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461B1 -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461B1
KR101392461B1 KR1020110110299A KR20110110299A KR101392461B1 KR 101392461 B1 KR101392461 B1 KR 101392461B1 KR 1020110110299 A KR1020110110299 A KR 1020110110299A KR 20110110299 A KR20110110299 A KR 20110110299A KR 101392461 B1 KR101392461 B1 KR 10139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pipe
wall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012A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수 filed Critical 정상수
Priority to KR102011011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4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00Other 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고온의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일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된 외벽과, 외벽 내부에 내벽이 일체로 결합되되, 내벽은 외벽 측부와 상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채워지며, 가열된 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수조; 상기 내벽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의 물이 출입되고,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수관; 상기 내벽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에 채워진 증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증기가 과열증기로 변환되는 증기관, 및 상기 수관과 증기관에 각각 독립적으로 열을 가하는 버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끓이는 수관과 증기를 재가열하는 증기관의 별도 구성과, 수관과 증기관을 가열하는 버너를 각각 구성하여 버너의 열량 및 가스 소비량의 조절과 식품의 조리온도별 온도 조절, 증기온도 및 증기량의 조절 등이 용이하고, 그리고 보일러의 크랙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Boiler for Cooking of Food}
본 발명은 식품 조리를 위한 과열증기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고온의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연료의 연소열을 물 등에 전달하여 온도와 압력이 높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보일러는 화력발전소나 선박 등의 증기기관 또는 각종 공장의 작업용이나 난방용 장치 등에 증기를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더욱이 보일러는 구조상 여러 종류로 나누어지고, 그 중에서 강제순환식 보일러에 해당하는 관류보일러(Once through boiler)는 수관 및 긴 관 등을 휘어서 만든 관만의 보일러로서, 강제 관류 보일러라고도 하는데, 긴 관의 한쪽 끝에서 급수하고 펌프로 압송하여 도중에서 차례로 가열, 증발 및 과열되어 관의 다른 한쪽 끝에서 과열증기가 송출되는 형식의 보일러이다. 관류보일러는 고압증기의 발생에 적합하고, 특히 초임계압 보일러인 경우에는 강제순환식 보일러의 일종이다.
과열증기(Superheated Vapor)는 보일러 안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력의 변화 없이 가열한 열량이 높은 증기이다. 압력을 일정하게 해 두고 액체를 가열하면 온도가 올라가고, 일정온도에 달하면 증발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다시 가열하더라도 전부가 증발할 때까지는 온도가 변하지 않고 액체와 증기가 공존한다. 이것을 습윤포화증기라 하고, 전부 증기가 되어 버린 것을 건조포화증기라 한다. 건조포화증기를 다시 가열하면 증기의 온도는 상승하는데, 이것을 과열증기라 한다. 이 증기를 이용하면 보일러나 엔진, 터빈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과열증기는 물을 비등시켜 발생한 증기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가열하여 생성된 100℃ 이상의 고온 무색의 투명한 기체이다. 공기에 의한 전열은 대류전열에 한하지만, 과열증기는 대류전열에 추가로 방사전열과 응축전열에 의한 전열을 함으로써 열효율이 높아 음식의 조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대류전열의 경우에는 과열증기의 전열속도가 가열공기에 비하여 약 10배 정도 빠르다. 특히 저 산소상태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피 가열물의 산화 및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과열기(Superheater)는 가압된 압력 10kg/㎤G 시 183.3℃의 증기를 생산하고, 통상적으로는 7~8kg/㎤G 시 170℃의 증기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저압의 과열증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1차 가열된 증기를 버너로 직접 가열하거나 히터를 이용하여 축온재 등을 간접 가열하는 방법과 전자유도 가열하는 방식이 있다.
고온의 과열증기는 식품산업이나 건조산업 또는 환경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즉 식품의 조리나 건조, 농축, 살균, 멸균이나,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돼지나 소 등의 동물배설물의 건조 등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 각종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보일러는 단일의 버너를 사용하므로 버너의 열량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았다. 즉 단일의 버너로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를 2차 가열하여 과열증기의 생성을 한 번에 실현함으로써 가스의 소비절감을 위하여 버너의 밸브를 조절하게 되면 증기량이 많아져 온도가 낮아지고 증기량이 적어지면 증기온도가 너무 상승하여 식품 조리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 증기를 발생하는 수관과 2차 가열관이 동시에 버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스소비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가스소비량을 조절하더라도 온도와 증기량이 변동하므로 결국 식품 조리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과열증기 보일러는 수관과 2차 가열관을 일자형으로 절단 및 용접하여 결합함으로 수관과 2차 가열관이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하는 동안 물탱크에 크랙이 발생하여 저장된 물이 누수되거나 증기가 누출되는 등 유지 및 보수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보일러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0858호(2005.10.20.공개, 발명의 명칭; 컨벡션 오븐의 증기 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993호(2011.11.16.공고, 발명의 명칭; 전열 증기 취사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조리 온도별로 증기량과 온도의 조절과 가스소비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식품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 내부의 수관과 증기관의 수축팽창에 따른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보일러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가 간편하며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는, 내부에 일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된 외벽과, 외벽 내부에 내벽이 일체로 결합되되, 내벽은 외벽 측부와 상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채워지며, 가열된 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수조; 상기 내벽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의 물이 출입되고,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수관; 상기 내벽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에 채워진 증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증기가 과열증기로 변환되는 증기관, 및 상기 수관과 증기관에 각각 독립적으로 열을 가하는 버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조의 외벽 일측과 연통되어 수조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수조의 외벽 일측과 연통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수조의 외벽과 내벽 사이 저면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모이는 퇴적부와, 퇴적부에 연결되어 수조 내부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이 포함되고, 상기 수위감지부의 수위감지에 의하여 물공급관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개폐되고,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배수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관은 직선형으로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내벽에 연통되는 구조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관은 코일형으로 양단이 내벽에 연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관은 반원형으로 상부는 직선이고 하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증기관은 코일형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내벽에 연통되고 증기가 유출되는 출구는 수조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증기관은 이중 코일형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내벽에 연통되고 증기가 유출되는 출구는 수조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증기관은 반원형으로 상부는 직선이고 하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너에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되고, 가스공급관에는 수관을 가열하는 수관가열용 버너와 증기관을 가열하는 증기관가열용 버너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단독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수관가열용 버너로 연결된 제1공급관과 증기관가열용 버너로 연결된 제2공급관이 구비되고,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에는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너에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되고, 가스공급관에는 수관을 가열하는 수관가열용 버너와 증기관을 가열하는 증기관가열용 버너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단독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관가열용 버너와 증기관가열용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댐퍼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가스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벽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수관 및 증기관 단부는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접합되고, 수관 및 증기관이 접합된 내벽 단부에 대응하는 외벽에 형성된 통공에 개폐가 가능한 점검용 플레이트 및 개스킷(Gasket)이 고정부재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벽 표면에 보온을 위한 단열재가 설치되고, 단열재 외관에 케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끓이는 수관과 증기를 재가열하는 증기관의 별도 구성과, 수관과 증기관을 가열하는 버너를 각각 구성하여 버너의 열량 및 가스 소비량의 조절과 식품의 조리온도별 온도 조절, 증기온도 및 증기량의 조절 등이 용이하고, 그리고 보일러의 크랙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관 및/또는 증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관 및 증기관의 접합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에 댐퍼 방식으로 가스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는 공급된 물을 가스 등의 연료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를 2차 가열하여 과열증기로 변환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보일러에서 배출된 과열증기는 각종의 식품 조리를 위하여 사용된다.
도 2에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수되고, 물의 가열로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는 수조(10)가 구비된다. 수조(10)는 내부에 일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된 외벽(11)이 구성되고, 외벽(11) 내부에는 내벽(12)이 일체로 결합된다. 내벽(12)은 외벽(11) 측부와 상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물의 가열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진다. 즉 수조(10)는 외벽(11) 내측 중앙부로부터 상부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내벽(12)이 설치되어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 물과 증기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수조(10)는 외벽(11) 일측과 연통되어 수조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7)이 연결된다. 물공급관(17)은 대략 내벽(12) 하부로 연결되고, 물공급관(17)에는 물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8)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조(10)의 외벽(11) 일측과 연통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16)가 설치된다. 수위감지부(16)는 수조(10) 내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센서는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 수조(1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수위감지부(16)에서 감지된 수위정보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개폐밸브(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위감지부(16)의 감지신호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입력되어 제어장치가 개폐밸브(18)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밸브(18)는 전자 제어되는 밸브인 것이 좋다. 또한, 수조(10)의 외벽(11)과 내벽(12) 사이 저면에는 수조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모이는 퇴적부(13)가 형성된다. 내벽(12) 저면에 형성되는 퇴적부(13)는 가장 낮은 곳에 형성되는 것이 좋고, 내벽(12)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도 좋다. 퇴적부(13)에는 수조(10) 내부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4)이 연결된다. 배수관(14)에는 개폐밸브(15)가 구비되어 개폐밸브(15)의 개방으로 수조(10)에 저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물이 배출되면서 퇴적부(13)에 쌓여 있는 침전물이 같이 배출되도록 한다. 침전물은 물에 녹아 있는 이물질이나 수관이나 증기관으로부터 탈리된 스케일 등으로, 황산칼슘, 중탄산칼슘, 중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실리카 또는 유지분 등이 포함될 것이다. 퇴적부(13)에 퇴적된 침전물을 과열증기와 섞여 조리 중인 식품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퇴적부(13)에 퇴적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좋다.
수관(20)은 수조(10)의 내벽(12)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의 물이 출입되고,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것이다. 수관(20)은 직선형으로 일단은 폐쇄되어 막혀있고 타단은 내벽(12)과 연통되어 물이 출입되는 구조이다. 수관(20)은 내벽(12)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벽(12)에 상하방향으로 3단의 수관이 형성되어 있지만, 내벽(12)에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수관(20)이 형성될 수 있고, 내벽(12)에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수관(2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수관(21)은 코일형으로 양단이 내벽(12)에 연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수관(21)이 가열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보일러의 용량에 따라 수관(21)의 길이나 직경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수관(21)이 코일형인 경우에 수관(21)은 반원형으로 상부는 직선이고 하부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수관(21)이 가열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증기관(30)은 수조(10)의 내벽(12)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에 채워진 증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증기가 버너(40)로부터 가해진 열에 의하여 과열증기로 변환되는 것이다. 증기관(30)은 코일형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입구(30a)는 수조(10)의 내벽(12)과 연통되고 증기가 유출되는 출구(30b)는 수조(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증기관(30)의 입구는 증기가 채워진 내벽(12) 상부에 연통되고 출구는 내벽(12)과 외벽(11)을 관통하여 과열증기가 공급되는 공급관 등으로 연결된다. 코일형상의 증기관(30)은 가열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보일러의 용량에 따라 증기관(30)의 길이나 직경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증기관(31)은 이중 코일형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입구(31a)는 내벽(12)에 연통되고 증기가 유출되는 출구(31b)는 수조(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코일형으로 형성된 증기관(31) 내측에 다시 코일형으로 증기관이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시 이중 코일형상의 증기관(31)은 가열되는 면적을 더욱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코일형 증기관(30, 31)은 반원형으로 상부는 직선이고 하부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증기관(30, 31)이 가열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버너(40)는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에 각각 독립적으로 열을 가하는 것이다. 버너(40)는 발열을 위한 다양한 연료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버너(40)에는 메인 가스공급관(41)이 연결되고, 가스공급관(41)에는 수관(20, 21)을 가열하는 수관가열용 버너(46)와 증기관(30, 31)을 가열하는 증기관가열용 버너(47)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도 8에서, 버너(40)는 각각 단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일로 구성된 일체형 버너는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버너(40)의 오른쪽은 수관(20, 21)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왼쪽은 증기관(30, 31)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일의 버너로 수관을 가열하거나 증기관을 가열하거나 수관과 증기관 모두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버너(40)는 수관과 증기관을 각각 가열할 수 있는 별도의 버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버너(40)로 연결된 가스공급관(41)에는 수관가열용 버너(46)로 연결된 제1공급관(42)과 증기관가열용 버너(47)로 연결된 제2공급관(44)이 구비되고, 가스공급관(41)과 제1공급관(42) 및 제2공급관(44)에는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밸브(43, 4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가스공급관(41)에 분기된 제1공급관(42)의 조절밸브(43)로 수관가열용 버너(46)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할 수 있고, 제2공급관(44)의 조절밸브(45)로 증기관가열용 버너(47)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버너(40)에는 수관가열용 버너(46)와 증기관가열용 버너(47)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댐퍼조절부재(49)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조절부재(49)는 가스공급관(41)에는 가스공급관을 통하여 수관가열용 버너(46)에 연결된 제1공급관(42)과 증기관가열용 버너(47)에 연결된 제2공급관(44)으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노브(도시하지 않음)의 좌우 조절로 수관가열용 버너(46)와 증기관가열용 버너(47)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수조(10)의 내벽(12)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수관(20, 21) 및 증기관(30, 31) 단부는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관(20, 21) 및 증기관(30, 31)이 접합된 내벽(12) 단부에 대응하는 외벽(11)에 개폐가 가능한 점검용 플레이트(50) 및 개스킷(Gasket)(51)이 고정부재(52)로 각각 결합된다. 개스킷(51)은 수조(10)에 저수된 물이 누수되거나 수조에서 발생된 증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테프론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보일러의 외벽(11) 외측으로 케이스(26)가 결합되고, 외벽(11)과 케이스(26) 사이에는 보온을 위한 단열재(2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수조(10)에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지면 수관(20)에도 물이 채워지고, 증기관(30)에는 증기가 채워지기 전 상태이다. 버너(40)를 점화시키면 버너(40)에서 발생된 화염이 수관(20)과 증기관(30)에 각각 가해진다. 이때, 증기관(30)에는 화염이 가해지지 않거나 최소로 가해질 수 있도록 제2공급관(44)에 구비된 조절밸브(45)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조에서 증기가 발생되어 증기관(30)으로 증기가 유입될 때에 증기관가열용 버너(47)가 정상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수관가열용 버너(46)에서 발생된 화염에 의하여 수관(20)이 가열되면 수관으로 유입된 물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은 증기로 기화되어 수조(10) 상부에 채워진다. 증기는 증기관(30)의 입구를 따라 증기관으로 유입되고, 증기관에 유입된 증기는 증기관가열용 버너(47)에서 발생된 화염으로 2차 가열된다. 따라서 증기는 증기관(30)을 거치면서 고온의 과열증기로 변환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수조(10) 내에 저수된 물이 증기로 기화되어 줄어들면 수위감지부(16)의 감지로 물공급관(17)의 개폐밸브(18)가 개방되어 수조(10)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증기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수관가열용 버너(46)의 화력을 높이고, 과열증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증기관가열용 버너(47)의 화력을 높이면 될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수관(21)을 코일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코일형 수관(21)의 가열면적을 증대시켜 더욱 많은 증기량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의 실시예는. 코일형 수관(21)과, 증기관(31)을 코일형으로 형성하되 이중 코일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중 코일형 증기관(31)의 가열면적을 증대시켜 더욱 고온의 과열증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일러의 수관이나 증기관의 노후화나 사용 중에 수관이나 증기관의 크랙이나 망실에 의하여 물의 누수되거나 증기가 누출되는 경우에 수관(20, 21) 및/또는 증기관(30, 31)을 교체할 수 있다. 먼저,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을 교체하기 전에 배수관(14)의 개폐밸브(15)를 개방시켜 수조(10)에 저수된 물과 퇴적부(13)에 퇴적된 침전물 등을 배출시킨다. 수조(10) 내에 저수된 물을 모두 배출시킨 후에는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을 보일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외벽(11)에 형성된 통공(12a)에 고정부재(52)로 결합된 개스킷(51) 일체형 점검용 플레이트(50)를 분리시킨다. 점검용 플레이트(50)가 분리되면 외벽(11) 안쪽으로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 단부와 내벽(12)이 접합된 부분이 개방된다. 여기에서 접합된 부분을 용접기 등으로 절단하면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을 분리할 수 있다. 절단 분리된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은 케이스(26), 단열재(25) 및 버너(40)를 각각 분리한 후에 교체가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교체하기 위한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을 각각 내벽(12)의 접합부에 위치시킨 다음에 용접기로 용접하여 결합시킨다. 수관(20, 21)과 증기관(30, 31)의 교체가 완료되면 각각 해당하는 외벽(11)에 점검용 플레이트(50)를 고정부재(52)로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관과 증기관에 각각 화염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버너를 구비하여 수관과 증기관을 통해 각각 증기량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과, 침전물의 배출로 청결한 증기를 공급할 수 있고, 수관이나 증기관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의 간편성 등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수조 11: 외벽 12: 내벽 13: 퇴적부 14: 배수관 15, 18: 개폐밸브 16: 수위감지부 17: 물공급관 20, 21: 수관 25: 단열재 26: 케이스 30. 31: 증기관 40: 버너 41: 가스공급관 42: 제1공급관 43, 45: 조절밸브 44: 제2공급관 46: 수관가열용 버너 47: 증기관가열용 버너 48: 조절밸브 49: 댐퍼조절부재 50: 플레이트 51: 개스킷 52: 고정부재

Claims (12)

  1. 내부에 일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된 외벽과, 외벽 내부에 내벽이 일체로 결합되되, 내벽은 외벽 측부와 상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채워지며, 가열된 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수조;
    상기 내벽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의 물이 출입되고,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수관;
    상기 내벽 일측에 수조와 연통되어 수조에 채워진 증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증기가 과열증기로 변환되는 증기관, 및
    상기 수관과 증기관에 각각 독립적으로 열을 가하는 버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외벽 일측과 연통되어 수조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수조의 외벽 일측과 연통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수조의 외벽과 내벽 사이 저면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모이는 퇴적부와, 퇴적부에 연결되어 수조 내부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이 포함되고, 상기 수위감지부의 수위감지에 의하여 물공급관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개폐되고,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배수관에 설치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관은 직선형으로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내벽에 연통되는 구조로 하나 이상 설치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관은 코일형으로 양단이 내벽에 연통되어 설치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관은 반원형으로 상부는 직선이고 하부는 원호 형상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관은 코일형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내벽에 연통되고 증기가 유출되는 출구는 수조를 관통하여 설치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관은 이중 코일형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내벽에 연통되고 증기가 유출되는 출구는 수조를 관통하여 설치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관은 반원형으로 상부는 직선이고 하부는 원호 형상인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되고, 가스공급관에는 수관을 가열하는 수관가열용 버너와 증기관을 가열하는 증기관가열용 버너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단독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수관가열용 버너로 연결된 제1공급관과 증기관가열용 버너로 연결된 제2공급관이 구비되고,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에는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각각 구비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되고, 가스공급관에는 수관을 가열하는 수관가열용 버너와 증기관을 가열하는 증기관가열용 버너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단독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관가열용 버너와 증기관가열용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량을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댐퍼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가스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구비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수관 및 증기관 단부는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접합되고, 수관 및 증기관이 접합된 내벽 단부에 대응하는 외벽에 형성된 통공에 개폐가 가능한 점검용 플레이트 및 개스킷(Gasket)이 고정부재로 각각 결합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표면에 보온을 위한 단열재가 설치되고, 단열재 외관에 케이스가 설치된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KR1020110110299A 2011-10-27 2011-10-27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KR10139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99A KR101392461B1 (ko) 2011-10-27 2011-10-27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99A KR101392461B1 (ko) 2011-10-27 2011-10-27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12A KR20130046012A (ko) 2013-05-07
KR101392461B1 true KR101392461B1 (ko) 2014-05-07

Family

ID=4865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299A KR101392461B1 (ko) 2011-10-27 2011-10-27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6102B (zh) * 2018-12-29 2024-04-09 吴荣彪 一种双蒸汽锅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05Y1 (ko) 2006-03-03 2006-05-26 주식회사 화진 스팀보일러
KR100910594B1 (ko) 2008-02-11 2009-08-03 (주)청명씨에스 보일러 승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05Y1 (ko) 2006-03-03 2006-05-26 주식회사 화진 스팀보일러
KR100910594B1 (ko) 2008-02-11 2009-08-03 (주)청명씨에스 보일러 승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12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072B2 (en) Steam cooker and related superheater
CA1219545A (en) Water heater and distiller apparatus
US20060107943A1 (en) Steam oven system having steam generator with controlled fill process
CN110290706A (zh) 蒸汽发生器及与其相关的蒸汽烹饪***
US9121602B2 (en) Steam generator
KR100597429B1 (ko) 관류 보일러
KR101392461B1 (ko) 식품 조리용 과열증기 보일러
RU2363890C2 (ru) Топливная печь
RU247023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а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021123B1 (ko) 하이브리드 응축형 노통 연관식 보일러
KR20110112970A (ko) 다용도용 과열증기 발생장치
KR100699446B1 (ko) 다목적 폐열 회수기
CN105266568A (zh) 蒸箱装置及具有锅炉的蒸箱装置
KR101870944B1 (ko) 클린 스팀보일러
KR200443857Y1 (ko) 장작 보일러
JP5739229B2 (ja) 過熱蒸気発生器
CN205535718U (zh) 一种蒸汽发生装置及蒸柜
RU2472071C1 (ru) Печь
KR20110122293A (ko) 조리기구에 사용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RU114752U1 (ru) Паровой котел
RU27610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ара в нем
CZ308268B6 (cs) Parní kotel pro spalování odpadů
US1960910A (en) Steam generator and boiler
RU2802383C1 (ru) Котёл кормоварочный
RU79025U1 (ru) Котел кормовароч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