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72B1 -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72B1
KR101394972B1 KR1020140023884A KR20140023884A KR101394972B1 KR 101394972 B1 KR101394972 B1 KR 101394972B1 KR 1020140023884 A KR1020140023884 A KR 1020140023884A KR 20140023884 A KR20140023884 A KR 20140023884A KR 101394972 B1 KR101394972 B1 KR 10139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group
master device
slav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주)동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시스템 filed Critical (주)동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2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ter device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The master device includes: a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picocas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a first microphone for inputting audio; a first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a first input button unit for inputting signals;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generating unique I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outputted from the first input butt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lave devices through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Each of the slave devices includes: a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picocas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a second microphone for inputting audio; a second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a second input button unit for inputting signals;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generating its own group code using the unique ID received from the master device by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and completing a process of group registration without transmitting a generation complete signal of the group code to the mas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quential registration process individually done between the master and slave devices for registering groups can be simplified, the information protection is improved by generating a protection code without an LCD window or a keyboard in the master and slave devices, and incoming or outgoing calls of terminals connected with the master and slave devices through a Bluetooth function can be easily broadcasted to all the users in a communication group.

Description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룹통신을 하기 위한 그룹 등록절차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방식을 사용하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의 간단하게 그룹등록과 정보보호를 위한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 which, in a group registration procedure for group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일반적으로, 그룹통신을 위해서는, 마스터 장치가 보내준 고유 ID를 그룹에 참여하고자 하는 한대의 슬레이브 장치가 수신하여 자신의 고유 ID와 그룹코드를 생성한 후, 다시 마스터 장치로 보내고, 마스터 장치는 다시 등록확인 신호를 슬레이브 장치로 보내는 것으로 등록절차를 마무리하며, 이러한 절차는 마스터 장치가 그룹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와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슬레이브 장치의 수가 많을수록 등록절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Generally, for group communication, a single slave device that wants to join a group receives a unique ID sent by the master device, generates its own unique ID and a group code, and sends it to the master device, The registration procedure is completed by sending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slave device. Since this procedure sequentially executes all the slave devices that the master device desires to participate in the group, the more the slave device number, the more time I had.

이러한 마스터 장치나 슬레이브 장치에는 LCD화면이나 키보드가 없는 상태에서 정보보호를 위한 보호코드를 입력할 방안이 없어 그룹통신이나 부가 서비스 기능 사용 중 정보보호에 취약성을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들의 핸즈프리 기능을 그룹내 사용자들에게 방송을 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Such a master device or a slave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information protection while using a group communication or an additional service function because there is no way to input a protection code for protecting information in the state that there is no LCD screen or keyboard. Also, it has failed to perform a function of broadcasting hands-free functions of terminals wirelessly connected to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to users in a group.

또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방식은 지원하는 서비스 영역이 서로 달라 서비스 별로 다른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 서비스 융합이 어렵고, 사용자 간의 간섭이 심해 개인공간에서의 방송, 통신, 제어, 센서 서비스 융합을 단일 프로토콜 구조로 지원할 수 없다.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와 센서끼리 애드혹(Ad-hoc) 중계가 가능한 지그비(ZigBee) 방식이 단말기간 통신의 대표적인 기술로 소개될 수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사용자들 간의 간섭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아 재난 안전 통신을 위한 단말기간 직접 통신 또는 그룹 통신에 사용할 용도로 개발되지 않았으며, 증가하는 무선 트래픽을 단말기간 직접 통신으로 소화하여 네트워크의 부담을 덜어 보려는 미래의 5G 이동통신 개념이나, 사용자 간의 직접 통신을 시도하려는 무선 소셜 네트워킹에도 잘 맞지 않는다. 특히 단말기간 직접 통신은 군 통신 분야에서도 꾸준히 발전되어 왔으며, 보안 문제만 해결된다면 무선 소셜 네트워킹이 군에 매우 적합한 기술로 사용될 수 있으나 ,지금까지 군에서 개발된 단말기간 애드혹(Ad-hoc) 통신 방식은 주로 데이터 통신 위주로 되어 있어, 부대에 속한 모든 개인 병사가 동시에 말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으로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WiFi, which have been used so fa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service areas they support,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verge the services, It can not support broadcasting, communication, control, and sensor service convergence in space with a single protocol structure. The ZigBee method,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during Wi-Fi Direct and Ad-hoc relay between sensors, can be introduced a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terminal-based communication, Which are not developed for use in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or group communication for disaster-safety communication, and are not developed for use in the futur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n the network by increasing the amount of wireless traffic, Concept or wireless social networking that attempts to communicate directly between users. In particular, direct communication in the terminal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military communication field. If the security problem is solved, the wireless social networking can be used as a suitable technology for the military. However, the ad- Is mainly focused on data communication, so that not all individual soldiers belonging to the unit speak at the same time and develop their opinions.

또한 무선 방식과 관련된 피코캐스트(PicoCast)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671343호의 "휴대단말기에 사용하는 고품질 근거리 무선 멀티미디어신호 전송 기법"에서 근거리 내에서 무선 장치간 주파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법과, 한국등록특허 제10-1043303호의 "근거리 피코셀 간의 간섭 없는 중계 지원 방법 및 시스템"은 근거리 피코셀 사이에서 동기 중계 및 페이로드 중계를 간섭 없이 지원할 수 있는 특허로 등록되었다.In addition, the PicoCast technique related to the wireless metho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71343 entitled " High-Quality Near-IR Multimedia Signal Transmission Technique Used in Mobile Terminals ", which is a technique for preventing frequency collis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Korean Patent No. 10-1043303 entitled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Interference-free Relay between Near-Field Pico Cells ", are registered as patents that can support synchronous relay and payload relay without interfering between near-field pico cells.

상기한 종래의 피코캐스트 기술을 사용하면, 사용자 중심의 반경 수 10m의 범위 내에서 방송, 통신, 센서, 제어 서비스의 융합이 가능해지며 동시에 16개 송신장치가 간섭없이 운용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ico-cast technology, broadcasting, communication, sensor, and control services can be converged within a radius of 10 m, which is centered on a user, and 16 transmitting apparatuses can be operated without interference.

그러나 종래의 피코캐스트 기술은 근거리 무선 위주로 설계되어, 근거리 무선과 장거리 무선이 동시에 존재하는 환경과 모든 사용자 간의 동기를 보장하는 방법이 미흡하여 다수의 셀이 존재하는 상황과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이 하나의 기기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기기 내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므로 서로 다른 전송속도와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기기 간에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구조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제안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3946호의 "개인 공간 서비스 융합과 모든 사용자 간의 간섭 회피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컨테이너 구조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개시된 바 있는데, 컨테이너 구조의 내부는 다양한 형태의 박스를 넣을 수 있으며 내부 박스는 컨테이너 크기를 벗어나지 않는 한 자유롭게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자유롭게 송수신 방향의 설정이 가능하고 주파수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융통성이 오히려 사용자들의 혼란을 초래하므로 컨테이너 내부 박스 크기를 규격화하여 방송용과 통신용 구분없이 함께 사용하게 하여 근거리 방송과 통신 융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컨테이너 구조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근거리 방송과 통신 융합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icocast technology is designed to be a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 is not a sufficient method for ensuring synchronization between all users and an environment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xist simultaneously.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solve the interference problem in the device in the presenc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 proposes a container network wireless protocol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between device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rates and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0083946 discloses a " wireless network protocol with a container structure designed to allow personal space service convergence and interference avoidance between all users ", where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structure can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boxes, Unless you are fre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frame, freely se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rection, and freely select the frequency. However, since this flexibility leads to confusion of users,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box size inside the container and to use it together without distinction betwe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support short-rang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그러므로, 이와 같은 컨테이너 구조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소셜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로 무선 소셜 그룹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되, 그룹통신을 하기 위한 그룹등록 절차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방식을 사용하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의 간단하게 그룹등록과 정보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wireless social group communication system is implemented as a specific application field of a wireless social network using a protocol of such a container structure, and a group registration procedure for group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a simple manner between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and method for group registr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룹등록을 위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차적인 등록절차를 간소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sequential registration procedure separately performed betwee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for group registration.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에 LCD창이나 키보드가 없는 상태에서도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정보보호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ibute to information protection by generating a protection code even in the absence of an LCD window or a keyboard in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으로 연결된 단말기, 예컨데, 이동통신단말기, MP3 재생기 등의 착발신 통화(핸즈프리 기능)나 재생음악 등을 통신그룹내 전체 사용자에게 들려주는 방송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oadcasting function that allows all users in a communication group to listen to and receiv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hands-free function) and the like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by a Bluetooth function,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MP3 player,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화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으로서,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을 하는 마스터 장치와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 모두와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와,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제 1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 1 스피커와, 신호 입력을 위한 제 1 입력버튼부와, 상기 제 1 입력버튼부로부터 출력되는 정해진 신호에 따라 고유ID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 모두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와,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제 2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 2 스피커와, 신호 입력을 위한 제 2 입력버튼부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고유ID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를 생성하고, 그룹코드의 생성완료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지 않고서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 grouping registration procedure using a protoco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the system comprising: a master device for performing two-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wherein the master device includes a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section for performing picocast-based communication with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a first microphone for audio input, a first microphone for audio output, A first input button unit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second input button unit for generating a unique I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button unit and transmitting the unique ID to all the slave devices by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 control unit, and the slav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via a pico cast-based communication A second microphone for audio input, a second speaker for audio output, a second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second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to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group code of itself by using the unique ID receiv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nd for completing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without transmitting a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group code to the master device,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상기 제 1 입력버튼부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상기 제 1 입력버튼부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와 동일한 상기 제 2 입력버튼부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상기 제 1 제어부의 보호코드와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generates and stores a protection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 and operation times of the first input button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sets the sam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and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of the predetermined first input button unit The same protection code as the protection code of the first control unit can be generated and registe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econd input button unit.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동작 및 설정 과정을 외부로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블루투스통신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통신그룹 내의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블루투스통신부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착발신 통화 또는 재생 오디오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입력버튼부를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모든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에 방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for externally displaying an operation and a setting procedure,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buttons for perform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by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button portions And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group, and to the first and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s, The communication or playback audio is controlled to be broadcast to all master devices or slave devices that transmit by the first or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section an operation signal output by operating the first or second input button sec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장치는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버튼; 및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 각각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원격신호수신부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는 원격신호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격신호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wherein the remote control device comprises: an operation button for selecting an operation; And a remote signal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operation signals of the operation buttons to first and second remote signal receivers provided i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s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anne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mote signal receiving unit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화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가 고유ID를 생성하여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에 의해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 모두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에 의해 상기 고유ID를 슬레이브 장치가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고유ID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를 생성하고, 그룹코드의 생성완료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지 않고서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directional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grouping registration procedure using a protoco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the master device generates a unique ID and transmits a pico- To all of the devices; Receiving the unique ID from the slave device by pico cast based communication from the master device; And a step in which the slave device generates its own group code using the unique ID and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without sending a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group code to the master device, A communication method is provided.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면,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와 동일한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상기 마스터 장치의 보호코드와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lave device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generating and storing a protection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in the master device; And generating and registering the same protection code as the protection code of the master device by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lave device that is equal to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predetermined in the master device.

통신그룹 내의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하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착발신 통화 또는 재생 오디오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피코캐스트 기반에 의한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모든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에 방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playback audio of the terminal perform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either the master device or the slav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group is transmitted by pico cast based communication To all master devices or slave devices that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착발신 통화의 개시 및 종료, 상기 오디오의 재생, 통신그룹 내의 상기 마스터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의 인터콤, 상기 방송의 동작이 각각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n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wherein the start and end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the intercom with the master device or the slav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group, .

본 발명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그룹등록을 위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차적인 등록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에 LCD창이나 키보드가 없는 상태에서도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정보보호에 기여하며,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으로 연결된 단말기, 예컨데, 휴대폰, MP3 재생기 등의 착발신 통화(핸즈프리 기능)나 재생음악 등을 통신그룹내 전체 사용자에게 손쉽게 방송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equential registration procedure individually performed betwee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for group registration, (Hands-free function) or playback music of a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by a Bluetooth fun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broadcasted to all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의 마스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의 슬레이브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레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의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의 원격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ico 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ster device of a pico 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lave device in a pico 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in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apparatus of a pico-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ico 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ico 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ico 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100)은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화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으로서,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을 하는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를 포함한다. 한편 하나의 통신그룹(10) 내에는 마스터 장치(110)와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120)를 포함하되, 슬레이브 장치(12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100)은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 장치(120)를 각각 무선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장치(1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ico-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a grouping registration procedure using a protoco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And a master device 110 and a slave device 120 that perform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anwhile, the communication group 10 includes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120, but the number of the slave devices 120 is not limited. The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mote control device 130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by radio And the like.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는 피코캐스트(PicoCast)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며,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일한 그룹코드와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또한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에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210,220), 예컨대 휴대폰(210)과 MP3 재생기(220)는 통신그룹(10) 참여자 모두에게 착발신 통화내용(핸즈프리 기능)과 재생음악을 방송할 수 있다.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picoCast and generate and use the same group code and protection code using the protocol of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The terminals 210 and 220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in a Bluetooth manner such as the mobile phone 210 and the MP3 player 220 can receive and transmit the incoming call contents (hands- It is possible to broadcast reproduced music.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110)는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120; 도 1에 도시) 모두와 피코캐스트(PicoCast)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111)와,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제 1 마이크(112)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 1 스피커(113)와, 신호 입력을 위한 제 1 입력버튼부(114)와, 제 1 입력버튼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정해진 신호에 따라 고유ID를 생성하여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111)에 의해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120) 모두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master device 110 includes a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11 for performing picoCast-based communication with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120 (shown in FIG. 1) A first speaker 113 for audio output, a first input button 114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second input button 114 for outputting audi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button 114 And a first controller 115 for generating a unique ID and transmitting the unique ID to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120 by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11. [

제 1 제어부(115)는 미리 정해진 제 1 입력버튼부(114)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15)는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111)의 제 1 RF통신부(111b), 제 1 블루투스통신부(117), 제 1 오디오코덱(116a), 제 1 오디오증폭기(116b), 제 1 입력버튼부(114) 및 제 1 표시부(119) 등을 제어하고, 요청한 양방향 그룹통화 및 휴대폰(210) 착발신 음성통화(핸즈프리 기능)나 MP3 음악을 개별적 수행 또는 전체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15 may generate and store a protection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button unit 114. [ The first controller 115 controls the first RF communication unit 111b of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11,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17, the first audio codec 116a, the first audio amplifier 116b, 1 input button unit 114 and the first display unit 119 and performs control for individually performing the bidirectional group call and the voice call (hands-free function) or MP3 music of the cellular phone 210 I am responsible.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111)는 제 1 모뎀(111a), 제 1 RF통신부(111b), 제 1 RF통신안테나(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RF통신부(111b)는 제 1 RF통신안테나(111c)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 1 모뎀(111a)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복호화를 진행하고, 반대로 제 1 모뎀(111a)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부호화된 신호를 자신과 제 1 RF통신안테나(111c)를 통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11 may include a first modem 111a, a first RF communication unit 111b, and a first RF communication antenna 111c. The first RF communication unit 111b proceeds to decod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RF communication antenna 111c in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in the first modem 111a and in the code division multiplexing mode in the first modem 111a,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encoded in the connection mode via the first RF communication antenna 111c and itself.

마스터 장치(110)에 마련되는 제 1 오디오증폭기(116b) 및 제 1 오디오코덱(116a)은 제 1 마이크(11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고, 부호화하여 제 1 제어부(115) 또는 제 1 블루투스통신부(117)로 보내고, 반대로 제 1 제어부(115) 또는 제 1 블루투스통신부(117)로부터 수신하는 음성신호를 제 1 오디오코덱(116a)에서 복호화하고, 제 1 오디오증폭기(116b)에서 증폭하여 제 1 스피커(113)로 출력한다.The first audio amplifier 116b and the first audio codec 116a provided in the master device 110 amplify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112 and encode the audio signal,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15 or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17 is decoded by the first audio codec 116a and amplified by the first audio amplifier 116b And outputs it to the first speaker 113.

제 1 블루투스통신부(117)는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210)과 MP3 재생기(220)와 페어링을 통해 착발신 통화와 같은 핸즈프리 기능이나, 음악재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착발신 통화내용이나 재생중인 음악을 통신그룹내 전체 사용자에게 무선방송을 해줄 수 있다.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17 enables use of a handsfree function or a music playback function such as incoming / outgoing call through pairing with the mobile phone 210 having the Bluetooth function and the MP3 player 220, Music can be wirelessly broadcasted to all users in the communication group.

제 1 입력버튼부(114)는 미리 약속된 방식의 키를 누름으로써 그룹등록, 블루투스 단말기(210,220)의 페어링, 그룹통화, 방송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한다.The first input button unit 114 is used for group registration, pairing of the Bluetooth terminals 210 and 220, group call, and broadcasting functions by pushing a predetermined key in advance.

제 1 원격신호수신부(118)는 원격제어 장치(130)의 원격신호송신부(135)에서 입력 값을 수신받아 제 1 제어부(115)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remote signal receiving unit 118 receives the input value from the remote signal transmitting unit 135 of the remote controller 130 and transfers the input value to the first controller 115.

도 3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장치(120)는 마스터 장치(110; 도 2에 도시)와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121)와,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제 2 마이크(122)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 2 스피커(123)와, 신호 입력을 위한 제 2 입력버튼부(124)와, 마스터 장치(110)로부터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고유ID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를 생성하고, 그룹코드의 생성완료신호를 마스터 장치(110)에 송신하지 않고서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slave device 120 includes a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21 for performing picocas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110 (shown in FIG. 2), a second microphone 122 A second speaker 123 for inputting a signal, a second input button 124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unique ID received by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21 from the master device 110 And a second control unit 125 for generating a group c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pleting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without transmitting a group code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master device 110. [

제 2 제어부(125)는 미리 정해진 제 1 입력버튼부(114; 도 2에 도시)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와 동일한 제 2 입력버튼부(124)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제 1 제어부(115; 도 2에 도시)의 보호코드와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125)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121)의 제 2 RF통신부(121b), 제 2 블루투스통신부(127), 제 2 오디오코덱(126a), 제 2 오디오증폭기(126b), 제 2 입력버튼부(124) 및 제 2 표시부(129) 등을 제어하고, 요청한 양방향 그룹통화 및 휴대폰(210) 착발신 음성통화(핸즈프리 기능)나 MP3 음악을 개별적 수행 또는 전체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12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not shown) by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econd input button unit 124 which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predetermined first input button unit 114 115) (shown in FIG. 2). The second controller 125 controls the second RF communication unit 121b,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27, the second audio codec 126a, the second audio amplifier 126b, and the second RF communication unit 121b of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21, 2 input button unit 12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9 and controls to individually perform the bidirectional group call and the voice call (hands-free function) or MP3 music of the cellular phone 210 I am responsible.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121)는 제 2 모뎀(121a), 제 2 RF통신부(121b), 제 2 RF통신안테나(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RF통신부(121b)는 제 2 RF통신안테나(121c)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 2 모뎀(121a)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복호화를 진행하고, 반대로 제 2 모뎀(121a)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부호화된 신호를 자신과 제 2 RF통신안테나(121c)를 통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21 may include a second modem 121a, a second RF communication unit 121b, and a second RF communication antenna 121c. The second RF communication unit 121b decod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RF communication antenna 121c by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in the second modem 121a,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encoded in the connection mode via the second RF communication antenna 121c and itself.

슬레이브 장치(120)에 마련되는 제 2 오디오증폭기(126b) 및 제 2 오디오코덱(126a)은 제 2 마이크(12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고, 부호화하여 제 2 제어부(125) 또는 제 2 블루투스통신부(127)로 보내고, 반대로 제 2 제어부(125) 또는 제 2 블루투스통신부(127)로부터 수신하는 음성신호를 제 2 오디오코덱(126a)에서 복호화하고, 제 2 오디오증폭기(126b)에서 증폭하여 제 2 스피커(123)로 출력한다.The second audio amplifier 126b and the second audio codec 126a provided in the slave device 120 amplify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microphone 122 and encode the audio signal to encode the audio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controller 125 or the second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125 or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27 is decoded by the second audio codec 126a and amplified by the second audio amplifier 126b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peaker 123.

제 2 블루투스통신부(127)는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210)과 MP3 재생기(220)와 페어링을 통해 착발신 통화와 같은 핸즈프리 기능이나, 음악재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착발신 통화내용이나 재생중인 음악을 그룹내 전체 사용자에게 무선방송을 해줄 수 있다.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27 enables use of a handsfree function or a music playback function such as incoming / outgoing call through pairing with the mobile phone 210 having the Bluetooth function and the MP3 player 220, Music can be broadcasted wirelessly to all users in the group.

제 2 입력버튼부(124)는 미리 약속된 방식의 키를 누름으로써 그룹등록, 블루투스 단말기(210,220)의 페어링, 그룹통화, 방송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한다.The second input button unit 124 is used for group registration, pairing of the Bluetooth terminals 210 and 220, group call, and broadcasting functions by pushing a predetermined key in advance.

제 2 원격신호수신부(128)는 원격제어 장치(130)의 원격신호송신부(135)에서 입력 값을 수신받아 제 2 제어부(125)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remote signal receiver 128 receives the input value from the remote signal transmitter 135 of the remote controller 130 and transmits the received value to the second controller 125.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110) 및 슬레이브 장치(120)는 동작 및 설정 과정을 외부로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부(119,129)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입력버튼부(114,124)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210,22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블루투스통신부(117,127)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제어부(115,125)는 통신그룹(1; 도 1에 도시) 내의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 중 어느 하나와 제 1 또는 제 2 블루투스통신부(117,127)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210,220)의 착발신 통화 또는 재생 오디오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제 1 또는 제 2 입력버튼부(114,124)를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제 1 또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111,121)에 의해 송신하는 모든 마스터 장치(110) 또는 슬레이브 장치(120)에 방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110) 및 슬레이브 장치(120)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장치(130; 도 5에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119 and 129 for externally displaying operation and setting processe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s 117 and 127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s 210 and 2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button units 114 and 12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15 and 125 can communicate with either the master device 110 or the slave device 120 in the communication group 1 (shown in FIG. 1) and the first or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17 or 127, To the first or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111, 121), an operation signal outputted by operating the first or second input button unit (114, 124) in a predetermined manner in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playback audio of the terminals (210, 220) To be broadcast to all master devices 110 or slave devices 120 transmitting by the master device. And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device 130 (shown in FIG. 5) for remote control of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등록을 위한 등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a registration process for group registration in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통신그룹(1) 내 정상적인 통신 및 방송을 위하여,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간의 초기 그룹등록 절차를 진행한다. 통신그룹에 등록진행 및 통신운영을 위한 1대의 마스터 장치(110)는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며, 슬레이브 장치(120)의 수는 제한이 없다. 또한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에는 입력버튼 외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키보드는 없어도 된다.The initial group registration procedure between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is performed for normal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n the communication group 1. [ One master device 110 for registering in the communication group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operation must be present, and the number of the slave devices 120 is not limited. Further,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may not have a separate display screen or keyboard other than the input button.

먼저 마스터 장치(110)의 제 1 입력버튼부(114)의 제 1 등록버튼(114a)를 누르면 LED로 이루어진 제 1 표시부(119)가 점멸되면서 자신의 고유ID(11)를 이용하여 그룹코드(12)를 제 1 제어부(115)의 제 1 그룹코드제너레이터(115a)에서 생성한 후, 그룹등록 요청신호와 함께 고유ID를 통신그룹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에게 송신한다. 통신그룹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는 마스터 장치(110)로부터 고유ID가 도착하면, 제 2 표시부(129)가 점멸되고, 이때 제 2 입력버튼부(124)의 제 2 등록버튼(124a)을 누르면 마스터 장치(110)로 부터 수신한 고유ID(11)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22)를 제 2 제어부(125)의 제 2 그룹코드제너레이터(125a)에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통신그룹의 등록절차가 마무리되고, 이때 점멸중인 제 2 표시부(129)는 온(on) 상태로 바뀌게 되고, 정보보호를 위한 보호코드(23)를 등록하기 위해 준비한다.
When the first registration button 114a of the first input button unit 114 of the master device 110 is pressed, the first display unit 119 composed of LEDs is blinked and the group code 12 in the first group code generator 115a of the first control unit 115 and transmits a unique ID together with the group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all the slave devices 120 participating in the communication group. All the slave devices 120 participating in the communication group are blinked when the unique ID is received from the master device 110. At this time, the second registration button The first group code generator 125a of the second controller 125 generates and stores its own group code 22 using the unique ID 11 received from the master device 110 The registration procedure of the communication group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blinking second display unit 129 is turned on and prepares for registering the protection code 23 for information protection.

보호코드 등록절차는 마스터 장치(110)에서 미리 약속된 방식대로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가 따라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한다. 마스터 장치(110)에서 보호코드(13)를 생성하는 방식은 제 1 등록버튼(114a)을 누른 상태에서 미리 약속된 누름 횟수 만큼 제 1 입력버튼부(114)의 제 1 인터콤버튼(114b)을 짧게 눌러주면 제 1 표시부(119)가 점멸되고, 보호코드(13)가 제 1 제어부(115)의 제 1 보호코드제너레이터(115b)에서 생성이 완료되면 제 1 표시부(119)의 점멸이 멈추고 온(on)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에서도 제 2 입력버튼부(124)의 제 2 등록버튼(124a)을 누른 상태에서 마스터 장치(110)와 미리 약속된 누름 횟수 만큼 제 2 입력버튼부(124)의 제 2 인터콤버튼(124b)을 짧게 눌러주면 제 2 표시부(129)가 점멸되고, 보호코드(23)가 제 2 제어부(125)의 제 2 보호코드제너레이터(125b)에서 생성이 완료되면 제 2 표시부(129)의 점멸이 멈추고 온(on) 상태가 된다. 예컨대 마스터 장치(110)에서 누름 횟수를 5회로 약속하였다면, 마스터 장치(110)와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가 각각 제 1 및 제 2 등록버튼(114a,124a)을 각각 누른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인터콤버튼(114b,124b)을 5회 짧게 눌러주면 각각의 보호코드(13,23)가 생성된다. The protection code registration procedure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ll the slave devices 120 proce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nner in the master device 110. A method of generating the protection code 13 in the master device 110 is a method in which the first intercom button 114b of the first input button unit 114 is pressed b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resse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egistration button 114a is pressed The first display unit 119 is flickered when a short press is made and the first display unit 119 stops blinking when the protection code 13 is generated in the first protection code generator 115b of the first control unit 115, (on) state. Similarly, in all the slave devices 120, when the second registration button 124a of the second input button 124 is pressed,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of the second input button 124 b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pressing with the master device 110 The second display unit 129 is flickered if the second intercom button 124b is shortly pressed and the protection code 23 is generated in the second protection code generator 125b of the second control unit 125. [ 129 is stopped and turned on. The master device 110 and all the slave devices 120 hold the first and second registration buttons 114a and 124a respectively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registration buttons 114a and 124a are pressed respectively, When the two intercom buttons 114b and 124b are pressed five times shortly, the respective protection codes 13 and 23 are generat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100)의 경우, 종래의 기술처럼 마스터 장치가 통신그룹에 참여할 모든 슬레이브 장치와 한대씩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그룹코드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그룹에 참여할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에게 일괄적으로 고유ID만 전송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등록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는 없는 보호코드를 등록시켜 통신그룹의 정보보호를 위한 운영모드로 동작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장치(120)는 제 2 그룹코드제너레이터에서 고유ID(21)를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device sequentially performs group code registration procedures one by one with all the slave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communication group, The registration procedure can be simply performed by transmitting only the unique ID to all the slave devices 120 participating in the group at a time, and the protection code not in the prior art can be registered to protect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group To operate in an operating mode. While the slave device 120 may generate the unique ID 21 in the second group code generator.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제어 장치(130)는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버튼(131,132,133,134)와, 조작버튼(131,132,133,134)의 조작신호를 마스터 장치(110) 및 슬레이브 장치(120) 각각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원격신호수신부(118,128)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는 원격신호송신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제어부(115,125; 도 2 및 도 3에 도시)는 제 1 및 제 2 원격신호수신부(118,128)를 통해서 수신되는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 장치(130)의 사용은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간의 그룹 등록완료 및 블루투스 단말기(210,220)의 페어링이 완료된 후 사용할 수 있다. 5, the remote controller 130 includes operation buttons 131, 132, 133, and 134 for selecting operations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operation buttons 131, 132, 133, and 134 to the first and second slave devices 110 and 120, And a remote signal transmitter 135 for wirelessly transmitting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remote signal receivers 118 and 128 by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15 and 125 (shown in FIGS. 2 and 3) may output control signals to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mote signal receiving units 118 and 128 . The us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30 can be used after completion of group registration between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and after the pairing of the Bluetooth terminals 210 and 220 is completed.

조작버튼(131,132,133,134)에 대한 운영모드 동작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Operation modes of the operation buttons 131, 132, 133, and 134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그룹통신 요청 및 수행은 인터콤버튼(133)을 1회 짧게 또는 미리 정한 방식으로 누르면 마스터 장치(110)와 양방향으로 통화할 수 있다. 이때 통신그룹내 다른 사용자들도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를 통해서 이 통화내용을 모두 들을 수 있다.The group communication request and the execution can be bidirectionally communicated with the master device 110 by pressing the intercom button 133 one short time or in a predetermined manner. At this time, other users in the communication group can also hear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핸즈프리 기능의 방송 요청 및 수행은 휴대폰(210)의 착신통화의 경우 통화/종료버튼(131)을 1회 짧게 또는 미리 정한 방식으로 누르면 무선통화가 가능하고, 이 상태에서 방송버튼(134)을 1회 짧게 또는 미리 정한 방식으로 누르면 그룹 전체 사용자의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로 통화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신통화는 휴대폰(210)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 통화/종료버튼(131)을 1회 짧게 또는 미리 정한 방식으로 누르면 무선으로 발신통화 내용을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를 통해서 들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방송버튼(134)을 1회 짧게 또는 미리 정한 방식으로 누르면 통신그룹 전체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를 사용하여 통화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incoming call of the mobile phone 210, the call request and the execution of the handsfree function can be made by pressing the call / end button 131 one time shortly or in a predetermined manner.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contents of the call to the slave device 120 and the master device 110 of all the users of the group by shortly or in a predetermined manner. In addition, the outgoing call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by wirelessly transmitting the outgoing call by pressing the call / end button 131 once or in a predetermined manner by making a telephone call using the mobile phone 210 In this state, if the broadcast button 134 is short-circuited or pre-determin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ll communication group users can transmit the call content using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MP3 음악의 방송요청 및 수행은 MP3 재생기(220)를 구동한 후, 음악재생버튼(132)을 짧게 또는 미리 정한 방식으로 누르면 통신그룹 전체 사용자의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에게 음악을 전송할 수 있다.The request and execution of the MP3 music can be transmitted to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of all the communication groups of the communication group by pressing the music reproduction button 132 in a short or predetermined manner after driving the MP3 player 220, Lt; / RTI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ico cast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100)을 이용한 것으로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화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110)가 고유ID를 생성하여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에 의해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120) 모두에게 송신하는 단계(S11)와, 마스터 장치(110)로부터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에 의해 고유ID를 슬레이브 장치(120)가 수신받는 단계(S12)와, 슬레이브 장치(120)가 고유ID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를 생성하고, 그룹코드의 생성완료신호를 마스터 장치(110)에 송신하지 않고서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100)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의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6,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and performs a grouping registration procedure using a protoco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the master device (110) generates a unique ID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A step S12 of receiving the unique ID by the piconecast communication from the master device 110 by the slave device 120 and a step S12 of receiving the unique ID by the slave device 120 )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without generating a group code of its own using the unique ID and sending a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group code to the master device 110 (S 13). In the meantim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parts already described in the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슬레이브 장치(120)가 그룹등록과정(S13)을 완료하면, 마스터 장치(110)에서 미리 정해진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14)와, 마스터 장치(110)에서 미리 정해진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와 동일한 슬레이브 장치(120)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마스터 장치(110)의 보호코드와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4) causing the slave device 120 to generate and store a protection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button operation and the number of manipulations determined by the master device 110 when the slave device 120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S13; (S15) of generating and registering the same protection code as the protection code of the master device 110 based on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lave device 120 that is the same a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

통신그룹 내의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 중 어느 하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210,220)의 착발신 통화 또는 재생 오디오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피코캐스트 기반에 의한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모든 마스터 장치(110) 또는 슬레이브 장치(120)에 방송되도록 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playback audio of the terminals 210 and 220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either the master device 110 in the communication group or the slave device 120 in the communication group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utputted by operating the button in a pre- (S16) causing all master devices 110 or slave devices 120 to transmit by communication based on the broadcast.

마스터 장치(110) 및 슬레이브 장치(120)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 장치(130)에 의해서, 착발신 통화의 개시 및 종료, 오디오의 재생, 통신그룹 내의 마스터 장치(110) 또는 슬레이브 장치(120)와의 인터콤, 방송의 동작이 각각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art and end of incoming and outgoing calls and the reproduction of audio are perform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130 that remotely controls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Intercom, and broadcast operations,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여, 운용모드 전환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a procedure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120')간에 그룹 등록절차와 블루투스 단말기 사용을 위한 페어링(Pairing) 절차의 수행이 완료되면, 정상 운영모드로 동작되어 양방향 통신 및 그룹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휴대폰(210)의 핸즈프리 기능과 MP3 재생기(220)의 음악을 통신그룹내 사용자의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120')에게 방송할 수 있다. When the group registration procedure and the pairing procedure for using the Bluetooth terminal are completed between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s 120 and 120 ', the mobile terminal can operate in the normal operating mode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group communication, The handsfree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210 and the music of the MP3 player 220 can be broadcasted to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s 120 and 120 'of the user in the communication group.

마스터 장치(110)에 연결된 휴대폰(210)에 걸려온 착신통화를 하기 위해 통화/종료버튼을 누르면 무선통화가 가능하고, 이 상태에서 방송버튼을 누르면 방송모드로 전환되어 통신그룹 전체 사용자의 슬레이브 장치(120,120')에게 통화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10)의 휴대폰(210)의 통화내용을 수신하고 있는 도중에 슬레이브 장치(120)에서 인터콤버튼을 누르면 휴대폰(210)의 통화내용 수신이 중지되고, 그룹통화요청모드로 전환되어 마스터 장치(110)와 양방향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 통화내용은 통신그룹내 모든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전송된다.When the user presses a call / end button to make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phone 210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is state, when the broadcast button is pressed, the broadcast mode is switched to the slave device 120, 120 '). If the intercom button is pressed in the slave device 120 while receiving the contents of the call from the cellular phone 210 of the master device 110, the reception of the call content of the cellular phone 210 is stoppe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group call request mode, 110, and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ll users in the communication group.

슬레이브장치(120')는 연결되어 있는 MP3 음악을 듣기 위해 음악재생버튼을 누르면,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방송버튼을 누르면 방송모드로 전환되어 통신그룹 전체 사용자에게 MP3 음악을 전송할 수 있다.The slave device 120 'can listen to the music by pressing the music play button to listen to the connected MP3 music, and when the broadcast button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slave device 120' can switch to the broadcast mode and transmit MP3 music to all users of the communication group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 통화에 참여하고자 하는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간의 동기를 유지하면서 마스터 장치(110)로부터 고유ID를 받은 슬레이브 장치(120)는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룹코드제너레이터에서 자신의 그룹코드를 자동 생성시키게 되고 생성작업이 완료되면 별도로 마스터 장치(110)에 완료통보를 하지 않고 등록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는 마스터 장치(110)와 슬레이브 장치(120)간의 일대일 순차적인 등록절차가 아닌 그룹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120)를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which intend to participate in a group call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slave device 120 receiving the unique ID from the master device 110 maintains the group code in the group code generator by automatically pressing the button in a predetermined manner. When the generation of the group code is completed, The registration process is completed without notifying the completion of the registration process. This procedure can be solved by batching all the slave devices 120 to join the group, rather than a one-to-one sequential registration procedure between the master device 110 and the slave device 120.

또한 정보보호를 위한 보호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마스터 장치(110)에서 버튼을 누르는 방법과 동일하게 슬레이브 장치(120)도 동일한 버튼을 누르게 함으로써 보호코드제너레이터에서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게 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Also in the method of generating a protection code for information protection, the slave device 120 also presses the same button as the method of pressing the button on the master device 110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reby generating the same protection code in the protection code generator .

또한 블루투스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210), MP3 재생기(220)가 연결된 마스터 장치(110)나 슬레이브 장치(120)에서 미리 지정된 방식의 버튼을 누르면 착발신 통화내용(핸즈프리 기능)나 재생음악이 통신그룹 내에서 사용자 수에 제한없이 전체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a button of a predetermined type is pressed in a master device 110 or a slave device 120 to which a Bluetooth terminal such as the mobile phone 210 and the MP3 player 220 are connected, the incoming call content (hands-free function) To the entire user without limitation to the number of users.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 통신그룹 11,21 : 고유ID
12,22 : 그룹코드 13,23 : 보호코드
100 :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110 : 마스터 장치 111 :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
111a : 제 1 모뎀 111b : 제 1 RF통신부
111c : 제 1 RF통신안테나 112 : 제 1 마이크
113 : 제 1 스피커 114 : 제 1 입력버튼부
114a : 제 1 등록버튼 114b : 제 1 인터콤버튼
115 : 제 1 제어부 115a : 제 1 그룹코드제너레이터
115b : 제 1 보호코드제너레이터 116a : 제 1 오디오코덱
116b : 제 1 오디오증폭기 117 : 제 1 블루투스통신부
118 : 제 1 원격신호수신부 119 : 제 1 표시부
120 : 슬레이브 장치 121 :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
121a : 제 2 모뎀 121b : 제 2 RF통신부
121c : 제 2 RF통신안테나 122 : 제 2 마이크
123 : 제 2 스피커 124 : 제 2 입력버튼부
124a : 제 2 등록버튼 124b : 제 2 인터콤버튼
125 : 제 2 제어부 125a : 제 2 그룹코드제너레이터
125b : 제 2 보호코드제너레이터 126a : 제 2 오디오코덱
126b : 제 2 오디오증폭기 127 : 제 2 블루투스통신부
128 : 제 2 원격신호수신부 129 : 제 2 표시부
130 : 원격제어 장치 131,132,133,134 : 조작버튼
135 : 원격신호송신부 210,220 : 단말기
1: Communication group 11,21: Unique ID
12,22: Group code 13,23: Protection code
100: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110: master device 111: first pico cast communication part
111a: first modem 111b: first RF communication unit
111c: first RF communication antenna 112: first microphone
113: first speaker 114: first input button section
114a: first registration button 114b: first intercom button
115: first control section 115a: first group code generator
115b: first protected code generator 116a: first audio codec
116b: first audio amplifier 117: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part
118: first remote signal receiving unit 119: first display unit
120: Slave device 121: Second pico cast communication part
121a: second modem 121b: second RF communication unit
121c: second RF communication antenna 122: second microphone
123: second speaker 124: second input button section
124a: second registration button 124b: second intercom button
125: second control unit 125a: second group code generator
125b: second protected code generator 126a: second audio codec
126b: second audio amplifier 127: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section
128: second remote signal receiving unit 129: second display unit
130: Remote control device 131, 132, 133, 134: Operation button
135: remote signal transmitter 210, 220:

Claims (8)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화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으로서,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을 하는 마스터 장치와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 모두와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와,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제 1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 1 스피커와, 신호 입력을 위한 제 1 입력버튼부와, 상기 제 1 입력버튼부로부터 출력되는 정해진 신호에 따라 고유ID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피코캐스트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 모두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와,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제 2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 2 스피커와, 신호 입력을 위한 제 2 입력버튼부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고유ID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를 생성하고, 그룹코드의 생성완료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지 않고서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A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 grouping registration procedure using a protoco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A master device for performing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The master device comprises:
A first microphone for audio input, a first speaker for audio output, a first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second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performs pico-cast communication with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And a first controller for generating a unique I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button unit and transmitting the unique ID to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by the first picocast communication unit,
The slave device includes:
A second microphone for audio input; a second speaker for audio output; a second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second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A second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group code of the own device using the unique ID received by the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unit from the device and completing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without transmitting a group code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master device 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상기 제 1 입력버튼부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상기 제 1 입력버튼부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와 동일한 상기 제 2 입력버튼부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상기 제 1 제어부의 보호코드와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도록 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protection code is generated and stor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button unit,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d registers the same protection code as the protection code of the first control unit based on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econd input button unit that is the same a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button unit 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동작 및 설정 과정을 외부로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블루투스통신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통신그룹 내의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블루투스통신부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착발신 통화 또는 재생 오디오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입력버튼부를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피코캐스트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모든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에 방송되도록 제어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First and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s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by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button units, respectively, are provided An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are configured to: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playback audio of any one of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group and the terminal perform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y the first or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or second input button And controls the master device or the slave device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utput by operating the first or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section to be broadcast to all master devices or slave devices that transmit the operation signal by the first or second picocast communication s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장치는,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버튼; 및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 각각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원격신호수신부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는 원격신호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격신호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The remote control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for selecting an operation; And
And a remote signal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button to first and second remote signal receivers provided i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ann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are configured to: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mote signal receiving units.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화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가 고유ID를 생성하여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에 의해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 모두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피코캐스트 기반의 통신에 의해 상기 고유ID를 슬레이브 장치가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고유ID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코드를 생성하고, 그룹코드의 생성완료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지 않고서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
A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grouping registration procedure using a protoco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Generating a unique ID by the master device and transmitting the unique ID to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by pico cast-based communication;
Receiving the unique ID from the slave device by pico cast based communication from the master device; And
Wherein the slave device generates its own group code using the unique ID and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without sending a group code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master device.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그룹등록과정을 완료하면,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와 동일한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버튼 조작 및 조작 횟수에 의해 상기 마스터 장치의 보호코드와 동일한 보호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slave device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ss, generating and storing a protection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in the master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nd registering a protection code identical to the protection code of the master device by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lave device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operations in the master device,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6에 있어서,
통신그룹 내의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하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착발신 통화 또는 재생 오디오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피코캐스트 기반에 의한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모든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에 방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playback audio of the terminal perform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either the master device or the slav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group is transmitted by pico cast based communication Broadcasted to all master devices or slave devices that perform the pico cast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착발신 통화의 개시 및 종료, 상기 오디오의 재생, 통신그룹 내의 상기 마스터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의 인터콤, 상기 방송의 동작이 각각 수행되도록 하는, 피코캐스트 기반의 양방향 무선 그룹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n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wherein the start and end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the intercom with the master device or the slav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group, Wherein the pico-cast-based two-way wireless group communication method is performed.
KR1020140023884A 2014-02-28 2014-02-28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94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84A KR101394972B1 (en) 2014-02-28 2014-02-28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84A KR101394972B1 (en) 2014-02-28 2014-02-28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972B1 true KR101394972B1 (en) 2014-05-14

Family

ID=5089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884A KR101394972B1 (en) 2014-02-28 2014-02-28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64B1 (en) * 2019-01-04 2020-04-23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Wireless intercom system and group pairing method of wireless intercom system
KR102161379B1 (en) * 2019-05-28 2020-09-29 신상석 Simple and effective bluetooth switching hub implementation method for N:N bluetooth communic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097A (en) * 2007-04-27 2008-10-30 주식회사 카서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service
KR20100047142A (en) * 2008-10-28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ell id selection for femtocell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39662A (en) * 2009-10-12 2011-04-20 (주) 에이엠씨 Interactive grou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043303B1 (en) * 2009-11-24 2011-06-22 (주) 피코캐스트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interference free Relay among short ranged pico-cel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097A (en) * 2007-04-27 2008-10-30 주식회사 카서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service
KR20100047142A (en) * 2008-10-28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ell id selection for femtocell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39662A (en) * 2009-10-12 2011-04-20 (주) 에이엠씨 Interactive grou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043303B1 (en) * 2009-11-24 2011-06-22 (주) 피코캐스트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interference free Relay among short ranged pico-cel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64B1 (en) * 2019-01-04 2020-04-23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Wireless intercom system and group pairing method of wireless intercom system
WO2020141709A1 (en) * 2019-01-04 2020-07-09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Wireless intercommunication system and group pairing method of intercommunication system
US11889573B2 (en) 2019-01-04 2024-01-30 Sena Technologies Inc. Wireless intercommunication system and group pairing method of intercommunication system
KR102161379B1 (en) * 2019-05-28 2020-09-29 신상석 Simple and effective bluetooth switching hub implementation method for N:N bluetooth commun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9015B (en) For enabling the method and wireless device of the full duplex call of the Direct Model between wireless device
KR101123118B1 (en) An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in a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JP2007013541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068340B1 (en)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Having Increased Coverage
JP2014204398A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1294777A (e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of Bluetooth audio transmitter
KR102110015B1 (en) Smartwatch with function of digital walkie-talkie
JP2013048323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394972B1 (en) Picocast-based two-way radio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279669A (en) Smart phone and bluetooth headset with digital two-way radio function
JP2006352411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2007013617A (en) On-vehicle radio unit
KR101343071B1 (en) The conference call method using time division communication in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4017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701206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broadcasting through bluetooth module
US7376416B2 (en) Subscriber radiotelephone terminal unit and terminals for such units
KR101774842B1 (en) The alone listening remocon having hands-free function
JP2009077122A (en) Doorphone system
KR100771975B1 (en) Integrated audio controller
KR20050040544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group calls and its method
KR20040106786A (en) Wireless receive-send system using bluetooth and mehod thereof
KR100922000B1 (e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for bidirectional audio data communication based on binary cdma
JP2571297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JP469671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539255B2 (en) Loudspeaker calling method and radio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