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859B1 -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859B1
KR101403859B1 KR1020120079191A KR20120079191A KR101403859B1 KR 101403859 B1 KR101403859 B1 KR 101403859B1 KR 1020120079191 A KR1020120079191 A KR 1020120079191A KR 20120079191 A KR20120079191 A KR 20120079191A KR 101403859 B1 KR101403859 B1 KR 10140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ole
rail
upper rail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403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2007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8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레일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 포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의 하부에 상기 포크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포크구멍에 상기 포크부가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면서 록킹 가능하도록 구성된 로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APPARATUS FOR LOCKING SEAT-RAIL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퍼레일의 상부에 로크의 회전축을 위치시켜 시트레일의 측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또한 포크구멍 및 포크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시트레일 록킹시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시트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시트의 하부에는 이동된 시트를 고정하는 시트레일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시트레일 록킹장치에 대한 것으로, 차실 내의 플로어패널에 결합되는 로워레일(10)과,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되면서 상기 로워레일(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어퍼레일(20)과, 상기 로워레일(10)에 대한 어퍼레일(20)의 자유로운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장치(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로크장치(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20)의 일측부에 가이드핀(31a)을 매개로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31)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1)에 힌지수단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양단에 조작부(32a)와 포크부(32b)를 구비한 작동래치(32)와, 일단은 상기 어퍼레일(20)의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31)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래치(32)의 조작부(32a) 하단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결합되어 상기 작동래치(32)의 동작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31)과 작동래치(32)는 힌지핀(36)(37)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기구(3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 상기 어퍼레일(20)에는 작동래치(32)가 삽입되는 래치구멍(21) 및 상기 래치구멍(21)의 하부에 포크구멍(22)이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로워레일(10)의 상부면에도 상기 어퍼레일(20)의 포크구멍(22)과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포크구멍(14a)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작동래치(32)의 조작부(32a)를 아랫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작동래치(32)는 힌지핀(36)(37)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선단의 포크부(32b)가 포크구멍(14a,22)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됨으로써, 로워레일(10)과 어퍼레일(20)이 로크장치(30)로부터 구속 해제되어 시트를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 및 거리만큼 시트를 이동시킨 후 아랫방향으로 눌러주고 있던 작동래치(32)를 놓아주게 되면, 상기 작동래치(32)는 탄성부재(33)의 복원력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포크구멍(14a,22)으로부터 빠져서 이탈하고 있던 포크부(32b)는 그 선단이 새로운 위치의 포크구멍(14a,22)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워레일(10)에 대한 어퍼레일(20)의 이동을 구속시키게 됨으로써, 시트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레일 록킹장치는 작동래치를 회전시키는 축볼트의 축 위치가 어퍼레일의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어퍼레일의 측면에 축볼트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의 벤딩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가이드브라켓이 어퍼레일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바, 시트레일의 측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퍼레일의 측면 공간에 축볼트가 결합됨으로써, 축볼트가 결합된 축의 위치와 포크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바, 이로 인해 작동래치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어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의 상하 위치가 포크부의 회전반경에 의해 크게 달라지게 되어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을 설계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퍼레일의 상부 위치에 로크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위치시켜 시트레일의 측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이와 함께 로크의 회전반경을 증대시켜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의 위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크구멍 및 포크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포크구멍 및 포크부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시트레일의 록킹시에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레일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 포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의 하부에 상기 포크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포크구멍에 상기 포크부가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면서 록킹 가능하도록 구성된 로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힌지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로크에 지지됨으로써, 로크의 회전에 의해 텐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포크부가 상기 포크구멍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레일의 상단부에 고정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에 상기 힌지부가 상부를 향하여 벤딩 형성되되, 상기 힌지부에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스프링의 일단이 걸려져 지지되도록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크의 일측에는 로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일면에 스프링의 타단이 걸려져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어퍼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 중 두 개의 포크구멍은 다른 포크구멍과는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로워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 중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포크구멍에 끼워지는 포크부는 상기 포크구멍에 끼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좌우폭이 점차 짧아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의 경사면이 상기 어퍼레일의 포크구멍 또는 로워레일의 포크구멍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포크구멍에 끼워지는 포크부는 상기 포크구멍에 끼워지는 포크부의 단면적 좌우너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 중 하나의 포크구멍은 다른 포크구멍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를 포크구멍에 체결시, 상기 포크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짧게 형성된 어퍼레일의 포크구멍 내측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면서 어퍼레일의 포크구멍과 포크부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 중 하나의 포크구멍은 다른 포크구멍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를 포크구멍에 체결시, 상기 포크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길게 형성된 어퍼레일의 포크구멍에 간섭되지 않고 그 후단의 로워레일에 형성된 포크구멍의 내측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면서 로워레일의 포크구멍과 포크부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로크의 회전축이 어퍼레일의 대각 상단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시트레일의 상부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측면 공간 활용도를 높여 시트레일의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시트레일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어퍼레일의 포크구멍 중에서 일부의 포크구멍이 상대적으로 작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크부가 포크구멍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어퍼레일의 포크구멍 및 로워레일의 포크구멍과 포크부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는바, 로크와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을 견고하게 록킹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트레일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시트레일 록킹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레일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레일 록킹장치에서 로크 및 고정브래킷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레일 록킹장치에서 로크의 체결 및 체결 해제시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크부의 형상과, 어퍼레일 및 로워레일의 포크구멍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a, 7b는 본 발명에 의한 포크부가 어퍼레일의 포크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로워레일의 포크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는, 힌지부(310)와, 회전축(320) 및 로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로워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레일(20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310)와; 상기 힌지부(310)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320)과;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 포크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로워레일(100) 및 어퍼레일(200)의 하부에 상기 포크부(430)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에 상기 포크부(430)가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면서 록킹 가능하도록 구성된 로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320)이 어퍼레일(200)의 상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20)에 결합된 로크(400)는 상기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레일(200)의 측부에 회전축(320)을 설치하기 위해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 어퍼레일(200) 측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축(320)이 상기 어퍼레일(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포크부(430)가 로워레일(100) 및 어퍼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로크(400)의 상단부에 마련된 회전축(320)과 로크(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포크부(43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400)의 회전반경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로워레일(100) 및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의 위치 차이가 최소화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워레일(100) 및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은 상기 회전축(320)의 직하부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로워레일(100) 및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에 포크부(430)가 직선 이동에 가깝게 끼워질 수 있으며,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포크구멍(110, 210)의 상하 위치 차이를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로워레일(100)은 차량 내부의 플로어패널(도시 생략)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로워레일(100)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포크구멍(110)이 형성되어 상기 포크구멍(110)에 포크부(430)가 끼워지며, 상기 포크구멍(110)의 좌우너비는 다른 포크구멍(110)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크구멍(110) 간의 간격은 상기 포크부(430)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퍼레일(200)은 시트 하부의 쿠션프레임(도시 생략)과 결합되면서 상기 로워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어퍼레일(200)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포크구멍(210)이 형성되어, 상기 포크구멍(210)에 로크(400)의 포크부(43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포크구멍(210)은 로크(400)에 형성된 포크부(43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포크부(430)의 개수보다 많아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포크구멍(210)의 간격은 상기 포크부(43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워레일(100)과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은 로크(400)가 회전하면서 포크부(430)가 끼워지는바, 상기 포크부(430)가 회전하는 반경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상기 어퍼레일(200)의 하단부가 상방향으로 벤딩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이 로워레일(1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의 앞뒤로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워레일(100)과 어퍼레일(200)의 사이에는 베어링 등을 갖는 롤러부재(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어퍼레일(200)이 로워레일(100)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축(320)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힌지부(3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로크(400)에 지지됨으로써, 로크(400)의 회전에 의해 텐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포크부(430)가 상기 포크구멍(110, 210)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프링(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30)은 상기 회전축(320)에 끼워지는 것으로, 비틀림에 의해 탄성력의 제공이 가능한 토션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30)의 양 단부는 절곡 형성됨으로써 힌지부(310) 및 로크(400)에 각각 걸려질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부(310)는 회전이 제한되는 반면 상기 로크(400)는 회전되는 요소이므로, 로크(400)의 회전시 스프링(330)의 텐션에 의해 포크부(430)의 록킹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로크(400)의 회전이 복귀되면서 상기 로크(4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어퍼레일(200)의 상단부에 고정브래킷(3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300)의 일측에 상기 힌지부(310)가 상부를 향하여 벤딩 형성되되, 상기 힌지부(310)에 회전축(320)이 결합되도록 축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310)의 일측에 스프링(330)의 일단이 걸려져 지지되도록 스프링지지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브래킷(300)은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300)의 절곡된 중심 부분에 로크(400)가 삽입될 수 있는 로크구멍(350)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크구멍(350)과 중첩되는 어퍼레일(200)의 일부분에도 로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크구멍(250)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300)의 일측에는 상부를 향하여 전방 및 후방에 힌지부(310)가 각각 일체로 벤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10)의 중심에 형성된 축홀(312)에 회전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방 힌지부(310) 사이는 개구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포크부(430)가 포크구멍(110, 210)에 끼워질 때 상기 포크부(430)가 고정브래킷(300)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로크(400)의 일측에 로크(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20)의 일면에 스프링(330)의 타단이 걸려져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크(400)의 상단부 양측에 연결부(41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410) 중앙에 축홀(41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20)이 상기 축홀(412)과 함께 힌지부(310)에 형성된 축홀(312)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10)의 하단 사이에 조작부(420)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작부(420)의 누름 조작에 의해 로크(400)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로크(400)의 하부에는 포크구멍(110, 210)을 향하도록 다수의 포크부(43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30)의 타단은 조작부(420)의 하부면에 걸려지게 되는바, 상기 조작부(420)를 하부로 누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330)에 비틀림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 중 두 개의 포크구멍(210)은 다른 포크구멍(210)과는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로워레일(1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430) 중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포크부(430)는 상기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좌우폭이 점차 짧아지는 경사면(432)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430)의 경사면(432)이 상기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 또는 로워레일(100)의 포크구멍(110)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포크구멍(210)은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할 때에, 양 단부에 형성된 포크구멍(210)인 것으로, 일단에 형성된 포크구멍(210)은 기준이 되는 다른 포크구멍(210)의 좌우너비(L0)에 비해 좌우너비(L1)가 짧게 형성되며, 타단에 형성된 포크구멍(210)은 기준이 되는 다른 포크구멍(210)의 좌우너비(L0)에 비해 좌우너비(L2)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포크구멍(210)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포크구멍(210)은 중간에 위치한 두 개의 포크구멍(210)일 수 있으며, 그 좌우너비(L0)는 상기 포크구멍(210)에 포크부(430)가 끼워지면 포크부(430)의 양측에 약간의 틈이 형성될 수 있는 길이일 것이다.
아울러,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포크부(430)는 다른 포크부(430)보다 포크구멍(110, 210)에 끼워지는 단면적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더 길거나 짧게 형성된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포크부(430)는 다른 포크부(430)에 비해 그 좌우너비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포크부(430)의 경사면(432)이 포크구멍(110, 210)에 접촉상태로 끼워지도록 상기 포크부(430)의 좌우너비가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 중 하나의 포크구멍(210)은 다른 포크구멍(210)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너비(L1)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430)를 포크구멍(210)에 체결시, 상기 포크부(430)에 형성된 경사면(432)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짧게 형성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 내측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면서 어퍼레일(200)과 포크부(43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 중에서 좌측 단부 포크구멍(210)의 좌우너비(L1)를 다른 포크구멍(210)들의 좌우너비보다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포크부(430)가 상기 포크구멍(210)에 끼워지게 되면, 이 과정에서 상기 포크부(430)에는 경사면(4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면(432)이 좌우너비가 작게 형성된 포크구멍(210)의 양 내측면에 마찰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포크부(430)의 체결시, 포크부(430)와 포크구멍(210)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시트의 흔들림이 없도록 시트레일을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 중 하나의 포크구멍(210)은 다른 포크구멍(210)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너비(L2)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430)를 포크구멍(210)에 체결시, 상기 포크부(430)에 형성된 경사면(432)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길게 형성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에 간섭되지 않고 그 후단의 로워레일(1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의 내측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면서 로워레일(100)의 포크구멍(110)과 포크부(43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 중에서 우측 단부 포크구멍(210)의 좌우너비(L2)를 다른 포크구멍(210)들의 좌우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포크부(430)가 상기 포크구멍(110, 210)에 끼워지게 되면, 이 과정에서 어퍼레일(200)에 좌우너비가 길게 형성된 포크구멍(210)에는 포크부(430)가 간섭되지 않는 반면, 그 후방 로워레일(1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의 양 내측면에 마찰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포크부(430)의 체결시, 포크부(430)와 로워레일(100)의 포크구멍(110) 사이의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시트의 흔들림이 없도록 시트레일을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로크(400)의 조작부(420)를 하부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로크(400)는 어퍼레일(200) 상단부에 설치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로크(400) 하부의 포크부(430)가 포크구멍(110, 210)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된다.
이처럼, 상기 포크부(430)가 포크구멍(110, 210)으로부터 이탈되면, 로워레일(100)과 어퍼레일(200)이 구속 해제되어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상기 어퍼레일(200)이 로워레일(1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바, 시트를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 및 거리만큼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아랫방향으로 눌러주고 있던 로크(400)의 조작부(420)를 놓게 되면, 도 5a와 같이 상기 로크(400)는 스프링(33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포크구멍(110, 210)으로부터 빠져서 이탈하고 있던 포크부(430)는 그 선단이 새로운 위치의 포크구멍(110, 210)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워레일(100)에 대한 어퍼레일(200)의 이동을 구속시켜 시트의 전후방 이동이 제한되는 록킹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 중에서 일부의 포크구멍(210)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짧거나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크부(430)가 포크구멍(110, 21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포크구멍(110, 210)과 포크부(430)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로크(400)와 어퍼레일(200) 및 로크(400)와 로워레일(100) 간에 견고한 록킹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로크(400)의 회전축(320)이 어퍼레일(200)의 상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록킹장치가 설치된 시트레일의 좌우 폭방향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시트레일의 측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로워레일 110 : 포크구멍
200 : 어퍼레일 210 : 포크구멍
300 : 고정브래킷 310 : 힌지부
312 : 축홀 314 : 스프링지지부
320 : 회전축 330 : 스프링
400 : 로크 410 : 연결부
420 : 조작부 430 : 포크부
432 : 경사면

Claims (8)

  1. 로워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레일(20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310);
    상기 힌지부(310)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320);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 포크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로워레일(100) 및 어퍼레일(200)의 하부에 상기 포크부(430)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포크구멍(110, 210)에 상기 포크부(430)가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면서 록킹 가능하도록 구성된 로크(400)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레일(200)에 형성된 포크구멍(210) 중 두 개의 포크구멍(210)은 다른 포크구멍(210)과는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로워레일(1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430) 중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포크부(430)는 상기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좌우폭이 점차 짧아지는 경사면(432)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430)의 경사면(432)이 상기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 또는 로워레일(100)의 포크구멍(110)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두 개의 포크구멍 중 하나의 포크구멍(210)은 다른 포크구멍(210)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430)를 포크구멍(110, 210)에 체결시 상기 포크부(430)에 형성된 경사면(432)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짧게 형성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 내측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면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과 포크부(43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두 개의 포크구멍 중 하나의 포크구멍(210)은 다른 포크구멍(210)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430)를 포크구멍(110, 210)에 체결시 상기 포크부(430)에 형성된 경사면(432)이 상대적으로 좌우너비가 길게 형성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에 간섭되지 않고 그 후단의 로워레일(100)에 형성된 포크구멍(110)의 내측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면서 로워레일(100)의 포크구멍(110)과 포크부(43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0)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힌지부(3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로크(400)에 지지됨으로써, 로크(400)의 회전에 의해 텐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포크부(430)가 상기 포크구멍(110, 210)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프링(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레일(200)의 상단부에 고정브래킷(3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300)의 일측에 상기 힌지부(310)가 상부를 향하여 벤딩 형성되되, 상기 힌지부(310)에 회전축(320)이 결합되도록 축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310)의 일측에 스프링(330)의 일단이 걸려져 지지되도록 스프링지지부(3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400)의 일측에는 로크(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20)의 일면에 스프링(330)의 타단이 걸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어퍼레일(200)의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포크부(430)는 상기 포크구멍(210)에 끼워지는 포크부(430)의 단면적 좌우너비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20079191A 2012-07-20 2012-07-20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KR10140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91A KR101403859B1 (ko) 2012-07-20 2012-07-20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91A KR101403859B1 (ko) 2012-07-20 2012-07-20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403A KR20140012403A (ko) 2014-02-03
KR101403859B1 true KR101403859B1 (ko) 2014-06-09

Family

ID=5026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91A KR101403859B1 (ko) 2012-07-20 2012-07-20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8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175A (ja) * 2005-03-30 2006-10-12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7145144A (ja) * 2005-11-25 2007-06-14 Shiroki Corp シートトラ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175A (ja) * 2005-03-30 2006-10-12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7145144A (ja) * 2005-11-25 2007-06-14 Shiroki Corp シートトラ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403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611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RU2693562C2 (ru) Система инерционной блокировки для механизма спинки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механизм спинки сиденья,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истему, и инерционный стопор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тпускания спинки сиденья
US9415701B2 (en) Positively engaged latch for seat adjuster assembly
JP200808769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9126507B2 (en) Longitudinal seat adjuster for a vehicle seat having easy entry functionality and folding functionality
JP2014520718A (ja) 車両シート、特に自動車シート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151864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CN109890656B (zh) 头枕移动装置
KR101403859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KR101716985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JP537407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001503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5862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킹구조
KR10173682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585264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JP5587709B2 (ja) 車両用スライドシートのループハンドル取付構造
JP2002283888A (ja)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2006168688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93849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JP2005007982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641568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3632034B2 (ja)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KR100575399B1 (ko) 차량의 시트트랙용 록킹기구
JP6641567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