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477B1 -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477B1
KR101403477B1 KR1020130122262A KR20130122262A KR101403477B1 KR 101403477 B1 KR101403477 B1 KR 101403477B1 KR 1020130122262 A KR1020130122262 A KR 1020130122262A KR 20130122262 A KR20130122262 A KR 20130122262A KR 101403477 B1 KR101403477 B1 KR 10140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fid tag
channel
inform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섭
유성종
임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to KR102013012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4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26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fixed angles and a base of variable length, at, near, or formed by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an RFID tag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nagement system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an RFID tag capable of performing systematic management by transmitting coordinates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pipe measured after detecting the position using RFID.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in a water and sewage system using an RFID tag,

본 발명은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ID를 이용하여 관로의 위치를 탐지하고, 해당위치의 좌표를 측정한 후, 이를 서버로 송신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water supply and drainage using an RFID (RFID) ta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ition of a pipe using RF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in water and wastewater using an RFID tag capable of implementing systematic management.

도시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사회의 간접자본을 이루는 도로와 상하수도, 가스 및 전기, 통신 시설의 정비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시설은 생활과 산업에 필수적인 것으로, 도시화, 산업화가 이루어지는 초기 단계에서는 지역사회의 자연적인 발전과 함께 비계획적으로 형성되는 경향이 있었다.In the process of rapid urbaniz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roads, water and sewerage, gas and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which make up the indirect capital of society, are rapidly being improved. These facilities are indispensable for life and industry, and at the initial stage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re was a tendency to be formed unintentionally with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그러나, 이들 상하수도, 가스, 전기, 통신 등의 시설은 많은 공간에 걸쳐서 이루어지므로 근래에는 이들 시설물에 대한 계획적인 설치가 요청되고 있으며, 특히,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필요로 하는 도시지역에서는 지하 매설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시설물의 보호라는 목적하에서도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However, since these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sewerage, gas,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are made over a lot of spaces, a planned installation of these facilities has been request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urban areas requiring efficient use of space, It is becoming common to install. Also, under the purpose of protection of faciliti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are buried underground.

하지만, 기존의 많은 시설 부분이 비계획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들 시설을 말단부까지 모두 계획적으로 설치할 수는 없다. However, many of the existing facilities are unplanned, and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ll of these facilities at the terminal end.

그리고, 설치되는 지역의 부분적인 특수 사정에 따라 시설의 설치 경로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In many cases, the installation route of the facil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artial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installed area.

또한, 지하는 가시적인 공간이 아니므로 지하에 매설되는 다종 다양한 매설물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많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nderground is not a visible space, it is often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and manage various types of buried underground buried objects.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운 시설물 시공이나, 건축물 시공시 기존의 시설물들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공사가 진행되면서 시설물을 파괴하여 생활의 불편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인명적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when constructing a new facility or constructing a building, existing facilities can not be grasped correctly, and as the construction progresses, the facilities may be destroyed, resulting in inconvenience and economic loss of life, and loss of life.

따라서, 관련 정부 기관이나 시설물 관리 기관에서는 기존의 상황에서 새롭게 시설물 설치 상황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Therefore, 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facility management organizations are trying to grasp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installation situation of facilities in the existing situation.

또한, 최근 들어 관심의 초첨은 사회기반시설의 전산화를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현실화하기 위한 노력중의 일환인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 시스템)에 맞춰지고 있다. Recentl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part of efforts to realize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rough the computerization of social infrastructures.

이러한 GIS는 주로 지상의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에 대해 진행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지상의 정보뿐만 아니라 지하 매설물의 정보도 연구되고 있다.This GIS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study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on the ground, but in recent years, not only information on the ground but also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has been studied.

이에 따라,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방법이나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grasping underground objects are required.

또한, 전체적인 시설물 관리의 관점이 아니라도 당면한 새로운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기존의 시설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불편이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특정 지역의 지하 매설물을 정확히 파악해야 할 경우가 많이 있다.Also, there is often a need to pinpoint the underground burial in a particular area to prevent inconveniences or risks without damaging the existing facilities before starting a new construction, rather than a whole facility management perspective.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관로등의 위치를 측량하고자 할 때에는 탐지장치등을 이용하여 관로의 위치를 찾은 다음, 해당 지점에서 별도의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좌표를 측정한다. 좌표를 측정한 후, 측정된 좌표를 설계도와 비교하여 해당 위치에 매설된 관로 정보를 검색하고, 실측된 관로의 위치정보등을 기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추후 공사시에 활용하게 된다.In general, when measuring the position of a pipeline buried underground, the position of the pipeline is searched using a detection device or the like, and the coordinates are measured using a separate measuring device at the corresponding point. After measuring the coordinates, the measured coordinates are compared with the design chart, the pipeline information buried in the location is search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pipeline is writte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urvey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관로의 위치를 탐지하는 장치와 좌표를 측정하는 장치가 별개이므로 두가지 장비를 모두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작업단계 또한 탐지와 측정 및 설계도면과의 비교 등의 여러 단계로 나뉘어져 이루어지므로 작업속도 또한 더딘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ipeline and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ordinate are separated, there is inconvenience to carry both equipment. Also, since the work step is divided into several steps such as the detection and comparison with the measurement and design drawing, There is a slow problem.

뿐만 아니라, 관로의 위치를 탐지하는 장치와 좌표를 측정하는 장치가 별개이므로 좌표를 측정하는 장치를 탐지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워 탐지지점의 좌표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ipeline and the device for measuring the coordinates are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osition the device for measuring the coordinates at the detected posi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coordinates of the detection point.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877073호(2008.12.26.) "관리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측량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mproving th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7073 (Dec. 26, 2008) discloses a pipe measurement method using a management measurement device and a pipeline surveying system using the same.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등록특허는 폴대가 길이 조절은 물론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Nevertheless, the registered pat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pole is not a foldable structure as well as a length-adjustable structure.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877073호(2008.12.26.) "관리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측량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7073 (Dec. 26, 2008) "Administrative Measuring Apparatus, Method for Measuring Pipe Using It, and Pipe Surveying System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편하고 정확한 매설 관로의 좌표 측정이 가능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using an RFID tag capable of measuring coordinates of a buried pipe more easily and accurately.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폴대를 접을 수 있고, 정확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킨 관리시스템 제공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folding a pole and adjusting an accurate length,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의 표면에 부착되어 관과 함께 매설되는 RFID 태그; 상기 매설된 RFID 태그의 위치를 탐지하고, 탐지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하며, 측정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관로 측량장치; 상기 관로 측량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및 상시관측소에서 측정한 위치신호와 상기 관로 측량장치가 측정한 위치신호로 보정치를 계산하여 상기 관로 측량장치로 송신하는 위치측정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관로 측량장치는 상기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한 보정치를 바탕으로 현재위치의 보정된 좌표를 산출하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 측정장치는 RFID 태그를 탐지하는 RFID리더, 위성신호를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위성위치신호수신기, 토탈스테이션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토탈스테이션과의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하는 광파수신기, RFID리더 및 위성위치신호수신기와 광파수신기의 탐지정보를 표시하거나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콘솔부가 장착되는 폴대를 포함하되; 상기 폴대는 상부폴대와 하부폴대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부 및 하부폴대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각각 상부돌부와 하부돌부가 돌출되며, 상기 상부돌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부에는 상기 상부돌부가 끼워졌을 때 회동되지 못하도록 걸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하부돌부에 걸림 고정되는 폴대회전축을 구비하되, 상기 폴대회전축은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부폴대를 하부폴대에 대하여 접을 수 있고, 상부폴대의 길이 일부는 다시 분리되어 상부폴대 내부로 출몰 가능한 길이조절폴대를 더 구비하며, 길이조절폴대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자가 형성되고, 상부폴대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눈금자를 읽을 수 있도록 표시창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폴대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조절폴대의 인출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식 고정레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RFID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RFID tag attached to a surface of a tube and embedded in the tube; A channel measur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mbedded RFID tag, measuring coordinates of the detected position,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a server; A database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surveying device; And a position measurement server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using a position signal measured at a regular observation station and a position signal measured by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correction value to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wherein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comprises: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water supply and sewerage facilities using an RFID tag that calculates corrected coordinates of a current location based on a correction value, the system comprising: The channel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n RFID reader for detecting an RFID tag, a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for measuring a position through a satellite signal, a light wave receiver for measuring a distance and an angle from the total station by measu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tal station, And a pole equipped with a console capable of displaying detection information or inputting coordinates of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and the light wave receiver;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e from opposit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oles, respectively. The upper protrusion is formed with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 pair of fixing guides which are engaged and fixed so as not to be pivoted when the upper projection is fitted are protruded; The pole rotating shaft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hole so that the upper pole can be folded against the lower pole and part of the length of the upper pole is separated again And a length adjustable pole that is capable of protruding into and retracting into the upper pole, wherein a scale is formed in the length adjustable pole, and an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le is provided with a display window for reading the ruler, And a rotary fixing lever for fixing the pull-out position of the length-adjusting pol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RFID tag is also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관로의 위치를 자기장으로서 탐지하는 자기장 탐지부와 탐지된 지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가 하나의 관로 측량장치에 모두 구비되므로 관로 측량장치 하나만 휴대하게 되어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magnetic field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hannel as a magnetic field and the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point are both provided in on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only on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is carried.

둘째, 상기 RFID리더와 위치측정부가 하나의 관로 측량장치에 구비되므로 RFID리더로서 측정한 관로의 좌표를 바로 알 수 있어 정확한 위치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RFID reader and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re provided in on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coordinates of the channel measured by the RFID reader can be known immediately, and accurate position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셋째, 상기 RFID리더와 위치측정부가 하나의 관로 측량장치에 구비되므로, 한번의 작업으로 탐지와 측량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우수하며, 작업인력이 감축되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RFID reader and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re provided in on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perform detection and measurement with a single operation, and thus the operation speed is excellent and the work forc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costs.

넷째, 상시관측소 및 위성위치신호를 이용한 VRS 방식의 위치측정이 가능하여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며 신속한 위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VRS system using the constant observation station and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ore convenient, accurate and quick position measurement.

다섯째, VRS 방식을 이외에도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광파수신기도 구비될 수 있어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위치측정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fth, in addition to the VRS system, a light wave receiver can be provided to enable measurement using a total station, so that position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under any circumstance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여섯째, RFID리더에서 RFID태그를 감지하면 사용자에게 알람되므로 매설된 관로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when the RFID tag is detected by the RFID reader, the user is alerted, and the position of the embedded pipe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일곱째, 측정된 관로의 정보를 모바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송수신하므로, 측정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데이터의 손망실 위험이 적으며, 보다 즉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따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Seventh, since the measured channe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asu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real time, so that the risk of loss of data is less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it immediately.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move data separately,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s improved.

여덟째, 콘솔부에 측정 또는 수신된 관로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 결합부가 구비되므로, 이동식 저장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하여 데이터의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Eighth, since the memory unit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pipeline measured or received in the console un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use the movable memory, thereby facilitating data movement.

아홉째, 시공 후 매립된 RFID태그에 관로 측량장치에서 측정한 정보 및 작업내역 등을 RFID리더로서 저장할 수 있어 추후에 해당지역 관로의 보수나 굴착 등의 공사가 있을 때, 저렴하고 간편한 RFID 스캐너만으로도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관로정보 및 작업내역 등을 상세히 알 수 있어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Ninthly, it is possible to store the information and work details measured by the channel measurement device on the RFID tag embedded after the construction as an RFID reader, so that when there is construction work such as maintenance or excavation of the corresponding local channel, The pipeline information and the work details stored in the RFID tag can be known in detail,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관로 측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콘솔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RFID태그를 탐지하는 관로 측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도 5의 검색단계의 일 형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6의 좌표측정단계의 일 형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도 2의 콘솔부에 표출되는 관로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lin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ole unit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nnel measuring apparatus for detecting an RFID ta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nnel measurement system using a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channel measurement method using a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trieval step of FIG. 5; FIG.
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ordinate measuring step of FIG. 6;
FIG. 8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channe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nsole unit of FIG. 2;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ur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77073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77073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mentioned prior-art patent No. 0877073 as it is. Therefore, all of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are those described in Patent No. 0877073. [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77073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를 구조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some of the arrangement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0877073 is the most essential constitutional feature.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77073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devic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ll b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0877073, and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t the rear en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관로 측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show a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형태의 관로 측량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10), RFID리더(120), 위치측정부, 연결부(158) 및 콘솔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ole 110, an RFID reader 120, a position measurement unit, a connection unit 158, and a console unit 150, as shown in FIG.

상기 RFID리더(120)는 관(10: 도 3참조)의 표면에 부착되어 관(10)과 함께 매설된 RFID태그(50)의 위치를 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RFID리더(120)가 RFID태그(50)의 상부에 위치될 때 상기 RFID태그(50)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e RFID reader 120 is a componen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ipe 10 (see FIG. 3)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RFID tag 50 buried together with the pipe 10. When the RFID reader 120 is positioned above the RFID tag 50, the RFID tag 50 can be recognized.

상기와 같은 RFID리더(120)는 매설된 RFID태그(50)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폴대(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FID reader 1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ole 110 to better recognize the embedded RFID tag 50.

상기 RFID리더(120)는 상기 RFID태그(50)의 위치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상기 RFID태그(50) 내의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FID리더(120)는 상기 RFID 태그(5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RFID reader 12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RFID tag 50 and can read the information in the RFID tag 50. [ Also, the RFID reader 120 may be configured to input information to the RFID tag 50.

그리고, 상기 위치측정부는 관로 측량장치(100)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폴대(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may be provided on the pole 110. [

본 형태의 관로 측량장치(100)에서 상기 위치측정부로는 위성신호를 통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성위치신호수신기(130)와 토탈스테이션(180: 도 4 참조)을 이용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광파수신기(140)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measuring unit may measure a position using a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and a total station 180 (see FIG. 4) capable of measuring a position through a satellite signal And a light wave receiver 140 may be provided.

여기서, 적어도 어느 하나란 상기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와 광파수신기(140)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거나 또는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라는 의미이다.Here, at least one of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may be provided or both of them may be provided.

상기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 지구궤도상에 여러 개의 인공위성을 띄워 상기 인공위성에서 발생되는 신호로서 지표의 특정부분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해내는 위성항법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위성항법시스템은 크게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 프로젝트 및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글로나스(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이 있다.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In recent years,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has been used in which a plurality of satellites are floated on the earth orbit to accurately track the position of a specific portion of an indicator a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atellite. The satellite navigation system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a Galileo project operated in Europe, and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operating in Russia.

상기와 같이 지구궤도상에 올려진 위성들은 현재 위치와 시간이 담긴 전파신호를 지상으로 발신한다. 그리고 지상 수신기는 이런 신호를 받아 전파가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계산하여 자신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atellites placed on the earth orbit send a radio wave signal contain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ime to the ground. Then, the terrestrial receiver receives this signal and calculates the time it takes for the radio wave to arrive to determine its current position.

일반적으로, 경도와 위도, 높이를 동시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3개의 위성신호가 필요하다. 여기에 위성간 시간오차를 재거해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신호용으로 또 하나의 위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4개의 위성이 동원될 수 있다.Generally, three satellite signals are needed to grasp the longitude, latitude and height at the same time. Here, four satellites can be mobilized because of the need for another satellite for signaling to increase the accuracy of location measurements by retrac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satellites.

한편, 빛의 속도를 가지는 전파의 이동시간을 측정해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위성내부에는 초고정밀도를 가진 시계가 탑재되나 이러한 위성신호가 지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전리층과 대기권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전파속도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측정지점의 위치측정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본 형태의 설명에서는 VRS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하며, VRS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ime of the movement of the radio wave having the speed of light is measured and the position is grasped, a satellite having a very high precision is mounted in the satellite. However, in order for the satellite signal to reach the ground, it must pass through the ionosphere and the atmosphere, A slight difference may occur, which may cause an error in the measurement of the posi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In order to reduce such an error, various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use of the VRS system is taken as an example, and the VR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광파수신기(140)는 토탈스테이션(180)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토탈스테이션(180)과의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다.The light wave receiver 140 i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and angle with the total station 180 by measu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tal station 180.

상기 토탈스테이션(180)은 이미 정확한 좌표를 알고 있는 기준점에 설치되며, 상기 광파수신기(140)가 상기 토탈스테이션(180)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파수신기(140)로부터의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광파수신기(140)가 위치된 곳의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The total station 180 is installed at a reference point that already knows the exact coordinates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total station 180 so that the distance and angle from the total wave receiver 140 The coordinates of the place where the light wave receiver 140 is located can be measured.

본 형태의 설명에서, 상기 광파수신기(140)는 자동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토탈스테이션(180)과의 거리 및 각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lightwave receiver 14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distance and angle with the total station 180 by being automatically rotated.

상기와 같은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 및 광파수신기(140)는 사용조건에 따라 그 사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는 하늘이 안보이거나 기상이 나쁜 지역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데, 그럴 때엔 상기 토탈스테이션(180) 및 광파수신기(140)를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and the optical wave receiver 140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 conditions. That is, the use of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is limited in areas where the sky is invisible or in a bad weather. In this case, the total station 18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can be used to measure the position .

물론, 상기 토탈스테이션(180) 및 광파수신기(140)를 이용한 위치측정도 상기 토탈스테이션(180)과 광파수신기(140)의 사이에 다른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측정이 불가하며, 이런 경우에는 상기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를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Of course, the position measurement using the total station 18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can not be performed when there is another object between the total station 18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In this case,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may be used to measure the position.

따라서, 주변환경에 따라 상기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 및 광파수신기(140)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위치측정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도 위치측정이 가능하다.Therefore, since the position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using any one of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osition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even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상기 콘솔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부(152)와 입력부(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sole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2 and an input unit 154 as shown in FIG.

상기 디스플레이부(152)는 측정 또는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입력부(154)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키패드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2)가 사용자의 입력을 받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52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measured or received information to the user. The input unit 154 may include a keypad or the like to receive user information. Or a touch screen such that the display unit 152 receives a user's input.

상기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한 좌표(152a) 및 상기 RFID 리더(120)에서 탐지된 RFID태그의 정보(152b)등이 표시될 수 있다.Coordinates 152a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information 152b of the RFID tag detected by the RFID reader 12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2.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2)는 상기 RFID 리더(120)에서 RFID 태그를 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람은 깜빡거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게 비프음등의 소리로서 알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152 may be configured to alarm the user when the RFID tag 120 is detected by the RFID reader 120. The alarm may be a flicker, or may be configured to alert the user to a beep or the like.

또한, 상기 콘솔부(15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에 구비되는 서버와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210)가 연결되는 연결부(1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210)는 PDA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버와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58)는 상기 송수신기(210)와 유선(230)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일종의 포트(port)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le unit 15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158 to which a transceiver 2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xternal server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The transceiver 210 may be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a server using a PDA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connection unit 158 may be a 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210 through a wire 230 or wirelessly.

또한, 상기 송수신기(210)는 상기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한 좌표를 송신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위치에 대한 보정치를 수신받을 수 있고, 또한, 상기 RFID리더(120) 또는 위치측정부에서 측정한 관로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거나 서버로부터 관로에 대한 설계도면 및 정보를 수신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ceiv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to transmit coordinates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receive a correction value for the position from the server, To transmit the measured pipe information to the server or to receive design drawings an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bout the pipe.

또한, 상기 콘솔부(150)에는 메모리부(2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메모리 결합부(1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20)는 USB 메모리 나 SD카드 또는 외장하드디스크 등 착탈이 자유롭고 전원이 없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종류의 메모리 장치가 바람직하다.The console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oupling unit 156 to which the memory unit 220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 memory unit 220 is preferably a memory device that is removable, such as a USB memory, an SD card, or an external hard disk, and does not lose data without power.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20)에는 해당지역 관로의 설계도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위치측정부 및 RFID리더(120)로서 측정되거나 상기 송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220 may store a design chart of the corresponding local channel, and may also store information measured as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and the RFID reader 120 or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210 .

이하에서는 본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form of the channel surveying method using the pipeline survey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본 형태에 따른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지단계(S100)와 좌표측정단계(S200), 일련번호부여단계(S300) 및 검색단계(S400)와 표출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channel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detection step S100, a coordinate measurement step S200, a serial number assignment step S300, and a search step S400. And an exposing step S500.

상기 탐지단계(S100)는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의 RFID 리더(120)로서 관(10)에 부착되어 관과 함께 매설된 RFID태그(50)의 위치를 탐지하는 단계이다.The detection step S100 is a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FID tag 50 attached to the pipe 10 as the RFID reader 120 of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buried together with the pipe.

설계도 상에 설계시의 관 매설위치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설계도 상의 관 매설위치 주변을 탐지하면 상기 RFID태그(50)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으며, 상기 RFID태그(50)가 탐지되는 위치를 찾으면서 이동한다면 상기 관로의 경로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RFID 태그(50)는 상기 관(10)의 표면에 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부착되도록 구비된다.The position of the RFID tag 50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vicinity of the pipe buried position on the design chart and the position of the RFID tag 50 can be detected The path and position of the pipe can be grasped. At this time, the RFID tag 5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ube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그리고, 상기 일련번호부여단계(S300)는 상기 RFID태그(50)가 측정되는 관로 경로상의 소정간격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관로의 경로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R0001, R0002 등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일련번호는 상기 RFID태그(50)가 탐지되는 위치마다 부여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소정간격마다 부여할 수도 있다.The serial number assigning step (S300) is a step of assigning a serial number to the RFID tag 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 channel path through which the RFID tag 50 is measured. That is, a step of assigning serial numbers to R0001, R0002, etc.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path of the pipe. Here, the serial number may be provided for each position where the RFID tag 50 is detected, or may be assig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the user desires.

상기 좌표측정단계(S200)는 상기 일련번호가 부여된 지점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본 좌표측정단계(S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관로 측량장치(100)에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와 광파수신기(140)가 모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ordinate measuring step (S200) is a step of measu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oint to which the serial number is assig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ordinate measurement step S200, it is assumed that both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are provided in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상기 좌표측정단계(S200)는 판단단계(S210), 측정단계(S222,S224), 전송단계(S230), 수신단계(S240), 산출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ordinate measurement step S200 may include a determination step S210, measurement steps S222 and S224, a transmission step S230, a reception step S240, and a calculation step S250.

상기 판단단계(S210)는 VRS(Virtual Reference Station)를 이용한 위치좌표의 측정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단단계(S21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VRS를 이용한 위치좌표의 측정이 가능하면 VRS 및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를 이용하여 위치좌표를 측정하며(S222), VRS를 이용한 위치좌표의 측정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토탈스테이션(180)과 광파수신기(140)를 이용하여 위치좌표를 측정하는 측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24).The determining step S21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ment of the position coordinates using the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is possible. If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coordinates using the VR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ation step S210, the position coordinates are measured using the VRS and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S222), and the measurement of the position coordinates using the VRS 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positional coordinates using the total station 180 and the light wave receiver 140 may be performed (S224).

여기서, 상기 VRS에 대하여 도 4 및 도 7을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VR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7. FIG.

전술하였다시피, 인공위성의 위치신호가 지상의 수신기에 도달 하기까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VRS는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시관측소(510)를 이용한다.As mentioned above, errors may occur due to various causes until the position signal of the satellite reaches the receiver on the ground. The VRS uses the constant observation station 510 to reduce the error.

상기 상시관측소(510)는 전국에 걸쳐 여러 개소 분포되어 있으며, 정밀하게 측정된 기준위치에 설치되어 24시간 위성으로부터 위성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결과를 재2서버(500)로 송신한다. 상기 재2서버(500)는 상기 수신된 결과와 상기 상시관측소(510)의 기준위치를 비교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위치측정 서버이다.The regular observation station 510 is distributed at several loc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and is installed at a precisely measured reference position, receives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from the 24-hour satellite, and transmits the received result to the second server 500. The server 2 500 is a position measurement server that compares the received result with a reference position of the constant observation station 510 to calculate a correction value.

또한, 관로 측량장치(100)의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를 통하여 측정한 좌표를 상기 콘솔부(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송수신기(210)를 통해 상기 재2서버(500)로 측정된 좌표를 전송한다(S230).The coordinates measured through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of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may be measured by the server 2 through the transceiver 210 connected to the console unit 15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Coordinates are transmitted (S230).

그러면, 상기 재2서버(500)는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좌표 및 기 산출된 보정치를 바탕으로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가 위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보정치를 계산한 후 이를 다시 상기 관로 측량장치로 송신한다.Then, based on the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the calculated correction value, the re-server 500 calculates a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is located, And transmits it to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는 상기 송수신기(210)를 통해 상기 재2서버(500)로부터 보정치를 수신 받은 후에(S240), 기 측정된 좌표와 송신받은 보정치로서 보다 정밀한 현재위치좌표를 산출하게 된다(S250).After receiving the correction value from the second server 500 through the transceiver 210 (S240), th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100 calculates more precis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as the measured coordinates and the received correction value (S250).

그리고, 본 형태의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정방법에 따르면,상기 검색단계(S400)는 상기한 탐지단계(S100) 및 좌표측정단계(S200)에서 측정한 관로의 정보와 설게도상에 해당하는 관로의 정보를 비교하여 검색하는 단계이다.According to the channel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retrieving step (S400) includes a step of detecting the channel information measured in the detection step (S100) and the coordinate measuring step (S200) And then searching for the information.

상기 검색단계(S400)에서, 상기 설계도상에 해당하는 관로의 정보는 상기 콘솔부(150)의 메모리 결합부(156)에 결합된 메모리부(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관로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측정된 정보와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동시에 표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판단하여 선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arching step S400, the information on the duct corresponding to the design drawing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20 coupled to the memory combining unit 156 of the console unit 150,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may be searched or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2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and select the information.

또한, 상기 검색단계(S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측정한 정보를 제1서버(300)로 전송하는 송신단계(S410)와, 상기 제1서버(300)에서 수신된 정보와 저장된 설계도상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4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측정된 정보를 제1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서버(300)에서 측정된 정보와 설계도상의 정보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서버(300)에서 검색된 해당 관로의 정보를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의 송수신기(210)로 전송하여,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S24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6, the retrieving step S400 includes a transmitting step S410 of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er 300, a transmitting step S410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erver 300, And a comparison step (S420)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on the stored design plan. That is, the measu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er 300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on the first server 300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n the design diagram.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step (S240)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searched by the first server 300 to the transceiver 210 of th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100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by th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수신단계(S240)가 더 포함된다면,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비교하지 않고도 제1서버(300)에서 검색 및 비교한 자료를 받아 볼 수 있다.If the receiving step S240 is further included as described above, the channel surveying apparatus 100 can receive the data searched and compared by the first server 300 without performing the self comparison.

또한, 상기 검색단계(S400)의 후에는 검색되거나 측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출하는 표출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출단계(S500)에서 표출되는 정보는 도 2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earching step S400, the displaying step S500 of displaying the searched or measur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52 may be performed.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displaying step S500 may be as shown in FIG. 2 or FIG.

그리고, 본 형태의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서 측정한 위치좌표 또는 상기 검색단계(S400)에서 검색된 관로정보가 상기 RFID 태그(50)에 입력되는 입력단계(S6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nnel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coordinates measured by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or the channel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search step (S400) are input to the RFID tag 50 Step S600 may be further performed.

상기와 같이 RFID 태그(50)에 관로정보가 입력된다면 추후 굴착 등의 필요에 의해 재측량을 실시할 시에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 또는 별도의 RFID 스캐너(400) 등으로 상기 RFID 태그(50)에 입력된 정보를 읽을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If pipelin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RFID tag 50 as described above, when re-measure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excavation or the like, the RFID tag 50 (50) is connected to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or a separate RFID scanner 400 ) Can be read, thereby enabling a more efficient operation.

이하에서는, 상기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 측량 시스템의 일 형태를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hanne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FIG.

본 형태의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 측량 시스템은, RFID태그(50)와 관로 측량장치(100) 및 데이터 베이스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anne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the RFID tag 50,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the database server 300.

상기 RFID태그(50)는 관(10)의 표면에 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부착되어 관과 함께 매설되는 것으로서, RFID리더(120)에 반응하여 자신의 위치를 RFID리더(120)에 알릴 수 있으며, 상기 RFID리더(120)에 의해 내부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RFID리더(12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FID tag 5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ipe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nd buried together with the pipe. The RFID tag 50 informs the RFID reader 120 of its position in response to the RFID reader 120 And may be configured to store information therein or transmit stored information to the RFID reader 120 by the RFID reader 120. [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는 상기 관로에 부착되어 매설된 RFID 태그(50)의 위치를 탐지하고, 탐지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하며, 측정된 좌표정보를 서버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는 RFID태그(50)를 탐지할 수 있는 RFID리더(120)와 현재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is a componen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mbedded RFID tag 50 attached to the channel, measures the coordinates of the detected position, and transmits or receives the measured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To this end,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RFID reader 120 capable of detecting the RFID tag 50 and a position measurement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그리고, 상기 위치측정부는 위치측정을 위한 인공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 또는 토탈스테이션(180)의 신호를 수신하는 광파수신기(140)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for position measurement or a light wave receiver 140 for receiving a signal of the total station 180.

상기 위치측정부로서 광파수신기(140)가 구비되는 경우, 본 형태의 관로 측량장치를 이용한 관로측량시스템은 위치측정을 위한 토탈스테이션(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light wave receiver 140 is provided as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the channe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otal station 180 for measuring the position.

또한,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는 서버와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기(210)가 탑재되거나, 또는 별도의 송수신기(21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수신기(210)는 휴대폰이나 PDA 및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이동통신기기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is equipped with a transceiver 21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server, or a separate transceiver 210 can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The transceiver 21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a mobile phone, a PDA,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상기 서버는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일 수 있다.The server may be a database server 300 that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surveying apparatus 100 and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atabase.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서 송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좌표 지점에 매설된 관로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관로 정보를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에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Also, the database server 300 searches the database for the information of the pipelines embedded at the coordinate points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transmits the retrieved pipeline information to the channel survey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로 송신되는 관로정보는 관로의 매설깊이, 길이, 관종, 관경, 시공날짜, 발주처, 시공사, 최근보수날짜 및 보수내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Here, the pipeli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base server 300 to the pipeline surveying apparatus 1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pth, a length, a pipe type, a pipe diameter, a construction date, an orderer, a construction date, It can be more than one.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관로 측량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base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2 of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s shown in FIGS.

또한, 위치측정 서버(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측정 서버(500)는 상시관측소(510)에서 측정한 위치신호와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가 측정한 위치신호로서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가 위치된 좌표의 보정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보정치를 관로 측량장치(100)로 송신하는 서버이다.In addition, a location measurement server 50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position measurement server 500 calculates a correction value of a coordinate at which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is located as a position signal measured by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a position signal measured at the regular observation station 510, And transmits the correction value to the channel measuring apparatus 100. [

그리고,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는 위성위치신호 수신기(130)로부터 측정한 위성신호를 상기 위치측정 서버(500)에 송신하고, 상기 위치측정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보정치로서 현재의 정밀좌표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transmits the satellite signal measured by the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30 to the position measurement server 500 and receives the current precision coordinates as the correction value received from the position measurement server 500 .

또한, 상기 관과 함께 매설된 RFID태그(50)의 정보를 읽어내는 RFID 스캐너(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RFID 스캐너(400)는 전술한 RFID리더(120)와는 다르게 상기 관로 측량장치(100)와는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위치측정부 또는 송수신기(210)등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저렴하면서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RFID 스캐너(400)는 측량이 이루어져 상기 RFID태그(50)에 관로정보가 저장된 후, 추후 굴착이나 관로 보수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때 사용되며, 상기 RFID스캐너(400)만으로도 관로의 위치 및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스캐너(400)에 RFID 태그(5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면 보수공사등의 작업 후에 작업내역을 상기 RFID태그(50)에 입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n RFID scanner 4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read information of the RFID tag 50 buried together with the pipe. Unlike the RFID reader 120, the RFID scanner 400 may be separate from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100, and thus may not include a position measuring unit or a transceiver 210 or the like. Therefore, it is cheaper and can be made lighter. The RFID scanner 400 is used when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so that pip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FID tag 50 and then work such as excavation or pipeline maintenance is perform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easily. If a function of inputting information to the RFID tag 50 is added to the RFID scanner 400, the operation details can be inputted to the RFID tag 50 after the work such as repair work.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10)를 3단 분리하여, 하부폴대(110a), 상부폴대(110b) 및 상기 상부폴대(110b)로 인출입되는 길이조절폴대(620)로 구성하여 상기 폴대(110)를 접을 수 있고, 또한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다.9 (a) and 9 (b), the pole piece 110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lower pole piece 110a, the upper pole piece 110b, And a length-adjustable pole 620 that is drawn into and out of the upper pole 110b, so that the pole 110 can be folded and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Thus, convenience in use can be further increased.

먼저, 폴대(110)의 접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le 110 will be described.

분할된 하부폴대(110a)와 상부폴대(110b)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하부돌부(110c) 및 상부돌부(110d)가 구비된다.A lower protrusion 110c and an upper protrusion 110d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ar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divided lower pole piece 110a and the upper pole piece 110b, respectively.

이때, 하부돌부(110c)와 상부돌부(110d)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부 겹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rotrusion 110c and the upper protrusion 110d have the same shape and are configured to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즉, 상부폴대(110b)의 직경이 조금 더 크게 하여 상부돌부(110d)가 하부돌부(110c)를 감싸면서 하부돌부(110c)의 외주면이 상부돌부(110d)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upper pole 110b is slightly larger in diameter, so that the upper protrusion 110d covers the lower protrusion 110c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protrusion 110c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rotrusion 110d.

이에 따라, 상기 상부폴대(110b)는 하부폴대(110a)에 대하여 끼웠다 뺄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pole 110b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and removed with respect to the lower pole 110a.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돌부(110d)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600)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600)과 상기 하부돌부(110c)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폴대회전축(610)이 고정된다.In addition, an elongated hole 600 is formed in the upper protrusion 110d, and the pole rotation shaft 610 is fixed through the elongated hole 600 and the lower protrusion 110c in a radial direction.

여기에서, 상기 상부돌부(110d)와 하부돌부(110c)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이 각각 구비된다.Here, the upper protrusion 110d and the lower protrusion 110c are each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상부폴대(110b)는 상기 하부폴대(110a)에 대하여 폴대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upper pole 110b is rotatable about the pole rotating shaft 610 with respect to the lower pole 110a.

그런데, 상기 폴대회전축(610)이 끼워진 장공(600)은 상기 상부돌부(110d)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폴대(110b)를 하부폴대(110a) 쪽으로 밀어 내리면 폴대회전축(610)은 그대로 있고, 상부돌부(110d)가 하부돌부(110c)에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long hole 600 in which the pole rotating shaft 610 is inserted is formed only in the upper protrusion 110d, when the upper pole 110b is pushed down toward the lower pole 110a, the pole rotating shaft 610 remains, The protruding portion 110d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110c to be held in a fixed state.

특히, 상기 하부폴대(110a)의 하부돌부(110c)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돌부(110d)가 끼워져 회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고정가이드(GT)가 돌출된다.In particular, a fixing guide GT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10c of the lower pole piece 110a prevents the upper protrusion 110d from being pivoted.

때문에, 수직하게 펼친 상태로 고정할 때에는 상부돌부(110d)를 하부돌부(110c)의 고정가이드(GT)에 끼워 걸림되게 조절하고, 접을 때에는 상기 상부폴대(110a)를 당겨 상부돌부(110d)와 하부돌부(110c)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다음 접게 되면 쉽게 접을 수 있어 휴대 이동은 물론 유지, 보관시 매우 편리하다.The upper protrusion 110d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guide GT of the lower protrusion 110c and the upper protrusion 110d may be pulled when the upper protrusion 110d is folded. When the lower protrusions 110c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n folded, they can easily be folded, which is very convenient for carrying and storing as well as maintenance and storage.

한편, 상기 상부폴대(110b)의 외주면 일부에는 표시창(630)이 형성된다.Meanwhile, a display window 630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le 110b.

이때, 상기 표시창(630)은 투명창으로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isplay window 630 is configured to be viewed as a transparent window.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폴대(620)의 외주면 일부에는 눈금자(660)가 길이방향으로 표시되는데, 상기 눈금자(660)는 상기 표시창(630)에 의해 길이조절폴대(620)가 상부폴대(110b)에 삽입될 때 그 삽입되는 깊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A ruler 660 is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gth adjusting pole 62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uler 660 is formed in the upper pole 110b by a length adjusting pole 620 by the display window 630. [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depth of insertion when inserted.

때문에, 길이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urately.

또한, 상기 길이조절폴대(6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폴대(110b)의 외주면에는 고정레버(6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fixing lever 64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le 110b to fix the length adjusting pole 620 in a state where the length adjusting pole 620 is inserted.

상기 고정레버(640)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QM레버(Quick release Mount Lever)일 수 있다.The securing lever 640 may be a commonly known QM lever (Quick Release Mount Lever).

그리고, 상기 고정레버(640)는 레버회전축(65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고정레버(640)를 제쳐서 상부폴대(110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길이조절폴대(620)를 고정하는 힘이 약해져 길이조절폴대(620)를 인출입시킬 수 있고, 길이 조절 후에는 다시 상기 고정레버(640)를 조여 상부폴대(110b) 외주면에 밀착시키면 상기 길이조절레버(62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lever 640 may be rotated around the lever rotation axis 650. When the fixing lever 640 is moved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le 110b to fix the length adjusting pole 620, The length adjusting lever 620 can be firmly fixed by tightening the fixing lever 640 and bringing the fixing lever 64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le 110b. .

이는 상기 고정레버(6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레버(640)의 내주면과 상기 길이조절레버(620)의 외주면간 마찰저항이 변하기 때문인데, 이는 공지된 QM레버 혹은 원터치 접이식 레버의 기본적인 특성이기도 하다.This is because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lever 6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gth adjusting lever 6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xing lever 640. This is a basic characteristic of the known QM lever or one-touch folding lever Do.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QM레버 혹은 자전거 접이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원터치 접이식 레버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QM lever or the one-touch folding lever, which is often used for bicycle folding, is used as it is.

이에 따라, 폴대(110)를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길이로 넣었다 뺐다 하면서 길이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 증대는 물론 정확한 측정에 기여하게 된다.
Accordingly, not only the pole 110 can be folded, but also the length can be adjusted while inserting and removing it to an accurate length, thereby contributing to accurate measurement as well as increasing ease of use.

10: 관 50: RFID태그
100: 관로 측량장치 110: 폴대
120: RFID리더 130: 위성위치신호 수신부
140: 광파수신기 150: 콘솔부
152: 디스플레이부 154: 입력부
156: 메모리 결합부 158: 연결부
210: 송수신기 220: 메모리부
10: tube 50: RFID tag
100: Channel surveying device 110: Poles
120: RFID reader 130: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140: Lightwave receiver 150: Console section
152: display part 154: input part
156: Memory coupling unit 158: Connection
210: transceiver 220: memory unit

Claims (1)

관의 표면에 부착되어 관과 함께 매설되는 RFID 태그; 상기 매설된 RFID 태그의 위치를 탐지하고, 탐지된 위치의 좌표를 측정하며, 측정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관로 측량장치; 상기 관로 측량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및 상시관측소에서 측정한 위치신호와 상기 관로 측량장치가 측정한 위치신호로 보정치를 계산하여 상기 관로 측량장치로 송신하는 위치측정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관로 측량장치는 상기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한 보정치를 바탕으로 현재위치의 보정된 좌표를 산출하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 측정장치는 RFID 태그를 탐지하는 RFID리더,
위성신호를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위성위치신호수신기,
토탈스테이션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토탈스테이션과의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하는 광파수신기,
RFID리더 및 위성위치신호수신기와 광파수신기의 탐지정보를 표시하거나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콘솔부가 장착되는 폴대를 포함하되;
상기 폴대는 상부폴대와 하부폴대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부 및 하부폴대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각각 상부돌부와 하부돌부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상부돌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부에는 상기 상부돌부가 끼워졌을 때 회동되지 못하도록 걸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장공과 하부돌부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돌부에 걸림 고정되는 폴대회전축을 구비하되, 상기 폴대회전축은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부폴대를 하부폴대에 대하여 접을 수 있고,
상부폴대의 길이 일부는 다시 분리되어 상부폴대 내부로 출몰 가능한 길이조절폴대를 더 구비하며,
길이조절폴대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자가 형성되고,
상부폴대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눈금자를 읽을 수 있도록 표시창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폴대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조절폴대의 인출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식 고정레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상부폴대의 내주면 직경은 하부폴대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부폴대의 외주면 직경보다 크고,
상기 상부돌부와 하부돌부는 직경방향으로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더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돌부와 하부돌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이용한 상하수도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
An RFID ta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ube and embedded with the tube; A channel measur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mbedded RFID tag, measuring coordinates of the detected position,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a server; A database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surveying device; And a position measurement server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using a position signal measured at a regular observation station and a position signal measured by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correction value to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wherein the channel measurement apparatus comprises: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water supply and sewerage facilities using an RFID tag that calculates corrected coordinates of a current location based on a correction value, the system comprising:
The channel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n RFID reader for detecting an RFID tag,
A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for measuring a position through a satellite signal,
A light wave receiver that measures the signal from the total station and measures the distance and angle with the total station,
An RFID reader, and a pole equipped with a satellite position signal receiver and a console capable of displaying detection information or inputting coordinates of the light wave receiver;
The pole is divided into an upper pole and a lower pole,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protrud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opposite ends of the separated upper and lower poles,
The upper protrusion is formed with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fixing guides protruding from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from being pivoted when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pole rotating shaft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through the slot and the lower protrusion, the pole rotating shaft being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so that the upper pol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lower pole,
The length of the upper pole is separated from the length of the upper pole,
The length-regulating pole is formed with a rul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le has a display window for reading the ruler,
Wherein the upper pole has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vided with a rotatable securing lever for securing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length adjustable pole,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ol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l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pole is inserted,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are further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have the same shape and ar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Management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Water and Wastewater Using.
KR1020130122262A 2013-10-14 2013-10-14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KR101403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262A KR101403477B1 (en) 2013-10-14 2013-10-14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262A KR101403477B1 (en) 2013-10-14 2013-10-14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477B1 true KR101403477B1 (en) 2014-06-03

Family

ID=5113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262A KR101403477B1 (en) 2013-10-14 2013-10-14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4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0382A (en) * 2018-03-19 2018-07-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A kind of detecting devices of recognizable multiple types electronic tag
CN110766588A (en) * 2019-10-26 2020-02-07 福建省伟志地理信息科学研究院 Positio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rban pipe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810A (en) * 2005-09-22 2007-04-05 Shinano:Kk Walking stick
KR100877073B1 (en) * 2008-07-04 2009-01-07 (주)선인이엔지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KR20100008122U (en) * 2010-07-26 2010-08-13 주식회사 대연 / wall union type up and down sliding han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810A (en) * 2005-09-22 2007-04-05 Shinano:Kk Walking stick
KR100877073B1 (en) * 2008-07-04 2009-01-07 (주)선인이엔지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KR20100008122U (en) * 2010-07-26 2010-08-13 주식회사 대연 / wall union type up and down sliding han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0382A (en) * 2018-03-19 2018-07-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A kind of detecting devices of recognizable multiple types electronic tag
CN110766588A (en) * 2019-10-26 2020-02-07 福建省伟志地理信息科学研究院 Positio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rban pipe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2179B (en) Positioning equipment and localization method
US7889124B2 (en) Handheld wireless utility asset mapping device
US6825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underground objects
US85157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ocations of buried objects
US7634380B2 (en) Geo-referenced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200801803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racking of utility assets
US11105627B2 (en) Technologies for tracking and locating underground assets
CN103718062A (en) Method for ensuring continuity of service of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and device thereof
EP1331469A2 (en) Measurement of parameters of an antenna of a radio base station used for cellular telephony
KR100877073B1 (en)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KR101388131B1 (en) Detecting system for underground pipes using electric field
KR101220268B1 (en) System of measuring with gps for underground map
KR101403477B1 (en) Management system of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facility using rfid tag
KR101166887B1 (en) System of measuring with gps for underground map
KR20180054321A (en) Total measurement system operating with gnss measuremt module and method,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JP4389814B2 (en) Pipeline search position specifying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pipeline search position specifying program
KR100883794B1 (en)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JP2004109084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able location information control
KR100481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KR20030030594A (en) A System for position recogni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KR101209285B1 (en) Surveying data control system for the surface of the earth checking datumpoint and benchmark
KR101654421B1 (en) Guiding Device for Location of Indication Reference Point and Method Therewith
KR101220269B1 (en) System of accuracy measuring with gps for underground map
CN113654533A (en) Method for positioning field sampling point and method for searching field sampling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