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117B1 -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 Google Patents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117B1
KR101410117B1 KR1020120051481A KR20120051481A KR101410117B1 KR 101410117 B1 KR101410117 B1 KR 101410117B1 KR 1020120051481 A KR1020120051481 A KR 1020120051481A KR 20120051481 A KR20120051481 A KR 20120051481A KR 101410117 B1 KR101410117 B1 KR 10141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ensing
hopper
drinking wat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7735A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2005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117B1/en
Publication of KR2013012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정확하게 자동 제어하여 축사 관리가 용이하고 가축의 성장발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고 하부에 사료배출구를 가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내측의 사료배출수단과, 컨트롤러로 된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측 중심에 직립하는 중심축의 내부 통로를 통해 하부 사료받침대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안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feed automatic feeder, more specificall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of feed and drinking water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housing and to facilita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livestock. The feed hop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hopper is provided with a hopper, a feed sup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 feed discharging means inside the hopper, and a controller. And a drinking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lower feed support through the drinking water supply means.

Description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본 발명은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정확하게 자동 제어하여 축사 관리가 용이하고 가축의 성장발육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feed automatic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feed automatic feeder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feeding of feed and drinking wate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the housing, and facilitat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animal.

통상적으로, 급이기는 농가나 축사에서 돼지, 소, 염소, 양 등과 같은 가축(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에게 사료 및 식수를 공급하게 되며, 사료 및 식수의 급여방식에 따라서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 급이기 또는 사료와 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건식 급이기 등이 있다. Generally, feeds and drinking water are fed to livestock such as pigs, cattle, goats, sheep and the lik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livestock") in a farm or a farmhouse where feeds and water are fed at the same time A wet feeder for feeding, or a dry feeder for separately feeding feed and water.

한편, 사료는 종류, 입자나 입도, 부피, 점도 등이 다양하고 수분으로 인해 뭉치거나 덩어리 등이 발생하며 각별한 관리가 필요로 하며, 또 호퍼 내에 담긴 사료를 주기적으로 저어 뭉치지 않게 하는 등 가축이 먹기 좋은 상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료와 물의 공급 비율이 맞지 않을 경우에 사료가 곤죽이 되어 변질되기 쉽고 질병의 발생위험이 심각하므로, 이렇게 부패된 사료는 가축이 먹기 전에 사료받침대에서 퍼내서 버려야하는 등 관리가 까다롭고 인력손실이 크고 사료와 물의 허실이 심하다. On the other hand, feeds have various kinds of particles, particle size, volume, viscosity, etc., and aggregation and lumps are generated due to moisture, so that special care is required, and the feeds contained in the hopper are not periodically stirred, It will be provided in good condition. In this case, if the supply ratio of feed and water is not appropriate, the feed becomes dull and easily deformed and the risk of disease is serious. Therefore, the corrupt animal feed must be poured from the feed support before the livestock is eaten, This is large, and there is a lot of food and water.

여기서, 상기 식수 및 사료 급이기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바에 있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9245호(2004.11.23.) 내지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8419호(2010.04.02.), 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2호(2010.04.02.) 이외에도 다수가 있으며, 이미 공지된 바에 따라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drinking water and feed feeding, there have been proposed a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69245 (November 23, 2004) proposed by the same applicant a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48419 (Apr. 02, 2010), and Korean Patent No. 10-0952282 (Apr. 02, 201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already known.

그런데,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르는 급이기는 사료가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물에 젖게 되고 이때, 사료배출구나 보호커버 그리고, 사료받침대의 중앙 돌출부 등에 찌꺼기가 흡착하면서 쉽게 굳어지게 되며, 또 사료찌꺼기가 뭉치거나 정체되면서 통로가 막히는 등, 사료배출이 원만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더위로 인해 물장난이 심하므로 물이 과다하게 쏟아져 나와 허실이 심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오염이나 부패할 위험성이 높아 비위생적이며 이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나 세균, 유해균이 발생하는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가축이 물장난을 치거나 충격을 가하는 등, 식수의 낭비가 심하고 손상 및 파손을 자주 유발하였으며, 식수 및 사료의 허실이 많아질수록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e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harged through the feed outlet and becomes wet with water. At this time, the feed outlet,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center protrusion of the feed support are easily adsorbed by the debr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eed was not smooth, such as clogged or stagnant, and the passage was blocked. Especially in the summer,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due to the heat of the water due to the heat, the water is poured out excessively and the heavily so that the risk of pollution or corruption increases as the time goes by and it is unhygienic and not only bad odor, bacteria, harmful bacteria , Causing various diseases.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ipe supplying drinking wa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livestock is wasted, causing damage and breakage frequently, such as watering or shocking, and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as the drinking water and feed loss are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of weighting.

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9245호(2004.11.23.)1. 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69245 (November 23, 2004) 2.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8419호(2010.04.02.)2. 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48419 (Apr. 2, 2010) 3. 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2호(2010.04.02.)3.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952282 (Apr. 02,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 내측의 사료배출구를 통해 사료와 식수를 함께 자동 공급함과 더불어 사료받침대의 중앙에서부터 골고루 분산되게 하며,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feed automatic feeder which automatically feeds feed and drinking water together with the feed outlet inside the hopper, disperses it uniformly from the center of the feed feeder, and feeds an appropriate amount of feed and drinking water accurately ha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퍼 중앙의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 내측에 구비되는 급수관을 통해 식수가 공급되면서 사료찌꺼기 등을 분리시켜 사료 공급을 원활히 하고 매우 위생적인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feed water through a central axis of the center of the hopper and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inside the central axis to separate feed debris and the like so as to feed the feed and provide a very hygienic wet feed automatic feed have.

본 발명은 사료받침대 내의 식수 및 사료를 감지수단으로 감지함에 있어서, 저수위(L1) 감지센서 및 고수위(L2) 감지센서에 의해 습식 사료의 상태 즉, 잔량을 감지하여 적정량을 정확히 공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사료받침대에 남은 사료 및 식수를 충분히 먹어 치운 후에야 비로소 식수 및 사료가 재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료의 허실을 줄이고 관리가 효율적인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sensing the drinking water and feed in the feed tray by the sensing means, the state of the wet feed, that is, the remaining amou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by the low level (L1) sensor and the high level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feed automatic feeding system which can reduce the loss of feed and the management efficiency by allowing the feed water and feed to be re-supplied only after the feed and drinking water remaining in the feed support are sufficiently consumed.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고 하부에 사료배출구를 가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와, 컨트롤러로 된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측 중앙에 사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비되는 중심축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이 상부에 구비된 조절너트에 의해 원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사료배출수단과; 상기의 중심축을 통해 하부 사료받침대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과; 상기 중심축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료받침대의 돌출부 윗면에 접촉하는 제2스크레이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feed automatic feeder comprising a hopper having a feed port and a feed por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feed sup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feeding the fe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hopper And the height of the disk is adjusted by an adjusting nu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shaft; Drinking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lower feed support through the central axis; And a second scrap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haft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feed support.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사료배출수단은, 상기 호퍼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호퍼의 내측에서 중심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구와; 상기 사료배출구의 하부에 구비되며 윗면에 사료가 놓이는 원판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상기 원판의 상면에 안착한 채, 사료를 외측 가장자리로 밀어 추락시키는 사료토출바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feed discharg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enter shaft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pper;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central axis; A rotation support for supporting a rotation of a central axis inside the hopper; A feed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eed outlet and having feed disposed thereon; A feed outlet bar which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and re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and pushes the feed to the outer edge to fall dow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중심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dr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riving motor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entral axis;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he center shaft.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에 끼워진 채 사료토출바를 탄력적으로 원판에 밀착시키는 탄성체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sandwiched between the central axes and elastically adhering the feed discharging bars to the disk.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결합하여 원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1스크레이퍼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rm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disk,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axis, and a first scraper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arm.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원판의 하부에 보호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2받침판이 구비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k.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원판은 상면 가장자리에 홈부를 가지는 돌출테가 형성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plate is formed with a protruded portion having a groove portion on an upper surface edge thereof.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식수공급수단은, 중공의 중심축에 삽입되고 돌출부의 상면 중앙부에 하향 노출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수도관이 연결되는 개폐밸브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drinking water suppl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supply pipe inserted into the central axis of the hollow and exposed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an open / close valv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connected to a water pip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된 조절너트에 의해 원판의 높이가 조절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disk is adjusted by an adjusting nut provided on the central ax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퍼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감지봉이 사료받침대 내에 위치한 상태로 습식사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ing means for sensing a wet feed in a state where a sensing rod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hopper is positioned in a feed support.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사료받침대의 요입부에 위치하는 저면 제1감지센서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습식 사료의 저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봉과; 저면의 제2감지센서가 상기 제1감지센서 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습식 사료의 고수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봉으로 구성된 것이다.Preferably, the sen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rod for sensing a low level state of the wet fee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first sensing sensor positioned at the concave portion of the feed support approaches the floor; And a second sensing rod provided above the first sensing sensor and sensing a high level state of the wet feed.

본 발명은 호퍼의 하부 사료배출부를 통해 사료와 식수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가축이 먹기 좋게 사료 및 식수의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 가능함은 물론 가축이 먹기 좋게 습식(액상) 또는 반습식 상태로 조절이 용이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feed feeds and drinking water through the lower feed discharging portion of the hopp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niformly feed the feed. Also, the supply amount of feed and drinking wate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so as to eat the livestock, Easy to adjust to semi wet condition.

또한 본 발명은 사료배출구에 구비되는 원판 위에 대기중인 사료를 사료토출바가 회전하면서 제한적으로 배출시킴과 함께 스크레이퍼 등으로 사료찌꺼기를 분리시켜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사료 배출을 원활히 하고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limiting the discharged pellets on the disk at the feed port while rotating the feed pellet, and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feed pellets by a scraper or the like, thereby facilitating the feed discharge and providing a very clean and hygienic effect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중심축 내에 구비되는 급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서, 사료와 물을 가축이 먹기좋게 적정한 습식상태로 사료를 조절하며, 손상이나 오염의 위험성을 없애고 작동이 원활하며 특히, 하절기에는 가축의 물장난을 방지하여 식수 및 사료의 허실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provided in the central axi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eed is controlled in a wet state in which the feed and water are appropriately eaten by livestock, and the risk of damage or contamination is eliminat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loss of drinking water and feed by preventing the watering of livestock.

본 발명은 사료받침대 내의 식수 및 사료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저수위 감지센서 및 고수위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습식 사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오류나 오차의 발생위험이 없이 정밀하다. 또, 감지수단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급이기 모델(종류, 규격 등) 즉, 가축의 성장상태나 계절, 시기별로 적절하게 사료 및 식수의 공급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water level sensor and a high-water level sensor as sensing means for sensing drinking water and feed in the diathesis pedestal, thereby precisely detecting the wet-type feed and accurate without any risk of error or error.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nsing means can be adjusted so that feed rates of feed and drinking water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feeding model (type, specification, etc.), that is, the growth state of the livestock, season and season.

또한 본 발명은 가축이 사료받침대 내의 사료를 충분히 먹어서 비운 후에야 비로소 사료 및 식수가 공급됨으로 사료받침대에는 젖은 사료가 불필요하게 남아 있지 않아 사료 및 식수의 허실이 방지되며,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일상적인 관리시 불필요한 컨트롤의 조절 및 급이기 조작 및 관리가 따르지 않아도 됨으로 인력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 및 제품의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feed and drinking water are supplied only after the livestock has sufficiently fed the feed in the feed support, the feed support is prevented from wasting feed and drinking water because wet feed is not left unnecessarily and is always clean and sanitary . In addition, since unnecessary control of control and feeding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not required in daily management, loss of manpower can be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and to manufacture it easily,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price of the product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부분적인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wet feed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wet feed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wet feed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al cross-section;
4 i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고 하부에 사료배출구(13)를 가지는 호퍼(12)와, 상기 호퍼(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와, 컨트롤러(80)로 된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중심축(21)에 의해 사료를 배출시키는 사료배출수단(20)과; 상기 호퍼(12)의 내측 중심에 직립하는 중심축(21)의 내부 통로를 통해 하부 사료받침대(15)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et feed automatic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opper 12 containing feed and a feed outlet 13 at the bottom, a feed pedestal 1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pper 12, A feed discharging means 20 for discharging the feed by a center shaft 21 provided at an inner center of the hopper 12; And a drinking water supply means 60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lower feed support 15 through an internal passage of the central shaft 21 standing upright at the inner center of the hopper 12.

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먼저, 본 발명의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10)는 사료가 담기는 호퍼(12)와, 사료받침대(15)와, 상기 호퍼 내측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20) 및,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60)과, 상기 호퍼의 일측에 구비되는 습식 사료 감지수단(70)과,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80) 등으로 구성된다.The wet feed automatic feed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12 for containing feed, a feed support 15, a feed discharging means 20 provided inside the hopper, A drinking water supply means 60, a wet feed detecting means 7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pper, a controller 8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like.

상기 호퍼(12)는 상부 뚜껑으로 개폐되는 원통형이고 아래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콘부(Cone) 아래로 사료배출구(13)가 형성되고, 그 아래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에 칸막이(18)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상기 호퍼를 지지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배출구(13)는 외측으로 보호커버(14)가 결합하여 보호커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14a)가 구비된다. 상기 사료받침대(15)는 상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고 중앙에 원추형의 돌출부(16)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요입부(17)에 사료 및 식수가 담긴다. 이때, 상기 돌출부(16)는 보호커버의 저면 내측으로 부분 삽입된 채 경사면을 따라 사료가 흘러 내려온다. The hopper 12 is formed with a feed outlet 13 below the cone that is cylindrical in shape and opens and closed with the upper lid and narrows downward as the feed hopper is lowered. So as to support the hopper. The feed outlet (13)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14a)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14) and the protective cover. The feed pedestal 15 has a concave inner surface and a conical protruding portion 16 at its center, so that feed and drinking water are contained in the concave portion 17 provided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At this time, the projecting portion 16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feed flows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사료배출수단(20)은, 상기 호퍼(12)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중심축(21)과; 상기 중심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3)과; 상기 호퍼(12)의 내측에서 중심축(21)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구(28)와; 상기 사료배출구(13)의 하부에 구비되며 윗면에 사료가 놓이는 원판(40)과; 상기 중심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원판(40)의 상면에 안착한 채, 사료를 외측 가장자리로 밀어 추락시키는 사료토출바(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호퍼(12) 중심에 중심축(21)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사료배출구(13)의 하부에 구비되는 원판(40) 위에 사료가 쌓인다. 상기 중심축(21)이 상부 구동수단(23)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사료토출바(44)가 회전하면서 원판(40) 위의 사료를 외측 가장자리로 밀어 아래로 추락시키게 되고 또, 돌출부의 경사면을 따라 요입부로 투입된다. 이에 상기 중심축(21)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지지대(19)에 의해 호퍼 중앙에 직립하고 회전지지구(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구(28)에는 베어링, 와셔 등과 같은 마찰감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40)은 결합부 하단에 조립되는 보스(52) 위에 안착되고 원판 위의 사료토출바(44)가 중심축에 끼움 조립된 채 회전하게 된다.The feed discharging mea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shaft 21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pper 12; Driving means (23) for rotating the central shaft (21); A rotating cell 28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enter shaft 21 inside the hopper 12; A circular plate 4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eed outlet 13 and having a feed placed thereon; And a feed discharging bar 44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21 and re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40 and pushing the feed to the outer edge to fall down. In other words, feed is accumulated on the circular plate 40,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pper 12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and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eed outlet 13. As the central shaft 21 is rotated by the upper driving means 23, the feed discharging bar 44 rotates to push the feed on the disk 40 to the outer edge to fall down, As shown in FIG. The center shaft 21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hopper by a radially installed upper support 19 and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rotary shaft 28. The rotary shaft 28 is provided with a bearing, And the same friction reducing means. The disk 40 is mounted on a boss 52 assemb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feed discharging bar 44 on the disk is rotated while being fitted to the central shaft.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구동수단(23)은, 상기 중심축(2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4)와;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력을 중심축(21)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회전지지구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24)와 중심축(21)을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여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축의 구동기어(25)과 중심축의 축기어(26)가 서로 맞물려 연동하는 기어방식 또는, 벨트/풀리, 체인/스프로킷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구성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riving means 23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2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axis 21;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4 to the center shaft 21. [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by connecting the center shaft 21 with the driving motor 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attery earth by a predetermined power transmitting means.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gear type in which the driving gear 25 of the motor shaft and the shaft gear 26 of the central shaft interlock with each other, or a belt / pulley and a chain / sprocket.

이어, 상기 중심축(21)은 하부의 결합부(22)에 사료토출바가 결합하여 원판 위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22)를 다각이나 스플라인(Spline) 등으로 형성하고 이에 사료토출바(44) 및 제1, 제2스크레이퍼(47,50) 등을 억지 끼움 조립하여 원활하게 연동하게 된다. The center shaft 21 has a feed discharging bar coupled to a lower engaging portion 22 and rotated on an original plate. The engaging portion 22 is formed by a plurality of angles, a spline or the like, 44,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47, 50, and the like.

상기의 원판(40)은 가장자리에 돌출테(41)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력으로 인해 무분별하게 사료가 추락하지 않도록 되며, 상기 돌출테에 직립하는 고정핀(57)이 차단판(56)의 구멍에 끼움 조립된 채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회전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21)은 결합부에 끼움 조립된 회전체(43)가 원판 중심의 회전구멍(42)에 끼워진 채 회전 접촉함에 따라, 고정된 원판과 회전체의 회전마찰로 인한 중심축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는 상기 원판(40)은 사료배출구나 보호커버 등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이 가능하다.The circular plate 4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frame 41 at its edge so that the feed does not accidentally fall down due to an external impact force and the fixing pin 57 standing upright on the protruding frame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locking plate 56 And the rotation is fixed so that it can be lifted up / down while being fitted. At this time, as the rotating body 43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enter shaft 21 is rotated and contacted with the rotation hole 42 centered on the circular plate, Prevent damage. Alternatively, the disk 40 can be selectively fixed to a feed outlet, a protective cover, or the like.

또한, 상기 원판(40)은 돌출테(4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홈부(41a)를 통해 사료가 조금씩 공급되고 또는, 상기 호퍼 내부를 세척시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된다.In addition, the disk 40 is fed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groove 41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protruding frame 41, or the inside of the hopper is smoothly drained when it is cleaned.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21)에 끼워진 채 사료토출바(44)를 탄력적으로 원판(40)에 밀착시키는 탄성체(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중심축(21)에 끼워진 탄성체(36)가 사료토출바(44)를 원판(40)에 하향 밀착시킴에 따라 사료를 골고루 흘려 보내게 되며 이때, 상기 원판의 윗면에 사료찌꺼기 등이 흡착하지 않게 된다. 상기 중심축(21)에는 탄성체(36)가 밀착하는 상부 스토퍼(34) 및 와셔(35)가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body 36 which is fitted in the central shaft 21 and urges the feed discharging bar 44 in a resilient manner against the disk 40 is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elastic body 36 sandwiched between the center shaft 21 and the feed discharging bar 44 are pressed downward against the circular plate 40 to feed the feed evenly. At this time, It is not adsorbed. The center shaft 21 is provided with an upper stopper 34 and a washer 35 to which the elastic body 36 closely contacts.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21)의 상부에 구비된 조절너트(29)에 의해 원판(4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상기 사료배출구(13)를 통한 사료의 배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지지구(28)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중심축(21)에 조절너트(29)가 조립되고, 상기 중심축(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원판(40)의 높이가 조절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21)은 회전지지구(28)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는 조절너트(29)의 고정을 해제하고 일측 레버를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중심축(21)과 원판(40)의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사료의 토출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조절너트(29)는 더블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disc 40 is adjusted by the adjustment nut 29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shaft 21 so that the amount of feed discharged through the feed outlet 13 . That is, the adjusting nut 29 is assembled to the center shaft 21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cell 28, and the height of the circular plate 4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shaft 21 is adjusted . The center shaft 2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plate 40 by releasing the fixing of the adjusting nut 29 assemb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attery 28 and holding one lever, / Adjusts the feed rate of feed as the height is adjusted. Preferably, the adjustment nut 29 is a double nut.

상기 중심축(21)에는 중간부에 구비되는 회전날개(30)가 사료를 교반하여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며, 상기 회전날개(30)는 가로바(32)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설치된 채 호퍼의 내측면에 사료가 누적 또는 흡착하지 않게 분리시킨다.The rotary vane 30 provid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entral shaft 21 allows the feed to be smoothly discharged and the feed vane 30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the horizontal bar 32, The spacing is maintained so that the feed is not accumulated or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pper.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21)의 하부에 결합하여 원판(40)의 저면에 구비되는 아암(45) 및, 상기 아암(45)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1스크레이퍼(4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아암(45)은 일측의 결합구멍을 결합부(22)에 끼움 조립하여 원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레이퍼(47)는 아암(45)의 외측 선단에 세로로 결합된 채 상기 원판(40)과 보호커버(14) 내측면에 사료찌꺼기 등을 분리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아암(45)은 외측 선단에 제1스크레이퍼(47)의 탈/부착이 용이한 결합부(46)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스크레이퍼의 하부에는 보스(52)가 결합하여 고정구(B1)로 고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rm 4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ircular plate 4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shaft 21 and a first scraper 47 coupled to the tip of the arm 45 . The arm 45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plate by fitting one of the engagement holes into the engagement portion 22 and the first scraper 47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arm 45 Feed residue and the like ar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disk 40 and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4. At this time, the arm 45 is provided at its outer end with an engaging portion 46 for facilitating removal / attachment of the first scraper 47, and a boss 5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craper, .

상기 사료토출바(44) 및 아암(45)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의 접선방향으로 완만하게 굽어져 있고, 사료찌꺼기 등이 흡착하지 않도록 분리시키고 접촉면을 청결히 한다.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the feed discharging bar 44 and the arm 45 are provided radially and preferably are gently curv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o separate feed residue and the like so as not to adsorb them and clean the contact surface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2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료받침대(15)의 돌출부(16) 윗면에 접촉하는 제2스크레이퍼(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스크레이퍼(50)는 보스(52)의 측면에 고정구(B2)로 결합되고 아래로 비스듬히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16)의 윗면에 안착한 채로 미끄럼 접촉하면서 사료찌꺼기 등을 분리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craper 5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haft 21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6 of the feed support 15 is provided. That is, the second scraper 5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ss 52 by a fastener B2 and is slanted downward, and slidably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6 to separate feed residue and the like.

한편 상기 제1, 제2스크레이퍼(47,50)는 중심축에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접촉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효율적으로 사료찌꺼기를 제거함은 물론 접촉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바람직하며, 이는 합성수지나 아크릴 등이 적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47, 50) are preferably provided on the central axis in a radial manner, and are elastically contacted to the contact surface to effectively remove the feed residue and prevent damage to the contact surface. Synthetic resin or acrylic is sui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수공급수단(60)은, 중공의 중심축(21)에 삽입되고 돌출부(16)의 상면 중앙부에 하향 노출되는 급수관(62)과; 상기 급수관(6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수도관(100)이 연결되는 개폐밸브(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식수공급수단(60)은 중공의 관체로 된 중심축(21) 내부에 급수관(62)이 삽입되고, 상기 급수관(62)은 회전지지구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절곡된 채 호퍼 외측으로 노출되고 단부에 개폐밸브(64) 및 상수도관(1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62)의 하단 출구(63)가 중심축의 저면으로 개방된 채 돌출부의 중앙부에 식수를 배출한다. 상기 개폐밸브(64)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가 바람직하고 솔레노이드밸브가 가장 적합하며, 상기의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스크레이퍼(50)가 회전하면서 물을 골고루 분산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nking water supply means (60)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62) inserted into the hollow center shaft (21) and exposed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16); And an open / close valve (64)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62)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00). That is, the drinking water supply means 60 has a water supply pipe 62 inserted into a center shaft 21 made of a hollow tube body, and the water supply pipe 6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pper while being bent sideways through the rotating battery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64 and a water supply pipe 100 are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The lower end outlet (63) of the water supply pipe (62) open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axis and discharges the drinking water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sion. The opening / closing valve 64 is preferably an electromagnetic valve that is opened or clos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 solenoid valve is most suitab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craper 50 rotates to disperse the water evenly.

본 발명의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는,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감지봉(72)이 사료받침대(15) 내에 위치한 상태로 습식사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감지수단(70)은 사료받침대(15) 내의 습식 사료의 잔량을 검출하여 일정량을 유지시키기 것으로,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감지봉(72,72a)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감지봉(72,72a)의 하단 감지센서(73,73a)가 요입부(17)에 위치한 채 수분(물) 즉, 습식상태의 사료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봉의 상단에 결합된 파이프(74) 및 전선을 통해 컨트롤러(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도체인 금속성 사료받침대가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 습식 사료의 접촉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료받침대가 합성수지(플라스틱)이나 우레탄 등의 비전도성 소재인 경우에는 요입부 내측에 별도의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컨트롤러에 접속하게 된다.The wet type automatic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rod 70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hopper 12 is provided with the sensing means 70 for sensing the wet feed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rod 72 is positioned in the feed support 15 . The detection means 70 detec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et feed in the feed support 15 and maintains a predetermined amount. The detection rods 72 and 72a are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pper 12. [ The lower sensing sensors 73 and 73a of the sensing rods 72 and 72a are positioned in the recessed portion 17 to detect water in a wet state as an electrical signal. The metallic feed suppor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via the pipe (7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ro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 On the other hand, when the feed pedestal is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plastic) or urethane, a separate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incision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 제1, 제2감지봉(72,72a)은 두 개 또는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호퍼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고정구(78) 및 상기 칸막이(18)에 구비되는 하부 고정구(79)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이 되며, 상기 상부 고정구(78)의 고정을 해제하고 감지봉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wo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rods 72 and 72a are provided at the same interval and the upper fixture 78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pper and the lower fixture 79 so that the upper fixture 78 can be unlocked and the height of the sensing rod can be adjusted up or down.

한편, 상기 컨트롤러(80)는 제어부(82)를 구비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자동/수동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73,73a)에서 검출된 신호(데이터)에 의해 구동모터(24) 및 개폐밸브(6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사료 및 식수 공급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구 및 릴레이(84)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80 includes a controller 82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includes a switch for setting an automatic / manual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80 includes a switch (not shown) Data)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24 and the open / close valve 64.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ime setting unit and a relay 84 for setting the feeding time of feed and drinking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지수단(70)은, 상기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위치하는 저면 제1감지센서(73)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습식 사료의 저수위(L1)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봉(72)과; 저면의 제2감지센서(73a)가 상기 제1감지센서(73) 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습식 사료의 고수위(L2)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봉(72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감지수단(70)은 상기 제1감지봉(72)의 제1감지센서(73)가 요입부(17)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습식 사료의 저수위(L1)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80)에 의해 구동모터(24)와 개폐밸브(64)가 작동하여 사료 및 식수가 공급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봉(72a)은 제2감지센서(73a)가 상기의 제1감지센서(73) 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습식 사료의 고수위(L2)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80)에 의해 구동모터(24)와 개폐밸브(64)가 작동하여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이 중단하도록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means 70 detects the low water level L1 of the wet fee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first sensing sensor 73 located at the incision 17 of the feed support 15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A first sensing rod (72) for sensing a state; And a second sensing rod 72a disposed above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sensing a high level (L2) state of the wet feed. That is, the sensing means 70 senses the low level L1 of the wet fe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nsing sensor 73 of the first sensing rod 72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17, The controller 80 operates the drive motor 24 and the on-off valve 64 to feed the feed and drinking water. The second sensing rod 72a is provided above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senses the high level (L2) state of the wet feed su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80 operates the drive motor 24 and the on-off valve 64 to stop feeding the feed and drinking water.

다시 말해, 상기 저수위(L1)가 제1감지센서(73) 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사료 및 식수를 공급하게 되고, 역으로 상기의 제2감지센서(73a)에 고수위(L2)가 감지되면 공급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컨트롤러(80)는 식수 및 사료가 고수위(L2) 상태일 때는 릴레이(84)가 오프(Off) 상태이고, 가축이 사료를 먹으면 고수위의 제2감지센서(73a)가 먼저 노출이 되고 이후, 저수위의 제1감지센서(73)가 노출되면 릴레이가 온(On) 상태로 전환이 됨과 동시에 식수와 사료 공급을 시작한다. 또는 타이머(86)를 구비하여 하루(24시간) 동안에 원하는 시간대별로 자동 급여기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거나 또는 사료공급 및 식수공급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low level L1 is lower than the first detection sensor 73, feed and drinking water are supplied. Conversely, when the high level L2 is sensed by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3a, It is interrupted. When the drinking water and the feed are in the high level (L2) state, the relay (84) is off, and when the animal eats the feed, the controller 80 first exposes the high level second sensor 73a Then, when the low-level first sensing sensor 73 is exposed, the relay is turned on, and at the same time, drinking water and feeding start to be supplied. Or a timer 86 so as to switch the power supply of the automatic feeding power supply for a desired period of time during a day (24 hours), or to set the feeding time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time.

이처럼, 상기 사료받침대에 남아 있는 사료 및 식수를 가축이 대부분 먹어치우게 되면서 사료찌꺼기 등이 남지 않게 되고 사료와 식수의 허실과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다. As such, most of the livestock remaining in the feed support is eaten away from the livestock, so that the feed residue and contamination of feed and drinking water can be prevented.

한편, 가축이 주둥이가 감지봉이나 감지센서에 접촉하게 되면 전류가 도통하면서 오작동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으로, 감지봉의 표면을 절연재 또는 비전도성 전기절연성 합성수지로 감싸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vestock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rod or the sensing sensor, a malfunction occurs frequently due to conduction of electric curre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sensing rod is wrapp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or nonconductive electric insulating synthetic resin to prevent malfunction and ensure safety.

다음 상기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는, 상기 원판(40)의 하부에는 보호커버(14)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2받침판(5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보호커버(14)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링형태의 제2받침대(58)를 원판(40)의 하부에 구비함에 따라, 상기의 원판(40)으로부터 사료가 사료받침대로 바로 추락하지 않고 제2받침대를 거쳐 한번에 쏟아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돌출부(16)로 추락하게 된다. 또 상기 급수관(62)을 통해 공급되는 식수와 함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자연스럽게 사료와 물을 습식상태로 제공하게 된다.
도면에서의 미설명부호 '47a'는 제1스크레이퍼(47)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2받침판(58)이 'ㄷ'자형 홈부에 끼워져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3, a wet feed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plate 58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4 at a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plate 40 . This is because the second pedestal 58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ircular plate 40 so that the feed from the circular plate 40 does not fall directly into the feed pedestal And naturally fall into the protruding portion 16 without pouring through the second pedestal at a time. In addition, along with the drink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2), the water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naturally feeds the feed and water in a wet state.
An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47a denotes an extend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craper 47. The second supporting plate 58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contacted with the U-shaped groove portion.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대(15)는 내측 요입부(17)에 감지센서(73,73a)가 근접하는 부위에 보강재(76)를 구비된다. 이는 도전성 금속재로 된 사료받침대가 전기적인 신호로 습식 사료를 검출하는 감지센서의 전기분해작용으로 인해 부식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사료받침대(15)는 금속성 판재를 딥드로우잉 가공하여 제작이 되는데, 이때 판재는 원활한 딥드로우잉(Deep drawing) 가공을 위해서 두께가 1.0~1.5mm이내로 얇게 제한이 됨으로,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손상되면서 누수가 발생함으로 상기의 보강재(76)가 이를 방지하고 사료받침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tary support 15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76 at a position where the sensing sensor 73 or 73a is close to the inner recessed portion 17. This prevents the dietary pedestal made of conductive metal from being corroded or damaged due to the electrolysis of the sensing sensor which detects the wet feed with an electrical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feed pedestal 15 is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process of a metallic plate. At this time, the plate is thinly limited to a thickness of 1.0 to 1.5 mm for smooth deep drawing processing, Leakage occurs due to dam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that the above-described reinforcement 76 can prevent this and prolong the life of the feed support.

10:급이기 12:호퍼 13:사료배출구 14:보호커버
15:사료받침대 16:돌출부 17:요입부 18:칸막이
20:사료배출수단 21:중심축 22:결합부 23:구동수단
24:구동모터 25:구동기어 26:축기어 28:회전지지구
29:조절너트 30:회전날개 32:가로바 34:고정구
35:와셔 36:탄성체 40:원판 41:돌출테
41a:홈부 42:회전구멍 43:회전체 44:사료토출바
45:아암 46:결합부 47,50:스크레이퍼
52:보스 56:차단판 57:고정핀 58:하부받침판
60:식수공급수단 62:급수관 63:출구 64:개폐밸브
70:감지수단 72,72a:감지봉 73,73a:감지센서 74:파이프
76:보강재 78,79:고정구 80:컨트롤러 82:제어부
84:릴레이 86:타이머 100:상수도관
10: feeding 12: hopper 13: feed port 14: protective cover
15: Feed support 16: Projection 17: Entrance 18: Partition
20: feed discharging means 21: central shaft 22: engaging portion 23: driving means
24: drive motor 25: drive gear 26: shaft gear 28:
29: adjusting nut 30: rotating blade 32: horizontal bar 34: fastener
35: washer 36: elastic body 40: original plate 41:
41a: groove portion 42: rotation hole 43: rotating body 44: feed discharge bar
45: arm 46: engaging portion 47, 50: scraper
52: boss 56: blocking plate 57: fixing pin 58: bottom plate
60: drinking water supply means 62: water supply pipe 63: outlet 64: opening / closing valve
70: sensing means 72, 72a: sensing rod 73, 73a: sensing sensor 74: pipe
76: stiffener 78, 79: fixture 80: controller 82:
84: relay 86: timer 100: water pipe

Claims (12)

사료가 담기고 하부에 사료배출구(13)를 가지는 호퍼(12)와, 상기 호퍼(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와, 컨트롤러(80)로 된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내측 중앙에 사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비되는 중심축(21)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21)이 상부에 구비된 조절너트(29)에 의해 원판(40)의 높이가 조절되는 사료배출수단(20)과;
상기의 중심축(21)을 통해 하부 사료받침대(15)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60)과;
상기 중심축(2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료받침대(15)의 돌출부(16) 윗면에 접촉하는 제2스크레이퍼(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In the wet feed automatic feeder comprising the hopper 12 having the feed and the feed outlet 13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feed holder 15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12, and the controller 80,
A center shaft 21 provided for discharging the fe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hopper 12 and a control nut 29 provided on the central shaft 21 adjust the height of the circular plate 40 (20);
A drinking water supply means (60)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lower feed support (15) through the central axis (21);
And a second scraper (5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entral shaft (21)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6) of the feed support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수단(20)은,
상기 호퍼(12)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중심축(21)과;
상기 중심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3)과;
상기 호퍼(12)의 내측에서 중심축(21)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구(28)와;
상기 사료배출구(13)의 하부에 구비되며 윗면에 사료가 놓이는 원판(40)과;
상기 중심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원판(40)의 상면에 안착한 채, 사료를 외측 가장자리로 밀어 추락시키는 사료토출바(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The feed-discharging means (20)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shaft 21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pper 12;
Driving means (23) for rotating the central shaft (21);
A rotating cell 28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enter shaft 21 inside the hopper 12;
A circular plate 4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eed outlet 13 and having a feed placed thereon;
And a feed discharging bar (44)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21) an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sk (40), for pushing the feed to the outer edge to fall dow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3)은,
상기 중심축(2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4)와;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력을 중심축(21)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A driving motor 24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entral shaft 21;
And a power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24) to the center shaft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1)에 끼워진 채 사료토출바(44)를 탄력적으로 원판(40)에 밀착시키는 탄성체(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elastic body (36) fitted to the center shaft (21) to elastically contact the feed discharge bar (44) with the disk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1)의 하부에 결합하여 원판(40)의 저면에 구비되는 아암(45) 및, 상기 아암(45)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1스크레이퍼(4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rst scraper 47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entral shaft 21 and provided on an undersurface of the disc 40 and a first scraper 47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arm 45. [ Feed automatic fee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40)의 하부에 보호커버(14)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2받침판(5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support plate (58)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4)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k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40)은 상면 가장자리에 홈부(41a)를 가지는 돌출테(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ircular plate (4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1) having a groove (41a) on the upper surface edg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수공급수단(60)은,
중공의 중심축(21)에 삽입되고 돌출부(16)의 상면 중앙부에 하향 노출되는 급수관(62)과;
상기 급수관(6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수도관(100)이 연결되는 개폐밸브(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upply pipe (62) inserted into the hollow central shaft (21) and exposed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16);
And an open / close valve (64)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62) and connected to the water pipe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감지봉(72)이 사료받침대(15) 내에 위치한 상태로 습식사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sensing means (70) for sensing a wet feed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rod (72)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pper (12) is positioned in the feed support (15)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70)은,
상기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위치하는 저면 제1감지센서(73)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습식 사료의 저수위(L1)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봉(72)과;
저면의 제2감지센서(73a)가 상기 제1감지센서(73) 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습식 사료의 고수위(L2)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봉(72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sensing means (70)
A first sensing rod 72 for sensing a low level L1 of the wet fee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first sensing sensor 73 located at the incision 17 of the feed pedestal 15 is close to the floor;
And a second sensing rod (72a) provided above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sensing a high level (L2) state of the wet feed, wherein the second sensing sensor (73a) Automatic feeding.
KR1020120051481A 2012-05-15 2012-05-15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KR101410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81A KR101410117B1 (en) 2012-05-15 2012-05-15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81A KR101410117B1 (en) 2012-05-15 2012-05-15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35A KR20130127735A (en) 2013-11-25
KR101410117B1 true KR101410117B1 (en) 2014-06-26

Family

ID=4985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81A KR101410117B1 (en) 2012-05-15 2012-05-15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117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059A (en)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supply control device
KR20160149062A (en)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supply control device
KR20160149057A (en)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supply control device
KR101737522B1 (en) * 2014-11-10 2017-05-18 이창현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farming
KR20180000506A (en)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연합축산 method of control feeder suppling
KR20180038933A (en) 2016-10-07 2018-04-17 이창현 Method for preventing sensor trouble
KR20180046815A (en) * 2016-10-28 2018-05-09 이창현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KR101877616B1 (en) * 2016-07-21 2018-07-12 주식회사 연합축산 Control method for water and feeder
KR20190032246A (en) 2017-09-19 2019-03-27 이준호 How to check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supplied to feed
KR20190032245A (en) 2017-09-19 2019-03-27 이창현 Liquid feed Feed control method for feed and water supply
KR20200048212A (en)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feed controller for liquid feed
KR20200127722A (en) 2019-05-03 2020-11-11 이창현 Apparatus for Supply Drinking Water of A liquid feed bow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80Y1 (en) * 2015-02-03 2017-08-01 주식회사 건지 Liquid feeder for pig breeding
CN105145386A (en) * 2015-07-19 2015-12-16 无为县圣达农宝生态养殖有限公司 Feed supplying device
CN107646719B (en) * 2017-11-03 2021-03-02 河南科技大学 Automatic porridge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CN109845655A (en) * 2018-11-26 2019-06-07 钱巍 A kind of animal husbandry quantitive water supply device
CN117546787A (en) * 2023-10-20 2024-02-13 安徽斯高德农业科技有限公司 Dry and wet material feeder controlled by sensor and material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581A (en) * 2009-02-06 2010-08-16 김기주 A feeder suppling feed and water for fogs
KR20100116348A (en) * 2009-04-22 2010-11-01 최승찬 Automatic humid-typed feeder for growing pigs and method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581A (en) * 2009-02-06 2010-08-16 김기주 A feeder suppling feed and water for fogs
KR20100116348A (en) * 2009-04-22 2010-11-01 최승찬 Automatic humid-typed feeder for growing pigs and method using thereof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22B1 (en) * 2014-11-10 2017-05-18 이창현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farming
KR20160149059A (en)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supply control device
KR20160149062A (en)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supply control device
KR20160149057A (en)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supply control device
KR20180000506A (en)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연합축산 method of control feeder suppling
KR101877616B1 (en) * 2016-07-21 2018-07-12 주식회사 연합축산 Control method for water and feeder
KR20180038933A (en) 2016-10-07 2018-04-17 이창현 Method for preventing sensor trouble
KR20180046815A (en) * 2016-10-28 2018-05-09 이창현 Controlling method of water supply
KR20190032246A (en) 2017-09-19 2019-03-27 이준호 How to check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supplied to feed
KR20190032245A (en) 2017-09-19 2019-03-27 이창현 Liquid feed Feed control method for feed and water supply
KR20200048212A (en)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연합축산 Water feed controller for liquid feed
KR20200127722A (en) 2019-05-03 2020-11-11 이창현 Apparatus for Supply Drinking Water of A liquid feed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35A (en)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17B1 (en) An automatic supply of feed and water
EP3269233B1 (en) Automatic feeder with feeding pipe
KR101480212B1 (en) The standard capacity of feed and water supply apparatus
EP2345324B1 (en) Feeder
KR101344971B1 (en) Device of automatic supply water and feed
KR101292976B1 (en) Device of water and feeder
US3965864A (en) Automatic device for the maintenance of small animals
KR101556623B1 (en) Device of automatic supply water and feed
US20220117195A1 (en) Automated food dispenser
KR101353781B1 (en) The automatic supply water and feed
CN105145385A (en) Intelligent pet cage
KR101567284B1 (en) apparatus of measuring amount of fodder equipped with weight sensor
KR20120102511A (en) Automatic feeder
KR101338672B1 (en) device of automatic supply water and feed
KR101692761B1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KR101877616B1 (en) Control method for water and feeder
CN205052447U (en) SmartPet cage
KR101180553B1 (en) A water feeding device for domestic animals
KR101465935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automatic meal supply equipment
KR101845151B1 (en) Water level sensor for water supply equipment of automatic meal supply bowl
CN214902999U (en) Timed and quantitative pet feeding device
KR101720792B1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KR101465936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automatic meal supply equipment
KR101735009B1 (en) Device for supplying pig feeds
KR101410088B1 (en) Hygienic feeding support for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