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554B1 -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554B1
KR101421554B1 KR1020080028273A KR20080028273A KR101421554B1 KR 101421554 B1 KR101421554 B1 KR 101421554B1 KR 1020080028273 A KR1020080028273 A KR 1020080028273A KR 20080028273 A KR20080028273 A KR 20080028273A KR 101421554 B1 KR101421554 B1 KR 10142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handwriting
input
function button
recogn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972A (ko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2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5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필기 입력부, 기능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버튼 입력부 및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제2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필기 인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할 문자를 단순화시켜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필기 입력, 터치 스크린, 버튼 입력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Hand Writing on Touch Screen}
본 발명은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상에서 필기 입력의 정확성과 속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는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이나 음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 예들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유선전화에 비하여 통화품질이 떨어지지 않고 비교적 휴대하기에 간편할 정도로 그 크기가 소형화되어, 일반인들의 필수품이 되었다. 최근에 현대 사회를 특징짓는 정보화 사회로의 급진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욕구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상승하게 되어 보다 많은 수요와 고품질ㅇ다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통신 수단으로서의 기능 이외에 이메일이나 무선인터넷, 문자메세지 등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 기능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문자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영상을 표시하면서도 정보입력이 가능한 필기인식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였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방식은 터치스크린 상의 버튼을 눌러서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필기를 직접 입력 받아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기를 입력 받는 기능은 필기 인식 정확도를 요구한다. 특히 사용자가 필기한 글자가 복잡할 경우, 정확한 필기 인식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할 문자를 단순화시켜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할 문자를 단순화시켜 사용자의 필기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필기 입력부; 기능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버튼 입력부; 및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제2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필기 인식부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필기 인식부는 필기 입력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제2 문자로 변환하되,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이 종료된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필기 입력을 받을 경우,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제2 문자로 변환하되,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통해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는 평음(平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격음(激音) 또는 경음(硬音)을 나타내는 문자일 수 있다.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평음을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에 따라 상기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환하되,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조작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는 단모음(單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복모음(複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일 수 있다.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입력 모드를 전환하되,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인식부가 상기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패턴에 따른 입력 모드이고, 상기 조작 신호는 입력 모드 전환 기능에 상응하는 상기 기능 버튼의 누름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입력을 한글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한글 모드,상기 필기 입력을 영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영문 모드, 상기 필기 입력을 재스츄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재스츄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재스츄어는 특정 기능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특정 필기 패턴일 수 있다.
상기 기능 버튼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중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버튼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b) 기능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c)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제2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는 필기 입력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제2 문자로 변환하되, 상기 필기 입력이 종료된 시점은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필기 입력을 받을 경우,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제2 문자로 변환하되,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는 평음(平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격음(激音) 또는 경음(硬音)을 나타내는 문자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평음을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에 따라 상기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환하되,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통 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는 단모음(單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복모음(複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일 수 있다.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인식부가 상기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패턴에 따른 입력 모드이고, 상기 조작 신호는 입력 모드 전환 기능에 상응하는 상기 기능 버튼의 누름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입력을 한글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한글 모드상기 필기 입력을 영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영문 모드, 상기 필기 입력을 재스츄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재스츄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재스츄어는 특정 기능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특정 필기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필기 인식 장치의 필기 인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필기 인식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필기 인식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b) 기능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c)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제2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할 문자를 단순화시켜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할 문자를 단순화시켜 사용자의 필기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인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는 필기 입력부(110), 버튼 입력부(120) 및 필기 인식부(130)을 포함한다.
필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필기 입력을 하면, 필기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이 사용자가 터치 또는 드래그(drag)한 것으로 인식한 지점들의 좌표값(이하 '필기 정보'라 지칭)을 필기 인식부(130)로 출력한다.
버튼 입력부(120)는 기능 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기능 버튼을 조작하는 신호(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고 떼는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 이하 '조작 신호'라 지칭)를 필기 인식부(130)로 출력한다. 기능 버튼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보조하는 버튼으로 추후 그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조작 신호에는 해당 기능 버튼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필기 인식부(130)는 입력 받은 필기 정보와 조작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려고 의도한 문자를 인식한다.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子音)을 평음(平音)으로 인식한다. 또한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정보를 통해 입력 받은 평음을 조작 신호에 따라 격음(激音) 또는 경음(硬音)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정보를 분석하여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한다. 이 때, 필기 인식부(130)가 인식한 자음을 'ㄱ'으로 가정하겠다. 또한 필기 인식부(130)는 조작 신호를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짐이 있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한번의 눌러짐이 있었다면, 필기 인식부(130)는 'ㄱ'을 'ㄲ'으로 변환한다. 또한 두 번의 눌러짐이 더 있었다면, 필기 인식부(130)는 'ㄱ'을 'ㅋ'으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예에서는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한번 또는 두번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또한 필기 인식부(130)는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도, 필기 정보를 통해 입력 받은 단모음(單母音 )을 조작 신호에 따라 복모음(複母音)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정보를 분석하여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한다. 이 때, 필기 인식부(130)가 인식한 모음을 'ㅏ'로 가정하겠다. 이어서 필기 인식부(130)는 조작 신호를 통해 특정 버튼의 눌러짐이 있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눌러짐이 있었다면, 필기 인식부(130)는 'ㅏ'를 'ㅑ'로 변환한다.
이 때, 필기 인식부(130)는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진 시점을 달리하여 필기 정보에 따른 평음 또는 단모음을 격음,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진 시점에 따라 선입력 방식 또는 후입력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하려고 의도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선입력 방식은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한 시점 이후 필기 정보를 통해 평음 또는 단모음의 입력을 받아 격음,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하, 필기 인식부(130)는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조작 신호를 통해 인식한 후, 필기 정보를 받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한다. 이 때, 필기 인식부(130)는 기능 버튼의 떼짐이 인식되기 전까지 필기 정보를 통해 필기 입력을 받으면 상술한 방법으로 평음 또는 단모음을 격음,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한다. 만약 자음 또는 모음의 필기 입력이 완료되기 전에 기능 버튼의 떼짐이 인식이 되면, 필기 인식부(130)는 평음 또는 단모음을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인식된 문자로 결정한다. 또한, 필기 인식부(130)는 소정의 단위 시간동안 기능 버튼을 누른 회수 및 마지막 누름을 유지하는 것을 조작 신호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필기 인식부(130)는 기능 버튼을 누른 회수에 따라 평음을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환한다.
후입력 방식은 필기 정보를 통해 평음 또는 단모음을 입력 받은 이후 시점에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하여 격음,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하,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정보를 통해 필기 입력이 완료된 후, 기능 정보를 통해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평음 또는 단모음을 인식한다. 이어서, 인식부(130)는 기능 정보를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진 회수를 인식한다. 기능 버튼의 눌러진 회수에 따라 평음 또는 단모음을 격음,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필기 인식부(130)는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하여 평음을 경음으로 변환한 후, 추가적인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격음으로 재변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필기 정보를 통해 평음'ㄱ'을 인식한 후,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한다. 필기 인식부(130)는 특정 기능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ㄱ'을 'ㄲ'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어서 필기 인식부(130)는 특정 기능 버튼의 추가적인 눌러짐이 입력된 경우, 'ㄲ'을 'ㅋ'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필기 인식부(130)는 상술한 입력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도록 디폴트(default)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한글에 대해서만 예시하였으나, 영문을 입력 받을 경우, 대소문자 변환에 상술한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기 인식부(130)는 상술한 평음 또는 단모음을 격음,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능 버튼 이외의 기능 버튼(이하, '보조 기능 버튼'이라 지칭)의 눌러짐을 통해 입력 모드를 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 보조 기능 버튼의 눌러짐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한글, 영문, 기호 또는 재스츄어로 인식하도록 입력 모드를 변경 할 수 있다. 재스츄어는 특정 기능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특정 필기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필기 인식부(130)는'┘'와 같은 모양의 필기 입력을 줄바꿈 입력(즉, 키보드 입력의 경우 엔 터키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를 장착한 휴대 장치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를 장착한 휴대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는 휴대 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기능 버튼(210)은 휴대 장치의 측면 중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기 도중 휴대 장치를 잡고 있는 손으로 누르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버튼(320)이 부착된 스타일러스 펜(310)을 이용하여 필기 입력을 하는 손으로 기능 버튼(320)을 누르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기능 버튼(320)이 부착된 스타일러스 펜(310)을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내장하여 스타일러스 펜(310)으로부터 버튼입력을 받거나, 버튼 입력부(120)가 휴대 장치 내부에 장착되어 스타일러스 펜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부로부터 기능 버튼(320)의 입력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로부터 기능 버튼 입력을 받는다(410).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필기 입력을 받는다(420).
이어서, 필기 입력에 따른 평음 또는 단모음을 인식한다(430).
이어서, 단계 410 이후부터 기능 버튼이 계속 눌러진 상태인식 판단한다(440).
상기 판단 결과, 기능 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다면(440), 필기 인식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 결과, 기능 버튼이 눌러져 있다면(440), 단계 420 이전에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를 판단한다(450).
상기 판단 결과,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가 1회라면(450), 평음 또는 단모음을 경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한다(460).
상기 판단 결과,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가 2회라면(450), 평음 또는 단모음을 격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한다(470).
물론, 단계 460과 단계 470에서 상술한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는 1회 또는 2회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과정은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하나를 인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성 내지 종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 후 최종적으로 인식된 문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글자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정은 한글의 표현 방법만으로 설명하였지만, 단계 450 내지 단계 460을 제거하여 영문 입력의 대소문자 변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로 입력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인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필기 입력을 받는다(510).
이어서, 필기 입력에 따른 평음 또는 단모음을 인식한다(520).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기능 버튼 입력을 받는다(530).
이어서, 기능 버튼이 눌러졌는지 판단한다(540).
상기 판단 결과, 기능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면(540), 새로운 필기 입력을 받았는지 판단한다(590).
상기 판단 결과, 기능 버튼이 눌러졌다면(540), 현재 인식된 문자가 평음, 경음 및 격음 중 어느 것인식 판단한다(550).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인식된 문자가 평음이면(550), 현재 인식된 문자를 경음으로 변환한다(560).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인식된 문자가 경음이면(550), 현재 인식된 문자를 격음으로 변환한다(570).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인식된 문자가 격음이면(550), 현재 인식된 문자를 평음으로 변환한다(580).
상기 판단 결과, 새로운 필기 입력을 받았을 경우(590), 기존 필기 입력의 필기 인식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새로운 필기 입력을 받지 않았을 경우(590), 단계 520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과정은 자음의 변환을 통한 필기 인식 과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음의 변환을 통한 필기 인식 과정으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550에서 현재 인식된 문자가 단모음 및 복모음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고, 각 판단 결과에 따라 단모음 또는 복모음으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과정은 영문의 대소문자 변환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 상술한 과정은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하나를 인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성 내지 종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 후 최종적으로 인식된 문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글자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인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를 장착한 휴대 장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를 장착한 휴대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20)

  1.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필기 입력부;
    기능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버튼 입력부; 및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제2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필기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필기 입력을 받을 경우,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제2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통해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인 것을 인식하고,
    상기 기능 버튼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중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는 평음(平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격음(激音) 또는 경음(硬音)을 나타내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평음을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에 따라 상기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환하되,
    상기 필기 인식부는 상기 조작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는 단모음(單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복모음(複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인식부는 입력 모드 전환 기능에 상응하는 보조 기능 버튼의 누름 신호에 따라 입력 모드를 전환하되,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인식부가 상기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패턴에 따른 입력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입력을 한글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한글 모드,
    상기 필기 입력을 영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영문 모드,
    상기 필기 입력을 재스츄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재스츄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재스츄어는 특정 기능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특정 필기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기 인식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측면 중 상측에 기능 버튼을 구비한 필기 인식 장치가 필기 인식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기능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c)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문자를 제2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필기 입력을 받을 경우,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제2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이고,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상태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통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는 평음(平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격음(激音) 또는 경음(硬音)을 나타내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평음을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에 따라 상기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환하되,
    상기 기능 버튼이 눌러진 회수는 상기 조작 신호를 통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는 단모음(單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이고, 상기 제2 문자는 복모음(複母音)을 나타내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입력 모드 전환 기능에 상응하는 보조 기능 버튼의 누름 신호에 따라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인식부가 상기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패턴에 따른 입력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필기 입력을 한글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한글 모드,
    상기 필기 입력을 영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영문 모드,
    상기 필기 입력을 재스츄어로 인식하는 패턴을 이용하는 재스츄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재스츄어는 특정 기능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특정 필기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기 인식 방법.
  20. 삭제
KR1020080028273A 2008-03-27 2008-03-27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2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273A KR101421554B1 (ko) 2008-03-27 2008-03-27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273A KR101421554B1 (ko) 2008-03-27 2008-03-27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72A KR20090102972A (ko) 2009-10-01
KR101421554B1 true KR101421554B1 (ko) 2014-07-22

Family

ID=4153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273A KR101421554B1 (ko) 2008-03-27 2008-03-27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655A1 (ko) * 2013-12-19 2015-06-25 주식회사 큐키 전자 장치, 문자 수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657932B1 (ko) * 2022-12-30 2024-04-15 신우영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220A (ja) * 1993-01-26 1994-08-12 Hitachi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2001075721A (ja) * 1999-08-31 2001-03-23 Fujitsu Ltd 図形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と図形入力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106807A (ko) * 2000-05-23 2001-12-07 이만영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40099937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220A (ja) * 1993-01-26 1994-08-12 Hitachi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2001075721A (ja) * 1999-08-31 2001-03-23 Fujitsu Ltd 図形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と図形入力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106807A (ko) * 2000-05-23 2001-12-07 이만영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40099937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72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널입력의 패턴인식을 이용한 명령일괄처리 방법
US81653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writing detection
KR100593993B1 (ko) 문자인식장치 및 방법
US20090146848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7561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241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JP2010530655A (ja) 振動入力認識を有する電子装置と方法
US20090179860A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JP2002116793A (ja) データ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6991162B2 (en) Handheld device with tract input function
KR20030008873A (ko) 자판 자동변환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 방법을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KR101421554B1 (ko)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70109271A1 (en) [a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handwritten input device]
JP2003005902A (ja) 文字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971528B1 (ja) 手書き文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82529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749805B1 (ko) 방향선택 입력기를 이용한 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731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455168B1 (ko) 휴대 단말기 키패드 설정 방법
KR1007357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션에 따른 명령어를 정의하기 위한방법
KR1007356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JP4728992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方法
JP4520123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663705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TW201142656A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