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34B1 -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34B1
KR101413434B1 KR1020130008387A KR20130008387A KR101413434B1 KR 101413434 B1 KR101413434 B1 KR 101413434B1 KR 1020130008387 A KR1020130008387 A KR 1020130008387A KR 20130008387 A KR20130008387 A KR 20130008387A KR 101413434 B1 KR101413434 B1 KR 10141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etal plate
identification structure
counterfeit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장웅
안병완
김겸욱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4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chem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with a simplified manufacturing process and is formed of a fine pattern which is difficult to forge, and is formed using an electro hydrodynamic phenomenon which can distinguish forged currency easi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comprises; a step of positioning a metal plate on the lower side of a nozzle of a printing device using the electro hydrodynamic phenomenon; a step of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a step of applying a voltage to the nozzle from a power source such that the electro hydrodynamic phenomenon is generated in the nozzle; and a step of printing a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pattern including graphene on the metal plate by discharging graphene containing ink which includes a graphene ink particle and a solvent whereby the graphene ink particle is diffused from the nozzle using the electro hydrodynamic phenomenon.

Description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 그 제조 방법, 그를 포함하는 화폐, 및 그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money including the same, and a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using the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조식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 그 제조 방법, 그를 포함하는 화폐, 및 그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unterfeit identif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currency including the counterfeit, and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화폐, 계약서, 영수증, 제품 사양서, 계약서 인쇄라벨 등과 같은 중요한 문서 또는 물건의 위조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위조식별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지폐나 주화와 같은 화폐는 상품 교환의 매개체로서, 지불 수단, 가치 척도, 또는 축적 목적물로서 사회에 유통되며, 매개체의 신뢰성을 국가가 보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뢰성 보장을 위하여 여러 가지 위조 식별 요소들을 화폐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위조식별 요소로서 예를 들어 지폐의 경우 지폐 재질, 띠형 홀로그램, 볼록 인쇄, 요판 잠상, 미세문자, 숨은 그림, 색 변환, 형광 색사, 필터형 잠상 등의 위조 식별 요소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주화의 경우에는 재질, 문양, 무게 등 물리적 요소로서 위조를 식별할 뿐이고, 별개의 위조 식별 요소를 적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Various counterfeit identification methods are used to prevent counterfeiting of important documents or items such as money, contracts, receipts, product specifications, contract printing labels, and so on. In particular, money such as banknotes or coins is circulated to the society as a means of exchange of commodities, as a means of payment, as a measure of value, or as an object of accumulation, and the state generally guarantees the reliability of the medium. Therefore, various counterfeit identification elements are applied to money in order to guarantee such reliability. For example, in the case of banknotes, forged identification elements such as banknote materials, band-shaped holograms, convex printing, intaglio latent images, fine characters, hidden pictures, color conversion, fluorescent coloring, and filter type latent images are appli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ins, it is only a physical factor such as material, pattern, and weight to identify the counterfeit, and a separate counterfeit identification element can not be applied.

이러한 위조 식별 요소는 제조가 어려우므로 화폐의 제조 단가를 증가시키고, 주화에는 적용되기 어려우며, 또한 개인 용도의 중요 문서의 위조식별을 위하여 사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These counterfeit identification elements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money, is difficult to apply to coinage, and has limitations that can not be used for counterfeit identification of important documents for personal use.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6606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6067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화된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고, 위조가 어려운 미세 패턴으로 구성되고,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위조 식별이 용이한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ystem which is formed by a simplified manufacturing process and is composed of fine patterns which are difficult to be counterfeited and which is formed by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nd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위조식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rency includ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the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the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금속판을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의 노즐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노즐에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노즐로부터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그래핀 잉크 입자 및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분산된 용매를 포함하는 그래핀 함유 잉크를 토출시켜 상기 금속판 상에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the method comprising: positioning a metal plate on a lower side of a nozzle of a printing apparatus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on;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Applying a voltage from a power source to the nozzle such that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occurs in the nozzle; And an electrophoretic phenomenon from the nozzle to eject a graphene ink containing graphene ink particles and a solvent in which the graphene ink particles are dispersed to print a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including graphene on the metal plate ; ≪ / RTI >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된 위조식별패턴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printed fake identification pattern and heat-tr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such that the graphen ink particles are bond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는, 직류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is performed by applying a direct current voltage from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to the nozzle, or by applying an alternating voltage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to the nozzle .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은, 사인파형(sine-type) 교류 전압 또는 펄스형(pulse-type) 교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 power source may apply a sine-type AC voltage or a pulse-type AC voltage to the nozzl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은, 100 Hz 내지 400 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원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 power source may be an AC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ranging from 100 Hz to 400 Hz.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300 V 내지 500 V 범위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ource may apply a voltage in the range of 300 V to 500 V to the nozzl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0.5 ㎛ 내지 10 ㎛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may have a diameter ranging from 0.5 [mu] m to 10 [mu] m.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상기 금속판의 이격 간격은 10 ㎛ 내지 50 ㎛ 범위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metal plate may range from 10 [mu] m to 50 [mu] m.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pplying the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and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is performed, the step of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is performed, or vice versa .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주화의 표면이거나 또는 지폐에 부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plate may be a surface of a coin or may be attached to a bil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0.5 ㎛ 내지 10 ㎛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노즐과 상기 금속판 사이의 이격 간격은 10 ㎛ 내지 50 ㎛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전원은, 300 V 내지 500 V 범위이고 100 Hz 내지 400 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원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may have a diameter in the range of 0.5 탆 to 10 탆,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metal plate may range from 10 탆 to 50 탆, And may be an AC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in the range of 300 V to 500 V and a frequency in the range of 100 Hz to 400 Hz.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위조식별 구조체는, 상술한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 상에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comprising: a metal plate; And a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located on the metal plate and including graphen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폐는 상술한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by us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폐는 지폐이고,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는 상기 지폐 상에 부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cy is a bill, and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may be attached on the bil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폐는 주화이고,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의 상기 금속판은 상기 주화의 표면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cy is a coin, and the metal plate of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may be the surface of the coi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은,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형성되고 그래핀으로 구성된 위조식별패턴을 가지는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산화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상기 위조식별패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금속판의 일부 영역을 산화시켜 산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식별하여 상기 화폐의 위조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nclud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on a metal plate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nd hav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formed of graphene Preparing a currency to be paid; Expos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to an oxidizing atmosphere and oxidizing a portion of the metal plate exposed from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to form an oxidation region; And identifying the falsification of the currency by identifying the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pattern from the oxidation area of the metal plat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공기 분위기 내에서 또는 산소 분위기 내에서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oxidized area of the metal plate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in an air atmosphere or an oxygen atmospher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에 산화성 유체를 투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oxidizing zone of the metal plate may be performed by injecting an oxidizing fluid into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폐를 환원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을 환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posing the money to a reducing atmosphere to reduce the oxidized area of the metal shee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그래핀 함유 잉크를 금속판 상에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고, 산화 처리에 의하여 위조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종래의 위조지폐 판별 방법들에 비해 만들기가 용이하며,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 패턴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조가 어려우며, 지폐 제작 단가 절약과 지폐 위조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graphene-containing ink is formed by printing on a metal plate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 It is easy to make compared to conventional counterfeit banknote discrimination methods, and it is difficult to counterfeit because microsteps are used in units of microcircuits. Thus, it is possible to save the cost of manufacturing banknotes and prevent counterfeiting of banknotes.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exemplarily describ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전압의 파형들을 도시하는 그래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위조식별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주화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지폐를 도시한다.
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in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to perfor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graphs showing waveforms of voltages us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of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inting method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to perfor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ke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coin includ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bill contain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echnical though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at all times. Further,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프린팅 방법으로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위조식별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by forming a fine pattern by a printing method on a metal plate using a prin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100, 100a)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inting apparatus 100, 100a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for perform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100)는, 노즐(110), 직류 전원(120), 및 공압 부재(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rinting apparatus 100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includes a nozzle 110, a DC power source 120, and a pneumatic member 140.

노즐(110)은 그래핀 함유 잉크(170)를 토출하여 금속판(210) 상에 그래핀 함유 잉크(170)를 안착시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220)을 프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10)은 그래핀 함유 잉크(170)를 수용하고, 공압 부재(140)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압에 의하여 노즐(110) 내에 그래핀 함유 잉크(170)가 충전되고, 직류 전원(120)에 의하여 인가된 직류 전압에 의하여 그래핀 함유 잉크(170)를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금속판(210)에 토출하여 금속판(210) 상에 상기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다.The nozzle 110 can eject the graphene containing ink 170 and place the graphene containing ink 170 on the metal plate 210 to print the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220 including graphene. For example, the nozzle 110 receives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is filled in the nozzle 110 by the air pressure supplied by the pneumatic member 140, The ink containing graphene 170 is discharged onto the metal plate 210 by electrohydraulic phenomenon by the DC voltage applied by the counter electrode 120 to form a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220 ) Can be formed.

노즐(110)은,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 은, 백금,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gold, silver, platinum, copper,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그래핀 함유 잉크(170)는 그래핀 잉크 입자 및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분산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2차원 형상의 카본 나노 구조체이고, 전하이동도가 약 15,000cm2/Vs로 크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그래핀은 광을 90% 이상 투과시키는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이 금속 상에 위치하는 경우, 산소의 투과를 방지하여 상기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핀은 흑연 결정으로부터의 기계적 박리법 또는 정전기적 박리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핀은, 실리콘 탄화물의 열분해법, 히드라진(hydrazine, NH2NH2)과 같은 산화제를 이용한 추출법, 또는 수소 및 탄소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이용하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수용성 물질 또는 지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함유 잉크(170)를 구성하는 물질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may include graphene ink particles and a solvent in which the graphene ink particles are dispersed. The graphene ink particles may comprise graphene. It is known that the graphene is a two-dimensional carbon nanostructure, has a charge mobility of about 15,000 cm 2 / Vs and is excellent in thermal conductivity. In addition, the graphene may have a transparent property that transmits 90% or more of light. When the graphene is located on the metal, the permeation of oxygen can be prevented and the met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The graphene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graphene can be formed by a mechanical stripping method or an electrostatic stripping method from graphite crystals. Alternatively, the graphene may be formed by a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of silicon carbide, an extraction method using an oxidizing agent such as hydrazine (NH 2 NH 2 ),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ethod using a reaction gas containing hydrogen and carbo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olvent may include a volatile substance, or may include a water-soluble substance or a lipid-soluble substanc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is illustrativ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공압 부재(140)는 노즐(110)과 연결되어 노즐(110)에 공기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에 의하여 그래핀 함유 잉크(170)가 노즐(110)에 공급되어 노즐(110)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노즐(110)로부터 그래핀 함유 잉크(170)가 토출될 때, 공압 부재(140)는 그래핀 함유 잉크(170)에 공기압을 제공하여, 노즐(110)로부터의 그래핀 함유 잉크(170)의 토출을 보조할 수 있다. 공압 부재(140)는, 예를 들어 펌프일 수 있다.The pneumatic memb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110 to provide air pressure to the nozzle 110.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is supplied to the nozzle 110 by the air pressure so that the nozzle 110 can be charged. In addition, when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is ejected from the nozzle 110, the pneumatic member 140 provides air pressure to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to eject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Can be assisted. The pneumatic member 140 may be, for example, a pump.

직류 전원(120)은 노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류 전원(120)은 상기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노즐(11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직류 전원(120)은 노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측 단자(121)와 금속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측 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DC power supply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zzle 110. The DC power source 120 may apply a DC voltage to the nozzle 110 to generate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The DC power source 12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zzle 110 and a second terminal 12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210. The DC power supply 120 can apply a DC voltage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100a)는, 노즐(110), 교류 전원(130), 및 공압 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것이며,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a printing apparatus 100a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includes a nozzle 110, an AC power source 130, and a pneumatic member 140. As shown in FIG.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dification of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elem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교류 전원(130)은 노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교류 전원(130)은 상기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노즐(11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교류 전원(130)은 노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측 단자(131)와 접지(1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측 단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133)는 프린팅 장치(100a)의 본체(미도시)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교류 전원(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인파형(sine-type) 교류 전압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펄스형(pulse-type)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AC power source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zzle 110. The AC power source 130 may apply an AC voltage to the nozzle 110 to generate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The AC power source 13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3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zzle 110 and a second terminal 13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133. The ground 133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ain body (not shown)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a. The AC power supply 130 may apply a sine-type AC voltage as shown in FIG. 4 or a pulse-type AC voltage as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전압의 파형들을 도시하는 그래프들이다. FIGS. 3 to 5 are graphs showing waveforms of voltages us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직류 전원(120)에 의하여 노즐(11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직류 전압은 균일한 "+" 전압이 노즐(110)에 인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 전압을 노즐(110)에 인가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n exemplary waveform of a DC voltage applied to the nozzle 110 by the DC power supply 120 of FIG. Although the DC voltage is shown as being applied to the nozzle 110, a uniform "+" voltage is illustrative, and the case of applying a voltage of "-" to the nozzle 110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2의 교류 전원(130)에 의하여 노즐(110)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교류 전압은 도 4의 사인파형(sine-type) 교류 전압일 수 있거나 도 5의 펄스형(pulse-type) 교류 전압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다양한 형태로서 "+" 전압과 "-" 전압이 교번하는 교류 전압을 노즐(110)에 인가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re is shown an exemplary waveform of an alternating voltage applied to the nozzle 110 by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130 of FIG. The AC voltage may be a sine-type AC voltage of FIG. 4 or a pulse-type AC voltage of FIG.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the case of applying alternating voltage with alternating "+" voltage and "-" voltage to the nozzle 110 in various forms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S1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S100)에 의하여 제조된 위조식별 구조체(2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S100)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200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S100) of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S100)은, 금속판을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의 노즐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110),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S120), 상기 노즐에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노즐로부터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그래핀 잉크 입자 및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분산된 용매를 포함하는 그래핀 함유 잉크를 토출시켜 상기 금속판 상에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또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S100)은, 상기 프린팅된 패턴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열처리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manufacturing method (S100) of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ncludes a step (S110) of placing a metal plate on a lower side of a nozzle of a printing apparatus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on (S110) (S130)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so that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occurs in the nozzle, and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from the nozzle, And printing a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including graphene on the metal sheet by discharging a graphene-containing ink including a solvent in which fin ink particles are dispersed (S140). The manufacturing method (S100) of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50) of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printed pattern and heat-tr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so that the graphen ink particles are bonded to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위조식별 구조체(200)는 금속판(210)과 금속판(210) 상에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2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200 includes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220 formed on the metal plate 210 and the metal plate 210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nd including graphene.

금속판(21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철, 니켈, 구리, 알루미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210)은 얇은 금속 호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폐나 문서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210)은 주화의 표면일 수 있다.The metal plate 210 may include a metal, for example, iron, nickel, copper, aluminum, or the like. The metal plate 210 may be composed of a thin metal foil, and may be attached to, for example, bank notes, document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metal plate 210 may be a surface of a coin.

위조식별패턴(220)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고, 금속판(210)의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위조식별패턴(220)은 위조식별을 위한 다양한 문양을 가질 수 있다. 위조식별패턴(220)에 의하여 덮인 금속판(210)의 일부 영역은 산화가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220 may include graphene and cover a portion of the metal plate 210.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220 may have various patterns for fake identification. A part of the metal plate 210 covered by the forgings identification pattern 2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thereby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it is falsified.

위조식별 구조체(200)는 주화 등의 동전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지폐에 부착되어 위조식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조식별 구조체(200)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문서, 예를 들어 계약서, 영수증, 제품 사양서, 인쇄라벨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200 may be formed directly on a coin such as a coin or attached to a bill to be used for counterfeit identification. In addition,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200 can be applied to various documents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such as contracts, receipts, product specifications, printing labels,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6의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S100)의 각 단계들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step of the manufacturing method (S100) of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of FIG.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상기 금속판을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의 노즐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110)에서는, 금속판(210)을 프린팅 장치(100, 100a)의 노즐(110) 하측에 위치시킨다.In step S110, the metal plate 210 is positioned below the nozzle 110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100a in the step of placing the metal plate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of the printing apparatus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S120)에서는, 공압 부재(140)로부터 공기압을 노즐(110)에 제공하여 노즐(110)에 그래핀 함유 잉크(170)를 충전할 수 있다.In step S120 of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air pressure from the pneumatic member 140 may be supplied to the nozzle 110 to fill the nozzle 110 with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

상기 노즐에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S130)에서는, 노즐(110)에 도 1과 같이 직류 전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직류 전원(120)이 노즐(11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한다. 또는, 노즐(110)에 도 2와 같이 교류 전원(130, 도 2 참조)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교류 전원(130)이 노즐(11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In step S130 of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so that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occurs in the nozzle, a DC power sourc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zzle 110 as shown in FIG. 1, The DC power source 120 applies the DC voltage to the nozzle 110 so that the development is generated. Alternatively, an AC power source 130 (see FIG.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zzle 110 as shown in FIG. 2, and an AC power source 130 applies an AC voltage to the nozzle 110 to generate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S130)는 상기 순서로 수행되거나 반대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은 서로 교번할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S120) and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S130) may be performed in this order,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r simultaneously. Also, the steps may alternate with each other.

상기 노즐로부터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그래핀 함유 잉크를 토출시켜 상기 금속판 상에 위조식별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전압에 의하여 노즐(110)로부터 상기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그래핀 함유 잉크(170)가 토출되어 금속판(210) 상에 프린팅되어 위조식별패턴(220)을 형성한다. 그래핀 함유 잉크(170)에 포함된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금속판(210)의 금속에 분산되어 흡착될 수 있다. 또한, 공압 부재(140)가 그래핀 함유 잉크(170)에 공기압을 제공하여, 노즐(110)로부터의 그래핀 함유 잉크(170)의 토출을 보조할 수 있다.In step S140 of discharging the graphene-containing ink from the nozzle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to print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on the metal plate, the electrophoretic phenomenon is applied from the nozzle 110 by the voltage The graphene containing ink 170 is ejected and printed on the metal plate 210 to form the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220. [ The graphene ink particles contained in the graphene containing ink 170 can be dispersed and adsorbed on the metal of the metal plate 210. [ In addition, the pneumatic member 140 can supply air pressure to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to assist in ejection of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from the nozzle 110.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노즐(110) 말단에 그래핀 함유 잉크(170)에 의하여 테일러 콘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노즐(110)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분사 직경(Jetting diameter)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직경은, 예를 들어 1 ㎛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미세한 위조식별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 Taylor cone is formed by the graphene-containing ink 170 at the end of the nozzle 110, so that the jetting diamete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zzle 110 is formed. Can be formed. Such an injection diameter can be formed to be, for example, 1 mu m or less, so that a fin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can be formed.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열처리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기 프린팅된 위조식별패턴(220)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서로 결합하여 고상화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S150)는, 예를 들어 약 100℃내지 약 300℃범위의 온도에서 약 1분 내지 약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0의 온도에서 약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S150)는 선택적이며(optional),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다.In the step of heat tr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S150), the solvent is removed from the printed fake identification pattern 220, and the graphen ink particles are bonded to each other to solidify. The heat treatment step (S150)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for example, about 100 캜 to about 300 캜 for about 1 minute to about 60 minutes, and may be performed for about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200 have. The heat treatment step S150 is optional and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특히 도 8은 도 2의 프린팅 장치(100a)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inting method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to perfor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8 exemplifies the case of using the printing apparatus 100a of FIG.

도 8을 참조하면, 공압 부재(140)에 의하여 제1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1) (droplet)이 노즐(110) 말단에 노출될 수 있다. 교류 전원(130)에 의하여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하여 노즐(110)은, "+"로 대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1)도 노즐(110)을 통하여 "+"로 대전될 수 있다. 상기 "+"로 대전된 제1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1)은 노즐(110)로부터 토출되어 금속판(210) 상에 안착되어 제1 패턴(181)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패턴(181)은 제1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1)의 대전 극성과 동일하게 "+"로 대전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first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 171 (droplet) may be exposed at the end of the nozzle 110 by the pneumatic member 140. The first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 171 is also positively charged by the alternating voltage applied by the AC power supply 130 so that the first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 171 is also positively charged by the " + " . The first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s 171 charged with "+" are discharged from the nozzles 110 and are placed on the metal plate 210 to form a first pattern 181. At this time, the first pattern 181 may be charged with "+" like the charging polarity of the first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 171.

이어서, 공압 부재(140)에 의하여 제2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2)이 노즐(110) 말단에 노출될 수 있다. 교류 전원(130)에 의하여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하여 노즐(110)은, 상기 교류 전압의 특성에 따라 이전과는 반대 극성인, "-"로 대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2)도 노즐(110)을 통하여 "-"로 대전될 수 있다. 상기 "-"로 대전된 제2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2)은 노즐(110)로부터 토출되어 금속판(210) 상에 안착되어 제2 패턴(182)을 형성한다. 이때에, 상기 "+"로 대전되고 미리 안착된 제1 패턴(181)에 의하여 "-"로 대전된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2)은 인력을 받아 금속판(210)으로 이끌릴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전기수력학적현상이다. Next, the second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 172 may be exposed at the end of the nozzle 110 by the pneumatic member 140. Due to the alternating voltage applied by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supply 130, the nozzle 110 can be charged with "-", which is opposite in polarity to the former 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ng voltage, The droplets 172 may also be charged with "-" through the nozzles 110. The second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s 172 charged with "-" are discharged from the nozzle 110 and are placed on the metal plate 210 to form a second pattern 182. At this time, the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s 172 charged with "- " by the first pattern 181 charged with the" + "and previously seated can be attracted to the metal plate 210 by gravity. This phenomenon is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또한, 제1 패턴(181)과 제2 패턴(182)은 서로 합쳐져 위조식별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전하로 대전되었으므로, 이들이 합쳐지는 경우 위조식별패턴(220)은 전기적 중성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다시 "+"로 대전된 노즐(110)로 의하여 제3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173)이 "+"로 대전될 수 있고, 노즐(11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pattern 181 and the second pattern 18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and are charged with different charges, when they are combined,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electrically neutral . Then, the third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 173 can be charged with "+" by the nozzle 110 charged with "+ " again, and can be discharged from the nozzle 110.

상술한 방식으로, "+"와 "-" 전하로 대전된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이 교번하여 노즐(110)로부터 토출되어 금속판(210) 상에 안착되어 합쳐지며, 이에 따라 위조식별패턴(220)은 전기적 중성을 이루게 되므로, 금속판(210)에는 전하의 축적이 방지될 수 있다.The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s charged with "+" and "-" charges are alternately discharged from the nozzle 110 and are seated on the metal plate 210, The metal plate 210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charges.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는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도 1의 직류 전원(120) 또는 도 2의 교류 전원(130)은 약 300 V 내지 약 500 V 범위의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을 노즐(110)에 인가할 수 있다. 교류 전원(130)은 약 100 Hz 내지 약 400 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교류 전압을 노즐(110)에 인가할 수 있다. 노즐(110)은 약 0.5 ㎛ 내지 약 10 ㎛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노즐(110)과 금속판(210) 사이의 이격 간격은 약 10 ㎛ 내지 약 50 ㎛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DC power supply 120 of FIG. 1 or the AC power supply 130 of FIG. 2 may apply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in the range of about 300 V to about 500 V to the nozzle 110. The AC power supply 130 may apply the AC voltage having a frequency in the range of about 100 Hz to about 400 Hz to the nozzle 110. The nozzle 110 may have a diameter ranging from about 0.5 [mu] m to about 10 [mu] m. The spacing between the nozzle 110 and the metal plate 210 may range from about 10 [mu] m to about 50 [mu] m.

상기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낮아지면,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될 수 있다. 노즐(110)과 금속판(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세기가 작아질 수 있다. 노즐(110)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잉크의 크기를 감소시켜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f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is lowered, it may become similar to the case of applying the DC voltag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110 and the metal plate 210 becomes narrower,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AC voltage can be reduced. As the diameter of the nozzle 110 becomes smaller, the size of the ink can be reduced to increase the resolution.

상기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프린팅하는 경우에는, 금속판(210)에 형성되는 캐패시턴스 때문에 금속판(210)이 대전되는 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반면, 상기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높아지면, 금속판(210)이 대전되는 시간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프린팅이 되며, 금속판(210)이 대전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높은 주파수에서는 잉크가 토출되지 않게 되어 프린팅이 불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rinting using the AC voltage, the speed at which the metal plate 210 is charged due to the capacitance formed on the metal plate 210 becomes slow. On the other hand, if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is increased, since the time for charging the metal plate 210 is not allowed, printing can be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when the metal plate 210 is charged. However, at a very high frequency, ink may not be ejected and printing may not be possibl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S2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ke identification method (S200) us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S200)은,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형성되고 그래핀으로 구성된 위조식별패턴을 가지는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폐를 준비하는 단계(S210),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산화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상기 위조식별패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금속판의 일부 영역을 산화시켜 산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식별하여 상기 화폐의 위조여부를 식별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또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방법(S200)은, 상기 화폐를 환원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을 환원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method (S200) us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money includ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hav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formed on a metal plat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nd composed of graphene A step S220 of expos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to an oxidizing atmosphere and oxidizing a part of the metal plate exposed from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to form an oxidizing area; And identifying the forgery of the currency by identifying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from the oxidation area of the metal plate (S230). Further, the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method (S200) using the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tep (S240) of exposing the money to a reducing atmosphere and reducing the oxidation area of the metal plate.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가지는 화폐를 준비하는 단계(S210)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가지는 화폐를 준비한다.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는 그래핀으로 구성되고 위조식별을 위한 문양을 가지는 위조식별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폐는 지폐 또는 주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폐를 대신하여 위조방지가 요구되고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가지는 문서를 준비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In step S210 of preparing the currency hav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money hav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is prepared.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may comprise a fake identification pattern consisting of graphene and having a pattern for counterfeit identification. The money may be banknotes or coin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a counterfeit prevention is required instead of the currency, and a document having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prepared.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산화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상기 위조식별패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금속판의 일부 영역을 산화시켜 산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220)에서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산화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수행되며, 상기 그래핀을 포함하는 상기 위조식별패턴에 의하여 덮인 상기 금속판의 일부 영역은 산화가 방지되고, 상기 위조식별패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금속판의 일부 영역은 산화되어 상기 산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step S220 of exposing the falsification identifying structure to an oxidizing atmosphere and oxidizing a part of the metal sheet exposed from the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pattern to form an oxidizing region, the falsification identifying structure is performed by exposing the falsification identifying structure to an oxidizing atmosphere, A part of the metal plate covered by the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including graphene is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and a part of the metal plate exposed from the forged identification pattern is oxidized to form the oxidized area.

상기 산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산화성 분위기는 공기 분위기 또는 산소 분위기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20℃ 내지 500℃ 범위의 온도로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상기 금속판의 산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e oxidizing atmosphere for forming the oxidizing area may include an air atmosphere or an oxygen atmosphere, and the falsification identifying structure may be heated to a temperature ranging from 20 ° C to 500 ° C. The heating may be provided to activate the oxidation of the metal plate.

또한, 상기 산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산화성 분위기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에 산화성 유체를 주입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도 상기 산화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산화성 유체는 금속을 산화시키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과망간산 또는 그 염물질, 크롬산 또는 그 염물질, 질산 또는 그 염물질, 황산 또는 염물질, 산소산 또는 그 염 물질, 할로겐물,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xidizing atmosphere for forming the oxidizing area may be realized by injecting an oxidizing fluid into the forging identification structure. In this case, the oxidation region can be easily formed even at room temperature without h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The oxidizing fluid may include an oxide for oxidizing the metal, and may be a peroxide such as permanganic acid or its salt, chromic acid or its salt, nitric acid or its salt, sulfuric acid or its salt, oxygen acid or its salt, halogen water, , And the like.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식별하여 상기 화폐의 위조여부를 식별하는 단계(S230)에서는, 상기 위조식별패턴에 의하여 덮인 상기 금속판의 일부 영역은 산화되지 않으므로, 상기 산화 영역을 관찰하여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폐의 위조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In the step S230 of identifying the forgery of the money by identifying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from the oxidation area of the metal plate, a part of the metal plate covered by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is not oxidized,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can be identified,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counterfeit money is falsified.

상기 화폐를 환원성 분위기에 노출시켜, 상기 금속판의 상기 산화 영역을 환원하는 단계(S240)에서는, 수소(H2), 메탄(CH4), 암모니아(NH3), 수증기(H2O) 등과 같은 환원성 가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환원성 분위기에 상기 화폐를 위치시켜, 상기 금속판에 형성된 상기 산화 영역을 환원시킬 수 있다. In the step S240 of reducing the oxidized area of the metal sheet by exposing the money to a reducing atmosphere, the metal such as hydrogen (H 2 ), methane (CH 4 ), ammonia (NH 3 ), water vapor (H 2 O) The oxidizing region formed on the metal plate can be reduced by placing the money in the reducing atmosphere formed using a reducing gas.

또한, 상기 환원성 분위기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에 훤원성 유체를 주입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도 상기 산화 영역을 용이하게 환원시킬 수 있다. 상기 환원성 유체는 금속을 환원시키는 환원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데하이드, 옥살산, 당류, 이산화황, 과산화수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ducing atmosphere may be implemented by injecting a frangible fluid into the forged identification structure. In this case, the oxidation region can be easily reduced even at room temperature without h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The reducing fluid may include a reductant that reduces the met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ldehyde, oxalic acid, saccharides, sulfur dioxide, hydrogen peroxide, and the lik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주화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 coin includ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2 유로화 주화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위조식별 구조체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는 유럽공동체 화폐인 2 유로화 주화의 표면을 금속판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주화 표면의 적색 영역 내의 "R" 문양에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0,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2-euro co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es the surface of the 2 euro coin, which is the European Community currency, as a metal plate, and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formed that includes graphene in the "R" pattern in the red area of the coin surface. However, this is illustrativ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2 유로화 주화가 산화되기 전에는, 그래핀이 투명하므로 위조식별패턴(220)은 육안 식별이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2 유로화 주화가 산화된 후에는, 위조식별패턴(220)으로 덮인 영역은 상기 그래핀에 의하여 산소가 차단되어 산화가 방지되며, 이에 따라 위조식별패턴(220)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서는 산화 후에 위조식별패턴(220)이 흰색으로 나타나게되어 식별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조식별패턴(220)은 약 5 ㎛의 미세한 선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조식별패턴(220)은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주화의 표면 형상에 무관하게 원하는 문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주화 표면의 오목부 내에 위조식별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부와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방지 코팅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Before the 2-euro coin is oxidized, since the graphene is transparent,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difficult or almost impossible to visually recognize. However, after the 2 euros coin is oxidized, the area covered with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blocked by oxygen by the graphene to prevent oxidation, thereby enabling identification of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 FIG. 10 shows a case in which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identified after being oxidized to appear white.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220 may have a fine line width of about 5 mu m. Further, since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formed by a printing method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on, it can be formed to have a desired pattern irrespective of the surface shape of the coin. In particular, since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220 can b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in surface, an anti-counterfeit coating that prevents damage due to friction with the outside may not be requir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지폐를 도시한다.11 illustrates a bill contain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는 한국 화폐인 5만원 지폐 상에 부착된 금속 박막을 금속판으로서 사용하고, 그 상에 그래핀을 포함하는 위조식별패턴(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조식별패턴은 하측의 금속 박막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 10과 유사하게 상기 지폐의 위조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에서는 위조식별패턴(220)이 흑색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투명하게 형성됨에 유의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uses a metal foil on a 50,000-note banknote, which is Korean currency, as a metal plate, and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220 including graphene is formed thereon. However, this is illustrativ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can prevent oxidation of the metal film on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paper money is falsified, similarly to FIG. Note that although the forgery identification pattern 220 is shown in black in FIG. 11, it is actually formed transparent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100a: 프린팅 장치, 110: 노즐, 120: 직류 전원, 130: 교류 전원,
140: 공압 부재, 170: 그래핀 함유 잉크,
171, 172, 173: 그래핀 함유 잉크 액적,
200: 위조식별구조체,
210: 금속판, 220: 위조식별패턴,
100, 100a: printing device, 110: nozzle, 120: DC power supply, 130: AC power supply,
140: pneumatic member, 170: graphene-containing ink,
171, 172, 173: Graphene-containing ink droplets,
200: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210: metal plate, 220: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Claims (20)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형성되고 그래핀 함유 잉크로 프린팅되어 투명한 위조식별패턴을 가지는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에 산화성 유체를 투입하여, 상기 금속판을 산화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판의 산화시 산화되지 않고 노출된 위조식별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화폐의 위조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조여부를 식별한 화폐의 위조식별 구조체에 환원성 유체를 투입하여, 상기 금속판을 환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Preparing a currency compris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on a metal plat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nd printed with graphene-containing ink to have a transparent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Oxidizing the metal plate by injecting an oxidizing fluid into the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Identifying whether the money is falsified by confirming the exposed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pattern without oxidation when the metal plate is oxidized;
Reducing the metal plate by applying a reducing fluid to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of the money identifying the forgery;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형성되고 그래핀 함유 잉크로 프린팅되어 투명한 위조식별패턴을 가지는 위조식별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위조식별 구조체를 공기 분위기 내에서 또는 산소 분위기 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금속판을 산화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판의 산화시 산화되지 않고 노출된 위조식별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화폐의 위조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조여부를 식별한 화폐의 위조식별 구조체에 환원성 유체를 투입하여, 상기 금속판을 환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Preparing a currency compris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on a metal plat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nd printed with graphene-containing ink to have a transparent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Heating the forged identification structure in an air atmosphere or in an oxygen atmosphere to oxidize the metal plate;
Identifying whether the money is falsified by confirming the exposed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pattern without oxidation when the metal plate is oxidized;
Reducing the metal plate by applying a reducing fluid to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of the money identifying the forgery;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폐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판을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한 프린팅 장치의 노즐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노즐에 전기수력학적현상이 발생되도록,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과정; 및
상기 노즐로부터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판 상에 그래핀 잉크 입자 및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분산된 용매를 포함하는 그래핀 함유 잉크를 토출시켜 투명한 위조식별 패턴을 프린팅하는 과정;
를 포함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ep of preparing the currency comprises:
Positioning the metal plate below a nozzle of a printing apparatus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on;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Applying a voltage from a power source to the nozzle such that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occurs in the nozzle; And
Printing a transparent counterfeit identification pattern by ejecting graphene ink particles containing a graphene ink particle and a solvent in which the graphene ink particles are dispersed on the metal plate using the electrohydraulic phenomenon from the nozzle;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된 위조식별패턴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그래핀 잉크 입자가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위조식별패턴을 열처리하는 과정;
를 더 포함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printed fake identification pattern, and heat-treating the fake identification pattern so that the graphen ink particles are bond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과정은,
직류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여 수행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comprises:
Or by applying a DC voltage from the DC power source to the nozzle, or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by applying an AC voltage from an AC power source to the nozzle,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은, 사인파형(sine-type) 교류 전압 또는 펄스형(pulse-type) 교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C power source applies a sine-type AC voltage or a pulse-type AC voltage to the nozzle,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은, 100 Hz 내지 400 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원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C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in a range of 100 Hz to 400 Hz, us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300 V 내지 500 V 범위의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source applies a voltage in the range of 300 V to 500 V to the nozzle,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0.5 ㎛ 내지 10 ㎛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ozzle has a diameter in the range of 0.5 탆 to 10 탆,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상기 금속판의 이격 간격은 10 ㎛ 내지 50 ㎛ 범위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metal plate is in the range of 10 탆 to 50 탆,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nozzle and the step of provid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by using a pneumatic member a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using a falsification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노즐에 인가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노즐에 공압 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 순서로 수행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step of applying air pressure to the nozzle using a pneumatic member after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to the nozzle from the power source is performed or vice versa, Fake identification method using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주화의 표면이거나 또는 지폐에 부착되는,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tal plate is a surface of a coin or attached to a bill, wherein the counterfeit identification structure is formed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0.5 ㎛ 내지 10 ㎛ 범위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노즐과 상기 금속판 사이의 이격 간격은 10 ㎛ 내지 50 ㎛ 범위이고,
상기 전원은, 300 V 내지 500 V 범위이고 100 Hz 내지 400 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원인, 전기수력학적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한 위조식별 구조체를 이용한 위조식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nozzle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0.5 [mu] m to 10 [mu] m,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nozzle and the metal plate is in the range of 10 탆 to 50 탆,
Wherein the power source is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in the range of 300 V to 500 V and a frequency in the range of 100 Hz to 400 Hz, using a fake identification structure formed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08387A 2013-01-25 2013-01-25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KR101413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87A KR101413434B1 (en) 2013-01-25 2013-01-25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87A KR101413434B1 (en) 2013-01-25 2013-01-25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434B1 true KR101413434B1 (en) 2014-07-01

Family

ID=5174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387A KR101413434B1 (en) 2013-01-25 2013-01-25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387A (en) * 2000-09-18 2002-07-02 Yupo Corp Forgery-proof film
KR20040065106A (en) * 2003-01-15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Ink expelling method amd inkjet printhead adopting the method
KR20110033148A (en) * 2008-06-02 2011-03-30 유니버시티 오브 케이프 타운 Inkjet printing of nanoparticulate functional inks
EP2524814A2 (en) * 2011-05-18 2012-11-21 Landqart Improvements in security fea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387A (en) * 2000-09-18 2002-07-02 Yupo Corp Forgery-proof film
KR20040065106A (en) * 2003-01-15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Ink expelling method amd inkjet printhead adopting the method
KR20110033148A (en) * 2008-06-02 2011-03-30 유니버시티 오브 케이프 타운 Inkjet printing of nanoparticulate functional inks
EP2524814A2 (en) * 2011-05-18 2012-11-21 Landqart Improvements in security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on et al. Recent functional material based approaches to prevent and detect counterfeiting
EP2698404B1 (en) Microparticles, particle sets, anti-counterfeiting ink, anti-counterfeiting toner, anti-counterfeiting sheet and anti-counterfeiting medium
CA2594806C (en) Security features, their use, and processes for making them
US20070166452A1 (en) Method for producing security marks and security marks
CN102639331B (en) Production of a security element provided with colored micro-depressions
CN106660385B (en) Light metamagnetism safety line and item
RU2346825C2 (en) Protective element with readable information of two types
EP3237556B1 (en) Microparticles and apparatus for smart ink production
US11719644B2 (en) Thermoluminescent composite particle and marking comprising same
WO2012140228A1 (en) A security docu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13434B1 (en) Counterfeiting determin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urrenc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unterfeit using the same
US20170089012A1 (en) Security element against counterfeiting security printing, especially banknotes
JP5880653B2 (en) Method for producing fine particle-containing sheet
US11629264B2 (en) Thermoluminescent and superparamagnetic composite particle and marking comprising same
EP1813440B1 (en) Electronic security means for security documents using a linear dynamo for power generation
EP1104349B1 (en) Method for making safety labels
Poirot et al. Smartphone-identifiable photoluminescent nanoparticle-based multilevel secured tags by electrical microcontact printing
Cantu Nanoparticles in forensic science
KR101953784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counterfet, falsification or resu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counterfet, falsification or resue using the same
KR101024042B1 (en) Preparation of antiforgery label from randomly distributed nano and microscale objects and authenticity verification method
EP3150399B1 (en) A security element against counterfeiting security printing, especially banknotes
FR3070082A1 (en) AUTONOMOUS AUTHENTICATION DEVICE FOR OPTICAL MARKING AND METHODS
RU2734530C1 (en) Protective element containing two metals with transparent pattern
Huo Anti-Counterfeiting Applications Based on Plasmonic Gold Nanomaterials
JP2000303010A (en) Ink for staining authentic paper valu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