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739B1 - Portable device with gender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with ge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739B1
KR101417739B1 KR1020120126069A KR20120126069A KR101417739B1 KR 101417739 B1 KR101417739 B1 KR 101417739B1 KR 1020120126069 A KR1020120126069 A KR 1020120126069A KR 20120126069 A KR20120126069 A KR 20120126069A KR 101417739 B1 KR101417739 B1 KR 10141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der
groove
housing
portable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9523A (en
Inventor
김배남
김영철
박준홍
민지홍
박아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2012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739B1/en
Publication of KR2014005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로써, 휴대단말기 커버에 일체로 결합된 젠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원 공급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고,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젠더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젠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젠더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거치돌기에 삽입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which can power supply and / or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a portable terminal using a gender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ver, and is provided with a gantry To a terminal cover.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A first gen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second gen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wi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Wherein the first gender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second gende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the first gender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A connec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housing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and the mou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the second genders are coupled to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Description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 Portable device with gender }[0001] Portable device with gender [0002]

본 발명은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로써, 휴대단말기 커버에 일체로 결합된 젠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원 공급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고,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which can power supply and / or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a portable terminal using a gender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ver, and is provided with a gantry To a terminal cover.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 portable terminal can use various functions, and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increasing in order to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use the various functions.

또한,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발전되고 다양한 모바일용 인터넷 컨텐츠의 공급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휴대단말기를 활용하기 편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Internet contents for mobile, an environment where mobile terminals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has been created.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활용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력소모가 증가하여 휴대단말기를 더욱 자주 충전할 필요가 있다.With the utilization of such a portable terminal,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and it is necessary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more frequently.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용 케이블이 필요하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156호에는 다용도 휴대단말기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a charging cable is required. In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5156, a universal portable terminal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is disclosed.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ortable data terminal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포트(101)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휴대단말기로 공급하며, USB 포트(104)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포트(101)로 전달한다.The data port 101 shown in FIG. 1 receives the charging current and supplies the charging current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USB port 104 receives the charging current from the personal computer and transfers the charging current to the data port 101.

또한, 데이터 포트(101)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USB 포트(104)는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Also, the data port 101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B port 104 is connected to the personal comput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그러나 휴대단말기를 수시로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종래의 통신 케이블을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고, 휴대단말기는 이어폰 등과 같은 부가적인 액세서리들을 함께 휴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charge and / or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portable terminal from time to time, such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cable must be separately provided, and portable terminals often carry additional accessories such as earphones or the like together. .

또한, 종래의 통신 케이블을 주머니나 가방에 보관시 선이 꼬이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단말기와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시 통신 케이블을 찾아야 하고, 필요시 휴대단말기와 함께 소지하지 않아 휴대단말기를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cable is stored in a pocket or a bag, the cable is twisted and is inconvenient to use and store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a communication cable must be searched for charging and / or data transmission / It may inconvenience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not be charged and / or transmit / receive data because it is not carried with the terminal.

또한,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대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holder is required to be carri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와 휴대단말기 충전용 젠더를 일체로 형성하여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면서 휴대가 편리하고, 휴대단말기를 수시로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편리하며, 때에 따라 젠더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a cover for a mobile terminal and a gantry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that is convenient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can use gender as a cradle at tim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젠더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젠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젠더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거치돌기에 삽입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portable terminal; A first gen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second gen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wi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Wherein the first gender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second gende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the first gender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A connec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housing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and the mou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the second genders are coupled to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2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젠더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은 상기 제2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홈에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거치돌기 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may have a first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gender is inserted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a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A first protrusion for fixing the first gender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and inser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ender,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2 gender is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second gender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with the second projection, the fixing groove is formed by the second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protrusion or the second protrusion form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개방 형성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에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이 삽입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젠더 및 제2젠더는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서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돌출형성된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e first locking groov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are open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ar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such that a rear surfac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ount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The second gender is mounted so as to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제1젠더에는 제1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1단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젠더에는 제2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2단자홈이 형성되되,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제2결합홈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젠더는 상기 제1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젠더는 상기 제2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젠더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2젠더에서 상기 제2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고정홈이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2결합홈에서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면과 상기 거치돌기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제1결합홈에 상기 제1젠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형성되어 상기 제1젠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제2젠더의 측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가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 또는 상기 거치돌기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공정홈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젠더의 전면에는 상기 거치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nector terminal may protrude from the first gender and the first connector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groove such that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groove. A second terminal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he moun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nd the first gender is 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groove, And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groove is formed, and the first gend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in the first gender, Wherein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fixing groove are formed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The first protrusion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gender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s, and the first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enders are inserted. , The second fixing groov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projection or the fixing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ender and protru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cess groove,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ender to insert the fix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전선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걸림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는 각각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선에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접하여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 first engag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gaging reces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gaging recess are formed in the housing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disposed, And the electric wi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 stopper for limiting a drawing length of the second gender is mounted.

또한, 상기 전선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서로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서 상기 제1걸림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결합홈에서 상기 제2걸림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고,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제1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disposed, the first guide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guide formed in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wherein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And the first guide guides the electric wire drawn or drawn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uides the electric wire drawn or drawn in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와; 상기 보조배터리, 상기 제1젠더 및 상기 제2젠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외부 전원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외부 전원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거나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xiliary battery mounted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to control a direction of a power source;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and charges the auxiliary battery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or supplies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s charging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power 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본 발명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cover having the g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기 하우징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상기 제1젠더와 외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상기 제2젠더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면서 휴대단말기의 휴대 및 충전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이 편리하고, 또한,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젠더 및/또는 상기 제2젠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상기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gender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gender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gender and / or the second gender are protrud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when the mou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also can be used as a cradle for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제1결합홈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젠더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젠더 및 상기 제2젠더를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다.A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a first projection for fixing the first gender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ender,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to fix the second gender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with the second protrusion inserted,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are easi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in which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are formed.

또한, 상기 제2고정홈에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거치돌기 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상기 제2고정홈에 의해 상기 제2젠더가 상기 하우징을 거치대로 사용시 상기 하우징을 받쳐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2젠더가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gantry is used as a cradle of the housing by one of the second fixing grooves, the moun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rear of the housing or the second protrus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groove, Or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제1젠더와 제2젠더는 배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배면을 밀어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inser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from the back surface, .

또한,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the second gender is protruded rearward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can be used as a holder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There is an effect.

상기 제2고정홈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의 전면에는 상기 거치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젠더가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gender, and when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선에 상기 스토퍼가 장착되어 상기 전선으로 연결된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인출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상기 제2걸림부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The stopper is mounted on the electric wi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so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are pulled out, 2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thereby limiting the drawing length of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상기 전선이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전선으로 연결된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And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to thereby limit the drawing length of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connected by the electric wire.

또한,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제1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함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될 때, 서로 꼬이거나 엉키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guide guides the electric wire drawn or drawn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uides the electric wire drawn or drawn in or out of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y do not become twisted or tangled when they are pulled in or pulled out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외부 전원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외부 전원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없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ler detect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and charges the auxiliary battery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s the power source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portable terminal, charges the portable terminal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 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re is no power of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및 C-C를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하우징에서 젠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제2젠더를 분리하여 거치홈에 거치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제2젠더가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D-D선을 취해서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E-E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F-F선를 취해서 본 단면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portable data terminal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nd CC in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ender is separated from a housing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harging and / 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gender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a mou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gender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radle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FF line in Fig. 15. Fig.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 설명한다.Specific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및 C-C를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하우징에서 젠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제2젠더를 분리하여 거치홈에 거치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제2젠더가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D-D선을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s BB and CC in FIG. 2,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ender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charging and / 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gender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a mou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second gender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 g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being used as a mounting stand.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 하우징(100), 제1젠더(200), 제2젠더(300) 및 전선(400)으로 이루어진다.2 to 11,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first gender 200, a second gender 300, and a wire 400 .

상기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가 결합되고, 전방에 수용홈(103)이 형성되어 휴대단말기(P)가 결합된다.2, the housing 100 is coupled with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and the receiving grooves 103 are formed at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to connect the portable terminals P .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상기 수용홈(103)이 형성된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1하우징(101)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102)으로 이루어진다.3, the housing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01 having the receiving groove 103 formed at the front thereof and a second housing 102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housing 101 .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제1결합홈(110)과 제2결합홈(120)이 형성된다.In the housing 100, a first coupling groove 110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120 are formed.

상기 제1결합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젠더(200)가 삽입 배치된다.3,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is formed in a rear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to insert the first gender 200 therein.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110)은 후방, 좌측부 및 하단부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10 and 110 are open at the rear, left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gender 200 insert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1결합홈(110)에는 상기 제1젠더(200)에서 돌출 형성된 제1접속단자(210)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1단자홈(111)이 형성된다.The first terminal groove 111 opened to insert and dispos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protruding from the first gender 200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자홈(111)은 상기 제2하우징(102)에 형성되고 하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groove 111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102 and is opened in the lower end direction.

또한, 상기 제1결합홈(110)에는 상기 제1젠더(200)에 형성된 제1돌출부(220)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12)이 형성된다.A first fix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to receive the first protrusion 220 formed in the first gender 200.

상기 제1고정홈(1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110)과 연통되고 상기 제1젠더(200)가 삽입되는 방향인 하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220)가 삽입된다.4, the first fixing groove 112 is opened to the left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nd a lower 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ender 200 is inserted is opened The first protrusion 220 is inserted.

상기 제2결합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300)가 삽입 배치된다.3,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is form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and disposed.

그리고 상기 제2결합홈(120)은 후방, 우측부 및 상단부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3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gantry 300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2결합홈(120)에는 상기 제2젠더(300)에서 돌출 형성된 제2접속단자(310)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2단자홈(121)이 형성된다.The second terminal groove 121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protruding from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and dispos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자홈(121)은 상기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 사이에 형성되고 상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terminal groove 12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housing 102 and is opened upward.

또한, 상기 제2결합홈(120)에는 상기 제2젠더(300)에 형성된 제2고정홈(320)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122)가 형성된다.A second protrusion 122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formed in the second gender 300.

상기 제2돌출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될 때, 상기 제2고정홈(320)에 삽입된다.4, when the second genders 30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s 120, the second fixing grooves 320 (see FIG. 4) ).

그리고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400)이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가 형성된다.3 and 4, a first latching part 131 and a second latching part 132 are formed in the housing 100 in which the electric wire 400 is disposed.

즉,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제1하우징(101)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31 and 132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housing 102 do.

상기 제1걸림부(131)는 상기 제1결합홈(1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선(400)이 삽입되는 인출공(133)이 형성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31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110 and has a through hole 133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400 is inserted.

상기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제2결합홈(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부(131)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31)와 같이 상기 전선(400)이 삽입되는 인출공(133)이 형성된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1.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2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ic wire 400, Out hole 133 is formed.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전선(400)에 장착된 스토퍼(401,402)와 접하여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The first and second hooking portions 131 and 132 are in contact with the stoppers 401 and 402 attached to the electric wire 400 so that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전선(400)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the electric wire 400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14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b), a connector 140 opened to connect the first gender 200 to the portable terminal P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03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do.

상기 연결구(140)는 상기 수용홈(103)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구(140)를 통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에 결합된다.The connector 140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groove 103 and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03 through the connector 140.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gender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end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상기 제1젠더(200)에는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210)가 형성된다.A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is formed in the first gender 200.

상기 제1접속단자(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1단자홈(111)에 삽입된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groove 111 when the first gend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상기 제1접속단자(210)는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는 5pin단자가 된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is a 5-pi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03.

그리고 상기 제1젠더(200)에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220)가 형성된다.The first genders 200 are formed with first protrusions 220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s 112 and fixing the first genders 200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110 do.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220)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22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한다.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12 without interference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20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12 is not drawn out.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20)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밀착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a), the first protrusion 2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112.

이러한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제1접속단자(210)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돌출부(220)가 형성된 면이 수직을 이룬다.In the first gender 200,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is formed and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 220 is formed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제1젠더(200)를 상기 제1단자홈(111)이 형성된 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1돌출부(220)가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210)가 상기 제1단자홈(111)에 삽입 배치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genders 200 ar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grooves 111, the first protrusions 2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s 112, 210 are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first terminal groove 111.

이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220)에 의해 임의로 상기 제1결합홈(1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When the first genders 20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110, the first genders 20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s 220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s 112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groov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210)가 상기 제1단자홈(111)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서 좌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groove 111, the first gender 200 does not fall in the left direction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을 밀어(또는 당겨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When separating the first gender 200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6, the back side of the first gender 200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It can be easily removed by pushing (or pulling).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결합홈(110)을 형성하여 삽입 배치할 수도 있다.The first joining recess 110 may be formed and inserted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gender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상기 제1젠더(200)를 파지하거나 가압할 수 있는 면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젠더(200)를 상기 제1결합홈(110)에서 분리하기 어렵다.However, if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gender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not grasp or press the first gender 200, 1 coupling grooves 11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enders 200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1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genders 200 protrude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110.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하우징(100)에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면 휴대단말기 커버의 휴대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젠더(200)가 다른 소지품이나 외부 물체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젠더(200)가 흔들리면서 휴대단말기(P)나 휴대단말기 커버를 손상시거나 상기 제1젠더(200)의 제1접속단자(2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first genders 200 protrude from the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enders 200 protruding to the outside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ver is carried can be caught by other belongings or external objects The first gender 200 protruded to the outside may be shaken and the portable terminal P or the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amaged or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of the first gender 200 may be damaged have.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젠더(200)가 돌출되지 않게 하고,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을 밀어(또는 당겨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first genders 200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1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genders 200 are not projected, It is preferable to push (or pull)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genders 30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genders 30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s 120.

상기 제2젠더(300)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310)가 형성된다.A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C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300.

상기 제2접속단자(310)는 USB단자가 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C)는 USB포트가 장착된 컴퓨터나 차량 등이 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may be a USB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C may be a computer or a vehicle equipped with a USB port.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접속단자(210)와 제2접속단자(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103)에 삽입되는 휴대단말기(P) 및 외부 전원공급장치(C)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are not limi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C). ≪ / RTI >

상기 제2접속단자(310)는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2단자홈(121)에 삽입된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groove 121 when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20.

그리고 상기 제2젠더(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122)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300)를 고정시키는 상기 제2고정홈(320)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genders 30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s 122 to fix the second genders 300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s 120, (Not shown).

이러한 상기 제2고정홈(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300)가 삽입되는 방향인 하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돌출부(122)가 삽입된다.4,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is open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is opened to insert the second protrusion 122 .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홈(320)은 상기 제2돌출부(12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grooves 32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s 122 by interference fit so that they are not disengaged.

이러한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제2접속단자(310)(310)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고정홈(320)가 형성된 면이 수직을 이룬다.The surface of the second gender 300 o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310 and 310 are formed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제2젠더(300)를 상기 제2단자홈(121)이 형성된 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2고정홈(320)에 상기 제2돌출부(122)가 삽입되고, 상기 제2접속단자(310)가 상기 제2단자홈(121)에 삽입 배치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genders 300 ar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groove 121, the second protrusion 1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31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groove 121.

이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제2고정홈(320)에 삽입된 상기 제2돌출부(122)에 의해 임의로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When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jection 122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And is not separated by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또한, 상기 제2접속단자(310)가 상기 제2단자홈(121)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우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Also, sinc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groove 121, the second gender 300 does not fall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300)를 분리할 때는 전술한 상기 제1젠더(200)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젠더(300)의 배면을 밀어(또는 당겨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When separating the second gender 300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he back side of the second gender 300,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first gender 200 described above, It can be easily removed by pushing (or pulling).

상기 전선(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electric wire 4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에 형성된 인출공(133)에 삽입된다.3 and 4, the electric wir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housing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arts 131, Out hole 133 formed in the base plate 132. [

그리고 상기 전선(400)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젠더(200)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400)의 타단은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젠더(300)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electric wire 400 protrudes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cable 400 protrudes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nder (300).

이러한 상기 전선(400)에는 스토퍼(401,402)가 장착된다.Stoppers 401 and 402 are mounted on the electric wire 400.

상기 스토퍼(401,402)는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 사이에 배치된 전선(400)에 장착되고, 제1스토퍼(401)와 제2스토퍼(402) 2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The stoppers 401 and 402 are mounted on a wire 4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arts 131 and 132 and include two first stoppers 401 and second stoppers 402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limit the drawing length of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젠더(200)를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400)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선(400)이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제1걸림부(131)에 상기 제1스토퍼(401)가 접하여 상기 제1젠더(200)의 인출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genders 200 are pulled apart from the first engagement grooves 110, the electric wires 400 are drawn out to the outside. When the electric wires 400 are drawn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stopper 40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enders 131, thereby limiting the length of the first genders 200.

또한, 상기 제2젠더(300)를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400)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선(400)이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제2걸림부(132)에 상기 제2스토퍼(402)가 접하여 인출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When the second gender 300 is detached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and pulled out, the electric wire 40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When the electric wire 400 is drawn out to a certain length, 13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402 to limit the drawing length.

본 실시예에 달리 상기 전선(400)에 상기 스토퍼(401,402)를 장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stoppers 401 and 402 may not be mounted on the electric wire 4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하지만 상기 전선(400)에 스토퍼(401,402)를 장착하지 않으면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 중 어느 하나를 계속 잡아당기면 다른 하나가 함께 당겨지게 된다.However, i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is continuously pulled out, the other one is pulled together if the stoppers 401 and 402 are not attached to the electric wire 400.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선(400)에 상기 스토퍼(401,402)를 장착하여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시 상기 스토퍼(401,402)가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상기 제2걸림부(132)에 접하여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s 401 and 402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ic wire 400 so that the stoppers 401 and 40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300 and 300 when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are pulled out, 131 and the second latching part 13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are independently drawn out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이와 같이 인출된 상기 제1젠더(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40)를 통해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P)에 전원 공급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하게 된다.The first gender 200 thus drawn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coupled to the receiving recess 103 through the connector 140 as shown in FIG. 7, and the second gender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C and supplies power and / or data to / from the portable terminal P. [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P)의 충전 케이블을 별도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휴대단말기(P)가 결합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젠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P)를 편리하게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P can be conveniently charged and / or transmitted / received using the gender of the portable terminal cover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without carrying the charging cable of the portable terminal P separately.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별도의 권취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전선(400)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nother winding mean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to allow the electric wire 400 to be drawn in or drawn out.

또한, 상기 스토퍼(401,402)는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젠더(200) 또는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s 401 and 402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so as to limit the drawing length of the first gender 200 or the second gender 3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03)에 휴대단말기(P)가 결합되고,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는 상기 제1젠더(200)와 외부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는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1결합홈(110) 및 제2결합홈(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기(P)의 외관을 보호하면서 휴대단말기(P)의 휴대 및 충전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이 편리하게 된다.The portable terminal P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03 and the first gender 200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and the second gender 200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C ar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P is carried and charged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while protec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P. [ It becomes convenient.

한편, 상기 제2젠더(300)에는 거치홈이 형성된다.In the meantime, the second genders 300 are formed with mounting grooves.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거치돌기(123)가 형성된다.The housing 100 has a mounting protrusion 123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상기 거치홈에 상기 거치돌기(123)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When the mount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second gen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so as to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100.

이와 같이 상기 거치홈에 상기 거치돌기(123)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하우징(100)을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를 거치하는 거치대로 사용시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genders 300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100 when the mounting protrusions 123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recesses so that the second genders 300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 For supporting the housing (100) when used as a cradle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P) coupled to the housing (100).

이러한 상기 거치홈은 상기 제2고정홈(320)으로 이루어진다.The mounting groove may include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상기 거치홈이 상기 제2고정홈(32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2고정홈(320)에 상기 제2돌출부(122)가 삽입 결합 되었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를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후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임으로 분리되지 않게 한다.When the second protrusion 1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by inserting the second gantry 300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econd genders 300 are not separated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s 12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s 120.

그리고 상기 제2고정홈(320)에 상기 거치돌기(123)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100)을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를 거치하는 거대로 사용시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When the fix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when the housing 100 is used as a giant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P coupled to the housing 100, 300 are coupled to the housing 100 so as to protrude rearward to support the housing 100.

상기 거치돌기(123)는 상기 제2결합홈(120)의 내측에 형성된다.The mounting protrusion 123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돌기(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홈(120)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2하우징(102)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protrusion 123 protrudes rearward from the second housing 102 exposed by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상기 거치돌기(123)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돌출부(122)가 형성된 면이 상호 수직을 이룬다.That is, as shown in FIG. 5 (b), the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o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23 is form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122 is formed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122)와 상기 거치돌기(123)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상기 제2젠더(3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홈(320)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다.The second protrusion 122 and the fixing protrusion 123 protrude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2 coupling groove 120,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상기 제2젠더(300)를 분리하여 상기 거치돌기(123)에 상기 제2고정홈(320)을 삽입하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하우징(100)을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8, the second gantry 3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23, 10, the second gender 300 protrudes rearward of the housing 100 to support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11, and the housing 100 is supported by the holder 100 .

또한, 상기 제2젠더(300)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돌기(123) 삽입되는 삽입홈(33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b), the second gender 3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330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홈(33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의 정면에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insertion groove 33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gender 300, as shown in FIGS.

이러한 상기 삽입홈(330)은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되었을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거치돌기(123)가 삽입된다.5 (b), when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he insertion groove 330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in the housing 100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rearward.

이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에 상기 삽입홈(3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돌기(123)를 상기 제2결합홈(120)에 형성하여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거치돌기(12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Since the insertion groove 330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rotrusion 123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so that the second gender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So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123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0.

이에 따라 상기 제2젠더(300)에 형성된 상기 제2고정홈(320)에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거치돌기(123)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제더를 필용에 따라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하거나 상기 하우징(100)을 거치대로 사용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saddle 30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protrusion or the protrusion 123 in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formed in the second gender 300 so that the second saddl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Or to support the housing 100 when the housing 100 is used as a cradl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거치홈이 상기 제2고정홈(320)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제2젠더(300)에 별도로 형성한 후, 상기 거치돌기(123)에 결합하여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하우징(100)을 거치대로 사용시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mounting groove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320 but may be separately formed in the second gender 300 and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123, May support the housing 100 when the housing 100 is used as a cradle.

또한, 상기 거치돌기(123)를 상기 제2결합홈(120) 내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다른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t another position of the housing 100 without being formed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거치돌기(123)를 상기 하우징(100)의 다른 곳에 돌출되게 형성하면, 상기 거치돌기(123)가 항시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휴대단말기 커버의 휴대가 불편하고 외관을 해치게 된다.However, if the mounting protrusion 123 protrudes from the housing 100 in the other direction, the mounting protrusion 123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0 at all times, The appearance is damaged.

따라서, 상기 거치돌기(123)를 상기 제2결합홈(120)에 형성하고, 상기 제2젠더(300)에는 상기 삽입홈(330)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을 거치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단말기 커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휴대 및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fixing protrusion 123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he insertion groove 330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300, and the housing 100 is not used as a cradle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over so as not to disturb the portable and external appearanc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1결합홈(110)도 상기 제2젠더(300)와 상기 제2결합홈(120)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젠더(200)도 상기 하우징(100)을 거치대로 사용시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first gender 200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gender 30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May also support the housing 100 when the housing 100 is used as a cradle.

이와 달리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구성을 서로 바꾸어서 상기 제1젠더(200)만 상기 하우징(100)을 거치대로 사용시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may be replac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gender 200 supports the housing 100 when the housing 100 is used as a cradle .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E-E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하우징(100), 제1젠더(200), 제2젠더(300) 및 전선(400)으로 이루어진다.12 to 14,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first gender 200, a second gender 300, and a wire 400, Lt; / RTI >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제1걸림부(131), 제2걸림부(132)가 다르게 형성되고, 인출공(133)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전선(400)에 스토퍼(401,402)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제1걸림부(131), 상기 제2걸림부(132)가 다른 형태로 형성되고, 제1가이드(134)와 제2가이드(135)가 형성되는 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arts 131 and 132 are differently form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lead-out hole 133 is not formed, The stoppers 401 and 402 are not formed on the wire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arts 131 and 132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in the housing 100, 134 and a second guide 135 are formed,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400)이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제1걸림부(131), 제2걸림부(132), 제1가이드(134) 및 제2가이드(135)가 형성된다.13 and 14, a first latching part 131, a second latching part 132, a first guide 134, and a second latching part 132 are formed in the housing 100 in which the electric wire 400 is disposed. A second guide 135 is formed.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제1하우징(101)의 배면에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31 and 132 are formed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housing 102 .

이러한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 사이에는 상기 전선(400)이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The electric wire 400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portions 131 and 132 to limit the pulling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

상기 제1가이드(134)는 상기 제1결합홈(110)에서 제1걸림부(131) 방향으로 상기 제1하우징(102)의 배면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된다.The first guide 134 is elong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art 131 from the first engaging groove 110 so that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And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s 102.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134)는 상기 제1결합홈(100)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400)을 가이드 하여 엉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guide 134 guides the electric wire 400 which is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100,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ic wire 400 from being entangled.

상기 제2가이드(135)는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제2걸림부(132) 방향으로 상기 제1하우징(102)의 배면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된다.The second guide 13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2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part 132 from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s 102.

이러한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400)을 가이드 하여 엉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guide serves to guide the electric wire 400, which is inserted into or drawn out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o prevent entanglement.

상기 전선(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electric wire 4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4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부분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 사이에 삽입고정된다.Specifically, the electric wir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housing 102 as shown in FIGS. 13 and 14, (131) and the second latching part (132).

그리고 상기 전선(400)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젠더(200)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400)의 타단은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젠더(300)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electric wire 400 protrudes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cable 400 protrudes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nder (300).

이러한 상기 전선(400)은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에 의해 중간부분이 삽입고정되어 각각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The middle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400 is inserted and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131 and 132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젠더(200)를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400)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선(400)이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 사이에 상기 전선(400)의 중간부분이 삽입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1젠더(200)의 인출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genders 200 are pulled apart from the first engagement grooves 110, the electric wires 400 are drawn out to the outside. When the electric wires 400 are drawn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131) and the second latching part (132), the length of the first genders (200) is limited.

또한, 상기 제2젠더(300)를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400)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선(400)이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 사이에 상기 전선(400)의 중간부분이 삽입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When the second genders 300 are pulled apart from the second engagement grooves 120, the electric wires 400 are drawn out to the outside. When the electric wires 400 are drawn out to a certain length, 131) and the second latching part (132), the lead length of the second genders (300) is limited.

그리고 상기 전선(400)이 상기 제1결합홈(110)과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때, 상기 제1가이드(134)와 상기 제2가이드(135)에 의해 가이드 되어 엉키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When the electric wire 400 is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the electric wire 400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134 and the second guide 135 It does not get tangled or twist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134)는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 되는 상기 전선(40)을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가이드 하여 상기 제1걸림부(131) 또는 상기 제2걸림부(132) 또는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인출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400)과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guide 134 guides the electric wire 40, which is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10,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100, Thereby preventing the wire 400 from being twisted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2 or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또한, 상기 제2가이드(135)는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 되는 상기 전선(40)을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가이드 하여 상기 제1걸림부(131) 또는 상기 제2걸림부(132) 또는 상기 제1결합홈(120)으로 인출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400)과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second guide 135 guides the electric wire 40 drawn or drawn into or out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first engaging part 131 or Thereby preventing the wire 400 from being twisted by the second engaging part 132 or the first engaging groove 120.

본 실시예에 달리 상기 전선(400)을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에 삽입고정 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electric wire 400 may not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arts 131 and 132,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하지만 상기 전선(400)을 고정하지 않으면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 중 어느 하나를 계속 잡아당기면 다른 하나가 함께 당겨지게 된다.However, if the electric wire 400 is not fixed, i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is continuously pulled, the other one is pulled together.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선(400)을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에 의해 고정되게 하여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시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electric wire 400 is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portions 131 and 132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are independently drawn out without affecting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during withdrawal.

본 실시예와 달리 공지의 기술 또는 상기 전선(400)의 중간부분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걸림부(131)와 상기 제2걸림부(132)를 다른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제1젠더(200) 또는 상기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first latching part 131 and the second latching part 132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to fix the middle part of the wire 400 to the first genders 200, Alternatively, the length of the second genders 300 may be limited.

본 실시예 2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제1걸림부(131), 제2걸림부(132)가 다르게 형성되고, 인출공(133)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전선(400)에 스토퍼(401,402)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제1걸림부(131), 상기 제2걸림부(132)가 다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134)와 상기 제2가이드(135)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400)의 연결상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같기에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rs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arts 131 and 132 are formed in the housing 100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nd the lead-out hole 133 is not formed, The first engaging part 131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132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within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guide 134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132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2 guides 135 are formed and on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wires 40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F-F선을 취해서 본 단면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하우징(100), 제1젠더(200), 제2젠더(300), 전선(400), 보조배터리(500) 및 제어부(600)로 이루어진다.15 and 16, a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a g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first gender 200, a second gender 300, a wire 400, An auxiliary battery 500, and a control unit 600.

본 실시예 3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제1걸림부(131), 제2걸림부(132), 인출공(133)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선(400)에 스토퍼(401,402)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보조배터리(500)와 상기 제어부(600)가 배치되는 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engaging part 131, the second engaging part 132 and the lead-out hole 133 are not formed in the housing 100, The stoppers 401 and 402 are not form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controller 600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상기 보조배터리(500)는 도 1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된다.The auxiliary battery 50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보조배터리(500)는 상기 휴대단말기(P)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auxiliary battery (500) supplies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P).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배터리(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P)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부족할 때, 상기 제1젠더(200)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P)에 전원을 공급한다.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nd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through the first gender 200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P is insufficient. .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보조배터리(500), 상기 제1젠더(200) 및 상기 제2젠더(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방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500,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즉, 상기 제어부(6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터리(500), 상기 제1젠더(200) 및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전선(4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400)을 흐르는 전원의 방향을 제어한다.16, the controller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uxiliary battery 500,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lectric wire 400 , And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power flow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400).

상기 제어부(600)가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by sens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stat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휴대단말기(P)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제어부(600)는 접속된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0)와의 연결은 단선시키고,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를 연결하여 상기 외부공급장치(C)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P)를 충전하게 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gender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and the second gender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C,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is disconnect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enders 200 and the second genders 300 is disconnected,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P) from the external supply device (C).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C)가 컴퓨터일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도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if the power supply C is a computer, the controller 600 contro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기(P)가 완 충전되면, 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2젠더(300)와 상기 보조배터리(500)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0)를 충전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P is fully charged, the controller 600 senses this state and connects the second gender 300 and the auxiliary battery 500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500 .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C)가 컴퓨터일 경우에는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데이터 송수신은 단선시키지 않고, 전원만 단선시켜 상기 휴대단말기(P)와 상기 전원공급장치(C)는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When the power supply unit C is a computer, the control unit 600 disconnection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P) and the power supply device (C) contro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기(P)가 완 충전되었을 때, 상기 전원공급장치(C)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P)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보조배터리(500)로 공급하여 보조배터리(500)를 충전하고, 상기 휴대단말기(P)와 상기 전원공급장치(C)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P is fully charged, the controller 600 supplies power to the auxiliary battery 500 without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P, The battery 500 is charged, and the portable terminal P and the power supply C contro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그리고 상기 제1젠더(200)만 상기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600)는 접속된 상기 제1젠더(200)의 접속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보조배터리(500)와 상기 제1젠더(200)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0)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P)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When only the first gender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the controller 600 sens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ed first gender 200,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to be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by connecting the first gender (200).

그리고 상기 제2젠더(300)만 상기 외부전원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젠더(300)의 접속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보조배터리(500)와 상기 제2젠더(300)를 연결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조배터리(50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When only the second gender 3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the controller 600 sens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cond gender 300 and then connects the auxiliary battery 500, (300)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C)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500).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외부 전원으로 상기 보조배터리(500)를 충전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500)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P)에 공급하거나, 외부 전원으로 상기 휴대단말기(P)를 충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P)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없을 때, 상기 보조배터리(500)로 상기 휴대단말기(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sens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500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P) to the portable terminal (P) or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P)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when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P)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한편, 상기 보조배터리(500)와 상기 제어부(6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전선(400)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상기 제1젠더(200) 및 상기 제2젠더(300)에 의해 상기 전선(400)이 인출되어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16,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controller 600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he electric wire 4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e electric wire 400 is drawn out by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so that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can be drawn out .

이때 상기 전선(400)은 상기 제어부(60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인출되면서 인출길이가 제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electric wire 4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200 and 300 are independently drawn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and the drawn length is limited.

본 실시예 3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제1걸림부(131), 상기 제2걸림부(132), 상기 인출공(133)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전선에 상기 스토퍼(401,402)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보조배터리(500)와 상기 제어부(600)가 장착되고, 상기 전선(400)의 연결상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같기에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latching part 131, the second latching part 132 and the extraction hole 133 are not form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stoppers 401 and 402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control unit 600 are moun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wire 40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제1젠더(200)와 상기 제2젠더(300)의 접속상태 및 상기 휴대단말기(P)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echnique for the controller 600 to detec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gender 200 and the second gender 300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terminal P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over having the g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우징 101 : 제1하우징 102 : 제2하우징
103 : 수용홈 110 : 제1결합홈 111 : 제1단자홈
112 : 제1고정홈 120 : 제2결합홈 121 : 제2단자홈
122 : 제2돌출부 123 : 거치돌기 131 : 제1걸림부
132 : 제2걸림부 133 : 인출공 134 : 제1가이드
135 : 제2가이드 140 : 연결구
200 : 제1젠더 210 : 제1접속단자 220 : 제1돌출부
300 : 제2젠더 310 : 제2접속단자 320 : 제2고정홈
330 : 삽입홈
400 : 전선 401 : 제1스토퍼 402 : 제2스토퍼
500 : 보조배터리 600 : 제어부
100: housing 101: first housing 102: second housing
103: receiving groove 110: first coupling groove 111: first terminal groove
112: first fixing groove 120: second coupling groove 121: second terminal groove
122: second protrusion 123: fixing protrusion 131: first fixing part
132: second latching part 133: lead-out hole 134: first guide
135: second guide 140: connector
200: first gender 210: first connection terminal 220: first protrusion
300: second gender 310: second connection terminal 320: second fixing groove
330: insertion groove
400: wire 401: first stopper 402: second stopper
500: auxiliary battery 600: control unit

Claims (7)

삭제delete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젠더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젠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젠더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거치돌기에 삽입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2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홈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젠더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은 상기 제2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홈에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거치돌기 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front;
A first gen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second gen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wi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 ≪ / RTI >
Wherein the first gender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the second gender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connector opening to connect the first gender 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A moun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Wherein the second gender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jection,
When the mount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second gender is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gender is inserted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A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Wherein the first gender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to fix the first gender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A second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A second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second gender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Wherein the mounting groove comprises the second fixing groove,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rear of the housing or the second protrus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개방 형성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에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이 삽입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젠더 및 제2젠더는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서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돌출형성된 상기 거치돌기가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젠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are formed to open rearward of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e first and second gender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cond genders are mounted to protrude rearward of the housing when the moun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젠더에는 제1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1단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젠더에는 제2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2단자홈이 형성되되,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제2결합홈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젠더는 상기 제1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젠더는 상기 제2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젠더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2젠더에서 상기 제2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고정홈이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2결합홈에서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면과 상기 거치돌기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제1결합홈에 상기 제1젠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형성되어 상기 제1젠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제2젠더의 측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가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 또는 상기 거치돌기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홈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젠더의 전면에는 상기 거치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from the first gender,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groove is formed with a first terminal groove that is opened to insert and dispos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from the second gender,
A second terminal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and disposed,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The first gend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groove is formed,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groove is formed,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ojection is formed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first gender,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in the second gender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fixing groove is formed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rein a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and a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so as to be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ender is inserted, and the first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ender is inserted,
The second fixing groov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projection or the fixing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ender and protru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nd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wherein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ender.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걸림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는 각각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선에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접하여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 first engag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gaging reces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gaging recess are formed in the housing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disposed,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a draw-out hole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nd the electric wi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 stopper which limits the drawing length of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Wherein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gender.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서로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서 상기 제1걸림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결합홈에서 상기 제2걸림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고,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제1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결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입되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side the housing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disposed,
A first guide formed to be lo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a second guide lo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to limit the drawing length of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Wherein the first guide guides the electric wire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uides the electric wire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Covered mobile handset.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와;
상기 보조배터리, 상기 제1젠더 및 상기 제2젠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젠더와 상기 제2젠더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외부 전원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외부 전원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거나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 auxiliary battery mounted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to control a direction of a power sourc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sens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gender and the second gender and charges the auxiliary battery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or supplies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portable terminal or charges the portable terminal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data.
KR1020120126069A 2012-11-08 2012-11-08 Portable device with gender KR101417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69A KR101417739B1 (en) 2012-11-08 2012-11-08 Portable device with g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69A KR101417739B1 (en) 2012-11-08 2012-11-08 Portable device with ge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23A KR20140059523A (en) 2014-05-16
KR101417739B1 true KR101417739B1 (en) 2014-08-06

Family

ID=5088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069A KR101417739B1 (en) 2012-11-08 2012-11-08 Portable device with ge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7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124B1 (en) * 2016-09-13 2018-10-15 조성기 Auxiliary apparatus for smart device
US11742627B2 (en) 2018-12-04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adapter comprising connector connected to externally extendable c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943A (en) * 2004-02-19 2004-12-13 주식회사 라임전자 Mobile phone with USB interface
KR20070020789A (en)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KR20110002938U (en) * 2009-09-16 2011-03-23 박재복 Recharging Battery Built in Protecting Case for Mobile Phone
KR20120031654A (en) * 2010-09-27 2012-04-04 홍지화 Case of portable devic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gen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943A (en) * 2004-02-19 2004-12-13 주식회사 라임전자 Mobile phone with USB interface
KR20070020789A (en)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KR20110002938U (en) * 2009-09-16 2011-03-23 박재복 Recharging Battery Built in Protecting Case for Mobile Phone
KR20120031654A (en) * 2010-09-27 2012-04-04 홍지화 Case of portable devic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ge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124B1 (en) * 2016-09-13 2018-10-15 조성기 Auxiliary apparatus for smart device
US11742627B2 (en) 2018-12-04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adapter comprising connector connected to externally extendabl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23A (en)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3856B2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keychain assembly with carabiner clip
US8491330B2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keychain assembly with carabiner clip
US20080174265A1 (en) Battery charger
US9882595B2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EP1729487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KR20140004290U (en)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CA3082595A1 (en) Electrical distribution unit with retractable cord
KR200484178Y1 (en) Multi-Charging System
KR101417739B1 (en) Portable device with gender
KR101331165B1 (en) Portable device with gender
CN212304809U (en) Mobile power supply assembly
CN206962478U (en) A kind of data storage and charging while article-storable portable mobile equipment
CN205377388U (en) Charger is accomodate to an organic whole
CN214412321U (en) Charging storage box of neck massager
CN211557313U (e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and electronic product assembly
KR101483780B1 (en) Portable charger for mobile device
CN210868102U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harging Bluetooth headset
KR20110062038A (en) Potable power supply device with one body type
CN212162850U (en) Portable mobile power supply
CN211208833U (en) Connecting seat and mobile phone support with same
CN212304807U (en) Mobile power supp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221305125U (en) Mobile power supply
CN216146122U (en) Multifunctional emergency charger for travel
CN218473394U (en) Teacher uses megaphone
CN217427271U (en) Portable data line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