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638B1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638B1
KR101415638B1 KR1020130001795A KR20130001795A KR101415638B1 KR 101415638 B1 KR101415638 B1 KR 101415638B1 KR 1020130001795 A KR1020130001795 A KR 1020130001795A KR 20130001795 A KR20130001795 A KR 20130001795A KR 101415638 B1 KR101415638 B1 KR 10141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martphone
radio
transceiver
d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0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6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walkie-talkie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walkie-talkie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which provide a walkie-talkie service by realizing a walkie-talkie terminal capable of being used as a walkie-talkie by installing, by a user, a walkie-talkie application on a user smartphone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to a docking device through local area communications, and by performing communications between the walkie-talkie terminal and a control server over not a trunked radio system (TRS) network bu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alizing a walkie-talkie terminal used as a walkie-talkie by installing, by a user, a walkie-talkie application on a user smartphone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to a docking device, and by performing communications between the walkie-talkie terminal and a control server over not a TRS network bu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a smartphone, a walkie-talki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busying a walkie-talkie.

Description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본 발명은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킹장치와 결합시켜 무전기처럼 이용할 수 있는 무전단말기를 구현하고,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전단말기와 제어서버 간의 통신을 구현하여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 phone, A docking device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by implementing communication between a radio terminal and a control server through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a smart phone rather than a TRS (Trunked Radio System) A system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smartphon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미국의 모토롤라 사가 2012년 한국에서 발표한 세계최초의 스마트폰 무전기인 모델명 더블비(Double V)라는 상용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스마트폰과 무전기의 하드웨어를 하나의 하드웨어로 결합하였으며, 스마트폰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앱(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을 탑재하였다. 이 제품은 스마트폰의 여타의 앱을 사용하며 동시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There is a commercial technology called Double V, the world's first smartphone radio announced by Motorola in the US in Korea in 2012. The technology combines the hardware of the existing smartphone and the radio into a single piece of hardware and incorporates an app (software, called "application") that enables the smartphone to use a radio. It is designed to use other apps on the smartphone and to use the radio at the same time.

이 제품은 전통적인 산업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무전기의 기능을 스마트폰에 부가한 제품이다. 이 기술에서 스마트폰은 3세대(3G) 및 WCDMA 통신망에 연결되어 사용하고, 무전기는 아이덴(Iden)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을 사용한다. This product is a product that adds the functionality of a walkie-talkie that is widely used in a traditional industrial field to a smart phone. In this technology,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the third generation (3G) and WCDM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ransceiver adopts the Iden communication method and uses the TRS (Trunked Radio System) network.

무전기가 스마트폰과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일대다(一對多)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과 푸쉬투토크(PTT, Push-To-Talk) 방식의 사용법이다. 이 기술은 무전기를 사용할 때 지정된 사용자끼리 일대다 통신을 하며, 전국 무전통화로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무전기의 소프트웨어를 업무용 앱과 연동시킬 경우, 기존의 무전기와는 달리 업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a smartphone and a walkie-talkie is that it allows one-to-many communication and the use of push-to-talk (PTT). Th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when users use a walkie-talkie,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e-to-one, and can reduce the communication cost by nationwide radio call. Especially, when the software of the radio is linked with the business application,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usiness unlike the conventional radio.

그러나 상기의 더블비라는 상용기술에 포함된 스마트폰은, 카메라의 성능과 사진의 품질이 낮아서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품에 적용된 CPU(퀄컴 MSM8655, 1.2GHz), 플래시 메모리(4G), 램 메모리(1G), 액정화면(4.3인치, 960X540픽셀) 등의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조차도 여타 제조사(미국 애플, 한국 삼성전자, 엘지전자 등)의 첨단 스마트폰과 비교할 경우, 부족한 점이 많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Double Vira is a complaint of a user of a smartphone included in a commercial technology because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and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 are low. Not only hardware such as CPU (Qualcomm MSM8655, 1.2GHz), flash memory (4G), RAM memory (1G), LCD screen (4.3 inch, 960x540 pixels)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etc.) compared to the advanced smartphone, there are many deficiencies.

이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무전기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of the radio while using the smartphone used by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킹장치와 결합시켜 무전기처럼 이용할 수 있는 무전단말기를 구현하고,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전단말기와 제어서버가 서로 통신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무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diotelephone system in which a radio communic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smart phone used by a user, ) System that enables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the smartphone rather than the network, thereby providing a walkie-talkie service without purchasing the walkie-talki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이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전단말기 및 각 무전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어서버는, 무전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제1 무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하고,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각 무전단말기는, PTT(push to talk) 버튼이 눌리는 동안에만 스마트폰의 마이크에서 생성된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시켜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제어서버로부터 제2 무전기신호가 수신되면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도킹장치에 내장된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제어서버와 스마트폰은 TRS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연결되고, 스마트폰에는 도킹장치와의 통신 및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dio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connected to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to each radio terminal by radio communication to provide a radio service , The control server receive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voice signal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from the radio terminal and searches the group database by the unique number contain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Extracting a radio group consisting of an originating smartphone and an originating smartphone and a receiving smartphone for radio communication with a calling smartphone, generating a second radio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adio signal, And each radiotelephone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only when the push to talk (PTT) button is press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irst radio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second radi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e second radio signal is extracted from the second radio signal, The control server and the smartphone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t least one of the 3G, 4G, WCDMA, and WiFi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ed by the smart phone, not the TRS network. A radio application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is install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 데이터베이스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정보에 따라 새로운 스마트폰을 무전기그룹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스마트폰의 무전기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roup database may register the new smartphone in the radio group or change the radio group of the registered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administrator.

바람직하게는, 각 무전단말기의 스마트폰은,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을 더 포함시켜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제1 무전기신호에 수신목록이 포함된 경우, 제어서버는 수신목록의 수신 스마트폰과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한 발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고, 수신목록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martphone of each radio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reception list including the unique number of each receiving smart phon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stored contacts, to generate a first radio signal, When the reception list is included, the control server creates a radio group consisting of the reception smartphone of the reception list and the originating smartphone that generated the first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radio signal to each reception smartphone of the reception list .

바람직하게는, 각 무전단말기의 스마트폰은,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무전기그룹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를 더 포함시켜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제1 무전기신호에 그룹아이디가 포함된 경우, 제어서버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그룹아이디를 이용하여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martphone of each radio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group ID for the radio group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radio groups to generate a first radio signal, and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a group ID If so, the control server can extract a walkie-talkie and a walkie-talkie group consisting of the receiving smartphone to talk to the calling smartphone and the calling smartphone using the unique number and the group ID contained in the first walkie-talkie signal.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이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전단말기 및 각 무전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전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도킹장치는, PTT(push to talk)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b) 도킹장치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은,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c) 도킹장치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은,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제1 무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제어서버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e) 제어서버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f)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은,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로 상기 추출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g)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과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서버와 스마트폰은 TRS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연결되고, 스마트폰에는 도킹장치와의 통신 및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dio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connected to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to each radio terminal through radio communication to provide a radio service, (A) generating a PTT signal while a push to talk (PTT) button is press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TT signal to a smart phone connected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 converting a micro-input sound into a voice signal only when a PTT signal is received, the smart phone being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by close range communication; (c) generating a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a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d) The control server searches the group database by the unique number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extracts a transceiver group composed of a calling smart phone transmitting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a calling smart phone communicating with the calling smart phone step; (e) generating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of the receiving smart phones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f) the smartphone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extracts the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to the docking device connec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g) amplify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speaker, wherein the d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that receive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es a controller and a smart phone, And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at least one of 3G, 4G, WCDMA, and WiFi, and the smart phone is provided with a radio applic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ck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smart phone.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above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킹장치와 결합시켜 무전기처럼 이용할 수 있는 무전단말기를 구현하고,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전단말기와 제어서버가 서로 통신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무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telephone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smart phone used by a user, and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being used as a walkie-talkie by combining with a docking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is implemented. By implementing the radio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the smartphone, the radio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purchasing a radi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제1 및 제2 무전기신호의 송수신 및 무전기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서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무전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스마트폰과 도킹장치 간의 페어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스마트폰과 제어서버 간의 인증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st and second transceiver signals and extracting a transceiver group;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erver in a radio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adio termina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pairing process between a smartphone and a docking devic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between a smartphone and a control server;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or changing a radio group;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각자 사용하는 스마트폰(130_1~130_n)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킹장치(140_1~140_n)와 결합시켜 무전기처럼 이용할 수 있는 무전단말기(120_1~120_n)를 구현하고,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전단말기(120_1~120_n)와 제어서버(110) 간의 통신을 구현하여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radio terminals 120_1 to 120_n which can be used like a radio by combin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by installing a radio application in each of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A docking device and a smart phone, which provide a radio service by implemen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radio terminals 120_1 to 120_n and the control server 1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a smart phone, rather than a network (Trunked Radio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 radio service.

도 1을 참조하면,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어서버(110) 및 복수의 무전단말기(120_1~120_n)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transceiv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 control server 110 and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120_1 to 120 - n.

본 발명에서 무전단말기(120_1~120_n)는 스마트폰(130_1~130_n) 및 스마트폰이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도킹장치(140_1~140_n)가 결합된 것으로서,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종래의 무전기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장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s 120_1 to 120_n are combined with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and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to which the smart phone can be detachably installed, and are provided with TRS (Trunked Radio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device that provides the same function as a conventional radio function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a smartphone rather than a network.

스마트폰(130_1~130_n)은 각 사용자들의 음성을 포함하는 무전기신호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환함으로써 상호 간에 무전 통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킹장치(140_1~140_n)는 내장된 PTT 버튼이 눌리면 PTT 신호를 장착된 스마트폰(130_1~130_n)으로 송신하고, 무전기 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스마트폰(130_1~130_n)으로부터 제공받아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확장모듈을 통해 무전기 기능 외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perform radi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exchanging radio signals including voices of respective user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built-in PTT button is pressed,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transmit the PTT signal to the installed smartphones 130_1 to 130_n, and the voice signals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r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Output through high-output speakers,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other than the radio function through the expansion module.

각 무전단말기(120_1~120_n)의 도킹장치(140_1~140_n)는 PTT(push to talk) 버튼을 내장하고 있다. PTT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도킹장치(140_1~140_n)는 PTT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PTT 신호를 도킹장치(140_1~140_n)에 장착된 스마트폰(130_1~130_n)으로 전송한다.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of each of the radio terminals 120_1 to 120_n include a push to talk (PTT) button.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generate a PTT signal and transmit the generated PTT signal to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mounted on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PTT 버튼은 무전기에서의 PTT(push to talk) 기능을 위한 버튼이다. PTT 기능이란 무전기에 구현되는 기능으로서, 전화와는 달리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는 동안만 소리를 전송하는 기능이다.The PTT button is for push-to-talk (PTT) function on the radio. The PT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is implemented on the transceiver, and unlike a telephone, it transmits sound only while the user presses the PTT button.

각 도킹장치(140_1~140_n)에 구비된 PTT 버튼은, PTT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음성을 송신하고, PTT 버튼을 놓으면 음성을 수신만 하는 종래의 무전기 PTT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송신할 필요가 없는 음성조차도 항상 송신되는 스마트폰이나 휴대폰과는 상이한 점이다. The PTT button provided in each of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provides the same function as a conventional radio PTT button that transmits voice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and only receives voice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This is different from a smart phone or a mobile phone, which always transmits voice even when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스마트폰(130_1~130_n)이란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된 지능형 휴대전화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30_1~130_n)에는 무전기 기능 및 그 외의 부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The smart phones 130_1 to 130_n are intelligent mobile phones to which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are added, and various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can be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are provided with a radio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radio function and other additional functions.

각 스마트폰(130_1~130_n)은 동일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스마트폰들과 서로 무전 통화하는 무전기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에 의해 PTT 버튼이 눌리면 PTT 버튼이 눌린 스마트폰에서 제1 무전기신호가 생성된다. 이하에서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발신 스마트폰이라고 정의하고, 후술할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을 수신 스마트폰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스마트폰(130_1~130_n) 상호 간에 무전 통화를 수행하는 무전기그룹은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스마트폰과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Each of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performs a radio function of making a radio communication with smartphones belonging to the same radio group.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s generated in the smartphone in which the PTT button is pressed. Hereinafter, a smartphone transmitting a first radio signal is defined as a calling smart phone, and at least one smart phone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is defined as a receiving smart phone. Therefore, the radio group performing the radio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is composed of a calling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and a receiving smart phone for receiving the second radio signal.

본 발명에서, 제1 무전기신호란 각 스마트폰(130_1~130_n)에서 제어서버(110)로 전송되는 신호로서,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제1 무전기 신호는 도킹장치(140_1~140_n)에 내장된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에만 각 스마트폰(130_1~130_n)에서 생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to the control server 110, and includes a voice signal and a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s generated in each of the smartphones 130_1 through 130_n only while the PTT button embedded in the docking devices 140_1 through 140_n is depressed.

제2 무전기신호란 제어서버(110)에서 스마트폰(130_1~130_n)으로 전송되는 신호로서, 제1 무전기 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한다. 제2 무전기신호에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와 동일한 음성신호가 포함되어 있다.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110 to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and includes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es the same voice signal as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스마트폰(130_1~130_n)은 도킹장치(140_1~140_n)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마이크에서 생성된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1 무전기신호를 제어서버(110)로 전송한다.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generate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voice signal generated in the microphone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only while receiving the PTT signal from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1 radio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제1 무전기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발신 스마트폰이 속하는 무전기그룹을 추출한다. 추출된 무전기그룹은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를 수행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Upon receipt of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he control server 110 searches the group database with the unique number of the originating smartphone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extract the transceiver group to which the originating smartphone belongs. The extracted radio group is composed of an originating smartphone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and a receiving smart phone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originating smartphone.

그리고 나서,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무전기신호를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Then, the control server 110 generates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of the receiving smart phones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한편, 발신 스마트폰 및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란 각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및 스마트폰의 시리얼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unique numbers of the originating smartphone and the receiving smart phone ar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smart phone, and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hone number of the smart phone and the serial number of the smart phone.

도 2는 제1 및 제2 무전기신호의 송수신 및 무전기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st and second transceiver signals and extracting a transceiver group.

각 스마트폰(130_1~130_n)은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무전기그룹에 속한다.Each of the smartphones 130_1 to 130_n belongs to at least one of the radio groups.

각 스마트폰은 그룹#1 내지 그룹#n이라는 무전기그룹 중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며, 각 무전기그룹은 고유한 그룹아이디를 가진다.Each smartphone belongs to at least one group of radio groups named group # 1 to group # n, and each radio group has a unique group ID.

예를 들어, 그룹#1에 속한 어느 하나의 발신 스마트폰(그룹#1의 120_1, 120_T)이 제1 무전기신호를 제어서버(110)로 전송하면,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서버(110)는 각 스마트폰과 무전기그룹과의 대응관계가 저장된 그룹 데이터베이스(114)를 검색하여 발신 스마트폰이 속하는 무전기그룹인 그룹#1을 추출한다.For example, when one of the outgoing smartphones 120_1 and 120_T of the group # 1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the control server 110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Extract the unique number of the originating smartphone included. Then, the control server 110 searches the group database 114 in which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smartphone and the radio group is stored, and extracts the group # 1, which is the radio group to which the calling smart phone belongs.

그리고 나서,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무전기신호를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그룹#1의 120_1, 120_T)을 제외하고 그룹#1에 속한 모든 수신 스마트폰(120_2~120_n, 120_R)들로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한다. Then, the control server 110 generates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the calling smart phone (group # 1 And transmit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all the receiving smartphones 120_2 ~ 120_n, 120_R belonging to the group # 1 except for the first 120_1 and the 120_T of the second group.

한편,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그룹#1의 120_2)이 도킹장치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스마트폰(120_2)는 제1 무전기신호를 제어서버(110)로 전송하고, 제어서버(110)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그룹#1의 수신 스마트폰(120_1, 120_3~120_n)들로 전송한다.Meanwhile, any one smartphone (group # 1 120_2)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can generate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fter receiving the PTT signal from the docking device. In this case, the smartphone 120_2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and the control server 110 generate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receive the receiving smart phones 120_1, 120_3 to 120_n ).

그룹#2에 속한 어느 하나의 발신 스마트폰(그룹#2의 120_1, 120_T)이 제1 무전기신호를 제어서버(110)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다. The same is true when any one of the calling smart phones 120_1 and 120_T of the group # 2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전단말기(120_1~120_n), 스마트폰(130_1~130_n), 도킹장치(140_1~140_n)는 각각 하나의 무전단말기(120), 스마트폰(130), 도킹장치(140)로 표시하도록 한다.The wireless terminals 120_1 to 120_n, the smart phones 130_1 to 130_n and the docking devices 140_1 to 140_n may be connected to one wireless terminal 120, a smart phone 130, a docking device 140).

한편 제1 무전기신호는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ile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group ID for the transceiver group.

각 스마트폰(130)에는 무전기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무전 통화할 수 있는 복수의 무전기그룹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130)에 복수의 무전기그룹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무전기그룹 중에서 무전 통화하고자 하는 무전기그룹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가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다. Each of the smartphones 130 may have a plurality of radio groups capable of radi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a radio function. When a plurality of radio groups are stored in the smartphone 130, the user can select a radio group to be radio-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radio groups, and the group ID for the radio group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first radio signal .

제1 무전기신호에 그룹아이디가 포함된 경우,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그룹아이디로 그룹 데이터베이스(114)를 검색하여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바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무전기신호를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들로 즉시 전송한다.If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a group ID, the control server 110 searches the group database 114 with the group ID included in the first radio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smart phone or the receiving smart phone Can be directly extracted. The control server 110 then generates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immediately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receiving smartphone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한편, 제1 무전기신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들 중에서 무전기 기능을 이용하여 무전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단말들을 직접 선택함으로써 무전기그룹을 스스로 결정하고, 결정된 무전기그룹의 수신 스마트폰들과 무전기 기능을 이용하여 무전 통화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reception list including a unique number of at least one receiving smartphone. In this embodiment, the user himself / herself decides the radio group by directly selecting the reception terminals to which the user desires to make a radio call using the radio function among the contacts stored in his / her smart phone, and the reception smart phones of the determined radio group and the radio Function can be used to make a radio communication.

제1 무전기신호에 수신목록이 포함된 경우,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수신목록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고, 수신목록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a reception list, the control server 110 generates a radio group consisting of an originating smartphone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and each receiving smartphone of the reception list, And transmit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the smartphone.

도 3은 본 발명에서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erver in a radio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서버(110)는 수신부(111), 고유번호 추출부(112), 무전기그룹 추출부(113), 그룹 데이터베이스(114), 발신부(115), 발신확인부(116), 재송신부(117), 인증부(118), 설정부(119)를 포함한다.3, the control server 110 includes a reception unit 111, a unique number extraction unit 112, a radio group extraction unit 113, a group database 114, a transmission unit 115, a transmission confirmation unit 116 A retransmission unit 117, an authentication unit 118, and a setting unit 119. [

수신부(111)는 각 무전단말기(120)들로부터 제1 무전기신호를 수신한다. 제1 무전기신호는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전기그룹의 그룹아이디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1 receive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from each radio terminal 120.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es a unique number and a voice signal of the originating smartphone an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receiving list including the group ID of the radio group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unique number of each receiving smart phone selected by the user .

수신부(111)에서 제1 무전기신호가 수신되면, 고유번호 추출부(112)는 제1 무전기신호로부터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고유번호를 무전기그룹 추출부(113)로 제공한다.Whe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s received in the receiver 111, the unique number extractor 112 extracts the unique number of the originating smartphone from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provides the extracted unique number to the transceiver group extractor 113.

무전기그룹 추출부(113)는 추출한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114)를 검색하여 추출한 고유번호를 가지는 발신 스마트폰이 속하는 무전기그룹을 추출한다. 추출한 무전기그룹은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The radio group extracting unit 113 searches the group database 114 by the extracted unique number and extracts the radio group to which the calling smartphone having the extracted unique number belongs. The extracted walkie-talkie group is composed of an originating smartphone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and at least one receiving smart phone for mak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originating smart phone.

전술한 것처럼 제1 무전기신호에 무전기그룹의 그룹아이디 및 수신목록 중의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있으면, 무전기그룹 추출부(113)는 제1 무전기신호로부터 무전기그룹을 바로 추출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es any of the group ID and the reception list of the transceiver group, the transceiver group extractor 113 directly extracts the transceiver group from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그룹 데이터베이스(114)는 각 스마트폰(130)과 무전기그룹과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스마트폰(130)에 대한 고유번호, 각 스마트폰이 속하는 무전기그룹, 각 무전기그룹에 대한 무전기그룹 아이디를 각 무전기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The group database 114 store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smart phone 130 and a radio group and includes a unique number for each smart phone 130, a radio group to which each smart phone belongs, The transceiver group ID is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transceiver group.

발신부(115)는 수신한 제1 무전기신호를 기초로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무전기그룹 추출부(113)에서 추출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으로는 제2 무전기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The transmitting unit 115 generates a second transceiver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receiving smart phone belonging to the transceiver group extracted by the transceiver group extracting unit 113. [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alling smart phone which transmitted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여기서, 제2 무전기신호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며, 무전 통화하고자 하는 무전기그룹에 대한 무전기 아이디 및 수신목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es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ceiver ID and a reception list for a transceiver group to be wirelessly communicated.

각 스마트폰(130)은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제어서버(11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발신확인부(116)는 각 수신 스마트폰이 전송한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Each smartphone 1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rresponding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when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Corresponding to this, the call confirming unit 116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properly transmitted to each receiving smartphone of the transceiver group by receiving the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receiving smart phone.

발신확인부(116)는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확인신호를 수집하고, 제어서버(110) 측으로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수신 스마트폰을 확인한다. 제어서버(110) 측으로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수신 스마트폰은 통화지역을 이탈해 있거나 음영지역에 있어서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The origination confirmation unit 116 collects the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from each reception smartphone and identifies the reception smartphone that has not transmitted the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sid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ceiving smartphone which has not transmitted the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has not received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n the case of departing from the talking area or in the shaded area.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수신 스마트폰 중에서 제2 무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이 통신연결되는 경우, 재송신부(117)는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를 재송신한다.When a smart phone that does not transmit the acknowledg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among the receiving smart phones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the retransmission unit 117 transmit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

인증부(118)는, 스마트폰(130)이 제어서버(110)에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 스마트폰(130)의 고유번호와 그룹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폰(13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30)의 무전기그룹을 확인한다.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그룹 데이터베이스(114)에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폰(130)은 제어서버(110)에 접속하여 무전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The authenticating unit 118 compares the unique number of the smartphone 130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roup database 114 when the smartphone 130 accesses the control server 110 for the first time, And confirms the transceiver group of the smartphone 130. If the unique number of the smartphone does not exist in the group database 114, the smartphone 130 can not access the control server 110 and perform the radio function.

설정부(119)는 그룹 데이터베이스(114)에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정부(119)는 제어서버(11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나 각 스마트폰에서 입력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그룹 데이터베이스(114)에 새로운 스마트폰(130)을 특정 무전기그룹으로 등록하거나, 등록된 스마트폰(130)의 무전기그룹을 변경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The setting unit 119 stores new information in the group database 114 or updates stored information. The setting unit 119 registers the new smartphone 130 as a specific radio group in the group database 114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r of the control server 110 or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each smartphone, A role of changing the radio group of the registered smart phone 130, and the like.

도 4는 무전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adio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무전단말기(120)는 스마트폰(130)과 스마트폰(130)이 장착될 수 있는 도킹장치(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terminal 120 includes a docking device 140 on which a smartphone 130 and a smartphone 130 can be mounted.

스마트폰(130)은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 근거리통신부(132), 이동통신부(133), 마이크(134), 배터리(135),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36)를 포함한다.The smartphone 130 includes a transceiver application 131,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ection 132, a mobile communication section 133, a microphone 134, a battery 135, and a universal serial bus (USB)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무전기 기능 및 그 외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 예를 들어 바코드 인식, RF(radio frequency) 인식, 및 신용카드 인식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들로 구성되며, 도킹장치(140)와의 통신 및 스마트폰(13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이 실행되면, 스마트폰(130)은 근거리통신부(132)를 통해 도킹장치(140)와 통신하며 무전기 기능 및 그 외의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is comprised of control programs for radio function and various othe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barcode recognition, radio frequency (RF) recognition, and credit card recognition, And controls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mart phone 130. When the walkie-talkie application 131 is executed, the smart phone 130 communicates with the docking device 140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and performs the walkie-talkie function and other additional functions.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의 그룹설정부(13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전기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를 기초로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The group setting unit 1312 of the radio application 131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radio group or may create or change a radio group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또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의 그룹설정부(13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정보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수신목록은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되어 제어서버(110)로 전송된다.In addition, the group setting unit 1312 of the radio application 131 may generate a reception list including unique numbers of the respective reception smartphone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tored contacts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have. The generated reception list is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110.

또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의 그룹설정부(131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정보로 특정 무전기그룹에 새로운 스마트폰을 편입하거나 특정 무전기그룹에서 특정 스마트폰을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setting unit 1312 of the radio application 131 may incorporate a new smartphone into a specific radio group or delete a specific smartphone from a specific radio group with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또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의 그룹설정부(1312)는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무전기그룹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를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시켜 제어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setting unit 1312 of the radio application may include the group ID of the radio group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radio groups in the first radio signal, and transmit the group ID to the control server 110.

스마트폰(13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이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는 무전기그룹의 생성, 기존 무전기그룹의 변경 및 복수의 무전기그룹 중에서 무전 통화하고자 하는 무전기그룹의 선택을 위한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GUI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무전기그룹의 생성, 변경, 또는 선택 작업이 수행된다.Throug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provided by the radio application 131 of the smartphone 130, a user can create a radio group, change an existing radio group, and select a radio group Can be input. The creation, modification, or selection of the radio group is perform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GUI.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의 확장모듈 제어부(1311)는 확장모듈(148)이 독출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바코드, RF 카드, 또는 신용카드와 관련된 처리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의 확장모듈 제어부(1311)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3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 무전기신호를 이동통신부(133)를 통해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extension module control unit 1311 of the radio application 131 can drive a processing program related to a bar code, an RF card, or a credit card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ad by the extension module 148. [ The extension module control unit 1311 of the radio application 131 may generate a third radio signal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third radio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3. [

근거리통신부(132)는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30)과 도킹장치(140)를 통신연결시켜주는 구성요소이다. 근거리통신부(132)는 도킹장치(140)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하고, 도킹장치(140)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근거리통신부(132)는 도킹장치(140)로부터 확장모듈(148)이 독출한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is a component that communicatively connects the smart phone 130 and the docking device 140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2 receives the PTT signal from the docking unit 140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docking unit 140. Als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can receive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ad by the extension module 148 from the docking device 140. [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30)의 근거리통신부(132)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도킹장치(1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통신부(132)는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예를 들어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및 지그비(Zigbee)를 포함하는 현행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및/또는 향후 스마트폰(130)에 구비되는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도킹 장치(140)의 근거리통신부(142)와 통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2 of the smartphone 13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docking unit 140 using Bluetoo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an infrared ray communication, a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 wireless LAN, a Wi- And at least one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mong all kinds of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cluded in the future smart phone 130, and /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42.

근거리통신부(132)가 도킹장치(140)의 근거리통신부(142)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페어링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페어링은 도킹장치(140)에 있는 페어링 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to be connected to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42 of the docking apparatus 140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the pair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by a pairing button (not shown) . ≪ / RTI >

이동통신부(133)는 제어서버(110)와 통신하는 구성요소로서,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서버(110)로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하고, 제어서버(110)로부터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이동통신부(133)는 제어서버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3 무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3 is a component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3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using at least one of 3G, 4G, WCDMA, and WiFi, And receives a second transceiver signal from the server 110. 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3 can transmit the thir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제1 무전기신호란 하나의 스마트폰(130)에서 제어서버(110)로 전송되는 신호로서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도킹장치(140)에서 PTT 버튼(1431)이 눌리는 동안만 스마트폰(130)의 마이크(134)를 통해 입력된 음성만이 제1 무전기신호에 실린다.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one smartphone 130 to the control server 110, and includes a voice signal and a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Only the voice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134 of the smartphone 130 is loaded o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only while the PTT button 1431 is depressed in the docking device 140. [

제2 무전기신호란 제어서버(110)에서 스마트폰(130)으로 전송되는 무전기 신호를 의미하며, 제2 무전기신호에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means a transceiv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110 to the smartphone 130, and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es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도킹장치(140)로부터 PTT 신호가 수신되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로부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부(133)에서 제2 무전기신호가 수신되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신호를 근거리통신부(132)를 통해 도킹장치(140)로 전달한다.When the PT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ocking device 140,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generates a first transceiver signal from the micro-input sound only while the PTT signal is received. When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receiv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3,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extracts the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to the docking device 140 through the short- .

이러한 동작을 위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근거리통신부(132)를 통해 PTT 신호가 수신되는 것과 이동통신부(133)로부터 제2 무전기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항상 모니터링하고,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For this operation,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always monitors whether the PT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and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3. When the corresponding signal is received, .

마이크(134)는 음성을 포함한 각종 소리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것처럼,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도킹장치(140)로부터 PTT 신호가 수신되면,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마이크(134)로 입력된 소리로부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한다.The microphone 134 converts various sounds including voice into electrical voice signal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T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ocking device 140,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generates a first transceiver signal from the sound input to the microphone 134 only while the PTT signal is being received.

배터리(135)는 스마트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USB 단자(136)는 도킹장치(140)의 USB 인터페이스(147)와 서로 연결되며, 도킹장치(140)의 대용량 배터리(14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전단말기(120)의 장시간 사용을 위해 스마트폰(130)은 자신의 배터리(135) 외에 도킹장치(140)의 배터리(145)로부터도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battery 135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smartphone 130. The USB terminal 136 is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147 of the docking device 140 and can receive power from the large capacity battery 145 of the docking device 140. The smartphone 13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45 of the docking device 140 in addition to its own battery 135 for a long time use of the wireless terminal 120. [

한편, 도킹장치(140)는 제어부(141), 근거리통신부(142), 버튼부(143), 음성출력부(144), 배터리(145), 충전단자(146), USB 인터페이스(147), 및 확장모듈(148)을 포함한다.The docking device 140 includes a control unit 141,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42, a button unit 143, a sound output unit 144, a battery 145, a charging terminal 146, a USB interface 147, And an expansion module 148.

제어부(141)는 도킹장치(140)의 모든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고 다양한 제어 로직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로 구현된다. The controller 141 is a component that processes all digital and analog signals of the docking device 140 and performs various control logic, and is implemented as a micro-controller.

제어부(141)는 후술할 PTT 버튼(1431)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여 PTT 버튼(1431)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PTT 신호를 근거리통신부(142)를 통해 스마트폰(130)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41)는 후술할 부가 버튼(1432)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여 확장모듈(148)의 동작을 개시시킨다.The control unit 141 detects that the PTT button 1431 is pressed to generate a PTT signal while the PTT button 1431 is being press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TT signal to the smart phone 130 through the short- do. Also, the control unit 141 senses that the additional button 1432 to be described later is pressed, and starts the oper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148. [

근거리통신부(142)는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30)의 근거리통신부(132)와 통신하는 구성요소이다. 근거리통신부(142)는 스마트폰(130)으로 PTT 신호를 전송하고 스마트폰(130)으로부터는 제2 무전기신호에서 추출된 음성신호를 수신한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42 is a compon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of the smart phone 130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42 transmits the PTT signal to the smart phone 130 and the voice signal extrac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from the smart phone 130.

버튼부(143)는 PTT 버튼(1431) 및 부가 버튼(1432)을 포함한다.The button unit 143 includes a PTT button 1431 and an add button 1432.

PTT 버튼(1431)은, PTT 버튼(1431)을 누른 상태에서 음성을 송신하고, PTT 버튼(1431)을 놓으면 음성을 수신만 하는 종래의 무전기 PTT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PTT 버튼(1431)이 눌리면, 제어부(141)는 PTT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PTT 신호를 근거리통신부(142)를 통해 도킹장치(140)에 장착된 스마트폰(130)으로 전송한다. The PTT button 1431 provides the same function as a conventional walkie-talkie PTT button that transmits a voice while the PTT button 1431 is depressed and only receives voice when the PTT button 1431 is released. When the PTT button 1431 is pressed, the control unit 141 generates a PTT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TT signal to the smart phone 130 mounted on the docking device 140 via the short-

부가 버튼(1432)은 후술할 확장모듈(148)의 동작을 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가 버튼(143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제어부(141)는 부가 버튼(1432)의 눌림을 감지하여 확장모듈(148)에 장착된 모듈의 동작을 개시시켜 확장모듈(148)로부터 부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가정보를 근거리통신부(142)를 통해 도킹장치(140)에 장착된 스마트폰(130)으로 전송한다. The add button 1432 serves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extension module 148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user presses the additional button 1432, the control unit 141 detects the depression of the additional button 1432 and starts the operation of the module mounted on the expansion module 148 to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expansion module 148 And transmits the rea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130 mounted on the docking device 140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42.

음성출력부(144)는 스마트폰(130)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441) 및 고출력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42)를 포함한다.The voice output unit 144 amplifie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130 at a high output and outputs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speaker. To this end, an amplifier 1441 amplifies a voice signal, And a speaker 1442.

음성출력부(144)는 주변이 시끄러운 곳에서도 소리가 잘 들릴 수 있도록, 약 95dB 이상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기존의 휴대전화는 스피커의 출력의 최대값이 약 75dB 정도로서,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스피커를 통한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무전단말기(120)는 소음이 심한 산업현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95dB 이상의 고출력을 제공한다.The voice output unit 144 outputs a voice signal at about 95 dB or more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voice even in a noisy environment. The conventional cellular phone has a problem that the maximum output of the speaker is about 75 dB, so that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can not be heard in a place where the noise is high. The radio terminal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output of 95 dB or more for use in a noisy industrial field.

배터리(145)는 도킹장치(14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술한 것처럼 스마트폰(130)에도 USB 인터페이스(147)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스마트폰(130)의 배터리(135)가 소진될 경우, 도킹 장치(140)의 대용량 배터리(145)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승압회로(미도시)를 거쳐 스마트폰에서 요구하는 전압(DC 5V)으로 변환된 후 스마트폰(13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battery 145 supplies power to the docking device 140 and supplies power to the smartphone 130 through the USB interface 147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ttery 135 of the smartphone 130 is exhausted, the power output from the large capacity battery 145 of the docking device 140 is supplied to the voltage (DC 5V) required by the smartphone via a boosting circuit And supplies power to the smartphone 130 after the conversion.

충전단자(146)는 도킹장치(140)의 배터리(145)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이다.The charging terminal 146 is a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145 of the docking device 140.

확장모듈(148)은 무전기 기능 외에 바코드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모듈이다. 부가 버튼(143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확장모듈(148)은 바코드 리딩정보, RF 인식정보, 및 신용카드 리딩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가정보를 근거리통신부(142)를 통해 도킹장치(140)에 장착된 스마트폰(130)으로 전송한다. The expansion module 148 is a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of a barcode reader, a radio frequency (RF) recognizer, and a credit card reader can be detachably mounted in addition to the radio function. When the additional button 1432 is pressed by the user, the extension module 148 reads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ar code reading information, RF recognition information, and credit card read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a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short- To the smart phone 130 mounted on the docking device 140 via the communication line 142.

확장모듈(148)에 바코드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장착됨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가능하다.The expansion module 148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of a barcode reader, a radio frequency (RF) reader, and a credit card reader,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본 발명의 도킹장치(140)는, 스마트폰(130)과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한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연결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 또는 그 외의 근거리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폰(130)과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docking devic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nclud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30, a hardware connection is unnecessar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erwork with various smart phones 130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or othe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장치(140)에 구비된 증폭기와 스피커는, 매우 소란한 산업현장에서 스마트폰을 무전기로 활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음량(75데시벨)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에 미흡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음량을 증폭하여 크게(95데시벨) 들려주기 위한 용도이다. 예를 들어서 비행장 근처의 운송화물 허브에서는 비행기의 이착륙 시에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의 스피커가 제공하는 음량으로는 매우 미흡함을 느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마트폰보다 높은 음량을 제공하는 증폭기와 스피커를 추가로 제공한다. The amplifier and the speaker provided in the docking device 14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so that the volume (75 decibels) provided by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is used as a radio in a very disturbed industrial field, Because it is insufficient, it amplifies the volume of the smartphone and it is intended to be largely (95 decibels). For example, in the transportation cargo hub near an airfield, the noise generated during takeoff and landing of the airplane causes the speaker volume of the smartphone to be very poo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n amplifier and a speaker that provide a higher volume than a smartphone in order to improve this poin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장치(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 배터리는, 스마트폰(130)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스마트폰(130)에도 전력을 공급한다. The large capacity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docking device 14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of the smart phone 130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phone 130 as well.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장치(140)에는, 산업현장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바코드 리더기, RF 리더기, 신용카드 리더기 등을 확장모듈로 용이하게 추가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스마트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docking device 14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aximize the function of a smart phone in an industrial field by easily adding a barcode reader, an RF reader, a credit card reader, etc.,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40)와 스마트폰(130)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킹장치(140)와 스마트폰(130)이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전단말기 및 각 무전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전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어서버와 스마트폰은 TRS망이 아닌 스마트폰(130)이 이용하는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연결되고, 스마트폰(130)에는 도킹장치(140)와의 통신 및 스마트폰(130)을 제어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The method of providing a radiotelephone service using the docking device 140 and the smartphon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 radiotelephone service using the docking device 140 and the smart phone 130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and each radio terminal, A method performed by a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a control server that is connected to provide a radiotelephone service, wherein the control server and the smartphone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3G, 4G, WCDMA, and WiFi And the smartphone 130 is provided with a radio applic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cking device 140 and controlling the smart phone 130. [

우선, 도킹장치(140)는, PTT(push to talk)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한다(S10).First, the docking device 140 detects that a PTT (push to talk) button is pressed (S10).

PTT 버튼이 눌리는 것이 감지되면, 도킹장치(140)는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130)으로 전송한다(S20).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TT button is pressed, the docking device 140 generates and transmits a PTT signal to the smart phone 130 while the PTT button is pressed (S20).

PTT 신호가 수신되면, 도킹장치(140)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130)은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S30).When the PTT signal is received, the smartphone 130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140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onverts the micro-input sound into the voice signal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the PTT signal (S30).

그리고 나서, 도킹장치(140)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130)은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서버(110)로 전송한다(S40).Then, the smartphone 130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140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generates a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a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S40).

제어서버(110)는 수신한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S50), 추출한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114)를 검색하여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한다(S60).The control server 110 extracts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radio signal (S50), searches the group database 114 using the extracted unique number, and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calling smart phone And a receiving smart phone and a receiving smart phone to make a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calling smart phone (S60).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무전기신호에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가 포함된 경우, S60 단계에서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그룹아이디를 이용하여 무전기그룹을 바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이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경우, S60 단계에서 제어서버는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수신목록의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무전기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5, if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es the group ID for the transceiver group, the control server 110 extracts the transceiver group immediately using the group ID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 step S60 can do.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the reception list including the unique number of each reception smartphone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calling smart phone and the reception smart You can also create a radio group consisting of phones.

그리고 나서,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추출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한다(S70). 이때 제어서버(110)는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에는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Then, the control server 110 generates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receiving smart phone belonging to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S70).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110 does not transmit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the calling smart phone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130)은,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고(S80),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140)로 추출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S90).The smartphone 130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extracts the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n step S80 and transmi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to the docking device 140 connected i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n step S90.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130)과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140)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S100). 수신한 음성신호는 95dB 이상으로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docking device 140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30 receiving the second radio signal amplifies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100). The received voice signal can be amplified to 95 dB or more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한편,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은 제어서버(110)로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0).Meanwhile, the smartphone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110 to confirm that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has been received (S110).

제어서버(110)는 각 수신 스마트폰들로부터 수신한 수신확인신호를 확인하고(S120),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수신 스마트폰 중에서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과 통신연결된 경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를 재전송한다(S130).The control server 110 confirms the acknowledgment signal received from each of the receiving smart phones (S120), and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when th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ceiving smartphone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and the smartphone not transmitting the acknowledgment signal The second radio signal is retransmitted to the non-smartphone (S130).

도 6은 스마트폰과 도킹장치 간의 페어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iring process between a smartphone and a docking device.

도킹장치(140)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버튼(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The docking device 140 is equipped with a pairing button (not shown) for pairing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도킹장치(140)는 페어링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것을 감지한다(S200).The docking device 140 detects that the pairing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S200).

페어링 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도킹장치(140)는 주변에서 근거리통신이 활성화된 스마트폰을 검색한다(S210).When the pressing of the pairing button is detected, the docking device 140 searches for a smartphone in whic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s activated in the vicinity (S210).

그리고 나서, 도킹장치(140)는 검색된 스마트폰과 근거리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페어링을 수행한다(S220).Then, the docking device 140 performs pairing by connecting to the searched smart phone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220).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다양한 방식의 근거리통신이 이용될 수 있지만, 블루투스의 근거리통신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short range communication of Bluetooth is used.

도 7은 스마트폰과 제어서버 간의 인증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between a smartphone and a control server.

스마트폰(130)에 본 발명의 무전기 서비스를 위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이 설치된다(S310).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제어서버(110)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다양한 사이트로부터 설치되거나, 직접 제공받은 설치파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The smartphone 130 is provided with a transceiver application 131 for the transceiver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310).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may be installed from various sites providing the control server 110 or mobile application, or may be installed from an installation file provided directly.

스마트폰(130)에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이 실행되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저장되어 있는 제어서버(110)의 접속주소를 이용하여 제어서버(110)에 최초로 접속한다(S320).When the radio application 131 is executed in the smartphone 130, the radio application 131 first accesses the control server 110 using the stored connection address of the control server 110 (S320).

제어서버(110)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이 전송하는 스마트폰(130)의 고유번호를 그룹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스마트폰(130)이 무전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확인하고 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330). The control server 110 compares the unique number of the smartphone 130 transmitted by the transceiver application 131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group database 114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phone 130 is a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transceiver service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 that (S330).

이하에서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reating or changing a radio group will be described.

무전기그룹의 생성 및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각 스마트폰(130) 측에서 이뤄지거나, 제어서버(110)의 관리자에 의해 제어서버(110) 측에서만 이뤄질 수도 있다. The gener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radio group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smart phone 130 side or may be performed only by the control server 110 side on the control server 110 side.

도 8은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or changing a radio group.

우선, 스마트폰(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정보를 기초로 수신목록을 생성한다(S410). 수신목록이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목록을 의미한다.First, the smartphone 130 generates a reception lis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S410). The reception list means a list including unique numbers of each receiving smart phone select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13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들 중에서 무전기 기능으로 무전 통화하고자 하는 연락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3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31)은 입력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수신목록을 생성하고, 수신목록을 더 포함하는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한다.For example, the user can input setting information by selecting at least one contact from among the contacts stored in the smart phone 130 to make a radio call using the radio function, The controller 131 generates a reception list based on the input setting information, and generates a first transceiver signal further including a reception list.

한편, 사용자는 특정 무전기그룹에 새로운 스마트폰을 편입하거나 특정 무전기그룹에서 특정 스마트폰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130)에 저장되어 있는 무전기그룹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can input setting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content of the radio group stored in the smart phone 130 in such a manner that a new smart phone is incorporated into a specific radio group or a specific smartphone is deleted from a specific radio group .

스마트폰(130)은 수신목록이 포함된 제1 무전기신호를 제어서버(110)로 전송한다(S420).The smartphone 130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the reception list to the control server 110 (S420).

제어서버(110)의 설정부(119)는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과 제1 무전기신호의 수신목록에 포함된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생성한다(S430). 생성된 무전기그룹에 대한 정보는 그룹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된다.The setting unit 119 of the control server 110 generates a transceiver group including the calling smart phone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he receiving smart phone included in the reception list of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t step S430. The information about the created radio group is stored in the group database 114. [

제어서버(110)의 발신부(115)는 수신목록에 포함된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제2 무전기신호 및 생성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각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무전기그룹 목록을 전송한다(S440).The transmitting unit 115 of the control server 110 transmits the list of the radio groups including the second radio signal and the unique number of each smartphone belonging to the generated radio group group to each receiving smart phone included in the reception list ).

무전기그룹 목록을 수신한 각 스마트폰(130)은 무전기그룹 목록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무전기그룹과의 무전 통화를 허락한다(S450). 무전기그룹과의 무전 통화를 허락한 스마트폰(130)은 제2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추출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Each smartphone 130 that has received the list of radio groups stores the list of radio groups and allows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group by the user's choice (S450). The smartphone 130, which allows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group, extracts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extracted through the high-power speaker.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서버(110) 측에서 무전기그룹이 생성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제어서버(110)는 설정부(119)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서버(110)는 S430 내지 S450 단계를 수행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a radio group is created or changed on the control server 110 side, the control server 110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an administrator through the setting unit 119 to create or change a radio group . Then, the control server 110 performs steps S430 to S450.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어서버 120, 무전단말기
130, 스마트폰 140, 도킹장치
111, 수신부 112, 고유번호 추출부
113, 무전기그룹 추출부 114, 그룹 데이터베이스
115, 발신부 116, 발신확인부
117, 재송신부 118, 인증부
119, 설정부
110, a control server 120, a radio terminal
130, a smart phone 140, a docking device
111, a receiving unit 112, a unique number extracting unit
113, a radio group extracting unit 114, a group database
115, a transmission unit 116, a transmission confirmation unit
117, a retransmission unit 118,
119, setting unit

Claims (14)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이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전단말기 및 상기 각 무전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무전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제1 무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상기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각 무전단말기는, 상기 도킹장치에 구비된 PTT(push to talk) 버튼이 눌리는 동안에만 스마트폰의 마이크에서 생성된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제2 무전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도킹장치에 내장된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어서버와 스마트폰은 TRS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도킹장치와의 통신 및 상기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a radiotelephone ser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connected to a docking device and a smart phon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to each radio terminal by radio communication to provide a radio service,
The control server receives a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a unique number of an originating smartphone from the wireless terminal, searches a group database by a unique number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extracted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To each receiving smart phone,
Each of the wireless terminals generate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by including the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phone only while the push to talk button provided on the docking device is pressed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ler extracts the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and outpu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through the high-power speaker built in the docking device,
The control server and the smartphone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4G, WCDMA, and WiFi,
Wherein the smartphone is provided with a radio applic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ck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전단말기의 도킹장치는, 내장된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를 95dB 이상으로 증폭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각 무전단말기의 스마트폰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내장된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cking device of each wireless terminal generates a PTT signal while the built-in PTT button is pressed, transmits the generated PTT signal to a smart phone connected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a smart phone connected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95 dB or more,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smartphone of each of the radio terminals converts the micro-input sound, which is built-in only while receiving the PTT signal from the docking device connected by the local communication,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smart phone And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is extrac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connected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데이터베이스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정보에 따라 새로운 스마트폰을 무전기그룹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스마트폰의 무전기그룹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A system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characterized by registering a new smartphone in a radio group or changing a radio group of a registered smart phone according to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an administ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전단말기의 스마트폰은,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을 더 포함시켜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상기 수신목록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수신목록의 수신 스마트폰과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한 발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목록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 of each wireless terminal further includes a reception list including unique numbers of the reception smartphone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tored contacts to generate the first wireless signal,
When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the reception list, the control server generates a radio group consisting of a reception smartphone of the reception list and an originating smart phone that generates the first radio signal, And the second radiotelephone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receiving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전단말기의 스마트폰은,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무전기그룹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를 더 포함시켜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그룹아이디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그룹아이디를 이용하여 발신 스마트폰 및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상기 무전기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 of each radio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group ID for a radio group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stored radio groups to generate the first radio signal,
Wherein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and the second radio sig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the group ID, And extracting the transceiver group from the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각 스마트폰은, 상기 제어서버로 상기 제2 무전기신호에 대한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수신 스마트폰 중에서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이 통신연결된 경우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으로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smartphone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Wherein the control server retransmits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a smartphone that has not transmitted the acknowledgment signal when a smartphone that has not transmitted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among the receiving smart phones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A system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전단말기의 도킹장치는, 바코드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확장모듈과 상기 확장모듈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가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 버튼이 눌리면 상기 확장모듈로부터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각 무전단말기의 스마트폰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3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cking device of each wireless terminal includes an extension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of a barcode reader, a radio frequency (RF) recognizer, and a credit card reader is detachably mounted, and an additional butt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ntrol of the extension module, When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read out from the extension module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connected by short-
Wherein the smartphone of each wireless terminal generates and transmits a third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ocking device connected by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server. Service delivery system.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이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무전단말기 및 상기 각 무전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전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도킹장치에 구비된 PTT(push to talk)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도킹장치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은, 상기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도킹장치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은, 음성신호 및 발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제1 무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로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상기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은, 상기 제2 무전기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로 상기 추출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과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는,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서버와 스마트폰은 TRS망이 아닌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도킹장치와의 통신 및 상기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1. A method performed by a radio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connected to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to each radio terminal by radio communication to provide a radio service,
(a) generating a PTT signal while the push-to-talk button of the docking device is pressed, and transmitting the PTT signal to a smartphone connected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 converting a micro-input sound into a voice signal only when the PTT signal is received, the smart phone being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c) generating a first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a unique number of an originating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d) The control server searches for a group database with a unique number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to the calling smart phone and the calling smart phone, Extracting a group;
(e) generating, by the control server, a second transceiver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of the receiving smart phones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f) the smartphone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extracts a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and transmi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to a docking device connec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g) amplify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speaker, wherein the d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by near-
The control server and the smartphone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4G, WCDMA, and WiFi,
Wherein the smartphone is provided with a radio applic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ck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smartph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a) 단계의 수행 전에,
상기 도킹장치에 내장된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이 눌리면, 상기 도킹장치는 근거리통신이 활성화된 주변의 스마트폰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장치는, 검색된 스마트폰과 근거리통신으로 연결하는 페어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prior to performing the step (a)
When the Bluetooth pairing button embedded in the docking device is pressed, the docking device searches for a nearby smartphone in whic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is activated; And
Wherein the docking device comprises a pairing step of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earched smart ph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를 95 dB 이상으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tep (g)
And amplify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95 dB or more,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speaker. The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docking device and a smartph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수신한 각 스마트폰이, 상기 제어서버로 상기 제2 무전기신호에 대한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추출한 무전기그룹의 수신 스마트폰 중에서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과 통신연결된 경우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스마트폰으로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Each smartphone receiv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ransmitting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And
The control server retransmitt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a smartphone that has not transmitted the acknowledgment signal when the control server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that has not transmitted the acknowledgment signal among the received smartphone of the extracted transceiver group Wherein the docking device and the smart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확장모듈과 상기 확장모듈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가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부가 버튼이 눌리면 상기 확장모듈로부터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도킹장치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제3 무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ocking device includes an extension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of a reader, an RF (radio frequency) recognizer, and a credit card reader is detachably mounted, and an additional butt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ntrol of the extension module,
The method for providing a radio service,
Rea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extension module when the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connected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phone further comprises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a docking device connected by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o the control server a third radio signal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a radio service using a smartph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도킹장치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은,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수신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수신목록을 더 포함시켜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상기 수신목록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수신목록의 수신 스마트폰과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무전기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목록의 각 수신 스마트폰으로 상기 제2 무전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c)
Wherein the smartphone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rther includes a reception list including a unique number of each reception smart phone selected by the user from stored contacts to generate the first radio signal,
The step (d)
When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the reception list, the control server generates a radio group consisting of a reception smartphone of the reception list and an originating smart phone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transceiver signal to each receiving smartphone. ≪ RTI ID = 0.0 > 11. <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도킹장치와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은,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무전기그룹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전기그룹에 대한 그룹아이디를 더 포함시켜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상기 그룹아이디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무전기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그룹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전기신호를 전송한 발신 스마트폰 및 상기 발신 스마트폰과 무전 통화할 수신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무전기그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c)
Wherein the smartphone further comprises a group ID for a radio group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stored radio groups to generate the first radio signal,
The step (d)
When the first radio signal includes the group ID,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calling smart phone and the calling smart phone using the unique number and the group ID included in the first radio signal, And a receiving smart phone for receiving a radio call, and extracting the radio group composed of the receiving smart phone to perform a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docking device and the smartphone.
KR1020130001795A 2013-01-07 2013-01-07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KR101415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95A KR101415638B1 (en) 2013-01-07 2013-01-07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95A KR101415638B1 (en) 2013-01-07 2013-01-07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638B1 true KR101415638B1 (en) 2014-07-04

Family

ID=5174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95A KR101415638B1 (en) 2013-01-07 2013-01-07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63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05B1 (en) * 2015-01-29 2016-03-08 (주)사이버텔브릿지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ddressing
WO2016056706A1 (en) * 2014-10-08 2016-04-14 (주)엔알피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wo-way radio service using smartphone and two-way radio kit linked thereto
WO2016056705A1 (en) * 2014-10-08 2016-04-14 (주)엔알피시스템 Two-way radio apparatus comprising smartphone and two-way radio kit linked thereto
KR101782229B1 (en) 2015-12-29 2017-09-27 한국공항공사 Emergen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761A (en) * 2004-12-21 2006-06-26 엘지노텔 주식회사 Apparatus for execution of ptt function of wire and wireless terminal in keyphone system
KR20120040289A (en) * 2010-10-19 2012-04-27 김기원 Radio set combined with hos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761A (en) * 2004-12-21 2006-06-26 엘지노텔 주식회사 Apparatus for execution of ptt function of wire and wireless terminal in keyphone system
KR20120040289A (en) * 2010-10-19 2012-04-27 김기원 Radio set combined with hos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06A1 (en) * 2014-10-08 2016-04-14 (주)엔알피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wo-way radio service using smartphone and two-way radio kit linked thereto
WO2016056705A1 (en) * 2014-10-08 2016-04-14 (주)엔알피시스템 Two-way radio apparatus comprising smartphone and two-way radio kit linked thereto
KR101600805B1 (en) * 2015-01-29 2016-03-08 (주)사이버텔브릿지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ddressing
KR101782229B1 (en) 2015-12-29 2017-09-27 한국공항공사 Emergen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352B1 (en) Walkytalky comprising smart phone and docking cradle
US20130337859A1 (en) Ruggedized case or sleeve for providing push-to-talk (ptt) functions
US20070263560A1 (en) Push-to-talk over cellular group set-up and handl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N103229586A (en)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data transfer using selective wireless communications formats and related methods
US7463900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01808276A (en)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15129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diversity recep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KR20050056218A (en) Multimode phone including two wireless modems and a modem processor
CN103781187A (en) File transmission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KR101415638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ytalky-Service using Docking Cradle and Smart Phone
US10820374B2 (en) Gateway device for wireless networks
CN111602437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201629738U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system
KR102004481B1 (en) Smartphone and bluetooth earset with function of digital walkie-talkie
KR102110015B1 (en) Smartwatch with function of digital walkie-talkie
US8406684B1 (en) Two-way radio device with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US20160219418A1 (en) Hybrid terminal capable of avoiding signals originated by own terminal
CN10345811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KR20160042339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lkie-talkie service using smartphone and a walkie-talkie kit coupled with the smartphone
KR20160042338A (en) Walkie-talkie device comprising a smartphone and a walkie-talkie kit coupled with the smartphone
KR100724928B1 (en) Device and method of informing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662869A (en) Method for enhancing the use of proximity services in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CN101389048B (en) Method for providing files transmitted betwe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KR102042243B1 (en) Ptt terminal
KR101782229B1 (en) Emergen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