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688B1 - 낙하 우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낙하 우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688B1
KR101413688B1 KR1020140026350A KR20140026350A KR101413688B1 KR 101413688 B1 KR101413688 B1 KR 101413688B1 KR 1020140026350 A KR1020140026350 A KR 1020140026350A KR 20140026350 A KR20140026350 A KR 20140026350A KR 101413688 B1 KR101413688 B1 KR 10141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pace
rainwater
discharge nozzle
st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규
Original Assignee
(주) 젠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젠폴 filed Critical (주) 젠폴
Priority to KR102014002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높은 위치에서 낙하하는 우수로부터 처리 장치를 보호하며, 아울러 협잡물로 인한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켜 장시간의 사용에도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새로운 형태의 낙하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 우수 처리 장치{FALLING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매우 높은 위치에 위치한 건축물의 옥상에서 모여 지표면으로 낙하하는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낙하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과 대량의 산업용수를 필요로 하는 현대 산업사회의 특성상 수자원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수자원의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수자원 정책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우수 저장 설비(예. 빗물 저장조)는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로 우기에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연친화적 환경조성과 빗물의 효율적 운용 등을 이유로 근래에는 일정크기 이상의 공공건축물이나 다중 이용 건축물 또는 16층 이상 건축물의 경우 그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수 저장설비는 우기에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 빗물을 대량으로 저장하여 외부로 흐르는 빗물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하천이 범람하거나 하수도가 역류하는 등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부족 국가인 우리에게 필요한 각종 생활용수나 하천용수 등을 제공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런데 빗물에는 이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를 테면 흙, 모래 등과 같은 미립자 형태의 이물질들로부터 비닐, 나뭇잎 등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협잡물이 포함되어 있어 빗물의 효용성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서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빗물에 포함된 협잡물(식물성 이물질, 비닐, 모래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빗물 여과장치는 중력을 이용하여 미립자 형태의 이물질을 침전분리하거나 여과망을 이용하여 협잡물을 분리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여과장치를 연속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침전물을 준설하거나 여과망을 세척 또는 교체하여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인력이나 에너지가 소모되게 된다.
한편 16층 이상 건축물의 옥상에서 모여 지표면으로 낙하하는 우수는 매우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처리 장치가 매우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04128호 "무동력 빗물 처리장치" (2013. 8.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매우 높은 위치에서 낙하하는 우수로부터 처리 장치를 보호하며, 아울러 협잡물로 인한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켜 장시간의 사용에도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새로운 형태의 낙하 우수 처리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어 옥상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케이싱 내부로 받아들이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우수 유입노즐 ;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상기 우수 유입노즐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되 일단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되는 제1우수 배출노즐 ;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부인 제1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우수 유입노즐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우수 배출노즐에 연결되는 곡관 형태이되 주면에 복수의 제1여과공이 형성되는 여과용 곡관 ;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우수 배출노즐 ; 상기 케이싱의 하부 측부에 마련되는 제3우수 배출노즐 ; 상기 케이싱의 하부 공간을, 제2우수 배출노즐 및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케이싱의 중앙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공간과, 상기 제3우수 배출노즐과 연결되는 제3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1여과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여과공이 복수로 형성되는 스크린부재 ; 상기 제3우수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빗물저장조로 보내기 위하여 마련되는 빗물저장조용 배관 ; 상기 빗물저장조용 배관에 마련되는 개폐밸브 ; 상기 제1우수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우수배수로로 보내기 위하여 마련되는 우수배수로용 배관 ; 상기 제2우수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상기 우수배수로용 배관으로 보내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우수배수로용 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우수배수용 보조관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1공간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수위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수위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우수배수용 보조관에 유량조절밸브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링 형태의 단위 스크린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 스크린 사이에 상기 제2여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여과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위 스크린의 상하방향 일측에는 간격조절 돌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 스크린의 상하방향 타측에는 상기 간격조절 돌출구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높은 위치에서 낙하하는 우수로부터 처리 장치를 보호하며, 아울러 협잡물로 인한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켜 장시간의 사용에도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새로운 형태의 낙하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설치도,
도 2는 도 1의 스크린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단위 스크린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위 스크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설치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작동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설치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스크린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위 스크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위 스크린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낙하 우수 처리 장치는 매우 높은 위치, 즉 16층 이상 건축물의 옥상에서 모아진 우수를 받아들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장치는 케이싱(110)에 우수 유입노즐(120), 여과용 곡관(130), 제1우수 배출노즐(140), 제2우수 배출노즐(160), 스크린부재(170) 등이 마련된다.
케이싱(1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태이다.
케이싱(110)은 지표면 부근에 위치되므로 건축물 옥상과는 매우 큰 낙차를 가지게 된다.
옥상으로부터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우수가 케이싱(110)에 유입된다.
이를 위하여 우수 유입노즐(120), 여과용 곡관(130), 제1우수 배출노즐(140)이 마련된다.
우수 유입노즐(120)은 케이싱(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옥상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케이싱(110) 내부로 받아들이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제1우수 배출노즐(140)은 케이싱(110)의 상부에 우수 유입노즐(12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우수 배출노즐(14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케이싱(110) 내부에 위치되며 타단이 케이싱(110) 외부에 위치된다.
제1우수 배출노즐(140)과 제1우수 배출노즐(140)은 여과용 곡관(1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여과용 곡관(130)은 케이싱(110)의 내부 상부인 제1공간(111)에 위치되며, 일단이 우수 유입노즐(1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1우수 배출노즐(140)에 연결되는 곡관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우수 배출노즐(140)과 제1우수 배출노즐(140)를 연결하기 위하여 90도 엘보우 형태의 곡관이 사용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45도 엘보우 혹은 60도 엘보우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여과용 곡관(130)의 주면에는 복수의 제1여과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여과공(131)은 여과공 곡관(130)의 방사상 방향 외측을 향하면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쐐기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여과용 곡관(130)에서 제1여과공(131)을 지난 협잡물은 곧바로 여과용 곡관(130)의 외부, 즉 제1공간(111)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한편 제1여과공(131)을 통과하지 못한 협잡물은 우수 유입노즐(120)로부터 제1우수 배출노즐(140)로 향하는 우수의 유동에 의하여 제1우수 배출노즐(140)로 배출된다.
또한 건축물의 옥상과 같이 매우 높은 위치에서 낙하하기 때문에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지면서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는 일부가 제1여과공(131)을 통하여 제1공간(111)으로 배출되는 한편 다른 일부는 그 운동방향이 수평방향의 유동으로 비교적 부드럽게 전환되면서 제1우수 배출노즐(140)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지면서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는 여과용 곡관(130) 내부에 협잡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용 곡관(130)은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진 우수로부터 본 장치를 보호하는 한편 1차적으로 협잡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여과된 협잡물을 제1우수 배출노즐(140)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장치는 여과용 곡관(130)에 대한 별도의 유지관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케이싱(110)의 하부에 제2우수 배출노즐(150)과 제3우수 배출노즐(160)이 마련된다.
제2우수 배출노즐(150)은 케이싱(110)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된다.
제3우수 배출노즐(160)은 케이싱(110)의 하부 측부에 마련된다.
아울러 케이싱(110)의 하부 공간은 스크린부재(170)에 의하여 제2공간(112)과 제3공간(113)으로 구회된다.
제2공간(112)은 제2우수 배출노즐(150)과 제1공간(111)에 연결하면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이며, 제3공간(113)은 제3우수 배출노즐(160)과 연결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제3공간(113)은 케이싱(110)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제2공간(112)은 케이싱(110)의 중앙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스크린부재(170)에는 복수의 제2여과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제2여과공(171)은 제1여과공(1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여과공(131)을 통과한 협잡물이라도 제2여과공(171)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물론 제2여과공(171)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제2여과공(171)을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부재(170)는, 링 형태의 단위 스크린(172)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 스크린(172) 사이에 제2여과공(17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위 스크린(172)의 하부에는 다른 단위 스크린(172)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간격조절 돌출구(172a)가 복수개 형성되며, 아울러 단위 스크린(172)의 상부에는 다른 단위 스크린(172)의 간격조절 돌출구(172a)가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172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우수 배출노즐(16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빗물저장조(10)로 보내기 위하여 빗물저장조용 배관(180)이 마련된다.
빗물저장조용 배관(180)에는 개폐밸브(181)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밸브(181)는 빗물저장조(10)에 마련된 저장조 수위센서(11)에 의하여 빗물저장조(10)의 수위가 기준치(HL) 이상이면 닫힌 상태로 변화되며, 그 이외의 상태(즉, 빗물저장조(10)의 수위가 기준치(HL)보다 낮은 경우)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우수 배출노즐(14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우수배수로(20)로 보내기 위하여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이 마련된다.
또한 제2우수 배출노즐(15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으로 보내기 위하여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이 마련된다.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의 직경은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에는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을 지나는 우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19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우수의 양이 매우 많다고 가정할 때 여과용 곡관(130)의 제1여과공(131)을 통하여 제1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은, 빗물저장조용 배관(180)으로 배출되는 우수의 양과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으로 배출되는 우수의 양의 합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의 직경을 미세하게 조절하기는 어려우므로 유량조절밸브(192)를 설치하여 우수배수용 보조관(191)으로 유동할 수 있는 우수의 유동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초기 우수의 경우와 우수의 양이 작은 경우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건축물의 옥상에서 낙하하는 우수는 우수 유입 노즐(120)을 통하여 본 장치에 유입되며,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면서 대부분의 우수는 제1우수 배출노즐(140) 및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통하여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아울러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면서 일부의 물은 제1여과공(131)을 지나 케이싱(110)의 제1공간으로 유입된 후, 제2공간(112)을 지나 제2우수 배출노즐(150)을 통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 후 우수배수용 보조관(191) 및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지나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우수의 양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빗물저장조용 배관(180)으로 유출되는 우수는 그 양이 0이 되며, 따라서 모든 협잡물들이 최종적으로는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통하여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즉 초기 우수의 경우와 우수의 양이 작은 경우에는 빗물저장조(10)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비가 내리기 시작한 후 매우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건축물의 옥상에서 낙하하는 우수는 우수 유입 노즐(120)을 통하여 본 장치에 유입되며,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면서 대부분의 우수는 제1우수 배출노즐(140) 및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통하여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한편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는 충분한 양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수위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여과용 곡관(130)에서 수평 상태 혹은 수평 상태에 가깝게 형성된 부위는 대부분 수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높은 낙차를 가지면서 낙하되는 우수는 수평 상태 혹은 수평 상태에 가깝게 형성된 여과용 곡관(130)의 부위에 충격을 직접 가하지 못하게 된다.
즉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에 의하여 여과용 곡관(130)이 받는 충격이 대부분 흡수되므로 여과용 곡관(130)이 보호된다.
아울러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면서 일부의 물은 제1여과공(131)을 지나 케이싱(110)의 제1공간으로 유입된 후, 제2공간(112)을 지나 제2우수 배출노즐(150)을 통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 후 우수배수용 보조관(191) 및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지나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또한 여과용 곡관(130)의 제1여과공(131)을 통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우수가 제2공간(112)으로 유입되며, 이 양은 제2우수 배출노즐(150)로 배출되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케이싱(110)의 제2공간(112)에 일정 정도의 수위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제2공간(112)의 물은 스크린부재(170)의 제2여과공(171)을 통과하여 제3공간(113)으로 유입된 후 제3우수 배출노즐(160)을 통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 후 빗물저장조용 배관(180)을 통하여 빗물저장조(10)로 배출된다.
즉 제2공간(112)의 우수는 일부가 제2우수 배출노즐(150)로 배출되는 한편 일부가 제2여과공(171)을 통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후 제3우수 배출노즐(16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동에 의하여 빗물저장조(10)의 수위가 기준치까지 상승하면 개폐밸브(181)가 닫히게 되어 빗물저장조(10)로의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며, 이후 모든 우수는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여과용 곡관(130)이 초기 우수나 우수의 양이 작은 경우에만 높은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우수로부터 충격을 받으며 이 경우 이를 완만한 곡선 형태를 통하여 수평 방향의 유동으로 전환하게 되며, 아울러 우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여과용 곡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위에 의하여 높은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우수로부터 받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제1여과공(131)을 통과하지 못한 협잡물은 우수 유입노즐(120)로부터 제1우수 배출노즐(140)로 향하는 우수의 유동에 의하여 제1우수 배출노즐(140)로 배출된다. 즉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지면서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는 여과용 곡관(130) 내부를 빠른 속도로 유동하면서 협잡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여과용 곡관(130)에는 협잡물이 정체되지 않으며, 다만 스크린부재(170)에는 제2여과공(171)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이 장시간 누적되면 본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는 스크린부재(170)의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도록 단위 스크린(172)이 적층된 구조를 채택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설치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110)의 제1공간(111)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부(114)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수위센서부(114)는 플로트 방식으로서 상부 레벨(HL)과 하부 레벨(LL)의 접점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개폐밸브(181)는 제1공간(111)의 수위가 상부 레벨(HL)과 하부 레벨(LL) 사이에 위치할 때만 열리게 된다.
즉 개폐밸브(181)는 수위센서부(114)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개폐되며, 케이싱(110)의 수위가 제1공간(111)에 위치하도록 개폐된다. 구체적으로는 ㄱ케이개폐밸브(181)는 (1110)의 수위가 상부 레벨(HL)과 하부 레벨(LL) 사이에 위치할 때만 열리게 된다.
이는 제1공간(111)의 수위가 상부 레벨(HL)에 도달하면 개폐밸브(181)가 열리며 제1공간(111)의 수위가 하부 레벨(LL)에 도달하면 개폐밸브(181)가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초기 우수의 경우와 우수의 양이 작은 경우를 도 8에 도시하였으며, 이는 도 5와 동일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가 내리기 시작한 후 매우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를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건축물의 옥상에서 낙하하는 우수는 우수 유입 노즐(120)을 통하여 본 장치에 유입되며,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면서 대부분의 우수는 제1우수 배출노즐(140) 및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통하여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한편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는 충분한 양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수위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여과용 곡관(130)에서 수평 상태 혹은 수평 상태에 가깝게 형성된 부위는 대부분 수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높은 낙차를 가지면서 낙하되는 우수는 수평 상태 혹은 수평 상태에 가깝게 형성된 여과용 곡관(130)의 부위에 충격을 직접 가하지 못하게 된다.
즉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에 의하여 여과용 곡관(130)이 받는 충격이 대부분 흡수되므로 여과용 곡관(130)이 보호된다.
아울러 여과용 곡관(130)을 지나면서 일부의 물은 제1여과공(131)을 지나 케이싱(110)의 제1공간으로 유입된 후, 제2공간(112)을 지나 제2우수 배출노즐(150)을 통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 후 우수배수용 보조관(191) 및 우수배수로용 배관(190)을 지나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또한 여과용 곡관(130)의 제1여과공(131)을 통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우수가 제2공간(112)으로 유입되며, 이 양은 제2우수 배출노즐(150)로 배출되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케이싱(110)의 제2공간(112)에 우수가 차게 되며, 이는 케이싱(110)의 제1공간(111)에 수위가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드디어 제1공간(111)의 상부 레벨(HL)에 도달하면 개폐밸브(181)가 열리며, 제1공간(111)의 수위는 상부 레벨(HL)과 하부 레벨(LL) 사이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제1공간(111)의 수위가 하부 레벨(LL)로 저하되면 개폐밸브(181)가 닫히면서 다시 제1공간(111)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공간(111)의 수위가 일정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공간(112)의 물은 스크린부재(170)의 제2여과공(171)을 통과하여 제3공간(113)으로 유입된 후 제3우수 배출노즐(160)을 통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 후 빗물저장조용 배관(180)을 통하여 빗물저장조(10)로 배출된다.
즉 제2공간(112)의 우수는 일부가 제2우수 배출노즐(150)로 배출되는 한편 일부가 제2여과공(171)을 통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후 제3우수 배출노즐(16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동에 의하여 빗물저장조(10)의 수위가 기준치까지 상승하면 개폐밸브(181)가 닫히게 되어 빗물저장조(10)로의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며, 이후 모든 우수는 우수배수로(20)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여과용 곡관(130)의 제1여과공(131)을 지나는 물이 낙하 상태로 제1공간(111)에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여과용 곡관(130)의 제1여과공(131)을 지나는 물이 연속적이면서 부드러운 유동을 통하여 제1공간(111)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본 장치가 받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공간(111)과 여과용 곡관(130) 사이의 수두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1여과공(131)을 통과하는 우수의 양이 작아질 뿐 아니라 부드럽게 되어 협잡물이 제1여과공(131)을 통과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되어 스크린부재(17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스크린부재(170)의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빗물저장조 11 : 저장조 수위센서
20 : 우수배수로
110 : 케이싱 111 : 제1공간
112 : 제2공간 113 : 제3공간
114 : 수위센서부
120 : 우수 유입노즐
130 : 여과용 곡관 131 : 제1여과공
140 : 제1우수 배출노즐
150 : 제2우수 배출노즐
160 : 제3우수 배출노즐
170 : 스크린부재 171 : 제2여과공
172 : 단위 스크린 172a : 간격조절 돌출구
172b : 안내홈
180 : 빗물저장조용 배관 181 : 개폐밸브
190 : 우수배수로용 배관 191 : 우수배수용 보조관
191a : 유량조절밸브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어 옥상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케이싱 내부로 받아들이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우수 유입노즐 ;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상기 우수 유입노즐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되 일단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되는 제1우수 배출노즐 ;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부인 제1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우수 유입노즐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우수 배출노즐에 연결되는 곡관 형태이되 주면에 복수의 제1여과공이 형성되는 여과용 곡관 ;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우수 배출노즐 ;
    상기 케이싱의 하부 측부에 마련되는 제3우수 배출노즐 ;
    상기 케이싱의 하부 공간을, 제2우수 배출노즐 및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케이싱의 중앙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공간과, 상기 제3우수 배출노즐과 연결되는 제3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1여과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여과공이 복수로 형성되는 스크린부재 ;
    상기 제3우수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빗물저장조로 보내기 위하여 마련되는 빗물저장조용 배관 ;
    상기 빗물저장조용 배관에 마련되는 개폐밸브 ;
    상기 제1우수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우수배수로로 보내기 위하여 마련되는 우수배수로용 배관 ;
    상기 제2우수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상기 우수배수로용 배관으로 보내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우수배수로용 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우수배수용 보조관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우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1공간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수위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수위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우수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배수용 보조관에 유량조절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우수 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링 형태의 단위 스크린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 스크린 사이에 상기 제2여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여과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위 스크린의 상하방향 일측에는 간격조절 돌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 스크린의 상하방향 타측에는 상기 간격조절 돌출구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1020140026350A 2014-03-06 2014-03-06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101413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50A KR101413688B1 (ko) 2014-03-06 2014-03-06 낙하 우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50A KR101413688B1 (ko) 2014-03-06 2014-03-06 낙하 우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688B1 true KR101413688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350A KR101413688B1 (ko) 2014-03-06 2014-03-06 낙하 우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480A (ko) * 2019-12-23 2021-07-02 엄도윤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102489745B1 (ko) * 2022-05-03 2023-01-18 박진석 수직형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32A (ko) * 2002-08-29 2004-03-11 한무영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JP2007146638A (ja) 2005-11-01 2007-06-14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留設備
JP2009108563A (ja) 2007-10-30 2009-05-21 Aron Kasei Co Ltd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KR20100024303A (ko) * 2008-08-25 2010-03-05 누리환경(주)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32A (ko) * 2002-08-29 2004-03-11 한무영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JP2007146638A (ja) 2005-11-01 2007-06-14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留設備
JP2009108563A (ja) 2007-10-30 2009-05-21 Aron Kasei Co Ltd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KR20100024303A (ko) * 2008-08-25 2010-03-05 누리환경(주)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 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480A (ko) * 2019-12-23 2021-07-02 엄도윤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102315260B1 (ko) * 2019-12-23 2021-10-20 엄도윤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102489745B1 (ko) * 2022-05-03 2023-01-18 박진석 수직형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219B1 (ko)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CN206736668U (zh) 一种公路排水边沟与排水管道连接装置
CN102102392A (zh) 一体化初期雨水弃流井及雨水弃流的方法
KR100912590B1 (ko) 교량용 배수시설
KR20200133656A (ko)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NL1004453C2 (nl) Inrichting voor het opvangen, tussentijds opslaan en afvoeren van regenwater.
US9708807B2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CN109372088A (zh) 一种易清扫的自动封闭雨水口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KR101413688B1 (ko)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CN106836440A (zh) 一种雨污分流自控装置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US7811450B2 (en) Swirl chamber with movable non-return valve and air injector for prevention of sedimentation in storm water and waste drains
KR100927459B1 (ko) 빗물처리장치
AU2008255229A1 (en) Flow Diverters and Flow Diversion System
KR101433076B1 (ko)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KR20210081480A (ko)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101651428B1 (ko) 초기 우수 배제 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RU163974U1 (ru) Узел аварийного сброса воды в системе ливневой канализации
KR102245590B1 (ko) 빗물 정화를 위한 우수관용 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