 2020-10-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115282461A (zh) * 2016-08-04 2022-11-04 尼普洛株式会社 带有阀的针组件以及留置针组件
JP3207690U (ja) * 2016-09-14 2016-11-2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雄部材及びバックル
US10524545B2 (en) * 2017-03-27 2020-01-07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ski-Seisakusho Tongue for seatbelt device
TWI603689B (zh) * 2017-04-12 2017-11-01 Teng-Yao Chang Has received the function of the stack with the buckle
USD880351S1 (en) * 2018-01-18 2020-04-07 Woojin Plastic Co., Ltd. Buckle for bags
CN108674480A (zh) * 2018-06-26 2018-10-19 温州商学院 一种婴儿车
US10617180B1 (en) * 2018-10-25 2020-04-14 Ying-Chuan Yen Metal body buckle
US11559113B2 (en) 2018-12-07 2023-01-24 Ykk Corporation Plug for buckle, and buckle
KR102177493B1 (ko) * 2019-11-26 2020-11-11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US11044970B1 (en) * 2020-03-30 2021-06-29 Duraflex Hong Kong Limited Attachment system with quick release
USD945314S1 (en) * 2020-04-17 2022-03-08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D1002432S1 (en) * 2021-05-26 2023-10-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11786015B2 (en) 2021-09-28 2023-10-17 Illinois Tool Works Inc. Safety release buck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106A (ja) * 1993-08-09 1995-02-28 Yoshio Tokuda バックル
JPH0724105U (ja) * 1993-10-16 1995-05-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07021224A (ja) 2005-07-20 2007-02-01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サイドリリース型バックル組立体
KR20100096256A (ko) * 2008-01-23 2010-09-0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7038B (en) * 1982-03-23 1985-09-04 Nippon Notion Kogyo Buckle
TW301145U (en) * 1993-10-16 1997-03-21 Yoshida Kogyo Kk Buckle
US5791026A (en) * 1997-05-30 1998-08-11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ide-release buckle having retaining straps
JP2000106915A (ja) 1998-09-30 2000-04-18 Ykk Corp バックル
US6421889B1 (en) * 2001-05-31 2002-07-23 Vinsonic Industrial Co., Ltd. Buckle structure
JP2003033209A (ja) 2001-07-23 2003-02-04 Ykk Corp バックル
JP4148836B2 (ja) * 2002-09-20 2008-09-1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4128101B2 (ja) * 2003-04-11 2008-07-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4769597B2 (ja) * 2006-03-02 2011-09-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2901963Y (zh) 2006-04-19 2007-05-23 张庆秀 一种改良型扣具
JP5651282B2 (ja) 2007-07-03 2015-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WO2010038308A1 (ja) * 2008-10-03 2010-04-0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106A (ja) * 1993-08-09 1995-02-28 Yoshio Tokuda バックル
JPH0724105U (ja) * 1993-10-16 1995-05-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07021224A (ja) 2005-07-20 2007-02-01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サイドリリース型バックル組立体
KR20100096256A (ko) * 2008-01-23 2010-09-0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05673B2 (ja) 2014-02-05
TW201218975A (en) 2012-05-16
US9113680B2 (en) 2015-08-25
EP2641498B1 (en) 2015-09-16
CN103209608A (zh) 2013-07-17
WO2012066615A1 (ja) 2012-05-24
JPWO2012066615A1 (ja) 2014-05-12
US20130232743A1 (en) 2013-09-12
EP2641498A4 (en) 2014-09-17
CN103209608B (zh) 2015-09-30
EP2641498A1 (en) 2013-09-25
KR20130101090A (ko) 2013-09-12
TWI473578B (zh) 201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912B1 (ko) 버클
KR100992297B1 (ko) 버클
US8763217B2 (en) Buckle
JP4769597B2 (ja) バックル
US6061883A (en) Buckle
WO2014141387A1 (ja) バックル
KR20080070544A (ko) 버클
EP0943253A2 (en) Buckle
US10368615B2 (en) Harness fastening system
TWI524856B (zh) Link with
US10588383B2 (en) Buckle
US20150013121A1 (en) Buckle
WO2014002235A1 (ja) バックル
JP5170889B2 (ja) バックル
US20140259572A1 (en) Buckle connector
KR101069091B1 (ko) 버클
CN106606010B (zh) 带扣
US11559113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KR100448317B1 (ko) 버클
JP2003093113A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TWI486132B (zh) Buckle (a)
JP2006204638A (ja) バックル
WO2013121557A1 (ja) バックル
JP2012051471A (ja) ベルト長さ調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