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716B1 -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716B1
KR101405716B1 KR1020110055293A KR20110055293A KR101405716B1 KR 101405716 B1 KR101405716 B1 KR 101405716B1 KR 1020110055293 A KR1020110055293 A KR 1020110055293A KR 20110055293 A KR20110055293 A KR 20110055293A KR 101405716 B1 KR101405716 B1 KR 10140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circuit
wireless power
touch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6216A (en
Inventor
배수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716B1/en
Priority to US14/125,015 priority patent/US9310932B2/en
Priority to EP12796157.1A priority patent/EP2719056B1/en
Priority to PCT/KR2012/004493 priority patent/WO2012169797A2/en
Priority to EP16169137.3A priority patent/EP3109739B1/en
Priority to CN201280028253.9A priority patent/CN103597711B/en
Priority to CN201611121640.3A priority patent/CN107026512A/en
Publication of KR2012013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716B1/en
Priority to US15/076,090 priority patent/US965210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 값이 0이 되는 LC 회로를 장착하여 저항막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electric resistance film type touch panel or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n which an LC circuit having an impedance value of 0 in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mounted,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of the touch screen.

Description

터치 패널,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기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모바일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 값이 0이 되는 LC 회로를 장착하여 저항막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for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touch panels or touch scree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ic resistance film type touch panel or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by mounting an LC circuit having an impedance value of 0 in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method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touch screen by removing a voltage induced in a resistance film is provided.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자기 유도, 자기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In the 1800s, electric motors and transformers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s began to be used, and then radio waves and lasers were used to transmit the electric energy to the desired devices wirelessly. A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by radiating the same electromagnetic wave has also been attempted. Our electric toothbrushes and some wireless shavers are actually charged with electromagnetic induction. Until now, the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method is magnetic induction, self resonance, and remote transmission technology using short wavelength radio frequency.

위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중 최근에 주목받는 기술은 자기 공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다. 자기 공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은 송신측과 수신측을 공진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전력을 전자기 유도를 일으키는 기술로서, 근거리 전력 전송에 적합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Among the above-mention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a technology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by self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y self-resonance is a technique that induces electromagnetic induction of electric power in a state where the transmission side and the reception side are set to the resonance state,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technique suitable for short-range power transmission.

이러한, 자기 공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의 주요 응용 분야로 거론되는 것은 송신기를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하고, 수신기를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무선 전력 송신기가 장착된 실내에 머무르기만 하면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a main application fiel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y self resonance, a transmitter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and a receiver is mounted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so that a user does not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Th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simply by staying in the room where the transmitter is installed.

그런데, 최근의 모바일 기기에는 대부분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터치 검출을 위한 기기들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신호와 터치 검출을 위한 신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터치 검출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recent mobile devices, a touch panel or a touch screen is usually installed. When such a device for touch detection is wirelessly charged, interference occurs between a signal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signal for touch detection, Malfunction may occur.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모바일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터치 검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nel capable of preventing a malfunction that may occur in touch detection when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s wirelessly 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패널이 제공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양단에 전극이 장착된 저항막와, 상기 전극에 연결되고, 제 1 주파수에서 쇼트 상태가 되어 상기 저항막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하는 LC 회로를 포함한다.A touch panel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nel includes a resistance film having electrodes at both ends thereof, and an LC circuit connected to the electrode and being short-circuited at a first frequency to remove a voltage induced in the resistance fil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전원공급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내장되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에 의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는 수신코일로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부와, 양단에 전극이 장착된 저항회로와, 상기 전극에 연결되고, 제 1 주파수에서 쇼트 상태가 되어 상기 저항회로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하는 LC 회로를 포함한다.Further,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built in an electronic device requiring power supply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y power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device, a resistor circuit having electrodes at both ends thereof, And an LC circuit which is short-circuited at the first frequency to remove a voltage induced in the resistor circu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 가능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양단에 전극이 장착된 저항막과, 상기 전극에 연결되고, 제 1 주파수에서 쇼트 상태가 되어 상기 저항막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하는 LC회로를 포함한다.Further,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touch panel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capable of selecting at least one func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by a touch operation, And an LC circuit connected to the electrode and being short-circuited at a first frequency to remove a voltage induced in the resistive film.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터치 검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is wirelessly charged, a malfunction that may occur in touch detect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21)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10)와 송신부(20)의 등가회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용 공진 코일(31), 수신 코일(32), 평활 회로(40) 및 부하(50)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5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 저항막에 터치가 없을 때의 전압 출력 분포를 나타낸다.
도 8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검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다.
1 sh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transmission coil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quivalent circuit of a power source 10 and a transmitte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the receiving coil 32, the smoothing circuit 40 and the load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touch screen panel structure of a resistive film type.
6 is a plan view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constituting 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FIG. 7 shows a voltage output distribution when there is no touch on the resistive film in 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 detection method of the resistive film type.
9 shows a resistive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1 sh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력 소스(10)에서 생성된 전력은 송신기(20)로 전달되고, 자기 공진 현상에 의해 송신부(20)와 공진을 이루는 즉, 공진 주파수 값이 동일한 수신기(30)로 전달된다. 수신기(3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회로(40)를 거쳐 부하(50)로 전달된다. 부하(50)는 충전지 또는 기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1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20 and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30 which resonates with the transmitter 20 by the self resonance phenomenon, that is, the resonance frequency value is the same. The electric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er 30 is transmitted to the load 50 via the rectifying circuit 40. The load 50 may be any device that requires a rechargeable battery or other power.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력 소스(1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력 소스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ource 10 is an AC power source providing AC power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송신기(20)는 송신 코일(21)과 송신용 공진 코일(22)로 구성된다. 송신 코일(21)은 전력 소스(10)와 연결되며,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송신 코일(21)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송신용 공진 코일(22)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된다. 송신용 공진 코일(22)로 전달된 전력은 자기 공진에 의해 송신기(20)와 공진 회로를 이루는 수신기(30)로 전달된다. The transmitter 20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coil 21 and a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 The transmitting coil 21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0, and alternating current flows. When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in the transmission coil 21, an alternating current is also induced in the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 which is physically spaced apart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resonant coil 22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30 which forms a resonant circuit with the transmitter 20 by self resonance.

자기 공진에 의한 전력 전송은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간에 전력이 전송되는 현상으로써,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보다 먼 거리까지 높은 효율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Power transmission by self-resonance is a phenomenon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between two LC circuits whose impedances are matched. As a result, power can be transmitted at a higher efficiency than a power transmission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수신기(30)는 수신용 공진 코일(31)과 수신 코일(32)로 구성된다. 송신용 공진 코일(22)에 의해 송신된 전력은 수신용 공진 코일(31)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용 공진 코일(31)에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수신용 공진 코일(31)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신 코일(32)로 전달된다. 수신코일(32)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 회로(4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50)로 전달된다.The receiver 30 is composed of a receiving resonant coil 31 and a receiving coil 32. The electric power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resonant coil 22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so that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o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oil 32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oil 32 is rectif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40 and transferred to the load 5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21)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코일(21)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가변 캐패시터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용 공진 코일(22), 수신용 공진 코일(31), 수신 코일(32)의 등가 회로도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transmission coil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transmission coil 21 may be composed of an inductor L1 and a capacitor C1, thereby constituting a circuit having an appropriate inductance and a capacitance value. The capacitor C1 may be a variable capacitor, and an impedance matching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variable capacitor.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transmitting resonant coil 22,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and the receiving coil 32 may be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10)와 송신부(20)의 등가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코일(21)과 송신용 공진 코일(22)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L2)와 캐패시터(C1,C2)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3 is an equivalent circuit of a power source 10 and a transmitter 2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transmission coil 21 and the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 may be composed of inductors L1 and L2 and capacitors C1 and C2 having predetermin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values,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용 공진 코일(31), 수신 코일(32), 평활 회로(40) 및 부하(50)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the receiving coil 32, the smoothing circuit 40 and the load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용 공진 코일(31)과 수신 코일(32)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3,L4)와 캐패시터(C3,C4)로 구성될 수 있다. 평활 회로(40)는 다이오드(D1)와 평활 캐패시터(C5)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부하(50)는 1.3V의 직류 전원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4,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 and the receiving coil 32 may include inductors L3 and L4 and capacitors C3 and C4 having predetermin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values, respectively. The smoothing circuit 40 may be composed of a diode D1 and a smoothing capacitor C5, and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and outputs the AC power. The load 50 is indicated by a DC power supply of 1.3 V, but may be any rechargeable battery or device requiring DC power.

한편, 전술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다양한 응용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20)는 건물 내의 벽이나 천장에 배치하고 수신부(30)는 전원공급이 필요한 전자기기, 예컨대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 및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내장되어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전자기기를 송신부(20)가 설치된 실내에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can have various application ranges.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unit 20 may be disposed on a wall or a ceiling in a building, and the receiving unit 30 may be installed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or a mobi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notebook computer . In this case, the user can charge the electronic device only by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room where the transmitter 20 is installed.

최근의 전자기기들에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 터치 패널이 장착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전자기기에 전술한 바와 같은 수신부를 장착하게 되면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와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을 위한 신호의 주파수가 간섭을 일으켜 터치 패널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In recent electronic appliances, a touch screen equipped with a touch panel is often used as a user input means. When the above-described receiver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The frequency and the frequency of the signal for touch detection of the touch panel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malfunction of the touch panel.

터치 스크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전기 저항막 방식과 정전식이 있는데 특히 전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touch screen. Recently,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are electric resistive type and electrostatic type. Especially, electric resistive type touch screen may cause malfun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은 전자기기 구비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panel is provided on an electronic device, and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an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by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위에 ITO(Indium Tin Oxide) 절연층을 배치하고, ITO 절연층 위에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를 배치하고, 그 위에 다시 ITO 절연층을 배치한 후에 마지막으로 필름을 입히는 구조를 갖는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5 shows a touch screen panel structure of a resistive film type. As shown in FIG. 5, the resistiv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an ITO (Indium Tin Oxide)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a substrate, a dot spacer for sensing contact on the ITO insulating layer, And then the ITO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thereon, and finally the film is coated.

도 6의 (a) 및 (b)는 각각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6 (a) and 6 (b) show plan views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constituting 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respectively.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은 저항막(65)으로 구성되고, 저항막(65)의 양단에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2 전극(61,62)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도 저항막(66)으로 구성되고, 저항막(66)의 양단에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63,64)가 배치된다. 상판과 하판은 서로 수직 방향이 되도록 배열된다. 6A, the upper plate is constituted by a resistive film 65,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61 and 62 for applying a voltage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resistive film 65. As shown in FIG. Likewise, as shown in Fig. 6 (b), the lower plate is also constituted by a resistive film 66, and electrodes 63 and 64 for applying a voltage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esistive film 66. [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저항막(65,66)으로는 투명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ITO, IZO, ZnO 또는 AZO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전극(61,62,63,64)은 전도성 금속이며 바람직하게는 은(Ag)일 수 있다. As the resistive films 65 and 66, a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used. For example, one of ITO, IZO, ZnO, and AZO may be used. Electrodes 61, 62, 63 and 64 are conductive metals, preferably silver (Ag).

(a)의 저항막(65)과 (b)의 저항막(66)은 도트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a)의 저항막(65)이 터치되면 (b)의 저항막(66)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the resistive film 65 of (a) and the resistive film 66 of (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ot spacer. the resistive film 65 of (a) is in contact with the resistive film 66 of (b) when it is touched.

저항막(65)은 x 방향 좌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저항막(66)은 y 방향 좌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resistive film 65 is for measuring x-direction coordinates and the resistive film 66 is for measuring y-directional coordinates.

x 방향 좌표를 측정하기 위해 (a)의 저항막(65)의 한 전극(61)에는 전압 V1을 인가하고, 다른 전극(62)은 접지시킨다. 터치가 없는 경우에는 저항막들(65,66)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저항을 가지므로, 전극(6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전압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인 함수 관계를 나타내고, 임의의 지점 x에서 측정되는 전압 Vx는 다음과 같다. the voltage V1 is applied to one electrode 61 of the resistance film 65 of (a) and the other electrode 62 is grounded to measure x-direction coordinates. In the absence of a touch, since the resistive films 65 and 66 have a uniform resistance as a whole, th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lectrode 61 exhibits a linear function relationship as shown in FIG. 7, The voltage Vx measured at point x is

Figure 112011043142550-pat00001
(식 1)
Figure 112011043142550-pat00001
(Equation 1)

여기서 a는 저항막(65)의 폭이다.Where a is the width of the resistive film 65.

터치가 없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값을 갖지만, 터치가 있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ITO 절연층은 터치가 되는 순간에 상층의 X축 검출을 위한 코팅층과 바로 밑의 Y축 검출을 위한 코팅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X축 검출을 위한 코팅층과 바로 밑의 Y축 검출을 위한 코팅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접촉 포인트에서의 R1과 R2사이에 R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저항값이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측정 전압 값이 변하게 된다. 그러면, 측정 전압에 근거하여 생성된 터치 데이터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해당 포인트에서의 터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임계값에 의하여 터치 감도가 결정된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a touch, the ITO insulating layer has a coating layer for detecting the X axis of the upper layer and a coating layer for detecting the Y axis directly below the ITO insulating layer, . When the coating layer for X-axis det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ting layer for detection of the Y-axis immediately below, R3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R1 and R2 at the contact point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s a result, do. Then, the touch data generated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is compared with a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touch is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That is, the touch sensitivity is determined by the threshold value.

x 방향의 좌표 측정을 위한 전압값은 다른 저항막(66)의 전극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터치가 이루어지면, 저항막(65)의 터치된 지점(67)은 저항막(66)의 지점(68)과 접촉하게 되므로 지점(67)과 지점(68)의 전압은 동일하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저항막(66)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지점(68)의 전압이나, 전극부(63,64)의 전압은 동일하므로 터치 지점의 전압은 저항막(65)이 아닌 저항막(66)의 전극(63,64)에서 측정할 수 있다. 지점(68)의 전압을 알면 지점(68)의 x좌표 값을 알 수 있다.The voltage value for the coordinate measurement in the x direction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of the other resistive film 66. The touch point 67 of the resistive film 6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oint 68 of the resistive film 66 so that the voltage at the point 67 and the point 68 are the same. The voltage at the point 68 and the voltage at the electrode portions 63 and 64 are the same because the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resistance film 66 to which the voltage is not applied. Can be measured at the electrodes (63, 64) of the electrode (66). Knowing the voltage at point 68, the x coordinate value of point 68 can be known.

터치 지점의 y 방향 좌표는 전술한 x 방향 측정 시에 저항막(65)와 저항막(66)의 역할을 바꾸면 된다.The y-direction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may be changed in the role of the resistive film 65 and the resistive film 66 in the above-described x-direction measurement.

즉, y 방향 좌표를 측정하기 위해 저항막(66)의 한 전극(63)에는 전압 V1을 인가하고, 다른 전극(64)은 접지시킨다. 터치가 없는 경우에는 저항막들(65,66)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저항을 가지므로, 전극(63)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전압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인 함수 관계를 나타내고, 임의의 지점 y에서 측정되는 전압 Vy는 다음과 같다. That is, the voltage V1 is applied to one electrode 63 of the resistance film 66 and the other electrode 64 is grounded to measure the y-direction coordinate. In the absence of a touch, since the resistive films 65 and 66 have a uniform resistance as a whole,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lectrode 63 exhibits a linear functional relationship as shown in Fig. 7, The voltage Vy measured at point y is as follows.

Figure 112011043142550-pat00002
(식 2)
Figure 112011043142550-pat00002
(Equation 2)

여기서 b는 저항막(66)의 y방향 폭이다. 터치가 없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값을 갖지만, 터치가 있는 경우에는 측정되는 전압값이 변화하고, 측정된 전압값의 변화로부터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전압값 측정도 마찬가지로 저항막(66)이 아닌 저항막(65)의 전극(61,62)에서 측정할 수 있다. Where b is the width in the y direction of the resistive film 66. If there is no touch, the value is the same as above. However, if there is a touch, the voltage value to be measured changes, and the touch point can be detected from the change of the measured voltage value.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of the voltage value can also be performed on the electrodes 61 and 62 of the resistive film 65 instead of the resistive film 66.

위와 같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이 장착된 전자기기 등을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해 충전하게 되면, 저항막(65,66)에 전압이 유기되어 검출되는 전압값에 오류가 발생하고 터치 패널이 오동작을 하게 된다. When the above-mentioned electronic device or the like equipped with the resistive touch panel is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voltage is induced in the resistive films 65 and 66 and an error occurs in the detected voltage value and the touch panel malfunctions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에서 쇼트가 되는, 즉 임피던스값이 0이 되는 LC 회로를 저항막(65,66)의 각 전극(61,62,63,64)에 연결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해 저항막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LC circuit that is shorted at the frequency of the signal used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 E., Has an impedance value of zero,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61,62,63, 64 so that the voltage induced in the resistive film can be remov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보다 구체적으로, 자기 공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력을 송신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파수(f1)의 전력을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터치 패널의 저항막에는 f1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이 유기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저항막(65,66)에 f1에서 임피던스 값이 0인 LC 공진 회로들(71,72,73,74)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저항막에 유기된 전압을 제거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self-resonance, a power having a constant frequency f1 is transmitted in order to transmit power. At this time, a voltage having a frequency of f1 is induced in the resistance film of the touch panel. At this time, the LC resonant circuits 71, 72, 73, and 74 having impedance values of 0 are connected to the resistance films 65 and 66,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9, thereby removing the voltage induced in the resistance film.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f1이라고 하면, 그때의 직렬로 구성된 LC회로의 LC값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frequency of the signal used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f1, the LC value of the LC circuit composed at that time can be obtained as follows.

Z = jωL + 1/jωC = 0 (식 3)Z = j? L + 1 / j? C = 0 (Equation 3)

위 (식 3)으로부터 LC 회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From the above equation (3), the LC circuit shall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LC = 1/4π2f12 (식 4)LC = 1 / 4π2f12 (Equation 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력 소스
20 : 송신기
21 : 송신 코일
22 : 송신용 공진 코일
30 : 수신기
31 : 수신용 공진 코일
32 : 수신 코일
40 : 정류회로
61,62,63,64 : 전극
65,66 : 저항막
67,68 : 터치 지점
71,72,73,74 : LC 회로
10: Power source
20: Transmitter
21: Transmission coil
22: Transmission resonant coil
30: receiver
31: Receiving resonant coil
32: Receive coil
40: rectification circuit
61, 62,
65, 66:
67,68: touch point
71, 72, 73, 74: LC circuit

Claims (13)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 가능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LC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LC 회로는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에서 공진하여 0의 임피던스값을 갖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 display apparatus of a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d a touch panel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capable of selecting at least one func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by a touch operation,
The touch panel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rossing each other; And
And an LC circuit including an induc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Wherein the LC circuit resonates at a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have an impedance value of zer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 회로의 임피던스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edance of the LC circuit is set so as to pass a signal of a frequency used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저항막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ouch panel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resistive films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C회로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에 의해 상기 제1 저항막과 상기 제2 저항막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C circuit comprises:
And removing a voltage induced in the first resistance film and the second resistance film by a frequency used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C 회로는
상기 제 1 전극에 연결되는 제 1 LC 회로와,
상기 제 2 전극에 연결되는 제 2 LC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C circuit
A first LC circuit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LC circuit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저항막 중 적어도 하나는,
ITO, IZO, ZnO 및 AZO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투명 전극과,
상기 저항막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2 저항막은 다수의 도트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ive films comprises:
A transparent electrod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ITO, IZO, ZnO, and AZO,
And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resistive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istive films are spaced apart by a plurality of dot spacers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 회로는
상기 터치패널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거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신호 간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C circu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panel and the touch panel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of a frequency between a signal of a frequency used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signal of a frequency used for touch detection of the touch panel by removing a voltage induced in the touch panel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55293A 2011-06-08 2011-06-08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405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293A KR101405716B1 (en) 2011-06-08 2011-06-08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4/125,015 US9310932B2 (en) 2011-06-08 2012-06-07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P12796157.1A EP2719056B1 (en) 2011-06-08 2012-06-07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PCT/KR2012/004493 WO2012169797A2 (en) 2011-06-08 2012-06-07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P16169137.3A EP3109739B1 (en) 2011-06-08 2012-06-07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N201280028253.9A CN103597711B (en) 2011-06-08 2012-06-07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N201611121640.3A CN107026512A (en) 2011-06-08 2012-06-07 Electronic equipment,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5/076,090 US9652105B2 (en) 2011-06-08 2016-03-21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293A KR101405716B1 (en) 2011-06-08 2011-06-08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216A KR20120136216A (en) 2012-12-18
KR101405716B1 true KR101405716B1 (en) 2014-06-10

Family

ID=4790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293A KR101405716B1 (en) 2011-06-08 2011-06-08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7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829A (en) * 1995-11-18 1997-06-26 배순훈 Noise Reduction Circuit of Monitor Using LC Filter
JP2004252562A (en) 2003-02-18 2004-09-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Data processor
WO2010064351A1 (en) 2008-12-02 2010-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829A (en) * 1995-11-18 1997-06-26 배순훈 Noise Reduction Circuit of Monitor Using LC Filter
JP2004252562A (en) 2003-02-18 2004-09-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Data processor
WO2010064351A1 (en) 2008-12-02 2010-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216A (en)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105B2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2258835B1 (en) Detection of object position and orientation on a wireless charging mat
JP5093369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10771005B (en) System for wireless power charging
EP2745379B1 (en) A capacitive contactless powering system
CN103928990B (en) Integrate the wireless charger of electric radiation shielding and capacitance sensing function
JP4538594B2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201700749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urrent sensor
EP3163414A1 (en) Coordinate input device having enhanced touch sensing performance
CN203982340U (en) Touch-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43670A (en) Touch sensing system and diplay device
GB2499914A (en) Wireless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ical power receiving device
CN1050270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 sensing region of a capacitive sensing electrode
CN106160047B (en) A kind of wireless charg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440376B2 (en) Touch sensor, touch panel,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touch sensor
US20150249340A1 (en) Power relay stand
KR101294481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touch panel combined therein
KR101405716B1 (en) Touch panel, Apparatus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6515983B2 (en) Electromagnetic field probe
KR101854788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detecting metal obje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