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588B1 -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588B1
KR101398588B1 KR1020110049469A KR20110049469A KR101398588B1 KR 101398588 B1 KR101398588 B1 KR 101398588B1 KR 1020110049469 A KR1020110049469 A KR 1020110049469A KR 20110049469 A KR20110049469 A KR 20110049469A KR 101398588 B1 KR101398588 B1 KR 10139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support
fastening
elastic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363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11004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련쟁기에 관한 것으로, 쟁기부에 암석으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켜 장치의 파손 방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련쟁기의 안전장치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하부쟁기부와 상부쟁기부가 설치된 양련쟁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홈부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홈부에 대응된 위치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탄성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돌출부가 홈부에 착지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쟁기체결부; 상기 쟁기체결부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쟁기부 및 상부쟁기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련쟁기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plow}
본 발명은 양련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쟁기날에 암석으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켜 쟁기날의 파손 방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련쟁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련쟁기는 논을 일구는 작업기로서,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되어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도1은 종래의 양련쟁기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트랙터의 후방에서 트랙터 연결부(100)에 의해 장착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하부에서 보습과 볏으로 구성된 하부쟁기부(120)와,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부에서 보습과 볏으로 구성된 상부쟁기부(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트랙터가 전진하면 이와 연결된 프레임(110) 및 하부쟁기부(120)가 견인되면서 농경지의 흙을 갈아 엎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쟁기부(130)를 사용하는 경우 프레임(110)을 뒤집어서 상부쟁기부(130)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쟁기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양련쟁기는 작업시 흙속에 파묻힌 암석에 하부쟁기부(120)가 충돌하는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하부쟁기부(120)가 프레임(110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암석으로 인한 충격력을 그대로 전달 받아 하부쟁기부(120)가 파손되거나 형상이 변형되어 이랑의 형태를 무너뜨리거나 장치 전체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장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까지 가지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쟁기부에 암석으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켜 장치의 파손 방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련쟁기의 안전장치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하부쟁기부와 상부쟁기부가 설치된 양련쟁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홈부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홈부에 대응된 위치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탄성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돌출부가 홈부에 착지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쟁기체결부;
상기 쟁기체결부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쟁기부 및 상부쟁기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련쟁기의 연결부위에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쟁기부에 암석으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켜 장치의 파손 방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일반적인 양련쟁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양련쟁기의 안전장치의 분해구조를 보인도.
도3은 도2의 결합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5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련쟁기의 안전장치로서, 브라켓(200)은 프레임(110)의 진행방향 후면에 설치되는데, 용접 또는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200)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지지부(210)가 브라켓(200)에 고정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210)는 프레임(110) 또는 브라켓(200)과 한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0)의 후면에는 하측과 상측에 각각 'U'형태의 홈을 갖는 하측홈부(211)와 상측홈부(212)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측홈부(211)와 상측홈부(212)는 판체를 구부려서 형성한 다음 지지부(210)에 용접으로 고정시킨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하측홈부(211)와 상측홈부(212)는 'U'이 아닌 반구형태의 홈이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부(210)의 후면 가운데 부분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편(21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10)의 후방에는 두개의 판체(221,222)가 세워져서 상호간 공간부(227)를 형성하면서 볼트(225,226)에 의해 체결된 쟁기체결부(220)가 위치하는데, 그 전방부의 면에는 상기 지지부(210)의 하측홈부(211)와 상측홈부(2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된 하측돌출부(223)와 상측돌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돌출부(223)와 상측돌출부(224)는 원기둥 또는 구의 형태로서, 하측홈부(211)와 상측홈부(212)에 안착이 될 수 있도록 눕혀진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쟁기체결부(220)의 하측과 상측에는 하부쟁기부(120)와 상부쟁기부(130)가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1판체(221)와 제2판체(222)가 형성하는 공간부(227)에 각각 성에가 끼워져 볼트(225)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쟁기체결부(220)가 지지부(210)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기 위하여 탄성체가 장착되는데, 탄성체는 길다란 장볼트 형태의 지지바(230)에 스프링(240)이 장착된 형태이다.
그리고, 지지바(230)의 일단에는 지지부(210)의 힌지편(213)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편(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스프링(240)의 이탈 방지 및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너트(232)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3에서와 같이 쟁기체결부(220)의 공간부(227)로 삽입되어 일단이 지지부(2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쟁기체결부(220)의 후방 외측으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부위에 장착된 스프링(230)의 양단은 각각 쟁기체결부(220)의 몸체 외측과 너트(232)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지고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쟁기체결부(220)는 지지바(230)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부(210)에 고정된 상태이며, 하측홈부(211)와 상측홈부(212)에 각각 하측돌출부(223)와 상측돌출부(224)가 안착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너트(232)의 위치에 따라 스프링(240)의 탄성력이 조절되는데, 너트(232)를 조이는 경우 스프링(240)이 압축되어 큰 탄성력을 가지고 쟁기체결부(220)를 지지부(210) 쪽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도4는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양련쟁기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쟁기작업중에 (a)와 같이 하부쟁기부(120)에 암석이 걸리게 되면, 그 부하가 쟁기체결부(220)로 전달되고, 쟁기체결부(220)는 상측홈부(212)와 상측돌출부(224)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하측홈부(211)로부터 하측돌출부(223)는 이탈된다.
이때, 지지바(230)로 쟁기체결부(220)와 함께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인해 스프링(240)이 압축되어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따라 암석 등의 부하의 크기에 따른 쟁기체결부(220)의 회전동작이 결정되는데, 탄성력이 큰 경우 조그만 암석에 대한 부하는 버팀력이 발생하고, 큰 암석에 대한 부하가 발생시에 쟁기체결부(22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물론, 탄성력이 작은 경우에는 조그만 암석의 부하에도 쟁기체결부(22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b)의 경우에는 프레임(110)을 뒤집어서 쟁기작업을 할 때 상측쟁기부(130)에 부하가 발생한 경우로서, 이의 동작도 (a)와 동일하며, 이때는 하측홈부(211)와 하측돌출부(223)가 회전축이 되어 쟁기체결부(220)가 회전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체를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250)로 사용한 경우로서, 실린더(250)가 지지부(210)와 쟁기체결부(22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며, 실린더(250)의 일측에 힌지편(253)이 형성되어 지지부(210)의 힌지편(213)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또한 로드(251)의 선단에도 힌지부(252)가 형성되어, 쟁기체결부(220)의 몸체 내측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 결합된 형태이다.
따라서, 쟁기체결부(220)의 회전에 따라 로드(251)가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이다.
동작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210)와 쟁기체결부(220)의 하부 외측으로 하부실린더(300)가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부(301,30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지지부(210)와 쟁기체결부(220)의 상부 외측으로도 상부실린더(310)가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부(311,3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이다.
이는 하부실린더(300)와 상부실린더(310)에 의해 큰 부하에 대한 버팀력과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210)의 하부 외측에 하부지지바(40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40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부지지바(400)의 몸체 중간부위는 쟁기체결부(220)의 하부 외측에서 지지편(404)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지지편(404)은 링 형태로서 쟁기체결부(220)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형태이다.
지지바(400)의 타단에는 너트(402)가 체결되어, 이 너트(402)와 지지편(404)의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403)이 하부지지바(40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부지지바(410)도 하부지지바(4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지지부(210)와 쟁기체결부(220)의 상부 외측에서 탄성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도 마찬가지로 큰 부하에 대한 버팀력과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210)의 후면 상하측에 파이프 형태의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이 수평방향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제1판체(221)와 제2판체(222)에는 상기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을 각각 끼우기 위한 곡선형태의 하부홈 및 상부홈(228,2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은 지지부(2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하부홈 및 상부홈(228,229)은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을 고정점으로 하여 쟁기체결부(2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궤적형태로 형성되며, 쟁기(120,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즉, 하부축(214)을 고정점으로 하는 경우 상부홈(229)은 쟁기체결부(220)가 하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궤적형태를 갖는 폐쇄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부축(215)을 고정점으로 하는 경우 하부홈(228)은 쟁기체결부(220)가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궤적형태를 갖는 폐쇄된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판체(221)와 제2판체(222)의 하부홈 및 상부홈(228,229)이 형성된 부위가 지지부(210)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이 각각 하부홈 및 상부홈(228,229)에 삽입되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216,217)이 서로 반대방향에서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에 삽입된다.
이때 핀(216,217)은 볼트 형태가 될 수 있고,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볼트의 머리부에 의해 제1판체(221)와 제2판체(2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방안으로 핀(216,217)이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을 관통한 후 반대편에서 너트나 또다른 핀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핀(216,217)이 체결되지 않아도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의 양단부가 제1판체(221)와 제2판체(222)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돌출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는 이미 언급한 실린더(250) 또는 지지바(230)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9은 도8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하부축 및 상부축(214,215)은 하부홈 및 상부홈(228,229)의 후방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실린더(250)의 탄성력에 의해 쟁기체결부(220)가 지지부(210)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쟁기작업중에 도10(a)와 같이 하부쟁기부(120)에 암석이 걸리게 되면, 그 부하가 쟁기체결부(220)로 전달되고, 쟁기체결부(220)는 상부축(215)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축(214)이 하부홈(228)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홈(228)의 길이에 의해 쟁기체결부(220)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10(b)의 경우에는 프레임(110)을 뒤집어서 쟁기작업을 할 때 상측쟁기부(130)에 부하가 발생한 경우로서, 이의 동작도 (a)와 동일하며, 이때는 하부축(214)을 중심으로 쟁기체결부(220)가 하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축(215)이 상부홈(229)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부홈(229)의 길이에 의해 쟁기체결부(220)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고장에 의해 실린더(250)에 유압이 상실되는 경우 쟁기체결부(220)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닿게 되면 고장수리를 위한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지만, 폐쇄된 하부홈(229)에 의한 하측방향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쟁기체결부(220)가 지면에 닿지 않게 되어 수리를 위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110 : 프레임 120 : 하부쟁기부
130 : 상측쟁기부 200 : 브라켓
210 : 지지부 211 : 하측홈부
212 : 상측홈부 213 : 힌지편
214,215 : 축 228,229 : 홈
220 : 쟁기체결부 221 : 제1판체
222 : 제2판체 223 : 하측돌출부
224 : 상측돌출부 225,226 :볼트
227 : 공간부 230 : 지지바
231 : 힌지편 232 : 너트
240 : 스프링 250 : 실린더

Claims (8)

  1.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하부쟁기부와 상부쟁기부가 설치된 양련쟁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후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측홈부와 하측홈부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측홈부와 하측홈부에 대응된 위치에 각각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형성된 쟁기체결부;
    상기 상측홈부와 하측홈부의 사이에서 일측이 힌지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쟁기체결부에 고정되어 지지부로부터 쟁기체결부를 탄성지지하면서 쟁기체결부의 상하방향 회전시 상측돌출부 및 하측돌출부가 상측홈부 및 하측홈부에 각각 착지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
    상기 쟁기체결부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쟁기부 및 상부쟁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길다란 지지바가 쟁기체결부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쟁기체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그 노출된 부위에 스프링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은 쟁기체결부의 몸체 외측과 지지바의 타측에 체결된 너트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지지부와 쟁기체결부에 양끝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하부쟁기부와 상부쟁기부가 설치된 양련쟁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축과 하부축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축과 하부축에 대응된 위치에 상하회전궤적형태로 곡선형태의 폐쇄된 상부홈 및 하부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과 하부축을 각각 수용하는 쟁기체결부;
    상기 상부축과 하부축 사이에서 일측이 힌지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쟁기체결부에 고정되어 지지부로부터 쟁기체결부가 상하회전하는 것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쟁기체결부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쟁기부 및 상부쟁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지지부와 쟁기체결부에 양끝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길다란 지지바가 쟁기체결부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쟁기체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그 노출된 부위에 스프링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은 쟁기체결부의 몸체 외측과 지지바의 타측에 체결된 너트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KR1020110049469A 2011-05-25 2011-05-25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KR10139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69A KR101398588B1 (ko) 2011-05-25 2011-05-25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69A KR101398588B1 (ko) 2011-05-25 2011-05-25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363A KR20120131363A (ko) 2012-12-05
KR101398588B1 true KR101398588B1 (ko) 2014-05-28

Family

ID=4751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469A KR101398588B1 (ko) 2011-05-25 2011-05-25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386B1 (ko) * 2015-11-19 2016-06-07 박기혁 경작기의 안전장치
KR101985393B1 (ko) * 2017-07-26 2019-06-03 박기혁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01A (ja) * 1992-07-09 1994-02-01 Sugano Noki Kk 重心を低くできるリバーシブルプラウ
KR200445329Y1 (ko) * 2007-10-29 2009-07-21 유한회사 영신 완충형 이랑쟁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01A (ja) * 1992-07-09 1994-02-01 Sugano Noki Kk 重心を低くできるリバーシブルプラウ
KR200445329Y1 (ko) * 2007-10-29 2009-07-21 유한회사 영신 완충형 이랑쟁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363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118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CA2935584C (en) Angle adjustable coulter wheel assembly
KR200445329Y1 (ko) 완충형 이랑쟁기구조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1398588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PT2673418E (pt) Dispositivo de retenção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101310088B1 (ko) 트랙터용 경작기의 안전장치
JP5786033B2 (ja) 建設機械用警光灯の固定装置
KR101668674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DE202005021554U1 (de) Mähmaschine
KR101985393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KR102500697B1 (ko) 써레용 절첩장치
KR102472819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10205074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1211112B1 (ko) 농업용 작업기의 링크 연결장치
CN201280729Y (zh) 一种挖掘装置
CN206024969U (zh) 一种设有保护机构的自走式喷杆喷雾机喷药杆
KR101150296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200410355Y1 (ko) 트랙터용 써레
JP2004194587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200397531Y1 (ko)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RU2763176C1 (ru) Сцепка наве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20190127340A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2239735B1 (ko) 써레용 논둑 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