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990B1 - 악취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990B1
KR101414990B1 KR1020120076487A KR20120076487A KR101414990B1 KR 101414990 B1 KR101414990 B1 KR 101414990B1 KR 1020120076487 A KR1020120076487 A KR 1020120076487A KR 20120076487 A KR20120076487 A KR 20120076487A KR 101414990 B1 KR101414990 B1 KR 10141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ir
photocatalyst
harmful substances
rea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777A (ko
Inventor
하동희
김태관
Original Assignee
김태관
하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관, 하동희 filed Critical 김태관
Priority to KR102012007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9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43Removing mixtures of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and nitrogen oxides
    • B01D53/8646Simultaneous elimination of the components
    • B01D53/865Simultaneous elimination of the component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8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vortex in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그 밖에 각종 악취 발생 시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악취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우징(10) 내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 튜브(22)의 내부 길이 방향으로 자외선 램프(23)를 설치한 반응기(21)를 상하좌우로 다수 배열한 정화부(20)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배출 공기가 다수의 반응기로 분배되어 배출되면서 광촉매와 자외선의 일정한 간격, 충분한 반응 시간 확보 및 배출 공기의 와류 발생에 의해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의 광산화 반응을 극대화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악취 정화장치{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그 밖에 각종 악취 발생 시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악취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 튜브의 내부 길이 방향으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한 반응기를 상하좌우로 다수 배열한 정화부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배출 공기가 다수의 반응기로 분배되어 배출되면서 광촉매와 자외선의 일정한 간격, 충분한 반응 시간 확보 및 배출 공기의 와류 발생에 의해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의 광산화 반응을 극대화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악취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그 밖에 각종 악취 발생 시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에는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주변에 악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배출 공기의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악취 정화장치를 사용하였다.
상기 악취 정화장치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는데, 일 례로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악취 정화장치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케이스(1) 내부에 광촉매 코팅된 필터(2)를 내장하되, 상기 필터의 좌우측에 자외선 램프(3)를 설치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배출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악취 정화장치는 필터(2)의 광촉매와 자외선 램프(3)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특히 자외선 램프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필터를 통과하거나 필터의 통과 두께가 짧아 광촉매와 자외선의 충분한 반응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인해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 효율이 떨어져 배출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 튜브의 내부 길이 방향으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한 반응기를 상하좌우로 다수 배열한 정화부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배출 공기가 다수의 반응기로 분배되어 배출되면서 광촉매와 자외선의 일정한 간격, 충분한 반응 시간 확보 및 배출 공기의 와류 발생에 의해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의 광산화 반응을 극대화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정화부 후방 위치로 활성탄이 내장된 하니컴과 플라즈마 반응기를 설치하여 배출 공기에서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나 악취를 다시 한번 정화하므로 악취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를 배열 형성한 반응기 전체를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정화부를 구성하므로 하우징 내부에 조립 작업성 및 조립 생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후에 배출공기가 유입,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내벽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는 반응기를 상하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한 정화부를 설치 구성하여 배출공기를 정화부의 각 반응기로 분배 이동하면서 배출공기의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정화부는 함체의 전후로 통공을 형성하여 각 통공에 반응기를 삽입 및 고정 설치하여 전체를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반응기는 튜브의 형태 유지를 위해 금속 와이어를 원통형으로 엮어 형성한 틀체에 삽입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반응기는 장방형 튜브 내부에 와류팬을 설치하여 배출 공기에 와류를 발생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정화부 후방 위치로 활성탄이 내장된 하니컴과 플라즈마 반응기를 더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그 밖에 각종 악취 발생 시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우징 내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 튜브의 내부 길이 방향으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한 반응기를 상하좌우로 다수 배열한 정화부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배출 공기가 다수의 반응기로 분배되어 배출되면서 광촉매와 자외선의 일정한 간격, 충분한 반응 시간 확보 및 배출 공기의 와류 발생에 의해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의 광산화 반응을 극대화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상기 정화부 후방 위치로 활성탄이 내장된 하니컴과 플라즈마 반응기를 설치하여 배출 공기에서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나 악취를 다시 한번 정화하므로 악취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즉, 하수처리장이나 그 밖에 각종 악취 발생 시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의 배출을 완전 차단하므로 주변 환경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정화부는 다수로 배열 형성한 반응기 전체를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구성하여 하우징 내부에 조립 작업성 및 조립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정화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측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정화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반응기의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반응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악취 정화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에 배출공기가 유입, 유출되도록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내벽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의 튜브(22)와 상기 튜브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램프(23)로 구성되는 반응기(21)를 상하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한 정화부(20)를 설치 구성하여 배출공기를 정화부의 각 반응기로 분배 이동하면서 배출공기의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부(20)는 함체(25)의 전후로 통공(25a)을 형성하여 각 통공에 반응기(21)를 삽입 및 양단을 체결부재로 함체에 체결 고정 설치하여 전체를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21)는 광촉매가 코팅된 PP, PE로 직조된 파이버 시트(Fiber sheet)나 인조 섬유 시트 등의 플렉시블 소재 또는 얇은 철판(steel sheet), 아연도 강판, 알루미늄 판 등으로 형성된 튜브(22)를 단독 또는 금속 와이어로 엮어 형성한 원통형 틀체(24)에 형태를 유지하도록 삽입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반응기(21)는 장방형 튜브(22) 내벽면의 광촉매와 자외선 램프(23)의 일정 간격 확보 및 반응 시간 확보는 물론 장방형 튜브(22) 내부에 와류팬(26)을 설치하여 배출 공기에 와류를 발생하면서 광촉매와의 접촉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반응기(21)는 장방형 튜브(22) 내벽면의 광촉매와 자외선 램프(23)의 간격에 의해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효과의 차이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기는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포함 정도를 고농도, 중간 농도 및 낮은 농도로 구분하였을 때 고농도의 경우에 60~80mm, 중간 농도의 경우에 80~100mm, 낮은 농도의 경우에 100~120mm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23)는 오존 발생 자외선 램프와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는 램프 두 종류를 사용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 오존 발생 자외선 램프를 반응기에 1개에서 여러개를 집약 설치하여 오존 발생에 의해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정화부(20) 후방 위치로 활성탄이 내장된 하니컴(30)과 플라즈마 반응기(40)를 더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중앙 몸체(10a)와 전후 몸체(10b)(10c)를 분리 구성하여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 구성하고, 상기 중앙 몸체(10a)의 내부에 정화부(20), 하니컴(30) 및 플라즈마 반응기(40)를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단면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 형상은 물론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정화부(20)에서 반응기(21)는 도면에서와 같이 최소 9개 정도를 하나의 유니트로 배열 형성하되, 상기 반응기(21)의 수효나 배열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정화부(20)도 배출 공기의 양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 단독 또는 복수로 설치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5는 이동캐스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하수처리장이나 그 밖에 각종 악취 발생 시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급기팬에 의해 본 발명의 정화장치로 공급하여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의 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배출공기는 하우징 내부 정화부(20)의 상하좌우로 배열 형성된 반응기(21)에 각각 분배 공급된다.
즉, 상기 정화부(20) 전방에서 차단판(25)의 통공(25a)을 통해 상하좌우로 배열 형성된 반응기(21)의 튜브(22)에 각각 분배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화부(20)의 각 반응기(21)로 분배 공급된 배출 공기는 장방형의 튜브(22)를 통해 안내 배출되면서 상기 튜브 내벽면에 코팅된 광촉매와 상기 튜브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램프(23)의 자외선에 의해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반응기(21)의 장방형 튜브(22)의 광촉매와 자외선 램프(23)의 자외선의 일정한 간격 확보 및 장방형 튜브를 따라 충분한 반응 시간을 확보하므로 인해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의 광산화 반응을 극대화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응기(21)의 장방형 튜브(22) 내부에 와류팬(26)을 설치하여 장방향 튜브(22)를 통과하는 배출 공기에 와류를 발생하면서 배출 공기와 광촉매의 접촉을 더 효과적으로 제공하므로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의 광산화 반응을 더욱 극대화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의 배출공기는 정화부(20)를 통과하면서 배출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완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부(20)를 통과한 배출공기는 다시 활성탄이 내장된 하니컴(30)과 플라즈마 반응기(40)를 통과하면서 그 밖의 유해 물질이나 악취 등을 다시 한번 정화하는 과정을 통해 배출 공기의 악취 문제를 완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반응기 튜브(22)는 광촉매가 코팅된 PP, PE로 직조된 파이버 시트(Fiber sheet)나 인조 섬유 시트 등의 플렉시블 소재 또는 얇은 철판(steel sheet), 아연도 강판, 알루미늄 판 등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튜브는 형태 유지를 위해 금속 와이어로 엮어 형성한 원통형 틀체(24)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부(20)는 함체(25)의 전후로 형성되는 통공(25a)에 반응기(21)를 각각 삽입 및 고정 설치하여 전체를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구성하므로 하우징 내부에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조립 작업성이나 생산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화부(20)에서 반응기(21)의 수효는 상하좌우 최소 9개 정도를 하나의 유니트로 배열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배출 공기의 양이나 오염 정도에 따라 설치 수효를 증감함은 물론 정화부(20)의 수효도 증감 설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정화부의 반응기(21)에서 장방형 튜브(22)의 직경 사이즈로 다양하게 조절 사용하므로 배출 공기의 유해 물질, 특히 악취를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는 효율을 최대화하여 배출 공기의 악취 발생을 완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하우징 11: 유입구
12: 유출구 20: 정화부
21: 반응기 22: 튜브
23: 자외선 램프 25: 함체
24: 틀체 26: 와류팬
30: 하니컴 40: 플라즈마 반응기

Claims (5)

  1. 삭제
  2. 전후에 배출공기가 유입, 유출되도록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형성하는 하우징(10) 내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광촉매부와 자와선 램프가 결합된 반응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한 정화부에 의해 배출공기의 유해 물질을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으로 분해 제거하여 배출공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악취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20)는 내벽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장방형의 튜브(22)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자외선 램프(23)를 설치 구성한 반응기(21)들을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입구(11)와 유출구(12)에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좌,우로 배열하되,
    상기 반응기(21)들은 함체(25)의 전후로 관통된 통공(25a)에 각각 삽입 고정 설치한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배출공기가 각 반응기로 모두 분해되어 장방형의 튜브(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출되면서 광촉매, 자외선 램프와의 접촉 간격 유지 및 접촉 시간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21)는 튜브(22)의 형태 유지를 위해 금속 와이어를 원통형으로 엮어 형성한 틀체(24)에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21)는 장방형 튜브(22) 내부에 와류팬(26)을 설치하여 배출 공기에 와류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장치.
  5. 삭제
KR1020120076487A 2012-07-13 2012-07-13 악취 정화장치 KR10141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87A KR101414990B1 (ko) 2012-07-13 2012-07-13 악취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87A KR101414990B1 (ko) 2012-07-13 2012-07-13 악취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77A KR20140009777A (ko) 2014-01-23
KR101414990B1 true KR101414990B1 (ko) 2014-07-04

Family

ID=5014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487A KR101414990B1 (ko) 2012-07-13 2012-07-13 악취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6658B (zh) * 2019-07-11 2022-05-20 赵志伟 一种光催化空气净化滤芯
CN114455546B (zh) * 2022-03-02 2023-08-25 湖南渠水渔业发展有限公司 臭氧发生器及臭氧发生器用便携拆卸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416A (ja) * 1998-10-30 2000-05-16 Sharp Corp 空気清浄装置
KR100436109B1 (ko) 2001-06-25 2004-06-23 세신전자(주) 광효율을 향상시킨 실내 공기 정화용 저온 촉매와 광촉매 결합 시스템
JP2005245550A (ja) * 2004-03-02 2005-09-15 Hokuei:Kk 光触媒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の空気制御方法
KR20060056184A (ko) * 2004-11-20 2006-05-24 주식회사 엔터기술 공기 정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416A (ja) * 1998-10-30 2000-05-16 Sharp Corp 空気清浄装置
KR100436109B1 (ko) 2001-06-25 2004-06-23 세신전자(주) 광효율을 향상시킨 실내 공기 정화용 저온 촉매와 광촉매 결합 시스템
JP2005245550A (ja) * 2004-03-02 2005-09-15 Hokuei:Kk 光触媒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の空気制御方法
KR20060056184A (ko) * 2004-11-20 2006-05-24 주식회사 엔터기술 공기 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77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1460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и очистки от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оснащенное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CN201631734U (zh) 气体消毒除臭装置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CN108554021B (zh) 一种市政污水处理厂产生的恶臭气体的处理工艺
JP2007130042A (ja) 光触媒を用いた空気浄化装置
CN104197425A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JP6527712B2 (ja) 光触媒装置
KR20170105805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414990B1 (ko) 악취 정화장치
JP2006198029A (ja) 空気浄化装置
CN110252072A (zh) 一种废气净化设备
CN211586026U (zh) 一种废气催化氧化净化装置
CN210251748U (zh) 一种废气净化设备
KR101667235B1 (ko) 오존 활성화 반응존을 갖는 탈취 유니트
KR200340227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KR101295506B1 (ko) 광촉매와 음이온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102210879B (zh) 光催化消毒反应器及应用该反应器的空气净化装置
CN210861477U (zh) 一种用于室内柜体内的空气净化装置
CN209782855U (zh) 一种空气净化设备
CN211612254U (zh) 一种新型光氧离子复合除臭装置
CN221015236U (zh) 光氧等离子废气处理装置
CN219663367U (zh) 一种光氧催化净化器
CN217715306U (zh) 一种空气消毒净化装置
CN214513779U (zh) 移动式离子吸附净化器
KR200289039Y1 (ko)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