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822B1 -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822B1
KR101405822B1 KR1020120103363A KR20120103363A KR101405822B1 KR 101405822 B1 KR101405822 B1 KR 101405822B1 KR 1020120103363 A KR1020120103363 A KR 1020120103363A KR 20120103363 A KR20120103363 A KR 20120103363A KR 101405822 B1 KR101405822 B1 KR 10140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touch
implementing
effec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798A (ko
Inventor
김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10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8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환경에서 사용하는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기반 단말장치에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객체(이하, '편집대상 객체')가 정작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가려져 편집에 방해받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재 편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집을 보조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시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가려진 편집 대상물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집착오 경험을 줄일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즉, 편집 대상물이 작거나 얇은 사물에 대한 편집 시간 단축효과는 전체 문서 편집시간 단축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 불편이 개선되고 전체 편집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 어플의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환경에서 사용하는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기반 단말장치에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객체(이하, '편집대상 객체')가 정작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가려져 편집에 방해받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재 편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집을 보조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단말장치는 사용자 UI를 위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컨텐츠나 문서내용에 관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하는 동시에, 무언가 입력하려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활용하여 입력 조작을 시행한다. 입력 조작으로는 문자 입력, 객체 선택, 객체 이동, 문서 편집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중에서 특히 문서 편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터치기반 단말장치는 입출력 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것이 특징인데 그로 인해 개인용컴퓨터(PC)나 노트북컴퓨터와 같이 입출력 장치가 분리된 방식에 비해 손가락을 이용해 문서를 편집할 때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문서 편집시에 크기가 작은 편집 대상물(예: 원, 직선 등)은 가려져서 정확한 편집이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편집 대상물을 손가락으로 선택하였을 때, 특히 편집 대상물이 작은 경우에는 편집 대상물에서 사용자가 의도했던 지점이 정확하게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나아가 편집 대상물에 대해 편집조작(이동, 크기조정, 회전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의도가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하기가 어렵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어 터치 상태를 해제해야만 현재까지의 편집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사용자는 편집 대상물의 크기, 위치, 모양 등에 대해 어림짐작으로 편집을 진행하게 되므로 한번에 소망하는 형태로 편집 조작을 입력하지 못하여 여러번 반복해야 하고 그에 따라 편집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휴대단말의 영상 편집 방법 및 장치(특허출원 제10-2008-0087338호)
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 편집 방법(특허출원 제10-2002-00534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환경에서 사용하는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기반 단말장치에서 편집대상 객체가 정작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가려져 편집에 방해받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재 편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집을 보조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은, 편집 어플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대상 객체를 구현하는 제 1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편집대상 객체에 대한 편집 처리를 위해 편집대상 객체 상에서 최초 좌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그 터치된 최초의 좌표에 대해 확대아이콘(T2)을 구현하는 제 3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편집대상 객체에 대해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따른 편집 효과를 편집대상 객체에 반영하면서 확대아이콘(T2)을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구현하는 제 4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터치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편집 어플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대상 객체가 구현됨에 따라 편집대상 객체에 대한 편집효과 적용을 위해 편집대상 객체 상에서 최초 좌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초기입력 대기수단(14a); 초기입력 대기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최초 터치 좌표값에 대응하여 확대아이콘(T2)의 구현을 개시하고, 터치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확대아이콘(T2)의 구현을 종료하는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 편집대상 객체에 대해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따른 편집 효과를 편집대상 객체에 반영하면서 확대아이콘(T2)을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구현하는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을 기능시키기 위한 터치기반 편집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확대아이콘(T2)는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구현되고, 미리 설정된 알파블렌딩이 적용된 반투명 상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3 단계는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시각적 강조효과를 더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제 4 단계는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이 확대아이콘(T2)에 대하여 편집 효과와 연동하면서 시각적 강조효과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시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가려진 편집 대상물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집착오 경험을 줄일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즉, 편집 대상물이 작거나 얇은 사물에 대한 편집 시간 단축효과는 전체 문서 편집시간 단축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 불편이 개선되고 전체 편집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 어플의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터치기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 어플에 시각적 편집보조 기술이 구현된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터치기반 단말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 어플(13a)에 시각적 편집보조 기술이 구현된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터치기반 단말장치(10)는 터치스크린(11), 제어부(12), 시스템 메모리(13), 시각화 구현모듈(14), 저장부(15)를 포함한다. 이때, 시스템 메모리(13)에는 편집 어플(13a)가 로딩되어 실행되고, 시각화 구현모듈(14)은 초기입력 대기수단(14a),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 편집효과 구현수단(14c)를 구비한다.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1)을 통해 사용자가 편집 어플(13a)의 실행을 요청함에 따라 저장부(15)(예: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편집 어플(13a)을 시스템 메모리(13) 상으로 로딩한다.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편집 UI 화면(Ea)을 초기 상태로 구현하는데, 예컨대 3×4 키보드 또는 쿼티키보드에 해당하는 입력 UI 화면(Ia)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편집 어플(13a)이 새로운 문서파일을 생성한 경우인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기존의 문서파일을 오픈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된 편집 UI 화면(Ea) 또는 입력 UI 화면(Ia)에 대한 각종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문서 편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대기한다. 이때 편집추가 요소(T1)는 문서 편집에 사용되는 다양한 객체로 이루어지는데, 직선성분 객체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등과 같은 도형성분 요소, 그 밖에 기호 및 부정 형태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편집대상 객체의 집합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편집추가 요소(T1)로서 직선성분 요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편집 어플(13a)에서 가는 선(라인)을 추가하는 예로 들기로 한다.
편집 어플(13a)은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편집추가 요소(T1)에 포함된 다수의 편집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대상 객체([도 3]의 직선성분 객체(Ob))를 편집 UI 화면(Ea) 상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구현한 뒤, [도 1]에서 시각화 구현모듈(14)을 웨이크업(wake-up)한다.
이에 따라 편집 조작을 본 발명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조하기 위해서 시각화 구현모듈(14)이 작동되며, 이하에서는 시각화 구현모듈(14)의 구성요소인 초기입력 대기수단(14a),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초기입력 대기수단(14a)은 편집대상 객체(본 예의 경우 직선성분 객체(Ob))의 위치 변경 등 각종 편집 조작을 위해 터치스크린(11)상에 현재 구현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 상의 임의의 좌표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최초의 좌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초기입력 대기수단(14a)으로 최초 터치 입력좌표를 제공받으면 그 최초의 터치입력 좌표에 대해 확대아이콘(T2)을 구현하는데([도 4] 참조), 이때 확대아이콘(T2)은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이루어지는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대아이콘(T2)을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편집 조작이 진행되는 상황을 손가락에 방해받지 않고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확대아이콘(T2)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알파블렌딩(α-blending)이 적용된 반투명 상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반투명의 구현을 통해 확대아이콘(T2)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편집대상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그 구현된 확대아이콘(T2)에 대해 시각적 강조효과를 더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각적 강조효과로는 색상변화 효과, 크기변화 효과, 모양변화 효과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시각적 강조효과의 일 예로서 깜박임(flickering) 효과를 처리한다.
여기서 깜박임 효과를 화면 상에 처리하기 위해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도 3]에 나타낸 예에서와 같이 편집대상 객체가 직선성분 객체(Ob)인 경우에는, 먼저 [도 4]와 같이 직선성분 객체(Ob)의 한쪽 끝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선성분 객체(Ob)의 한쪽 끝 좌표를 선택하면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직선성분 객체(Ob)의 한쪽 끝 좌표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직선성분 객체(Ob)와 동일한 색상의 투명 처리된 확대아이콘(T2)에서 한쪽 끝 좌표를 중심으로 손가락보다 큰 모양으로 깜박거림이 반복 구현되도록 한다.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그 입력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 상에서의 최초의 터치입력 좌표를 중심으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 대한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대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그 일 예로서 직선성분 객체(Ob)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을 제어한다.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최초 좌표로부터 최종 변경 좌표로의 드래그 완료 시점까지 편집대상 객체에 편집 효과를 반영하는데, 그와 동시에 확대아이콘(T2)에 대해서도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한다([도 5] 참조). 이때, 확대아이콘(T2)에 대한 시각적 강조효과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를 변경하는 편집에 대해 설명하나,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 대한 다양한 편집 조작, 예컨대 자르기, 확대, 회전 등에 대해서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드래그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터치종료 신호가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수신되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한다([도 6]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 편집대상 객체인 직선성분 객체(Ob)을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변경한 후에 손을 떼어내면,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중복된 설명을 제외하고,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1)을 통해 사용자의 저장부(15)에 설치된 편집 어플(13a)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편집 어플(13a)을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로딩한다(S11).
단계(S11a) 이후, 편집 어플(13a)은 실행되어 터치스크린(11)에 편집 UI 화면(Ea)을 초기 상태로 구현한다(S12).
단계(S12) 이후, 편집 어플(13a)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의 편집 UI 화면(Ea) 또는 입력 UI 화면(Ia)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문서 편집이 수행되도록 한다(S13).
단계(S13) 이후 또는 단계(S13)와 함께,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의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대기한다(S14).
단계(S14) 이후, 편집 어플(13a)은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단계(S15)의 판단에 따라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는 단계(S13)으로 회귀하여 편집 어플(13a)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의 편집 UI 화면(Ea) 또는 입력 UI 화면(Ia)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문서 편집이 수행되도록 한다. 반대로, 단계(S15)의 판단에 따라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편집 어플(13a)은 편집추가 요소(T1)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대상 객체([도 3]의 직선성분 객체(Ob))를 편집 UI 화면(Ea) 상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구현한다(S16).
단계(S16) 이후, 편집 어플(13a)은 터치기반 단말장치(10)의 시각화 구현모듈(14)을 웨이크업한다(S17).
단계(S17)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의 위치변경을 위해 터치스크린(11)상에 구현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 상의 임의의 좌표에 대한 최초의 좌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8).
단계(S18)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단계(S18)에서 터치된 최초의 좌표에 대한 확대아이콘(T2)을 구현 후, 바람직하게는 시각적 강조효과, 예컨대 깜박임 효과를 처리한다(S19).
단계(S19)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단계(S18)에서 입력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서 최초로 터치된 좌표를 변경하려는 변경 좌표로의 드래그 입력에 대한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의 수신을 대기한다(S20).
단계(S20)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제공됨에 따라 최초의 좌표로부터 변경 좌표로의 드래그 완료 시점까지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 대한 위치 변경을 처리하는데, 그동안 확대아이콘(T2)은 지속적으로 표시하고, 바람직하게는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깜박임 효과도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한다(S21).
단계(S21)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드래그 완료를 나타내는 터치종료 신호가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수신되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한다(S22).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 터치기반 단말장치
11 : 터치스크린
12 : 제어부
13 : 시스템 메모리
13a : 편집 어플
14 : 시각화 구현모듈
14a : 초기입력 대기수단
14b : 확대아이콘 구현수단
14c : 편집효과 구현수단
15 : 저장부

Claims (8)

  1. 편집 어플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대상 객체를 구현하는 제 1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상기 편집대상 객체에 대한 편집 처리를 위해 상기 편집대상 객체 상에서 최초 좌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시각화 구현모듈이 상기 터치된 최초의 좌표에 대해 확대아이콘(T2)을 구현하는 제 3 단계;
    상기 시각화 구현모듈이 상기 편집대상 객체에 대해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따른 편집 효과를 상기 편집대상 객체에 반영하면서 상기 확대아이콘(T2)을 상기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구현하는 제 4 단계;
    상기 시각화 구현모듈이 터치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대아이콘(T2)는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확대아이콘(T2)에 대한 시각적 강조효과를 더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확대아이콘(T2)에 대하여 상기 편집 효과와 연동하면서 상기 시각적 강조효과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대아이콘(T2)는 미리 설정된 알파블렌딩이 적용된 반투명 상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103363A 2012-09-18 2012-09-18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40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63A KR101405822B1 (ko) 2012-09-18 2012-09-18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63A KR101405822B1 (ko) 2012-09-18 2012-09-18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98A KR20140036798A (ko) 2014-03-26
KR101405822B1 true KR101405822B1 (ko) 2014-06-11

Family

ID=5064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63A KR101405822B1 (ko) 2012-09-18 2012-09-18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32B1 (ko) * 2017-01-06 2018-11-20 김찬기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의 문자 편집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스마트 디바이스
WO2022231380A1 (ko) * 2021-04-29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미세 조절 제어를 위한 컨텐츠 편집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821A (ko) * 2004-07-30 2007-04-17 애플 컴퓨터,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미디어 항목들을 통해 스크롤하는방법,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을 갖는 사용자-조작되는전자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 디스플레이 및 터치감지 입력 장치를 갖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장치, 터치 감지 장치를 통해플로팅 컨트롤을 기동시키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구현 방법
KR100727195B1 (ko) 2000-04-14 2007-06-13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디지털 문서 처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0109A (ko) * 2004-07-30 2009-05-19 애플 인크.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모드 기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168705B1 (ko) 2009-02-18 2012-08-02 김기미 이동통신 단말기와 아이피 기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 지능형 심볼, 아이콘 인터넷 정보 검색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95B1 (ko) 2000-04-14 2007-06-13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디지털 문서 처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0821A (ko) * 2004-07-30 2007-04-17 애플 컴퓨터,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미디어 항목들을 통해 스크롤하는방법,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을 갖는 사용자-조작되는전자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 디스플레이 및 터치감지 입력 장치를 갖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장치, 터치 감지 장치를 통해플로팅 컨트롤을 기동시키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구현 방법
KR20090050109A (ko) * 2004-07-30 2009-05-19 애플 인크.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모드 기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168705B1 (ko) 2009-02-18 2012-08-02 김기미 이동통신 단말기와 아이피 기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 지능형 심볼, 아이콘 인터넷 정보 검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98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126B2 (en) Ic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11487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EP302812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cogniz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US9766723B2 (en)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hover over stylus control functionality
US9098942B2 (en) Legend indicator for selecting an active graph series
US20170205963A1 (en) Swipe-based confirmation for touch sensitive devices
KR101329584B1 (ko) 멀티터치 기반의 텍스트블록 설정에 따른 편집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40145945A1 (en) Touch-based input control method
EP2717149A2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different pointers according to attributes of a hovering input position
US10282219B2 (en) Consolidated orthogonal guide creation
KR20140081793A (ko) 명시적 터치 선택 및 커서 배치 기법
JP2012058857A (ja) 情報処理装置、操作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5212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anaging applications
US20140040797A1 (en) Widge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20140173473A1 (en) Content selecting technique for touch screen ui
US20140245197A1 (en) Duplicating graphical widgets
KR101405822B1 (ko)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53545A (ko) 전자 문서 편집기에서의 객체에 대한 편집 명령 입력 방법
US201403801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5302466B (zh) 一种文字操作方法及终端
KR20160010993A (ko) 객체 편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444202B1 (ko) 터치 스크린을 통한 문서서식 적용방법 및 장치
CN112540715B (zh) 笔记内容的粘贴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9984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내용의 확대, 축소, 이동을 위한 명령 입력 방법
CN114415883A (zh) 用户界面交互方法、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