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335B1 - 이송물 탈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 탈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335B1
KR101400335B1 KR1020130050800A KR20130050800A KR101400335B1 KR 101400335 B1 KR101400335 B1 KR 101400335B1 KR 1020130050800 A KR1020130050800 A KR 1020130050800A KR 20130050800 A KR20130050800 A KR 20130050800A KR 101400335 B1 KR101400335 B1 KR 101400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plate
conveying
conveyance
transfe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각
Original Assignee
대보마그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마그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마그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55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 탈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는, 다수 개의 이송판(130)이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채 이동하며, 상기 이송판(130)에 이송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장치(100)에서 이송판(130)에 적재된 이송물을 탈리시키기 위한 이송물 탈리 장치에 있어서,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무게추(20)와; 상기 회전축(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무게추(20)의 반대편에 무게추(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축(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축연결부(31)와, 상기 두 회전축연결부(31) 끝단을 서로 연결하며,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 표면을 긁어내도록 되어 있는 탈리부(32);로 구성된 탈리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슬러지와 같은 이송물이 이송판에 안착된 채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판을 긁어내어 이송판에 안착된 이송물을 탈리시킬 수 있고, 특히, 이송판을 긁어내는 탈리부재는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외부 동력 없이 탈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노즐 세척 방식과 같이 수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이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 시설 없이 간편하게 탈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탈리부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이송판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원할한 탈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무게추 역시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어 탈리된 이송물이 무게추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송물 탈리 장치{STRIPPING APPARATUS FOR TRANSFERRED ARTICLES}
본 발명은 이송물 탈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이송판이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채 이송판이 슬러지와 같은 이송물을 이송시켜 처리하는 이송장치에서 이송판에 흡착된 슬러지와 같은 이송물을 별도의 동력 없이 긁어내어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 이송물 탈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 오수 또는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산업오수 등, 미정화상태로 바다나 하천으로 방류될 경우 수질오염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는 제반 오수는 필수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오수처리장을 거쳐 정화된 상태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오수처리장의 폐수처리시설(Waste Water Treatment Plant, WWTP)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폐수 처리의 주된 과정의 하나는 오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침전물)을 물에서 분리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 공정으로서 슬러지의 발생량은 수질오염기준의 강화, 하수 처리율의 증가, 상수원의 수질 악화 등으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오수처리장에서 슬러지를 제거함에 있어서는 오수 유입구에서 필터링을 거친 오수를 침전실로 유입시킨 뒤 침전실의 바닥에 가라앉은 오수에 포함된 각종 슬러지를 연속 순환 이동되는 바스켓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퍼 올린 다음 이를 여러 단계의 차기의 이송수단이 인계받아 일정한 배출장소(예를 들어 운반 컨테이너 등)까지 이송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바스켓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퍼 올린 슬러지를 인계받아 이송하기 위한 기존의 이송수단들은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연계시켜 슬러지를 운반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하는 폐단이 있다.
먼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 슬러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슬러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해 작업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게 되는 것이며, 벨트 컨베이어는 직선상태로의 이송만이 가능하여 슬러지를 외부의 배출장소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컨베이어 설치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슬러지의 이송구조가 매우 복잡해짐으로써 장치의 제조와 설치가 까다로워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며, 여러 단계의 컨베이어에 의해 장비가 불필요하게 대형화되어 보수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장치의 점유면적이 증가되어 많은 시설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송과정에서 별도의 세정과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배출장소로 이송됨으로 외부로 배출된 슬러지가 악취 발생이나 비적합 물질을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슬러지의 함수율이 과다하게 되어 토양이나 대기 오염을 유발시키며, 아울러 슬러지의 과도한 수분에 의한 매립량의 증가로 인한 비경제적성과 소각 시 연소에너지가 크게 증가되는 불합리성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오수의 슬러지이송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1894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오수 저장실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바스켓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수거한 다음 이를 인계 받아 배출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슬러지 투입호퍼와 슬러지 배출구가 구비된 순환이 가능한 통로가 형성된 파이프라인(2)을 설치하고 이의 내부에서 체인(4)과 원판형의 이송판(3)이 구동부(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단 체인 컨베이어(1)가 순환 이동하면서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이송구조의 혁신적인 단순화가 가능하여 구성 부품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키고, 제조와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장치의 점유면적을 감소시켜 장비가 불필요하게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수 관리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슬러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차단된 상태로 파이프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악취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수분이나 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와 같은 이송물은 그 성질에 따라 컨베이어 체인이나 컨베이어 벨트에 이송물이 협착되는 바 이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스크리퍼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세척 시스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8001호, 특허문헌 2)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의 리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묻은 이송물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내용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노즐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에 수분이 공급됨에 따라 벨트가 다시 이송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슬러지가 보다 더 잘 들러붙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수분을 이용한 방법은 탱크에 모인 수분을 별도로 정화 처리해야 하므로 별도의 수처리 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0331894 (2002.03.26) KR 10-1208001 (2012.11.28)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슬러지와 같은 이송물이 이송판에 안착된 채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판을 긁어내어 이송판에 안착된 이송물을 탈리시키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송판을 긁어내는 탈리부재는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외부 동력 없이 탈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노즐 세척 방식과 같이 수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이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 시설 없이 간편하게 탈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탈리부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이송판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원할한 탈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무게추 역시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어 탈리된 이송물이 무게추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이송판(130)이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채 이동하며, 상기 이송판(130)에 이송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장치(100)에서 이송판(130)에 적재된 이송물을 탈리시키기 위한 이송물 탈리 장치에 있어서,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무게추(20)와; 상기 회전축(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무게추(20)의 반대편에 무게추(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축(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축연결부(31)와, 상기 두 회전축연결부(31) 끝단을 서로 연결하며,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 표면을 긁어내도록 되어 있는 탈리부(32);로 구성된 탈리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탈리부(32)의 중앙 선단에는 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리부(32)와 이송판(130)이 접한 상태에서 이송판(130)에 연결된 연결부재(140)가 가이드홈(32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탈리부(32)는 양측의 회전축연결부(31)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20)는 상기 회전축(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두 무게추(20) 사이는 탈리된 이송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이격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판(130)은 회전축(20)을 향한 부분이 돌출된 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40)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기 이송판(130)과 연결부재(140)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된 파이프라인(120)과;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파이프라인(120)이 연결되는 연결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라인(120)의 내경보다 내부 공간이 크게 이루어져 있는 구동케이스(110)와; 상기 구동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40)가 권취된 채 회전하는 구동회전축(160)과; 상기 구동회전축(160)과 연결되어 구동회전축(16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축(10), 무게추(20) 및 탈리부재(30)는 상기 구동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슬러지와 같은 이송물이 이송판에 안착된 채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판을 긁어내어 이송판에 안착된 이송물을 탈리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송판을 긁어내는 탈리부재는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외부 동력 없이 탈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노즐 세척 방식과 같이 수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이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 시설 없이 간편하게 탈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탈리부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이송판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원할한 탈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게추 역시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어 탈리된 이송물이 무게추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이 구비된 오수의 슬러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파이프 라인의 설치 상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파이프 라인 내부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는 다수 개의 이송판(130)이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채 이동하며, 상기 이송판(130)에 이송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장치(100)에서 이송판(130)에 적재된 이송물을 탈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크게 회전축(10), 무게추(20) 및 탈리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축(10)은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아울러, 무게추(20)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탈리부재(30)는 상기 회전축(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무게추(20)의 반대편에 무게추(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축(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축연결부(31)와, 상기 두 회전축연결부(31) 끝단을 서로 연결하며,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 표면을 긁어내도록 되어 있는 탈리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물 탈리 장치는 도 4에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이송물 탈리 장치가 슬러지 이송장치에 설치된 예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이송장치(100)를 구성하는 이송판(13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에 가까운 호 형상을 취하는데, 돌출된 부분이 회전축(10)을 향해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는 도 5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인접한 이송판(13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는 이송판(130)은 단부측에 서로 교차하는 체인 중 가로 방향의 체인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단에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의 체인이 끼워질 수 있도록 두 홈의 사이에 하측에 홀이 타공되어 있어 세로 방향의 체인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송장치(100)는 이러한 이송판(130)과 연결부재(140)가 도 3과 같이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된 도 4의 파이프라인(12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이송판(130)과 연결부재(140)는 파이프라인(12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판(130)과 연결부재(140)가 파이프라인(120)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파이프라인(120)이 연결되는 연결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케이스(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구동케이스(110) 내부는 상기 파이프라인(120)의 내경보다 내부 공간이 크게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이송판(130)과 연결부재(140)는 파이프라인(120)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동케이스(110)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회전축(160)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회전축(160)에는 상기 연결부재(140)가 권취된 채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회전축(160)과 연결되어 구동회전축(16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0)가 설치되어 구동모터(150)의 작동에 따라 구동회전축(16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140)가 구동회전축(160)을 감싸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이송판(130)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는 상기 회전축(10), 무게추(20) 및 탈리부재(30)는 상기 구동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회전축(10)은 도시된 것처럼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무게추(20)와 탈리부재(30)는 상기 회전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무게추(20)와 탈리부재(30)가 회전축(10)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축(10)과 함께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회전축(10)은 고정된 채 무게추(20)와 탈리부재(30)가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10)을 기준으로 동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20)와 탈리부재(30)는 회전축(10)을 기준으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반대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무게추(2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 방식으로 체결되는 중량물(21)이 체결되어 상측에서 이송판(130)에 의해 탈리부재(30)가 회전축(10)을 기준으로 회전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게 되어 있다.
탈리부재(30)가 회전축(10) 양측에 연결된 두 개의 회전축연결부(31)와, 두 회전축연결부(31)를 연결하는 탈리부(32)로 구성되는 것은 두 개의 회전축연결부(31)와 탈리부(3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이송판(30)에 안착된 이송물을 긁어내어 이 이송물이 원할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탈리부(32)의 중앙 선단에는 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리부(32)와 이송판(130)이 접한 상태에서 이송판(130)에 연결된 연결부재(140)가 가이드홈(32a)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송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부재(140) 및 이송판(130)이 파이프라인(120) 내부에 수용된 채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물의 누출 발생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연결부재(140)가 연결된 상태의 이송판(130) 형상이 최대한 원형에 가까운 형상이 되어야 하는 바, 이에 따라 연결부재(140)는 도시된 것처럼 이송판(130)의 단부측에, 평면상으로 볼 때 이송판(130) 내측에 일부가 끼워진 채 위치하는 바, 탈리부(32)가 이송판(130)과 접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140)와 접하게 되면 원할한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연결부재(140)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이송판(130) 표면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탈리부(32)는 양측의 회전축연결부(31)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회전축(160)에는 연결부재(140)가 일직선상을 유지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 측벽이 외측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진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응하여 이송물 탈리 장치를 구동회전축(160)과 인접하여 설치할 때, 구동회전축(160)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진 형상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회전축(160)에 최대한 접근시키는 것은, 이송판(130)에 안착된 이송물이 구동회전축(160)에 협착될 경우 구동회전축(160)의 구동에 방해를 주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무게추(2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축(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두 무게추(20) 사이는 탈리된 이송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이격공간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게추(20)에 이송물이 협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송물이 방해를 받지 않고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해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 7 내지 11의 사진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구동회전축(160)의 아래에 회저축(10)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10)의 상측에 탈리부재(30)가 연결되어 있고, 하측에 무게추(20)가 연결되어 있다.
도 7에서 구동회전축(160)에는 구동회전축(160)을 감싸는 연결부재(140)에 이송판(1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탈리부(32)는 이송판(130)의 전방 측에 위치하며, 탈리부(32) 선단이 이송판(130)의 상단측까지 도달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재(140)에 연결된 이송판(130)이 전방측으로 더 이동, 회전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리부재(30)는 회전축(10)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더 회전하게 되며, 탈리부(32)는 이송판(130)의 중단측까지 도달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7의 상태에서 도 8의 상태로 변하는 동안 탈리부(32)는 이송판(130) 표면을 긁어내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무게추(20)의 자중에 의해 탈리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송판(130)의 저부 측에 탈리부재(30) 일측이 가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실제 이송판(130)에 이송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도 10과 같이 탈리부(32)가 이송판(130) 상단에 위치한 채 회전하면서 이송물을 긁어내어 도 11과 같이 이송판(130) 표면의 이송물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송물 탈리 장치는 이송판에 의해 적재되어 이동하는 이송물을 이송판 표면으로부터 긁어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슬러지 이송 장치에 연계되어 설치됨이 그중에서도 가장 적합하다 할 것이다.
1 : 무단 체인 컨베이어 2 : 파이프라인
3 : 구동부 4 : 체인
10 : 회전축 20 : 무게추
21 : 중량물 22 : 이격공간부
30 : 탈리부재 31 : 회전축연결부
32 : 탈리부 32a : 가이드홈
100 : 이송장치 110 : 구동케이스
111 : 연결부 120 : 파이프라인
130 : 이송판 140 : 연결부재
150 : 구동회전축 160 : 구동모터

Claims (5)

  1. 다수 개의 이송판(130)이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채 이동하며, 상기 이송판(130)에 이송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장치(100)에서 이송판(130)에 적재된 이송물을 탈리시키기 위한 이송물 탈리 장치에 있어서,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무게추(20)와;
    상기 회전축(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무게추(20)의 반대편에 무게추(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축(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회전축연결부(31)와, 상기 두 회전축연결부(31) 끝단을 서로 연결하며,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판(130) 표면을 긁어내도록 되어 있는 탈리부(32);로 구성된 탈리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송물 탈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32)의 중앙 선단에는 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리부(32)와 이송판(130)이 접한 상태에서 이송판(130)에 연결된 연결부재(140)가 가이드홈(32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탈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32)는 양측의 회전축연결부(31)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탈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20)는 상기 회전축(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두 무게추(20) 사이는 탈리된 이송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이격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탈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130)은 회전축(20)을 향한 부분이 돌출된 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40)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기 이송판(130)과 연결부재(140)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된 파이프라인(120)과;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파이프라인(120)이 연결되는 연결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라인(120)의 내경보다 내부 공간이 크게 이루어져 있는 구동케이스(110)와;
    상기 구동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40)가 권취된 채 회전하는 구동회전축(160)과;
    상기 구동회전축(160)과 연결되어 구동회전축(16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축(10), 무게추(20) 및 탈리부재(30)는 상기 구동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탈리 장치.
KR1020130050800A 2013-05-06 2013-05-06 이송물 탈리 장치 KR101400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800A KR101400335B1 (ko) 2013-05-06 2013-05-06 이송물 탈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800A KR101400335B1 (ko) 2013-05-06 2013-05-06 이송물 탈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335B1 true KR101400335B1 (ko) 2014-05-27

Family

ID=5089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800A KR101400335B1 (ko) 2013-05-06 2013-05-06 이송물 탈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92Y1 (ko) * 1999-12-28 2000-09-01 서동진 물수건 헹굼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263963B1 (ko) * 1997-07-18 2000-09-01 스기나카 고이치로 벨트클리너장치 및 그 장치용 스크레이퍼
KR200237475Y1 (ko) * 1996-10-08 2001-11-22 이구택 콘베어벨트용팁크리너자동조정장치
KR100331894B1 (ko) * 2000-04-24 2002-04-09 한재준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오수의 슬러지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75Y1 (ko) * 1996-10-08 2001-11-22 이구택 콘베어벨트용팁크리너자동조정장치
KR100263963B1 (ko) * 1997-07-18 2000-09-01 스기나카 고이치로 벨트클리너장치 및 그 장치용 스크레이퍼
KR200195592Y1 (ko) * 1999-12-28 2000-09-01 서동진 물수건 헹굼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331894B1 (ko) * 2000-04-24 2002-04-09 한재준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오수의 슬러지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41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ltering water
US830382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ltering water from a river or stream
KR100228260B1 (ko)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US11339528B2 (en) Mat washer
CA2635376A1 (en) Fermentation device comprising a coupled substrate and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fermentation device
CA2567693A1 (en) Magnetic separation purifying apparatus and magnetic separation purifying method
KR101400335B1 (ko) 이송물 탈리 장치
KR102355048B1 (ko) 부유물 처리가 향상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0915004B1 (ko)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CN113649330A (zh) 一种废旧金属回收装置
KR101073928B1 (ko) 슬러지 처리 플라이트 컨베이어
KR101407610B1 (ko)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사의 세척 설비
KR101147784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CN115093007B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池消毒装置
KR100331894B1 (ko)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오수의 슬러지이송장치
KR100870445B1 (ko) 토양 복원장치
KR20130072505A (ko) 막여과장치
US2028094A (en) Sludge removing apparatus
KR101149905B1 (ko) 독립형 실시간 수처리장치
KR100785080B1 (ko)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KR102389010B1 (ko) 고자력을 이용한 중금속오염토양 복합적 처리 시스템
KR102423221B1 (ko) 고자력분리기와 스컴제거장치가 부착된 복합오염토양처리 시스템
KR101148219B1 (ko) 자기력 슬러지 분리 장치
KR20120106173A (ko)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200342805Y1 (ko)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