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897B1 -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897B1
KR101389897B1 KR1020130136734A KR20130136734A KR101389897B1 KR 101389897 B1 KR101389897 B1 KR 101389897B1 KR 1020130136734 A KR1020130136734 A KR 1020130136734A KR 20130136734 A KR20130136734 A KR 20130136734A KR 101389897 B1 KR101389897 B1 KR 10138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terminal
unit
blocking
standb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완석
성규석
Original Assignee
(주)성진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엠케이 filed Critical (주)성진엠케이
Priority to KR102013013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8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rip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a wireless terminal, which can remotely operate and release a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of a multi-outlet strip using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s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The power strip comprises a multi-outlet strip which includes a first cutoff unit connected to a first electrical device, a second cutoff unit connected to a second electrical device which is dependent o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unit pairing with a wireless terminal using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s mode.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positioned beyond a certain radius from the multi-outlet strip, a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thereof is executed.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positioned within a certain radius from the multi-outlet strip,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is released. The power strip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air with a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using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s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a certain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multi-outlet strip, and then can activate or release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00) Control unit; (210) First current detection unit; (250) First cutoff driving unit; (300) Signal input unit; (400) Storage unit; (510) Second current detection unit; (550) Second cutoff driving unit; (700) Wireless communications unit; (900) Wireless terminal

Description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멀티탭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원격으로 작동 및 작동 해제되도록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standby power using a wireless terminal that allows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of the power strip to be remotely operated and deactivated by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t's about blocking power strips.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수의 가전제품이나 사무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ulti-tap outlet that can use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or office equipment at the same time in the home or office are used a lot.

도 1의 (a)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3193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1 (a)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8-0103193.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3193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콘센트(11)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정 기기로 유입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대기 전력값을 생성하는 대기전력 감지부(6)와; 상기 콘센트(11)에 플러그가 꼽혀 있는 가전제품들의 작동 시 이들 전류 값을 감지한 후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류감지부(3)와; 스위치의 ON 작동에 의해 전원부로부터 전원공급 받으며, 대기전력 감지부(6)로부터 생성된 대기전력 값과 상기 전류감지부(3)로부터 생성된 전류 값을 비교하여 대기전력 값이 전류 값보다 클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콤(5)과; 상기 전원 차단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11)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릴레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부하 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Standby)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단락시켜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이다.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according to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8-0103193 and the standby power detection unit (6) for generating a standby power value by detecting the standby power flowing in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plug connected to the outlet (11) ; A current sensing unit 3 which detects these current values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which are plugged into the outlet 11;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ON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he standby power value is greater than the current value by comparing the standby power value generated by the standby power detector 6 and the current value generated by the current detector 3. A microcomputer 5 generating a power off signal; And a relay 10 which cuts off the power to the outlet 11 by the power cutoff signal, and detects a standby state that does not perform a function of a load device, and short-circuits power to generate standby power. To block.

도 1의 (b)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의 구성도이다.1 (b)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2637.

한국등록특허 제10-0932637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멀티탭에 형성된 복수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여 접점의 상태에 따른 접점 탈착 신호를 생성하는 접점 연결 감지부; 멀티탭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접점 연결 감지부에서 생성된 접점 탈착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 및 마이콤의 전원 차단 신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플러그로 전송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계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상태를 전력 값의 비교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전력과 대기전력을 갖는 다양한 가전기기 대기전원 및 전류 값 측정이 어려운 미세전류까지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The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0932637 detects a detachment state of a contact connecting power of a home appliance through a plug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in the power strip, and thus a contact detachment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tact. Contact connection detecting unit for generating a; A microcomputer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wer strip and generating a power cutoff signal based on a contact detachment signal generated by a contact connection detector; And a relay driver for cutting off or connect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plug of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power off signal of the microcomputer, without determining the standby power state of the home appliance by comparing the power values. Since the standby power is blocked by checking the detached state of the contact connecting the power of the device, it has the effect of reliably blocking even the minute current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the standby power and current value of various home appliances with various used power and standby power. .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멀티탭에 차단 스위치를 장치하고, 전자 제품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이들 차단 스위치를 OFF 시킨 후 다시 전자 제품의 전력이 필요할 때 ON 시키도록 한다.However, in general, as a method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a disconnect switch is installed in a power strip, and when the electronic product does not operate, turn off the disconnect switch and turn it on again when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needed.

이러한 차단장치는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대기전력이 ON 이나 OFF 상태인지를 항상 인지해야 하고, 이를 차단시키고 다시 복귀시키기 위해 매번 사람이 직접 차단장치를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breaker can be used easily, but it must be always aware of whether the standby power is ON or OFF state,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by manipulating the breaker by hand each time in order to block and restore it agai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103193호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8-010319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멀티탭과 일정 거리가 유지되면 자동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진 후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원격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되도록 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utomatically paired with the standby power remotely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that enables the blocking function to be activated or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와,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와, 무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부가 포함된 멀티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멀티탭으로부터 일정 반경 외에 위치하면 상기 멀티탭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작동되고,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멀티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된다.The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first block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a second blocking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which is operated in dependence o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a multi-tap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airing with a wireless terminal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power strip, the multi-tap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activated, and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power strip,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또는 와이파이 방식일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 Bluetooth method or a Wi-Fi method.

상기 무선단말기가 멀티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무선단말기와 무선통신부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최초 페어링 이후 근접시 자동 연결방식으로 페어링이 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power strip, pai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ay be paired by an automatic connection method in the proximity after the initial pairing.

상기 무선단말기가 멀티탭으로부터 일정 반경 외에 위치하여 페어링이 중지되면, 상기 멀티탭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When the pairing is stopped because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power strip, the power strip may be activated after a preset time.

상기 무선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wireless terminal may be any one of a smartphone, a smart pad or a tablet PC.

상기 멀티탭은 상기 제1차단부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와 제1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는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검출부 및 제2전류검출부를 통해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각각 전달받고,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면 제1차단구동부 및 제2차단구동부를 각각 구동시켜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외에 포함되면 상기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The multi-tap includes the first blocking unit including a first current detecting unit detec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a first blocking driving unit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al device; The second blocking unit includes a second current detecting unit detecting a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and a second blocking driving unit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a control uni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received through the first curren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current detection unit, respectively,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standb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driven to drive the first blocking drive unit and the second blocking drive unit, respectively,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is cut off,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outside the preset range the first block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cuts off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and supplies power to the first blocking unit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within a preset range.

상기 멀티탭에는 소비되는 전압과 전류, 소비전력량 및 소비전력량에 따른 사용 요금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The multi-tap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that displays usage fees according to the voltage and current consume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 따르면, 무선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멀티탭과 일정 거리가 유지되면 자동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진 후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원격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f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wer strip is maintained by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utomatically paired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activated or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remotel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검출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에서 레벨 신호에 따른 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11은 개별 대기전력 구동부의 예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rough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level signal in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dividual standby power driver.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검출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통한 절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rough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vie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 제1전류검출부(210), 제1차단구동부(250), 신호입력부(300), 제2전류검출부(510), 제2차단구동부(550), 저장부(400), 무선통신부(700) 및 무선단말기(9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Standby power cut 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ontrol unit 100, the first current detection unit 210, the first blocking drive unit 250, the signal input unit 300 ), A second current detection unit 510, a second blocking driver 550, a storage unit 4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and a wireless terminal 900.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멀티탭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차단부(200)와 제2차단부(500)로 나눌 수가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tandby power cutoff multi-tap using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formed of a multi-tap 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and the first and second cut-off parts 200 and 500 may be provided. Can be divided

상기 제1차단부(200)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210)와 제1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구동부(2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first block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current detecting unit 210 for detec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a first blocking driving unit 250 f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al device. .

상기 제1차단부(200)에는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 유무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다.The first interrupter 200 is connected to a first electric device that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put signal from an input means.

제1전기기기로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구비된 PC 본체가 될 수 있으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사용 후 움직이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용 중단에 따른 입력 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고, 다시 사용을 위해 움직이면 사용 개시에 따른 입력 신호가 있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다.The first electrical device may be a PC main body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When a certain time passes without moving after using the keyboard or the mouse, an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that there is no input signal due to the interruption of use. Moving to use again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n input signal upon start of use.

제2차단부(200)는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510)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구동부(5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second cut-off unit 200 includes a second current detector 510 for detec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nd a second cut-off driving unit 550 f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ic device.

제2차단부(200)에는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다.The second blocking unit 200 is connected to a second electrical device that operates in dependence o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제2전기기기로는 PC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복합기 등이 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ic device may be a monitor, a printer, a speaker, or a multifun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PC main body.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Hall) 센서가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hunt 저항과 전압검출부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current detector 210 and the second current detector 510 include a Hall sensor, or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hunt resistor and the voltage detector include: It may be included.

상기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릴레이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blocking driver 250 and the second blocking driver 550 may include a latch relay.

신호입력부(300)는 멀티탭(M)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기기기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는다.The signal input unit 300 is provided in the power strip M and receives an interrupt signal from the first electric device.

상기 신호입력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기기기와 USB 케이블 등을 통하여 유선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거나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동글(Dongle)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the signal input unit 300 receives an interrupt signal by wire through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a USB cable or the like, or as shown in FIG. 9, through a wireless dongle or the like. The interrupt signal can be received wirelessly.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탭(M)에 구비되는 것으로, 무선단말기(9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페어링(Pairing)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provided in the multi-tap M,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pair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900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무선단말기(9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또는 와이파이 방식 등으로 일정 범위의 근거리 내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The wireless terminal 900 may b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or a tablet PC,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in a short range of a Bluetooth range or a Wi-Fi method. .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반도체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무선단말기(900)에는 무선 연결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and a dedicated application for wireless conn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900.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멀티탭(M)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무선단말기(900)와 무선통신부(700)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지며, 최초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이후에 근접시 자동 연결방식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multi-tap (M), the pairing is made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and when the first pairing is made, the pairing in the automatic connection method in the near future This can be done.

아울러,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멀티탭(M)으로부터 일정 반경 외에 위치하면 무선단말기(900)와 무선통신부(700) 사이에 페어링이 중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multi-tap M, the pairing is stopp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상기 무선단말기(9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를 수신받아 제어부(100)로 전달시키며, 일정 반경 내외의 판단은 수신신호 세기를 이용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0, the determination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dius us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기(900)로부터 무선통신부(700)로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보다 크면 무선단말기(900)와 무선통신부(700)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단말기(900)로부터 무선통신부(700)로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보다 작아지면 무선단말기(900)와 무선통신부(700) 사이에 페어링이 중지된다.
Therefore,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9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greater than a preset signal strength, pai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the wireless terminal 900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smaller than the preset signal strength, pairing is stopp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를 통해 검출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저장부(400)에 각각 저장시키고,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각각 전달받아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면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를 각각 구동시켜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00 stores standby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devices detected by the first current detector 210 and the second current detector 510 in the storage 400, respectively.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received, respectively,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determined to be standby power, the first shut-off driving unit 250 and the second Each of the blocking driving units 550 is driven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부(300)를 통해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Then, when the interrup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ical device that there is no input signal from the first electrical device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300,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제1전기기기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cut off.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무선통신부(700)로부터 무선단말기(900)의 수신신호 세기를 전달받으며,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세기보다 작으면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상기 무선통신부(700)로부터 일정 반경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멀티탭(M)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작동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900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and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smaller than a preset signal strength,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of the multi-tap M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from the 700. Let it work

반면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세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상기 무선통신부(700)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멀티탭(M)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of the power strip M is released by allowing the power to be supplied.

상기 멀티탭(M)에는 제1전기기기 또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되어 소비되는 전압과 전류, 소비전력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소비전력량에 따른 사용 요금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power strip (M) is provided with a display (not shown) that displays the voltage, current,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first or second electrical device is connected, the usage fe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is also displayed on the display Can be.

참고로 상기 멀티탭(M)의 하부에 접이식 플러그(미도시)를 구비하여 휴대하기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접이식 플러그로 인해 상기 멀티탭(M)은 매입형 콘센트 등에 밀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 folding plug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ulti-tap M to make it easy to carry, and the multi-tap M may be conne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embedded outlet due to the folding plu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멀티탭은 다음과 같이 제1방법으로 동작한다.The standby power cutoff multi-tap using th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in the first method as follows.

먼저, 전기기기가 멀티탭(M)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멀티탭(M)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를 이루는 콘센트들을 활성화시켜 대기전력 차단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S110).First, when the electric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M,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trip M to activate the outlet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 200 and the second block 500 to release the standby power. To be in the state (S110).

멀티탭(M)에는 검출용 스위치인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멀티탭(M)에 연결시키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멀티탭(M)을 활성화시켜 멀티탭(M) 내부의 전자기기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multi-tap M may be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which is a detection switch. When the plug of the electr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multi-tap M, the limit switch detects this and activates the multi-tap M to activate the multi-tap M. ) Power is supplied to the internal electronic device.

이어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가 구비된 콘센트에 각각 연결되면, 약 1초 내지 2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감지되어 저장부(400)에 저장된 후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설정된다(S120).Subsequently, when the plugs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connected to the outlets provided with the first blocking par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500, respectively, a time of about 1 second to 2 seconds is counted. Subsequently, the standby power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devices connected to the multi-tap M are sens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and then a correction value, which is a standby power cutoff reference value, is set (S120).

이어서, 보정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연결되기만 하고 작동을 하지 않으면,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되어 30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S160).Subsequently, when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only connected and not oper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value is set,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standby power are in the same state. Then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S160).

상기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이 된다(S170).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also cut off (S170).

이어서,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를 작동시킨다.Subsequently,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M are operated.

제1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PC 상에서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I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power may be consumed while the work is performed on the PC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제2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하여 작업하는 화면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가 발생되며,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을 통하여 문서 인쇄 등의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In the second electric device, a screen for working through a mouse and a keyboard is displayed on a monitor, a sound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speaker, and power consumption may be consumed while a job such as printing a document through a printer or a multifunction device is performed.

이때, 멀티탭(M)에서는 상기 보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된 제1전기기기가 보정 값 이상으로 전력이 소비되면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S130).In this case, in the multi-tap M, when the connected first electric device consumes more than the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mode is S130.

예를 들어, 보정 값이 2T 와트라고 하면, PC 본체가 작동되어 2T 와트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면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For example, if the correction value is 2T watts, the PC main body operates to determine that the power consumption mode when more than 2T watts are consumed.

이어서, 제1전기기기인 PC 본체를 통한 작업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한 입력 신호가 없으면, 이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신호입력부(300)로 전달된다(S140).Subsequently, the operation through the PC main body, which is the first electric device, is completed, and if there is no input signal through the keyboard and the mouse for a predetermined time, an interrupt signal for this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input unit 300 (S140).

이어서, 상기 멀티탭(M)의 제어부(100)에서는 제1전기기기의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고,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 카운트가 진행된 후(S150),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170).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ulti-tap M receives an interrupt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input signal of the input means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count of about 30 seconds has elapsed (S150), the second blocking unit ( The power supplied to the 500 is cut off (S170).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제2전기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이 된다.Since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also cut off.

한편,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의 대기전력 차단 상태가 해제되려면, 먼저 제1차단부(200)가 대기전력에 대한 차단 해제가 되어 있어야 한다(S310).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lease the standby power blocking state of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first, the first blocking unit 200 must be released from the standby power (S310).

이어서, 제2차단부(500)는 대기전력 차단이 된 상태에서(S320), 제1차단부(200)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로부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사용으로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있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 하면(S330), 제2차단부(500)는 대기전력 차단 해제 상태가 된다(S340).
Subsequently, in the state where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S320),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nterrupts that there is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means by using a keyboard and a mouse from the first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When the signal occurs (S330),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in the standby power off state (S340).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멀티탭은 다음과 같이 제2방법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cutoff multi-tap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operate in the second method as follows.

먼저, 전기기기가 멀티탭(M)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멀티탭(M)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를 이루는 콘센트들을 활성화시켜 대기전력 차단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S210).First, when the electric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M,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trip M to activate the outlet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 200 and the second block 500 to release the standby power. State to be (S210).

멀티탭(M)에는 검출용 스위치인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멀티탭(M)에 연결시키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멀티탭(M)을 활성화시켜 멀티탭(M) 내부의 전자기기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multi-tap M may be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which is a detection switch. When the plug of the electr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multi-tap M, the limit switch detects this and activates the multi-tap M to activate the multi-tap M. ) Power is supplied to the internal electronic device.

이어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가 구비된 콘센트에 각각 연결되면, 약 1초 내지 2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대기전력 값이 각각 감지되어 저장부(400)에 저장된 후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인 보정 값이 각각 설정된다(S220).Subsequently, when the plugs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connected to the outlets provided with the first blocking par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500, respectively, a time of about 1 second to 2 seconds is counted. Subsequently, standby power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devices connected to the multi-tap M are sens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and then correction values that are standby power cutoff reference values are set (S220).

이어서, 보정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연결되기만 하고 작동을 하지 않으면,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된다(S230).Subsequently, when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only connected and not oper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value is set,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standby power are in the same state and thus the standby power state (S230).

여기서, 상기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각각에 대한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을 비교한다.Here, power consumption and standby power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devices are compared.

이어서, 제1전기기기 또는 제2전기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 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30초 정도의 시간이 카운트 된 후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S280).Subsequently,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correction value, it is determined as standby power, and after 30 seconds of time is coun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is measured. Block (S280).

상기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이 된다(S290).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also cut off (S290).

이어서,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를 작동시킨다.Subsequently,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M are operated.

제1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PC 상에서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I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power may be consumed while the work is performed on the PC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제2전기기기에서는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하여 작업하는 화면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가 발생되며,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을 통하여 문서 인쇄 등의 작업이 진행되면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In the second electric device, a screen for working through a mouse and a keyboard is displayed on a monitor, a sound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speaker, and power consumption may be consumed while a job such as printing a document through a printer or a multifunction device is performed.

이때, 멀티탭(M)에서는 상기 보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보정 값 이상으로 각각 전력이 소비되면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S230).At this time, the multi-tap M determines that the connected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consume power more than the corrected value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S230).

예를 들어, 제1전기기기에 대한 보정 값이 2T 와트라고 하고 제2전기기기에 대한 보정 값이 3T 와트라고 하면, PC 본체가 가동되어 2T 와트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면 제1전기기기에 대한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하고, 모니터, 프린터 등이 작동되어 3T 와트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면 제2전기기기에 대한 소비모드라고 판단을 한다.
For example, if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is 2T watts and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second electrical equipment is 3T watts, the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is consumed when the PC main body is activated and consumes more than 2T wat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and the monitor, printer, etc. are operated to consume more than 3T watts,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sumption mode for the second electric device.

이어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사용량에 따라 기준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멀티탭(M)에서는 상기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하여 전력이 소비되는지 이하로 소비되는지 감지를 한다(S250).Subsequently, a reference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age amount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In the multi-tap M, the connected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exceed the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By detecting whether the power is consumed or less (S250).

예를 들어, 제1전기기기의 기준 값이 2.5T 와트, 제2전기기기의 기준 값이 3.5T 와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멀티탭(M)에서는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2.5T를 초과하는지 이하인지, 상기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3.5T를 초과하는지 이하인지 감지를 한다.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may be set to 2.5T watts,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set to 3.5T watts, and in the power strip (M),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is 2.5T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exceeding or less, and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exceeds 3.5T or less.

이어서, 상기 멀티탭(M)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가 각각 기준 값을 초과하여 전력이 소비되면 대기 상태가 아닌 소비모드가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멀티탭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기준 값 이하로 소비되면 제1차단부(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M consume power exceeding a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it is determined that a consumption mode other than the standby state is in progress. I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이때, 제1전기기기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제2전기기기는 계속 작동되는 경우가 존재한다.At this time, even if the power supply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is cut off, the second electric device may continue to operate.

예를 들어, 제2전기기기가 복합기인 경우, 제1전기기기인 PC 본체에서 작업이 완료되더라도, 복합기에서 복사 등의 독립적인 기능이 수행되면서 전력을 소비할 수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a multifunction device, even if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PC main body which is the first electric device, power may be consumed while an independent function such as copying is performed in the multifunction device.

따라서, 이런 경우로 인해, 제1전기기기인 PC 본체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은 바로 차단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한 입력 신호가 없으면,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신호입력부(300)로 전달시킨다.Therefore, even if the power supplied to the PC main body, which is the first electric device,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not immediately interrupted, and if there is no input signal through the keyboard and the mouse for a predetermined time, An interrupt signal indicating that no input signal i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input unit 300.

이어서, 상기 멀티탭(M)의 제어부(100)에서는 입력 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고,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 카운트가 진행된 후(S270),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290).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ulti-tap M receives an interrupt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input signal,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count of about 30 seconds has elapsed (S270),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To be made (S290).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이 된다.
Since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ic device is also cut off.

한편, 상기 인터럽트 신호 대신에 무선단말기(900)와 무선통신부(700)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신신호 세기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을 제어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pairing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n place of the interrupt sig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ndby power block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먼저, 무선단말기(900)에서 대기전력을 차단시킬 기준이 되는 수신신호 세기를 설정한다(S510).First, in step S510, the wireless terminal 900 set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s a reference to cut off standby power.

이어서, 상기 무선통신부(700)에서는 현재의 수신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중에(S520), 상기 무선통신부(700)로부터 무선단말기(900)가 일정 범위 외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부(700)로 수신되는 무선단말기(900)의 수신신호 세기가 줄어들게 되거나 또는 수신신호 세기가 없게 된다.Subsequently, while measuring the current received signal strength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S520), whe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reduced or there is no received signal strength.

이어서, 상기 멀티탭(M)의 제어부(100)에서는 무선통신부(700)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세기보다 작다고 판단되면(S530),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 카운트가 진행된 후,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540).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smaller than the preset signal strength in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ulti-tap M (S530), after a predetermined time count of about 30 seconds is progressed, The power supplied to the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S540).

상기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제1전기기 및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이 되므로 상기 멀티탭(M)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으로 작동이 된다.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devices is also cut off, so the multi-tap M has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t works.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700)로부터 무선단말기(900)가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부(700)로 수신되는 무선단말기(900)의 수신신호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Whe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900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ncreases.

이어서, 상기 멀티탭(M)의 제어부(100)에서는 무선통신부(700)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greater than a preset signal strength,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ulti-tap M passes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Allow power to be supplied.

상기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제1전기기 및 제2전기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멀티탭(M)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and thus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canceled.

이런식으로 무선단말기(900)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멀티탭(M)과 일정 거리가 유지되면 자동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진 후 무선단말기(900)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원격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수동으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제어하지 않아도 된다.In this way, whe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ulti-tap M is maintained by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900, pair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n standby power is remotely shut off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wireless terminal 900. By activating or disabling the standby power off function, there is no need to manually control the standby power down power strip.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M)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잊고 외출을 하더라도, 무선단말기(900)를 소지하고 있다면 무선단말기(900)와 멀티탭(M)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자동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될 수가 있다.For example, even if a user forgets to activate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of the standby power blocking power strip (M) and goes out, if the user has the wireless terminal 900,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power strip (M) Far apart,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can be activated automatically.

사용자가 외출 후 무선단말기(900)를 소지한 상태에서 멀티탭(M)으로 근접하게 되면, 자동 페어링에 의해 멀티탭(M)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된다.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ulti-tap M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wireless terminal 900 after going out,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of the multi-tap M is released by automatic pairing.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멀티탭은 대기전력 차단 모드에서 TV 또는 일반 적외선 송신장치(리모컨)의 신호를 받아 대기전력 차단 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unction of releasing the standby power blocking mode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TV or a general infrared ray transmitter (remote control) in the standby power blocking mode.

예를 들어, TV 리모컨으로 전원 버튼을 눌렀을 때 TV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멀티탭의 대기전력 차단 모드를 해제하고 TV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눌러 TV를 Turn On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TV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by the TV remote control, it is inconvenient to first turn off the standby power blocking mode of the power strip and then turn on the TV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of the TV remote control.

따라서, 설정 버튼 또는 기능키를 길게 누르면 리모컨 학습 기능 설정 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컨(TV리모컨, 에어컨 리모컨 등등)의 버튼을 누르면 본 기기의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해당 적외선 코드값을 저장하고 부저음(음성출력)이나 LED(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저장 완료를 표시해주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f you press the setup button or function key for a long time, the remote control learning function setting mode will be entered. If you press th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TV remote control, air conditioner remote control, etc.) to be set, the corresponding infrared code value inputt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of this unit will be saved. A buzzer sound (sound output) or LED (light emitting diode) can be used to indicate the completion of storage.

그러면 설정된 리모컨 버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차단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n, using the set remote control butt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unblocking function of the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에 연결된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 차단 기준 값을 초과하면 30초 정도의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1전기기기 및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o the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eds the preset overload cutoff value,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of about 30 seconds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devices The power supplied can be interrupted.

참고로, 도 10은 개별 대기전력 구동부의 예시를 도시한 블록도로써, 리모컨(미도시)을 이용하여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을 원격 조종하는 것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dividual standby power driver, and illustrates remotely controlling a standby power cutoff power tap using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용 멀티탭은 전원부(601), 정류부(602), 전압 및 전류감지부(603), 누전감지부(604), 마이콤(605), 대기전력 감지부(606), 스위치(607), 표시부(608), RF수신부(609), 릴레이(610), 콘센트(611), DIP스위치(612)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601, a rectifier 602, a voltage and current detector 603, an earth leakage detector 604, a microcomputer 605, and a standby power detector ( 606, a switch 607, a display portion 608, an RF receiver 609, a relay 610, an outlet 611, and a DIP switch 612.

콘센트(611)는 복수로 구비되어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꼽기 위한 일반적인 규격의 삽입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콘센트(61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스위치(607), 전원공급 상태확인용 표시부(608)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다.The outlet 6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s of the general standard for plugging in the home appliances, the power supply switch 607 for allowing a current to flow in the outlet 611, the display unit for checking the power supply state ( 608 is coupled to the housing in which it is formed.

상기 하우징의 콘센트(611) 후면은 벽면 콘센트에 꼽을 수 있는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rear of the outlet 611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wall outlet plug is connected to receive power.

상기 스위치(607) 혹은 리모컨의 ON 작동에 따라 삽입부에 꼽혀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전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OFF 작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로부터 플러그로의 전력을 차단시키게 된다.Power is supplied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plug inserted into the insert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switch 607 or the remote controller, and power to the plug is cut off from the insert according to the OFF operation.

상기 표시부(608)는 전원 공급 상태인지 대기전력 차단 상태인지를 표시해주는 것으로,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 부분을 하우징 내부에 내장하고 있어, 전원 공급 상태일 경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고 대기전력차단 상태일 경우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시킨다.The display unit 608 indicates whether the power supply state or the standby power cut-off state, and has a light emitting diode part in the housing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and emits the light emitting diode in the power supply state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state.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ode blinks.

상기 표시부(608)는 과부하 시에 발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과부하 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피커, 부저 등을 통해 음향으로도 전원 공급 상태인지, 대기전력 차단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608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overload state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overload is overload, and may display whether the power supply state, the standby power cut-off state, or the overload state is performed by sound through the speaker or the buzzer.

상기 전원부(601)는 상기 릴레이(610)를 통해 콘센트(611)에 전원을 공급시킨다.The power supply unit 601 supplies power to the outlet 611 through the relay 610.

상기 전원부(601)는 마이컴 부분(605)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교류 전원을 정류부(602)로 전송하며 상기 정류부(602)는 전송된 전원을 정류시킨 후 마이콤(605)으로 전달한다.The power supply unit 601 transmits AC power to the rectifier 602 so as to easily supply power to the microcomputer part 605, and the rectifier 602 rectifies the transmitted power and transfers the power to the microcomputer 605.

상기 누전감지부(604)는 상기 전원부(601)로부터의 누설 전류 여부를 감지하며, 이에 따라 누설 전류가 발생 되었을 경우 누전신호를 상기 마이콤(605)으로 전송한다.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604 detects whether there is a leakage current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1, and thus transmits a ground fault signal to the microcomputer 605 when a leakage current occurs.

상기 전압 및 전류감지부(603)는 상기 콘센트(611)에 플러그가 꼽혀 있는 가전제품들의 사용 시 이들 전압 또는 전류 값을 감지한 후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마이콤(605)에 전달한다.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ion unit 603 detects these voltage or current values when the home appliances are plugged into the outlet 611, and then transfers the detection signals to the microcomputer 605.

상기 대기전력 감지부(606)는 콘센트(611)에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꽂혀진 초기 상태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고 그 대기전력 값을 마이콤(605)으로 전달한다.The standby power detection unit 606 detects the standby power generated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plugged into the outlet 611 and transmits the standby power value to the microcomputer 605.

이때, 상기 대기전력 감지부와 전압 및 전류감지부는 동일한 구성으로써, 단지 콘센트로부터 마이콤에 전달되는 전류 중에서 대기전력 값과 전압 또는 전류 값을 차별되게 분류하여 인식시키기 위하여 달리 표현하여 기재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tandby power detection unit and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ion unit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re described differently so as to distinguish and classify the standby power value and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among the currents transferred from the outlet to the microcomputer.

즉, 전압 및 전류감지부 및 대기전력 감지부(606)는 전류센서용 변류기(CT)와 다이오드, 평활 콘덴서,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부로써, 변류기(CT)가 콘센트에 연결된 가전기기들에 공급되는 전원에 비례하여 부하들의 전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하고, 다이오드 및 평활 콘덴서가 검출된 부하들의 전류를 직류 신호로 정류 및 변환하여 저항을 통해 검출된 부하들의 전류들이 전압으로 변환되어 마이컴의 AD 컨버터로 들어가게 된다.That is,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ors and the standby power detector 606 are current detectors comprising a current transformer CT, a diode, a smoothing capacitor, a zener diode, and a resistor, and the current transformer CT is connected to an outlet. It functions to detect the current of the loads in proportion to the power supplied to the devices, and the diode and the smoothing capacitor rectify and convert the currents of the detected loads into a direct current signal so that the currents of the loads detected through the resistance are converted into voltages. The microcomputer's AD converter is entered.

이때 AD 컨버터로 입력되는 전압은 최대 5V를 넘지않도록 제너다이오드를 통해 마이컴을 보호한다.At this time, the input voltage to the AD converter protects the microcomputer through the zener diode so as not to exceed 5V.

즉, 변류기(CT)를 통해 들어오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마이컴에서 비교를 하도록 되어있으며, 이때 전류 값이 작으면 마이컴의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이 낮기 때문에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또는 오프모드라고 판단하고 전류 값이 크면 마이컴의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이 높기 때문에 가전기기가 사용중임을 판단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이해를 위해 전력 값과 전류 값을 비교한다고 표현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urrent coming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CT) is converted into a voltage to be compared in the microcomputer.At this time, if the current value is small, the voltage input to the AD of the microcomputer is low, so it is determined that the home appliance is in standby power or off mode. If the current value is large, it is judged that the home appliance is in use because the voltage input to the AD of the microcomputer is high, and it is expressed as comparing the power value and the current value for the user's understanding.

따라서 부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압이 낮기 때문에 대기전력으로 판단하고, 부하를 사용할 경우 전압이 높기 때문에 부하전력으로 판단하여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oad is not used, it is judged as standby power because the voltage is low, and when the load is used, it is judged as the load power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마이컴에서는 변류기(CT)를 거쳐 AD에 들어오는 전압을 비교하여 가전기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지만 원리는 변류기(CT)가 전류를 검출하기 때문에 전류를 비교하여 판단한다고 할 수 있으며, 혹은 전류의 크기에 따라 대기전력인지 부하전력인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을 비교하여 판단한다고도 표현할 수 있다.In the microcompu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the home appliance by comparing the voltage coming into the AD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CT), but the principle is that the current transformer (CT) detects the current, so that it can be judged by comparing the current. Therefore, since the standby power or the load power is determined, the standby power can be compared and judged.

상기 스위치(607)는 자체적으로 메인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부분이며, 상기 콘센트(611)에 전원 220V를 ON/OFF 하도록 마이콤(605)에 신호를 전달한다.The switch 607 is a switch part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main power by itself,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icrocomputer 605 to turn on / off the power supply 220V to the outlet 611.

상기 RF 수신부(609)는 RF 방식의 리모콘으로부터 ON/OFF 신호를 방향에 상관없이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RF수신부(609)로 전송된 신호는 마이콤(605)으로 전송되어 상기 스위치부(607)의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RF receiver 609 may receive an ON / OFF signal from an RF remote controller regardless of the direction,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F receiver 609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605 so that the switch unit 607 is received.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상기 RF 수신부(609)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는 적외선 수신부로 대체될 수 있다.The RF receiver 609 may be replaced with an infrared receiver that receives an infrared signal.

상기 릴레이(610)는 상기 마이콤(605)으로부터의 명령을 받아 ON/OFF 되며 ON 상태가 됨에 따라 콘센트(611)에 전원 220V를 인가해 준다.The relay 610 is ON / OFF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microcomputer 605, and applies a power supply 220V to the outlet 611 as it becomes ON.

상기 DIP 스위치(612) 대기전력이 흐를 시 콘센트(611)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The DIP switch 612 i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time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outlet 611 when the standby power flows.

상기 마이콤(605)은 정류부(60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압 및 전류감지부(603)로부터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 누전감지부(604)로 부터의 누전신호, 대기전력 감지부(606)로부터의 대기전력 값, 스위치(607)와 RF수신부(609)로부터의 ON/OFF신호를 전달 받는다.The microcomputer 605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rectifier 602,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from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or 603, a short circuit signal from the ground fault detector 604, a standby power detector The standby power value from 606 and the ON / OFF signal from the switch 607 and the RF receiver 609 are received.

상기의 신호들을 전달받은 마이콤(605)은 그 값에 따라 릴레이(610)를 제어하여 콘센트(611)의 전원 공급 회로를 개폐시키도록 한다.The microcomputer 605 receiving the above signals controls the relay 610 according to the value to open and close the power supply circuit of the outlet 611.

즉, 상기 누전감지부(604)의 누전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릴레이(610)를 통해 전원부(601)의 전원이 콘센트(61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전압 및 전류감지부(603)로부터의 전압 또는 전류 값을 전달받게 되면 릴레이(610)를 ON 시켜 전원부(601)의 전원이 콘센트(611)에 전달되도록 하여 가전제품이 작동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earth leakage signal of the earth leakage detecting unit 604 is received,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601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let 611 through the relay 610, and from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ion unit 603. When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is received, the relay 610 is turned on so tha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601 is transmitted to the outlet 611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또한 대기전력 감지부(606)로부터의 대기전력 값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전압 및 전류감지부(603)로부터의 전압 또는 전류 값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릴레이(610)를 OFF 시켜 콘센트(611)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tandby power value from the standby power detection unit 606 is received and stored,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from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ion unit 603, the relay 610 is turned off to the outlet ( 611) does not flow current.

또한 상기 콘센트의 전원 공급 시 표시부(608)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며 대기전력 차단 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소등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outlet,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display unit 608 is turned on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tandby power blocking state.

이때, 개별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 즉, 한 구에 한 제품만 사용할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제품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되며, 대기전력차단 콘서트에 멀티탭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즉, 멀티탭을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전자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각각의 가전기기가 가지는 대기전력은 알 수 없다.In this case, when using an individual outlet, that is, using only one product per househol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the product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When using a multi-tap,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s can be used, but the standby power of each home appliance is not known.

그러나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출력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초기에 마이컴에서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을 기억하고 있다가 TV, 오디오, DVD 등 가전제품을 사용하면 AD의 전압 값이 높아서 부하를 사용하고 있음을 마이컴에서 판단하고, 부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AD에 들어오는 전압 값이 초기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와 동등하기 때문에 부하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마이컴에서 판단하여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출력에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However,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output of the standby power cut-off outlet, the initial value of the voltage coming into AD from the microcomputer is memorized. If it is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and the load is not used, the microcomputer determines that the load is not used because the voltage input to AD is the same as when the power was initially supplied.

따라서 복수 개의 콘센트를 통해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은 알 수 없으나 전체적인 대기전력을 알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re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s, the standby power for each home appliance may not be known, but the overall standby power may be known.

한편, 상기 전압 및 전류감지부(603)가 고장나면,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하여 사용자가 제품 불량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ion unit 603 breaks down, the relay is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o prevent fire, and the display unit indicates that the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indicate a product defect. To find out.

예를 들어, 전압 및 전류감지부를 통해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2가지로 나타날 수가 있는데, 첫번째는 과부하시의 경우와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전압 및 전류감지부의 AD 출력 값이 최대로 나타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전압 및 전류감지부의 AD 출력 값이 없는 경우이다.For example, there are two cases in which the fault is judg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or. The first symptom is the same as when the overload occurs. The second case is the absence of the AD output of the voltage and current detector.

상술한 2가지의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발생되면 마이컴에서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를 통해 발광다이오드, 부저 또는 스피커 등으로 알림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ny one of the two cases described above occurs, the microcomputer detects this and may notify the light emitting diode, the buzzer, or the speaker through the display unit.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200: 제1차단부 500: 제2차단부
700: 무선통신부 900: 무선단말기
M: 멀티탭
200: first blocking portion 500: second blocking portion
70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900: wireless terminal
M: Multi-tap

Claims (7)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200)와,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500)와, 무선단말기(9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부(700)가 포함된 멀티탭(M)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상기 멀티탭(M)으로부터 일정 반경 외에 위치하면 상기 멀티탭(M)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작동되고,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상기 멀티탭(M)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해제되고;
상기 멀티탭(M)에는 상기 제1전기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입력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입력부(300)를 통해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멀티탭(M)의 하부에 접이식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The first blocking unit 200 to which the first electric device is connecte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to which the second electric device which operates in dependence on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9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a multi-tap (M)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is paired with;
Whe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multi-tap (M), the multi-tap (M) is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activated,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multi-tap (M) Standby power off function is released;
The power strip (M) is provided with a signal input unit (300)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 device by wire or wireless to receive an interrupt signal;
When the interrupt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input signal of the input means is input from the first electric device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300,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interrupting unit 500 is cut off;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plug is provided below the multi-tap (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또는 와이파이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 standby power cut 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or WiF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멀티탭(M)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무선단말기(900)와 무선통신부(700)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최초 페어링 이후 근접시 자동 연결방식으로 페어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power strip (M), the pairing is made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9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and after the initial pairing in the automatic connection method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900)가 멀티탭(M)으로부터 일정 반경 외에 위치하여 페어링이 중지되면, 상기 멀티탭(M)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if the pairing is stopped because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located outside a certain radius from the multi-tap (M), the multi-tap (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activ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Standby power cut off power strip using wireless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9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The standby power cut-off power strip using 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900 is any one of a smartphone, a smart pad, and a tablet P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M)은
상기 제1차단부(200)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210)와 제1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구동부(25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500)는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510)와 제2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구동부(55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무선단말기(9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를 제어부(100)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7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검출부(210) 및 제2전류검출부(510)를 통해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각각 전달받고,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 및 제2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대기전력으로 판단되면 제1차단구동부(250) 및 제2차단구동부(550)를 각각 구동시켜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외에 포함되면 상기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1차단부(200) 및 제2차단부(5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100)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trip (M)
The first block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current detecting unit 210 for detec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a first blocking driving unit 250 f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al device. ;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ncludes a second current detecting unit 510 for detec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nd a second blocking driving unit 550 f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ic device.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900 to the control unit 100;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urrent det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urrent detection unit 510,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 device are respectively received.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is determined to be standby power, the first blocking driver 250 and the second blocking driver 550 are driven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par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500, respectively.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included outside the preset range,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is cut off, and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included in the preset range, The control unit 100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blocking unit 20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500.
Standby power cut off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M)에는 소비되는 전압과 전류, 소비전력량및 소비전력량에 따른 사용 요금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The power strip of the standby power cut-off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trip (M) is provided with a display that displays a usage fee according to the voltage and current consume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KR1020130136734A 2013-11-12 2013-11-12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KR101389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34A KR101389897B1 (en) 2013-11-12 2013-11-12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34A KR101389897B1 (en) 2013-11-12 2013-11-12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897B1 true KR101389897B1 (en) 2014-04-29

Family

ID=5065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34A KR101389897B1 (en) 2013-11-12 2013-11-12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89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778A (en)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유타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ing smart device
KR20160014355A (en) * 2014-07-29 2016-02-11 (주) 엠씨엠 Wireless method type multi-tap power saving system by area zoging
KR101774027B1 (en) * 2016-01-27 2017-09-0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ower Saving Electrical Socket and Power Saving Socket Control System
KR102086446B1 (en) * 2019-01-07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KR102086499B1 (en) * 2019-01-07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f I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352A (en) * 2007-08-08 2009-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saving power using distance information
KR20110091307A (en) * 2010-02-05 2011-08-11 박한규 Outlet for smart grid
KR20120055484A (en) * 2010-11-23 2012-05-31 김창호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electronincs products
KR20130096029A (en) * 2012-02-21 2013-08-29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Standby power saving concert with short-rang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352A (en) * 2007-08-08 2009-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saving power using distance information
KR20110091307A (en) * 2010-02-05 2011-08-11 박한규 Outlet for smart grid
KR20120055484A (en) * 2010-11-23 2012-05-31 김창호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electronincs products
KR20130096029A (en) * 2012-02-21 2013-08-29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Standby power saving concert with short-range communi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778A (en)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유타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ing smart device
KR101639673B1 (en) * 2014-05-23 2016-07-14 주식회사 유타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ing smart device
KR20160014355A (en) * 2014-07-29 2016-02-11 (주) 엠씨엠 Wireless method type multi-tap power saving system by area zoging
KR101681986B1 (en) * 2014-07-29 2016-12-06 (주) 엠씨엠 Wireless method type multi-tap power saving system by area zoging
KR101774027B1 (en) * 2016-01-27 2017-09-0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ower Saving Electrical Socket and Power Saving Socket Control System
KR102086446B1 (en) * 2019-01-07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KR102086499B1 (en) * 2019-01-07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f I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897B1 (en)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KR100980626B1 (en) Adaptive multi-tab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over-power and standby-power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KR101685062B1 (en) A artificial intelligent wall outlet for automatic quiescent power cut-off and recovery function
KR100798830B1 (en) Improved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KR101206081B1 (en) Device for break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outret and method thereof
KR101298082B1 (e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106912A (en)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KR101221727B1 (en) Power saving type device for break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outret
KR20150137429A (en) Multiconc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97580A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KR100970843B1 (en) Green consent for adaptively setting power level
KR20160076140A (en) Smart Power Monitoring Outlet
KR200459073Y1 (en) Receptacle
KR101302677B1 (en) Set top box power controller
KR101302056B1 (en) Intelligent disconnecting method for standby power
KR1018018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oor Standby Power
KR20130042933A (en) Socket for breaking stand-by power, electric leakage and overload
KR101358834B1 (en) Automatic block system for standby power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01787B1 (en) Auto power saving system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606085B1 (e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KR101846740B1 (en)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KR101820476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Charge of Mobile Terminal Battery
KR101037757B1 (en) A socke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KR201100179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stand-by electric power
KR101433710B1 (en) Multi-tap device with cutting off standby power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