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552B1 - 홈 게이트웨이와 광대역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세션들의 관리를 통한 전력 절감 - Google Patents

홈 게이트웨이와 광대역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세션들의 관리를 통한 전력 절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552B1
KR101390552B1 KR1020127014375A KR20127014375A KR101390552B1 KR 101390552 B1 KR101390552 B1 KR 101390552B1 KR 1020127014375 A KR1020127014375 A KR 1020127014375A KR 20127014375 A KR20127014375 A KR 20127014375A KR 101390552 B1 KR101390552 B1 KR 10139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elegated
home gateway
access node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824A (ko
Inventor
롤프 빈터
한스-외르크 콜베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광대역 접속을 갖는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 (2) 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내에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에 홈 게이트웨이 (4) 를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 - 는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의 액세스 노드 (8) 에 부착되고, 상기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기 (2) 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위임하여 그 현재 상태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또는 관련 엔티티 -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 에 트랜스퍼하는 단계, 및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내에서 상기 서비스 (5) 를 동작시키는 동안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와 상기 액세스 노드 (8)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응 시스템이 기재된다.

Description

홈 게이트웨이와 광대역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세션들의 관리를 통한 전력 절감{POWER SAVING THROUGH MANAGEMENT OF SESSIONS BETWEEN A HOME GATEWAY AND A BROADBAND ACCESS NODE}
본 발명은 광대역 접속 (broadband connection) 을 갖는 단말기들에 대한 서비스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말기들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 -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 - 는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에 부착된다.
글로벌 워밍 및 오염은 가능하면 언제나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는, 다이얼-업 유형 반응 (dial-up like behavior) 에서 "항상" 접속 모드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광대역 액세스에 또한 점점 더 적용된다. 서비스를 수행하는 네트워크에 항상 접속되어 있는 것은, 텔레포니 또는 응급 경고 서비스에 대해 요청되는 것과 같이, 언제나 네트워크로부터 도달가능한 가능성 및 빠른 서비스 셋업 시간의 이점을 갖는다. 이 "항상 on" 접근방식이 갖는 문제점은, 고객 댁내 (customer premises) 의 디바이스, 통상적으로는 로컬 게이트웨이 또는 홈 게이트웨이, 예를 들어, 모뎀 또는 라우터가, 확립된 액세스 노드를 향한 물리적 접속을 유지하고 전체 동작 모드 (full operational mode) 에 머문다는 것이다. 이는, 고객에 의해 접속이 능동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은 (즉, 외부, 예를 들어, 텔레포니로부터 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에 도달가능성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가입자마다 액세스 접속의 양 말단에서 몇 와트의 전력을 영구적으로 소비한다. 배치된 광대역 액세스 라인의 수만큼 값을 승산하는 것은 분명히 수용 불가한 에너지의 낭비로 유도한다.
광대역 액세스 환경에서 전력 절감을 어드레싱하는 수많은 접근방식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ITU 에서의 노력은 몇몇 저전력 상태, 예를 들어, xDSL (디지털 가입자 라인; Digital Subscriber Line) 및 xPON (수동 광 통신망; Passive Optical Network) 의 정의를 유도하였다. 디바이스들 및 라인들의 전체 셧다운에서 슬립 모드들의 상이한 상태들에 이르는 범위의 이러한 노력은, 예를 들어, Elmar Trojer, Per Erik Eriksson 의“Power Saving Modes for GPON and VDSL2”에서 설명된다.
다른 해결책은, 특정 전력 절감 모드를 어드레싱하는 US 7,369,566 A1 에서 설명된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의 감소된 레이트로 송신될 때, 데이터 송신에 대한 감소된 전력을 갖는 모드가 확립되고, 즉, DSL 모뎀들이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주어진 트래픽 패턴에 대해 가장 낮은 가능한 레이트를 이용하도록 레이트-적응된다. 유사한 접근방식이 US 6,721,355 B1 에 개시된다.
US 2006/0274764 A1 에 설명된 또 다른 해결책에 따르면, 항상-on 서비스들을 처리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일부들은 일시적으로 스위치 오프되는 반면에, 텔레포니와 같은 항상-on 서비스들은 항상 전력 공급되어 유지된다.
US 2007/0218861 A1 는, 기본 기술에서 전력 절감 잠재력을 레버리징하는데 촛점을 맞춘 DOCSIS (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모뎀에서 전력 절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고객 댁내 네트워크 (예를 들어, 텔레포니) 에서 호스팅된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도달가능성의 손실이다. 배치 시나리오 (BRAS-중심 대 계층-3 모델) 에 의존하여, 엔드포인트 및/또는 액세스 라인들이 셧다운되는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 특정 절차 및 킵얼라이브 (keepalive) 방법들이 처리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모든 해결책들이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방법을 어드레싱하고, 이러한 방법들이 슬립 상태로 진행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액세스 라인을 허용하지만, 이 방법들은 항상-on 서비스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이용가능성의 유지보수를 정밀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저한 에너지 절감이 달성되는 반면에 액세스 라인이 슬립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에 놓일 수 있는 동안에도 외부로부터 트리거될 수 있는 서비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동시에 여전히 동작하는 방식으로, 초기에 설명된 유형의 광대역 접속을 갖는 단말기들에 대한 서비스 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을 개선하고 더 개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 청구항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위임하여 그 현재 상태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노드 또는 관련 엔티티 -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 에 트랜스퍼하는 단계, 및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내에서 상기 서비스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상기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 14 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 청구항에 따르면,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위임하여 그 현재 상태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노드 또는 관련 엔티티 -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 에 트랜스퍼하는 위임 수단, 및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내에서 상기 서비스를 동작시키는 동안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상기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대역 접속들을 갖는 단말기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기존의 해결책들은, 액세스 라인, 홈 게이트웨이 및/또는 그들의 단말기가 셧다운되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의 홈 네트워크의 도달가능성이 없어진다는 문제점을 겪는다는 것을 먼저 인식하였다. 홈 게이트웨이가, 예를 들어, 턴 오프된 경우, 홈 게이트웨이가 어디 있는지를 판정하고 웨이크업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그 후에 결국, NGN - Next Generation Network 로 더욱 일반적으로 지칭됨) 내에서 서비스에 대한 어떠한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는다.
해결책으로서,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 (의 일부) 를 셧다운하기 전에, 전혀 턴 오프되지 않는 액세스 노드로 NGN 측으로부터의 영구적인 도달가능성을 요구하는 서비스들을 위임하도록 제안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노드를 향한 접속은 서비스가 고객에 의해 현재 능동적으로 이용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모니터링된다. 액세스 라인 및/또는 홈 게이트웨이를 셧다운하기 위한 조건이 (예를 들어, 사전정의된 또는 동적으로 적응하는 정책들에 의존하여) 충족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현재 이용되지 않는 서비스가 위임되고 그 현재 상태 및/또는 데이터는 그 후에 결국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로 지칭되는 NGN 내의 다른 엔티티에 또는 액세스 노드에 트랜스퍼된다. 즉, 위임된 서비스는 NGN 을 향한 오리지널 서비스의 임무 및 절차를 인계한다. 예를 들어, 위임은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위임의 결과로서, 서비스는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 동작되고, 액세스 노드와 홈 게이트웨이 사이의 IP 세션은 해제될 수 있다. 이는, 하부 계층 (2) 및 계층 (1) 접속을 해제하도록 허용한다. 이 접속을 셧다운하는 것은 오퍼레이터와 고객 측 모두에서 광대역 액세스의 에너지 풋프린트를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서비스들/애플리케이션들의 아웃소싱 및 고객 댁내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오퍼레이터 도메인 내의 네트워크 엔티티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 로의 그 상태의 트랜스퍼는 서비스들/애플리케이션들의 접속성 및 도달가능성을 잃지 않고 효과적인 전력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용어 "서비스" 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이해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특정 서비스들이 온라인인 것과는 관계없다. 특히, 이 특정 서비스들은 네트워크 관리 및 접속 (attachment) 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들뿐만 아니라 사용자들 (예를 들어, VoIP) 을 향해서 전달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홈 게이트웨이" 는 상주하는 사용자들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용되지만, 이러한 용도의 경우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특히, 용어 "홈 게이트웨이" 는 비지니스 및/또는 기업 사용자들에 대해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 도메인 내의 액세스 노드) 내의 그리고 로컬 고객 네트워크의 홈 게이트웨이 내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배치만을 요구하는 로컬 방법이기 때문에, 임의의 특별한 노력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세스 노드에 제공된 전력 및 메모리 프로세싱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의 나머지는 본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기 및/또는 홈 게이트웨이는, 서비스가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로 위임된 후, 전력을 낮추거나 또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들이 셧다운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의 도달가능성 및 접속성은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로의 서비스의 아웃소싱으로 인해 여전히 보증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기의 접속을 유지하는 로컬 서비스 모듈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단말기는 로컬 서비스 접속성만을 확립해야하고, 즉, 로컬 서비스 모듈에만 국부적으로 접속해야 하는 반면에 서비스에 대한 접속성이 그 로컬 서비스 모듈에 의해 관리된다. 그러나, 레거시 폰 (legacy phone) 과 같은 비-IP 단말기가 홈 게이트웨이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어떠한 IP-기반 로컬 서비스 접속도 존재하지 않고, 서비스는 항상 홈 게이트웨이 내에 내장된다.
끊김 없는 동작과 관련하여,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내의 위임된 서비스는 홈 게이트웨이 내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를 대신하여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들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는, 고객 (또는, 개별적으로, 그의 단말기) 이 그 단말기가 파워 오프되어 있을지라도 여전히 도달가능하다는 사실을 NGN 이 인지하도록 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들에 응답하는데 책임이 있을 수도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내의 위임된 서비스는 화이트리스트 (whitelist) 및/또는 블랙리스트 (blacklist) 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을 거부한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oIP 서비스의 경우, 블랙리스팅된 디바이스로부터 기원하는 단말기에 호출 (call) 이 지시될 때, 단말기 (및 경우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 의 전력을 낮추거나 또는 저전력 모드에 있도록 유지시키는데 이로운 것으로 증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청은 홈 게이트웨이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를 대신하여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 의해 거부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에너지 절감 잠재력이 증가된다.
예를 들어, VoIP 와 같은 통신 서비스들에 적용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 위임된 서비스는 이용불가한 단말기에 호출을 지시하는 엔티티를 다시 호출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시스템은 셧다운된 단말기를 웨이크업하고 홈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의 재-위임을 초기화하여 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일정 기간을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홈 게이트웨이 내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를 대신하여 위임된 서비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들에 식별자를 포함하는데 이점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식별자는,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가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 를 대신하여 서비스를 인계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서비스를 통한 끊김 없는 통신 (seamless communication) 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웨이크업 및 재-위임 절차가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는 사실은, 예를 들어, 이용불가한 단말기에 음성 호출을 지시하는 요청 파티에 대한 일정 대기 시간을 결과로 초래한다. 요청 파티에 지시된 메시지들 내에 서비스 위임의 사실을 표시함으로써, 요청 파티는 지연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인지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 허용기준을 강화하도록 도울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로컬 정책들 및/또는 필터들은,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이 요구되고 및/또는 바람직한지의 여부를 위임된 서비스 내에서 검출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책 규칙들은 오리지널 서비스로부터 학습되었을 수도 있고, 밤-시간 동안 홈 네트워크를 웨이크업 하고 또는 스팸 호출들을 거부하도록 허용되는 호출자 (caller) 에 대한 화이트리스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책 규칙들은 특정 이벤트들의 발생에 의존하여 홈 게이트웨이와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접속의 재-확립을 제어하기 위해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달하는 호출이 스팸 호출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웨이크업을 억제하는 정책 규칙들이 액세스 노드 내에 구체화될 수도 있다.
접속을 해제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할당된 IP 주소들은 액세스 노드에 다시 위임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IP 주소 할당의 변화는 서비스 내에서 처리된다. 이는, 서비스를 트랜스퍼하고 액세스 접속을 셧다운할 때, 홈 게이트웨이의 할당된 IP 주소를 다시 액세스 노드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동안 (서비스가 트랜스퍼되는 동안) IP 주소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 변화는 서비스에 의해 처리될 필요가 있다.
홈 게이트웨이와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접속을 재-확립하는 것과 관련하여, 즉, 서비스가 홈 게이트웨이로 다시 진행될 때, 할당된 IP 주소도 함께 취한다. 그 결과, 상기 접속을 해제하기 전에 홈 게이트웨이에는 가지고 있던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가 할당된다. 대안으로, 그 홈 게이트웨이에는 NGN 에 이미 등록된, 트랜스퍼된 서비스를 통해서 새로운 IP 주소가 할당될 수도 있다.
아웃소싱된 서비스의 최적의 동작과 관련하여,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 대한 가능한 타겟들이 서비스의 구체적인 요건에 의존하여 발견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오버 IP 서비스는 BRAS (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응급 서비스는 MSAN (Multiservice Access Node)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에 대해 상이한 오버레이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VPN; 가상 사설 네트워크) 을 이용할 때의 통상적인 접근방식이다. 그후, 음성 네트워크는, 비상 경고 서비스들이 로컬 MSAN 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게이트웨이로서 BRAS 를 이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로컬 네트워크에 관련된 가능한 한 많은 패킷들이 통과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포인트에 위치된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가 되는 엔티티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 의해 중요한 패킷들이 놓쳐질 변화는 가능한 한 감소된다. 추가적으로,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의 선택 프로세스에서, 기존의 신뢰 관계가 재-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 시스템 구현과 관련하여, 홈 게이트웨이 자체가 MSAN/DSLAM (Multiservice Access Node/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로 나타낼 수 있는 액세스 노드에 부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액세스 노드와 홈 게이트웨이 사이에 확립된 접속은 물리적 액세스 라인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노드는 BRAS 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트래픽은 BRAS 를 향해서 터널링될 수도 있고, IP 관점으로부터 액세스 라인은 가상의 것이 된다. 즉, 계층-3 AN 시나리오 및 BRAS-중심 시나리오에서의 구현들이 가능하고, MSAN 이 계층 2 모드에서만 동작하는 동안 서비스를 인계하는 분산형 모델에서는 BRAS-중심 시나리오에서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용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서비스마다 액세스 노드가 나타난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현이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액세스 노드는 하나 이상의 BRAS 들 또는 하나 이상의 MSAN/DSLAM 들로 나타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교시를 디자인하고 더욱 개발하기 위한 몇몇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특허 청구항 1 및 특허 청구항 14 에 종속하는 특허 청구항들을 참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면에 의해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바람직한 예시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면의 도움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예시의 설명과 관련하여, 교시의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추가적인 개발들이 설명된다.
도 1 은 최신기술에 따른 서비스들을 통해서 액세스 네트워크 셋업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 는 액세스 노드에 대한 서비스의 위임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 에 도시된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3) 내에 위치된 단말기들 (2) 을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NGN; 6) 내에서 접속된 서비스들/애플리케이션들 (5) 에 홈 게이트웨이 (HGW; 4) 를 통해서 접속시키도록 허용하는 종래 기술의 고정 라인 액세스 네트워크 (1) 이다. 수많은 경우, 이들은 로컬 서비스 모듈 (7) 에 또는 로컬 서비스 모듈 (7) 을 통해서 접속한다. 로컬 서비스 모듈 (7) 은 NGN (6) 으로의 접속을 유지하고 단말기 (2) 는 국부적으로만 접속한다. 레거시 폰과 같은 비-IP 디바이스가 HGW (4) 에 직접 접속된 경우, IP-기반 로컬 서비스 접속이 적소에 존재하지 않고, 그 서비스는 HGW (4) 내에 항상 내장되어 있다.
HGW (4) 그 자체는, 광대역 원격 액세스 서버에 의해 Prentice Hall 출판사에서 제 1 편집본 (2007년 5월 11일) "Broadband Network Architectures: Designing and Deploying Triple-Play Services" 에서 Hellberg, Greene, Boyes 에 의해 설명된 것과 같이, BRAS-중심 모델에서 또는 MSAN/DSLAM 로 나타낼 수 있는 액세스 노드 (AN) (8) 에 부착된다. 양 모델들의 특성은, AN (8) 는, HGW (4) 가 AN (8) 과 통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IP 주소의 소유주라는 것이다. 또한, HGW (4) 가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포트 변환 (NA(P)T) 방법들을 이용하여 그 주소에 IP 주소들을 변환시키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3) 내의 디바이스들이 그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HGW (4) 가 MSAN/DSLAM 에 접속하는 경우, 도 1 에 도시된 액세스 라인은 물리적인 기존의 것이다. 트래픽이 BRAS 를 향해서 터널링되는 경우, IP 관점으로부터의 액세스 라인은 가상의 것이 된다. 일반성의 손실 없이, 이하의 설명들은 MSAN/DSLAM 케이스를 지칭하고, 여기서 BRAS-특정 이슈들은 필요한 경우의 주소들이다.
동작의 정규 모드는 이하와 같다: HGW (4) 는 AN (8) 에 부착되었고 AN (8) 로부터 IP 주소를 수신하였다. AN (8) 은 IP 어드레스의 "소유주" 이다. NGN (6) 으로부터의 루팅은 AN (8) 을 직접 향한다. HGW (4) 는 네트워크 접속 절차 (network attachment procedure) 를 수행하였고, AN (8) 와의 킵얼라이브, 예를 들어, PPP (Point-to-Point Protocol) 헬로우 또는 BFD (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 프레임을 교환한다.
단말기 (2) 는 HGW (4) 의 서비스 (IP 및 비-IP 디바이스의 경우) 에 국부적으로 부착되었고, 그 서비스는 호스팅된 중심 서비스 (5) 에 접속한다. 이에 대한 예시는 HGW (4) 내의 로컬 레지스터에 등록하는 SIP 클라이언트이고, HGW (4) 의 백-투-백 사용자 에이전트 그 자신은 SIP 서버 또는 IMS 에 등록한다. HGW (4) 는 단말기들 (2) 로부터/단말기들 (2) 로 요청을 변환한다.
서비스들이 활성 용도에 있지 않은 경우에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표준화 기관, 예를 들어, ITU-T 또는 HGI 에서의 종래 기술 접근방식들은 이하의 절차들에 따라서 셧다운 모드들의 상이한 단계들을 정의한다.
● HGW (4) 또는 다른 엔티티는, 서비스 (5) 가 이용되지 않았는지를 검출한다.
● HGW (4) 는 단말기들 (2) 을 (예를 들어, 웨이크-on-LAN 기술들을 이용하여) 셧다운하도록 트리거한다.
● HGW (4) 는 액세스 라인상에서 셧다운하거나 또는 전력을 낮춘다.
● HGW (4) 자체는 슬립 모드로 또는 전체 전력-오프 모드로 진행한다.
단말기 (2) 가 예를 들어 사용자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는 경우, HGW (4) 를 "웨이크업" 할 수 있고, 네트워크 접속이 재-확립되도록 강요할 수 있고 로컬 서비스 모듈 (7) 에 서비스 (5) 를 등록하고 세션을 셋업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문제는, 외부로부터 홈 네트워크 (3) 로의 도달가능성이다. HGW (4) 가 예를 들어 턴 오프되는 경우, NGN (6) 내의 서비스 (5) 가 어디에 있고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가능성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은, HGW (4) (의 일부) 를 셧다운하기 전에 NGN (6) 측으로부터 영구적인 도달가능성을 요구하는 서비스들을, 절대 턴 오프되지 않는 AN (8) 에 위임한다. 아웃소싱된 서비스 (5) 는, 목적 단말기 (2) 자체가 도달가능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NGN (6) 으로부터 모든 재-등록 또는 킵얼라이브 방법들에 응답한다. 요청이 NGN (6) 으로부터 도달하는 경우, AN (8) 은 HGW (4) 를 완전 동작 모드로 다시 스위칭되도록 트리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태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재-설치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또한 네트워크 접속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서비스들에 대해 적용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도 2 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도 1 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과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상세하게, 서비스들의 아웃소싱, 셧다운된 단말기 (2) 대신의 동작 및 HGW (4) 상의 서비스 (5) 의 재-설치가 설명될 것이다.
1) 서비스 이동
액세스 라인 및/또는 HGW (4) 를 셧다운하기 위한 조건들이 충족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예를 들어, 액세스 라인이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능동적으로 이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HGW (4) 와 AN (8) 사이에서 이하의 단계들이 실행된다. 수많은 이하의 단계들이 도 2 에 표시된다.
1) 로컬 서비스 모듈 (7) 은 AN (8) 에 위임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상이한 소프트웨어 실행 프레임워크로 인해 호스팅된 위치에 의존하여 구현들이 상이하게 변화하는 경우) 사전-설치될 수 있다.
2) 현재 서비스 데이터/상태가, 예를 들어 XML 구조를 이용하여, AN (8) 에 위임된다.
3) AN (8) 과 HGW (4) 사이의 IP 세션이 해제된다.
4) AN (8) 내의 서비스 모듈 (9) 은, HGW (4) 내의 서비스가 이용했던 동일한 IP 주소 및 포트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인계한다.
일 예로써, SIP 서비스가 위임될 수 있고, 모든 종류의 세션 특정 파라미터들/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현재의 등록의 정보를 시프팅한다.
2) 서비스 동작
위임된 서비스는, (고객의 단말기 (2) 가 셧다운되었을 때에도) 고객이 여전히 도달가능하다는 사실을 NGN (6) 이 인지하게 하도록 킵얼라이브 메시지들에 응답하는 것을 고려하는 동작을 인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비스는 트랜스퍼된 데이터 (예를 들어, 세션 파라미터들/쿠키들) 에 액세스하고 변형한다. 일 예시는 요청된 인터벌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서비스를 SIP 세션 등록 및 재-등록하는 인계일 수 있다.
특정 케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이다. 서비스가 IP 주소를 발행했던 디바이스에 위임되지 않지만 이 디바이스를 향해서 계층-2 터널의 경로에 있는 경우, PPP 킵얼라이브 또는 BFD 프레임 응답과 같이 시그널링하는 NASS (Network Attachment SubSystem) 를 인계할 수 있다. 트랜스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추가적인 상태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에 도달하기 위해 홈 게이트웨이 내에서 바인딩하는 NA(P)T 의 상태이다.
(예를 들어, SIP 가 초청하는) NGN (6) 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검출할 때, 서비스는, 서비스를 다시 HGW (4) 로 이동시키도록 요청되었는지 그리고 HGW (4) 에 그 요청을 포워딩하는지를 로컬 필터들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그 경우, AN (8) 는, 요청에 응답하는 것이 진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NGN (6) 에 응답할 수도 있다. 로컬 필터들은, 밤-시간 동안 홈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하도록 허용되는 호출자들에 대한 화이트리스트들과 같이 오리지널 서비스로부터 학습된 정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라인 접속성을 재건하기 위한 시간은 기술-의존적이다. ADSL 의 경우, 트레이닝하는 요구되는 라인으로 인해 30 초 정도일 수 있다. SIP 를 이용하는 VoIP 의 경우, 예를 들어, SIP INVITE 메시지를 통해서 인커밍 호출이 시그널링되는 경우에 그리고 로컬 정책들이 호출자 번호가 국부적으로 인스톨된 화이트리스트에 따르는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에 이러한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3) 서비스 재설치
서비스 재-설치할 때, 이하의 단계들이 실행될 것이다:
1) HGW (4) 및 액세스 라인을 웨이크업
2) HGW (4) 를 저전력 모드에 넣기 전에 이용되는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3) 에 다시 HGW (4) 를 부착시킴
3) 서비스의 모듈의 (가능한 한 변화된) 데이터/상태를 다시 HGW (4) 로 이동시킴
4) 위임된 서비스를 턴 오프, 오리지널 서비스를 턴 온
5) HGW (4) 내의 서비스에 그 메시지를 포워딩
마지막 단계 이후에, 서비스 접속성은 HGW (4) 와 NGN-기반 서비스 (5) 사이에 다시 부여된다. HGW (4) 는 정규 동작을 실행한다. 로컬 VoIP 폰들과 같은 대향 디바이스들이 턴 온 될 필요가 있는 경우, "웨이크 온 LAN" 과 같은 기존의 방법에 기초하여 액션을 수행한다. SIP 를 이용하는 VoIP 의 경우, HGW (4) 는 SIP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기 (2) 를 로케이팅하여, 요청을 포워딩 또는 실행한다.
4) 용도
SIP-기반 용도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VoIP 에만 적용되지 않는다. 응급 경고와 같은 다른 서비스들이 이득을 본다. 이러한 경고들의 경우, 디바이스들의 전력을 낮추는 것이 아닌 서비스들의 빠른 재-확립을 위해 저전력 모드에서 디바이스들을 가능한 한 구동시키는 로컬 특질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는 재-트레이닝이 필요할 수도 있는 xDSL 에 요구된다.
위임된 서비스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요청 서비스에 위임자인 것으로 통지할 수 있고, 홈 네트워크가 웨이크업 될 때 그리고 오리지널 서비스가 다시 이용가능한 때의 일정 기간 이후에 다시 호출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머신-투-머신 (M2M) 통신은 이러한 절차로부터 이득을 본다.
트랜스퍼된 상태들은 서비스의 세션 상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인-홈 디바이스들의 정책들 또는 특징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일 예시는, 세탁기가 시작할 때를 정확하게 특정하지 않고 밤-시간 동안 세탁을 완료하기 위해 주부가 세탁기를 "대기 상태" 로 하는 방법이다. 홈 게이트웨이가 슬립 모드로 진행하여 액세스 모드에 관련 서비스를 트랜스퍼한 후, 인커밍 "이용가능한 물&에너지 소비" 메시지에서, 위임된 서비스가 트랜스퍼된 로컬 정책들에 기초하여 요청에 대해 귀를 기울이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귀를 기울이고 있으면, 상태 데이터 내에 포함된 계류중인 작업이 존재했는지를 체크한다. 작업이 존재했던 경우, 홈 게이트웨이를 웨이크업하고 그 요청을 나중에 세탁기를 시작하는 오리지널 서비스에 포워딩한다. 액세스 노드에서 위임된 서비스에만 계류중인 세탁기 요청을 트랜스퍼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용가능성 메시지를 발행했던 전기 회사가 개별 가정에서 임무를 펜딩했는지의 여부를 알 필요가 없다는 방식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MSAN/DSLAM 에서 구현을 강조하지만, 그 절차는 또한 BRAS/IP 에지 라우터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MSAN 이 BRAS 를 향한 계층 2 터널 경로에 있는 제 3 의 경우가 가능하고 HGW 를 대신하여 인계할 수 있다. 이는, 또한 HGW 의 MAC 주소를 이용하는 것을 요구할 것이다. 집합 네트워크 내의 모든 MAC 테이블들이 이러한 특정 MSAN 를 지목하기 때문에, 이는 이슈가 아니다. 또한, MSAN 은 킵얼라이브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 특정 임무들을 인계할 필요가 있다. 이는 또 다른 서비스 구현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수많은 변형들 및 다른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이 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에서 설명된 교시들의 이점을 가지고 적용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들로 한정되지 않고 그 변형들 및 다른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특정 용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지만, 이들은 한정의 목적이 아니고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방식으로만 이용된다.

Claims (18)

  1. 광대역 접속을 갖는 단말기들에 대한 서비스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 (2) 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에 홈 게이트웨이 (4) 를 통해서 접속되고,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인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는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의 액세스 노드 (8) 에 부착되며,
    상기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기 (2) 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위임하여 상기 서비스 (5) 의 현재 상태 및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노드 (8) 또는 관련 엔티티 -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 에 트랜스퍼하는 단계로서, 상기 위임의 결과,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는 상기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를 대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인계하는, 상기 트랜스퍼하는 단계; 및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동작시키는 동안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와 상기 액세스 노드 (8) 사이의 접속을 해제 (tearing down)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2) 및/또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가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 위임된 후에, 전력을 낮추거나 또는 저전력 모드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로의 상기 단말기 (2) 의 접속을 유지시키는 로컬 서비스 모듈 (7) 이 제공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의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에서의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5) 를 대신하여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로부터의 요청들에 응답하는, 서비스 관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의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는, 화이트리스트 및/또는 블랙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에서의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5) 를 대신하여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로부터의 요청들을 거부하는, 서비스 관리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의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에서의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5) 를 대신하여 요청 엔티티에게 다시 호출할 것을 요청하는, 서비스 관리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별자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에서의 일시적으로 이용불가한 서비스 (5) 를 대신하여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들 내에 포함되고,
    상기 식별자는, 상이한 엔티티 -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 가 상기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를 대신하여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를 인계받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비스 관리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이 요청되는지 및/또는 바람직한지의 여부를 상기 위임된 서비스 내에서 검출하기 위해 로컬 정책들 및/또는 필터들이 제공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특정 이벤트들의 발생에 의존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와 상기 액세스 노드 (8) 사이의 접속의 재-확립을 제어하기 위해 정책 규칙들이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 구현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해제하는 것과 관련하여, 할당된 IP 어드레스들이 상기 액세스 노드 (8) 에 다시 위임되고, 이에 따라, IP 어드레스 할당의 변경은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에서 처리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재-확립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는 상기 접속의 상기 재-확립을 통해서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취하는, 서비스 관리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 대한 가능한 타겟들은 상기 위임된 서비스 (5) 의 요청에 따라 발견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2) 의 로컬 네트워크 (3) 에 대해 관련된 모든 또는 적어도 몇몇 패킷들이 통과하고 있는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내의 일 포인트에 위치된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 대해 엔티티가 선택되는, 서비스 관리 방법.
  14. 광대역 접속을 갖는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관리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 (2) 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에 홈 게이트웨이 (4) 를 통해서 접속되고,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인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는 상기 오퍼레이터네트워크 (6) 의 액세스 노드 (8) 에 부착되며,
    상기 서비스 관리의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 (2) 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위임하여 상기 서비스 (5) 의 현재 상태 및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노드 (8) 또는 관련 엔티티 -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 - 에 트랜스퍼하는 위임 수단으로서, 상기 위임의 결과,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는 상기 오리지널 서비스 호스트를 대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5) 를 인계하는, 상기 위임 수단; 및
    상기 위임된 서비스 호스트에서 상기 서비스 (5) 를 동작시키는 동안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와 상기 액세스 노드 (8)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6) 로의 상기 단말기 (2) 의 접속을 유지시키는 로컬 서비스 모듈 (7) 을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 (8) 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와 상기 액세스 노드 (8) 사이에서 확립된 물리적 액세스 라인을 갖는 MSAN/DSLAM (Multiservice Access Node/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로 나타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 (8) 는 BRAS (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 를 통해서 터널링되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4) 와 상기 액세스 노드 (8) 사이에서 트래픽을 갖는 BRAS 로 나타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 (8) 는 하나 이상의 BRAS 들 또는 하나 이상의 MSAN/DSLAM 들에 의해 이용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서비스마다 나타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0127014375A 2009-12-04 2009-12-04 홈 게이트웨이와 광대역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세션들의 관리를 통한 전력 절감 KR101390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9/008691 WO2011066849A1 (en) 2009-12-04 2009-12-04 Power saving through management of sessions between a home gateway and a broadband access n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824A KR20120088824A (ko) 2012-08-08
KR101390552B1 true KR101390552B1 (ko) 2014-04-30

Family

ID=4235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375A KR101390552B1 (ko) 2009-12-04 2009-12-04 홈 게이트웨이와 광대역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세션들의 관리를 통한 전력 절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4289B2 (ko)
EP (1) EP2507679B1 (ko)
JP (1) JP5461707B2 (ko)
KR (1) KR101390552B1 (ko)
CN (1) CN102667663B (ko)
WO (1) WO2011066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3242A1 (en) * 2012-01-12 2014-11-19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wi-fi display (wfd) session
EP2663066A1 (en) * 2012-05-09 2013-11-13 Thomson Licensing Home gateway with standby state support
US9185170B1 (en) 2012-12-31 2015-11-10 Juniper Networks, Inc. Connectivity protocol delegation
EP3035603A1 (en) * 2014-12-15 2016-06-22 Alcatel Lucent Device and method for re-initializing a virtualized home equipment
EP3602969A4 (en) * 2017-03-31 2020-11-25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PROCEDURE FOR WAKING UP A NETWORK ACCESS DEVICE FROM THE INTERN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515A1 (en) 2004-05-11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SL mode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SL modem apparatus
CN101553628A (zh) 2006-10-13 2009-10-07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开发地下冻结区域的改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355B1 (en) * 1999-12-20 2004-04-1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wer management in a modem
US7990985B2 (en) * 2000-01-31 2011-08-02 3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Broadband communications access device
CA2359305A1 (en) * 2001-10-19 2003-04-19 Andrew Deczky A method and system for l2 power saving mode for adsl
US7701953B2 (en) * 2002-11-04 2010-04-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lient server SVC-based DSL service
CN1298138C (zh) 2003-06-04 2007-01-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策略路由实现链路聚合功能的方法
US8555352B2 (en) * 2003-06-20 2013-10-08 Juniper Networks, Inc. Controlling access nodes with network transport devices within wireless mobile networks
US7889646B2 (en) * 2004-08-06 2011-02-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admission control in a regional/access network based on user preferences
US20060274764A1 (en) * 2005-06-02 2006-12-07 Mah Donald T Power saving methods in gateway
US20070025341A1 (en) * 2005-07-28 2007-0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vice, system and/or method for provisioning a device in a packet network
EP3734442A1 (en) * 2005-10-04 2020-11-04 Assia Spe, Llc Dsl system
ES2327428T3 (es) * 2005-12-23 2009-10-29 Alcatel Lucent Control de admision de recursos para peticiones de reserva activadas por cliente y activadas por red.
US8838186B2 (en) * 2006-03-17 2014-09-16 Arris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power savings in a DOCSIS device
US20080002711A1 (en) * 2006-06-30 2008-01-03 Bugenhagen Michael K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state based service options
US9008081B2 (en) * 2006-12-14 2015-04-14 Rpx Clearinghouse Llc Serving gateway proxies for non-SIP speakers in a next generation network
WO2008085207A2 (en) * 2006-12-29 2008-07-17 Prodea Systems, Inc.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JP2008211343A (ja) 2007-02-23 200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080285577A1 (en) * 2007-05-15 2008-11-20 Yehuda Zisape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Wide, Traffic-Aware Dynamic Acceleration and Admission Control for Peer-to-Peer Based Services
US8064909B2 (en) * 2007-10-25 2011-11-22 Cisco Technology, Inc. Interworking gateway for mobile nodes
JP2009212932A (ja) 2008-03-05 2009-09-17 Kddi Corp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情報機器における省電力運用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363577B (zh) * 2008-06-05 2017-12-05 凯敏公司 用于在网络中提供移动性管理的方法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515A1 (en) 2004-05-11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SL mode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SL modem apparatus
CN101553628A (zh) 2006-10-13 2009-10-07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开发地下冻结区域的改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1707B2 (ja) 2014-04-02
KR20120088824A (ko) 2012-08-08
CN102667663A (zh) 2012-09-12
EP2507679A1 (en) 2012-10-10
JP2013512633A (ja) 2013-04-11
CN102667663B (zh) 2016-03-23
US20120281577A1 (en) 2012-11-08
US9294289B2 (en) 2016-03-22
WO2011066849A1 (en) 2011-06-09
EP2507679B1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688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через шлюз nat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сетевых адресов)
JP5636516B2 (ja) Sipを用いた企業ネットワークの生存性のためのバックアップsipサーバ
KR101390552B1 (ko) 홈 게이트웨이와 광대역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세션들의 관리를 통한 전력 절감
US8514712B1 (en) Non-stop VoIP support
US8838771B2 (en) Enabling VoIP calls to be initiated when a call server is unavailable
EP2324600B1 (en) Reducing cc message transmission in a provider network
US9113031B2 (en) Call control for conferencing calls
US20070165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nk failure of broadband access devices
EP2111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establishing, with a client device, a signaling session associated with a call in progress
JP2009089033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端末登録方法
CA27885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vices on a local area network
JP200625443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機能を促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機能を含むアクセスノード
WO2008151548A1 (fr) Procédé et appareil pour empêcher l'usurpation de l'adresse de commande d'accès au support (mac) côté réseau
US7907514B2 (en) MGCP fallback mechanism enhancement
JP6176340B2 (ja) 交換装置、交換プログラム、交換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307749B1 (ko) mVoIP단말 배터리 절약 시스템 및 배터리 절약 방법
WO2006015525A1 (fr) Procede d'appel point a point entre deux terminaux multimedia dans le reseau prive
WO2007107076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ccès utilisateur à large bande
US20070206582A1 (en) Voip modem and method for detecting voip service
WO2011150779A1 (zh) 接入网端口资源管理方法、装置及***
EP22722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fixed and mobile access networks
JP2008295068A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
JP4852181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端末登録方法
JP6087306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ang et al. Implementation Issues for IPv6 Software Forwarding in Rou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