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191B1 -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191B1
KR101387191B1 KR1020080005119A KR20080005119A KR101387191B1 KR 101387191 B1 KR101387191 B1 KR 101387191B1 KR 1020080005119 A KR1020080005119 A KR 1020080005119A KR 20080005119 A KR20080005119 A KR 20080005119A KR 101387191 B1 KR101387191 B1 KR 10138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hort
signa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9268A (en
Inventor
경태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191B1/en
Publication of KR2009007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1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가압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를 구비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지그비 통신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송수신하는 지그비 모듈;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음성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갖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소통을 이루는 지그비 중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including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pressurized signal by the user and a voice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by the user; A controller which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of the signal input unit; A Zigbee module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 voice signal by a user into a Zigbee communication band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 storage unit for making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nd storing a voice signal; A signal output unit having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and a Zigbee repeat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Description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지역 무선 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having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종래의 인터폰 시스템은 전화기 등을 사용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내부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Conventional interphone systems enable internal short-range communication over a wired network using a telephone or the like.

이러한 인터폰 시스템은 근거리 유선 통신 뿐만 아니라 외부 침입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장치 및 비상 사태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켜 실내 거주 및 근무자의 안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Such interphone systems are being researched in addition to short-range wired communication as well as an alarm device for notifying an external intrusion state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in case of an emergency to maintain indoor living and working safety status.

하지만, 이러한 인터폰 시스템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별도의 유선 통신망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설치 등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규약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루는 경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룰 수 있으나 유지 운영 비가 상당히 소요되고 소비 전력이 커 가동 시간에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However, since the interphone system is configured through a wired network, it is required to install a separat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can be achiev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of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operation cost is considerably high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large, which significantly limits the uptime. Entails.

따라서, 본 발명은 저전력 운영 기반의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1 대 N의 통화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aving a structure that enables one-to-N call connection using ZigBee communication based on low power oper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가압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를 구비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지그비 통신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송수신하는 지그비 모듈;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음성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갖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소통을 이루는 지그비 중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ignal input unit having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pressurized signal by the user, and a voice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by the user; A controller which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of the signal input unit; A Zigbee module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 voice signal by a user into a Zigbee communication band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 storage unit for making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nd storing a voice signal; A signal output unit having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and a Zigbee repeat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상기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데이터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데이터 정보 출력을 위한 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the signal input unit may include an input port for inputting data information, and the signal output unit may include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data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신호 입력부, 제어부, 지그비 모듈, 저장부, 신호 출력부를 갖는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 및 지그비 중계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지그비 중계기를 지그비 통신 대역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 중의 하나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부터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상기 지그비 중계기를 거쳐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상기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나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음성 신호를 역전송하기 위한 통화 모드와, 상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itialization step of initializ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signal input unit, a control unit, a Zigbee module, a storage unit, and a signal output unit and a Zigbee repeater; Connect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Zigbee repeater to a Zigbee communication band;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Zigbee repeater from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to an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an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 mode performing step including a call mode for the 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versely transmit a voice signal to the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상기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는: 상기 신호 입력부에 구비되는 키 입력부 및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키 입력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상기 지그비 중계기를 지그비 통신 대역으로 연결시키고 연결 정보를 전달하는 중계기 연결 단계와, 상기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그비 중계기가 다른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연결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the connecting step may include: a signal input step of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and a voice signal through a key input unit and a voice input unit provided in the signal input unit, and based on the input key input signal; A repeater connection step of the control unit connect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Zigbee repeater to a Zigbee communication band through the Zigbee module and transferr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connecting the targe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rminal to another target ZigBee relay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t may also include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step.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환하는 음성 신호 변환 단계와, 상 기 제어부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상기 지그비 중계기로 전달하는 중계기 전송 단계와, 상기 지그비 중계기가 입력된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다른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the transmitting step may include: a voice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through the Zigbee module; Repeater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o the repeater, and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inputted by the Zigbee repeater to the 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벙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부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역변환시키는 음성 신호 역변환 단계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가 상기 역변환된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음성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the outputting step includes: a voice signal inverse conversion step of inversely conver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by a signal processor provided i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signal inverted by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output step of outputt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모드 수행 단계는: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통화 모드와 상기 저장 모드 중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단계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가 상기 통화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대상 음성 신호를 변환하는 대상 음성 신호 변환 단계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상기 지그비 중계기로 전달하는 중계기 전송 단계와, 상기 지그비 중계기가 상기 하나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상기 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 전송 단계와, 상기 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역변환하는 음성 신호 역변환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역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 음성 출력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performing of the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by a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 mode selected by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mong the call mode and the storage mod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de determining step and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ode selected by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s the call mode; A target voice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a voice signal, a repeater transmission step of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ferring the converted target voice signal to the Zigbee repeater, and the zigbee repeater to the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A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converted target voice signal, an inverse-converting voice signal converting the converted target voice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the inverse-converted objec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output step of outputting a voice signal may be provided.

상기 모드 수행 단계는: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통화 모드와 상기 저장 모드 중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단계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가 상기 저장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하는 음성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performing of the mode may include: a mode in which a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a mode selected by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mong the call mode and the storage mod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mode selected by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s the storage mode,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also include a storage step.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지그비 모듈을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지그비 중계기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비를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Firs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enab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Zigbee module and a Zigbee repeater.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지그비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저전력 운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운영비를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Seco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intenance operation cost by enabling low-power operation by using Zigbe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에서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1)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1)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구성에 대한 블록 선도가 도시된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for the configuration of is show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1)은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0,10a,...,10n)와 지그비 중계기(20)를 포함하는데, 지그비 중계기(20)는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0,10a,...,10n)과 지그비 통신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이룬다. 여기서,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0,10a,...,10n)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기를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로 명명하고 상대편(대상)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기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로 명명한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 10a, ..., 10n and a Zigbee repeater 20, and the Zigbee repeater 20 includes a plurality of short rang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Zigbee communication ban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0, 10a, ..., 10n. Here, the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 10a, ..., 10n may have the same structu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is calle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other side is called the other side. (Target)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is referred to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는 신호 입력부(100)와, 제어부(300)와, 지그비 모듈(500)과, 저장부(400)와, 신호 출력부(600)를 구비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는 신호 처리부(200)를 더 구비하는데, 경우에 따라 근거리 통 신 단말기(10)의 제어부(300)와 신호 처리부(2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 통신 방법을 따르므로 저전력 운영이 가능하여 전원부는 건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 배터리와 충전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100, a control unit 300, a Zigbee module 500, a storage unit 400, and a signal output unit 600.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further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200. In some cases,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is possible to operate low power,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mposed of a battery, etc.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charging unit to enable.

신호 입력부(100)는 키 입력부(110)와, 음성 입력부(120)와, 입력 포트(130)를 구비하는데, 키 입력부(110)는 수 개의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어 발생하는 가압 신호를 입력받는다. 음성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와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신호 처리부(200)로 전달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100)는 입력 포트(13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입력 포트(130)는 USB 포트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 장치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signal input unit 100 includes a key input unit 110, a voice input unit 120, and an input port 130. The key input unit 110 is composed of several button switches and is pressurized by a user. Receive a signal. The voice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uch as a microphone (MIC) that receives a voice signal generated by a user.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20 such as a microphone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 200.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port 130, and the input port 130 may be configured as a USB port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s.

신호 처리부(200)는 신호 입력부(100)와 연결되는데, 신호 처리부(200)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부(200)는 별도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신호 처리부(200)는 별도의 구성을 취하지 않고 제어부(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signal processor 200 is connected to the signal input unit 100. The signal processor 20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and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1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 Although the signal processor 200 is illustrated as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parat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or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roller 300 without taking a separate configura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may be taken.

제어부(300)는 신호 입력부(100)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0)는 다른 구성요소인 신호 처리부(200), 저장부(400), 지그비 모듈(500) 및 신호 출력부(6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즉, 신호 입력부(100)의 키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키 입력 신호와 음성 입력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부(300)는 신호 처리부(200) 등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300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of the signal input unit 100. The controller 30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processor 200, the storage 400, the Zigbee module 500, and the signal output unit 600, which are other components. That is, by using the key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10 of the signal input unit 100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input unit 120, the controller 30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processor 200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process is performed.

지그비 모듈(500)은 IEEE 802.15.4를 반으로 하는 표준 규격으로서의 지그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취하는데, 여기서 자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으나 지그비 모듈(500)은 지그비 통신부와 지그비 신호처리부를 구비하여 지그비 통신부를 통한 지그비 신호의 송수신을 이루고 지그비 신호 처리부는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제어부(300)로부터의 신호를 변환하여 외부로 송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변환시켜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400)는 제어부(3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그비 모듈(500)을 통하여 수신되고 신호 처리부(200)를 통하여 역변환된 상대방(대상)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등의 소정의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The ZigBee module 500 takes a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as a standard that simplifies IEEE 802.15.4.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the ZigBee module 500 includes a ZigBee communication unit and a ZigBee signal processing unit. Zigbe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ZigBee communication unit and the ZigBee sign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to convert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00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r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outside to convert it to the control unit ( 300). The storage unit 400 makes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target) received through the Zigbee module 500 and inversely conver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0. Perform a predetermined storage function, such as storing.

신호 출력부(600)는 음성 출력부(610)와 화상 출력부(620)를 포함하는데, 음성 출력부(610)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되어 상대방(대상)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화상 출력부(620)는 현재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 출력부(620)는 LC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데, 화상 출력부(620)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근거리 통신 단말기(10)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하기되는 통화 모드 및 저장 모드 등과 같은 작동 모드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신호 출력부(600)는 출력 포트(630)를 더 구비하여 외부 저장 장치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저장부(400) 등에 저장된 음성 신호 및 문자 정보 등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고 출력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때 신호 출력부(600)의 출력 포트(630)는 신호 입력부(100)의 입력 포트(130)가 서로 일체로 구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signal output unit 600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610 and an image output unit 620. The voice output unit 610 is implemented as a speaker to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other party (target). 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620 performs a display function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the image output unit 620 is implemented as an LCD display, etc., the image output unit 620 is a call mode t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and Displays the operating mode such as storage mode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unit 600 further includes an output port 630 to transmit data information such as voice signals and 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of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storage device. It may take the configuration of transmitting and outputting. In this case, the output port 630 of the signal output unit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put port 130 of the signal input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지그비 중계기(2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의 중계기로 구현되는데, 지그비 중계기(20)는 대략 50m 반경의 커버리지를 담당하고 지그비 중계기(20) 당 200여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의 접속을 이룰 수 있다. 지그비 중계기(20)에도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지그비 모듈과 동일 내지 유사하고 지그비 신호처리부와 지그비 통신부를 포함하는 지그비 모듈을 구비한다. The Zigbee repeater 20 is implemented as a repeater as an access point, and the Zigbee repeater 20 is responsible for approximately 50m radius of coverage and can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bout 200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per Zigbee repeater 20. have. The Zigbee repeater 20 also includes a Zigbee module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Zigbee module provided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 Zigbee signal processor and a Zigbee communication uni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1)은 초기화 단계(S10)를 수행한다. 즉, 근거리 통신 시스탬(1)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하여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키 입력부(110)는 입력된 온 신호를 신호 처리부(200)를 거쳐 또는 직접적으로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서의 지그비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그비 모듈(500)을 업로딩하여 초기화시켜 지그비 통신을 위한 준비 상태를 수행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initialization step S10. That is, when the 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by the user,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1 receives the input ON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200. Passes directly to or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The controller 300 uploads and initializes the Zigbee module 500 using a program for Zigbee communication as software stored in the storage 400 to perform a preparation state for Zigbee communication.

그런 후, 근거리 통신 시스템(1)은 연결 단계(S20)를 수행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가 다른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를 호출하는 경우 제어부(300)가 이를 인지하는 신호 입력 단계(S21)가 수행된다. 키 입력부(100)를 통한 키 입력 신호와 더불어 음성 입력부(120)를 통한 음성 신호 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제어부(300)는 입력된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지그비 모듈(500)의 지그비 통신부를 통하여 지그비 중계기(20)를 지그비 통신 대역으로 연결시키고,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호출 신호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지그비 중계기(20)로 전달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키 입력부(110)를 통한 호출 신호의 연결 정보에 따라 제어부(300)는 지그비 모듈(500)로 연결 정보로서의 호출 신호를 전달하여 이를 지그비 중계기(20)로 무선 전송하는 중계기 연결 단계(S23)를 수행하는데, 지그비 모듈(500)의 지그비 신호처리부는 제어부(300)를 통하여 전달되는 호출 신호를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전환하고 지그비 통신부는 이를 지그비 중계기(20)로 전달한다. 지그비 중계기(20)는 전달된 호출 신호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호출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지그비 중계기(20)는 내장된 지그비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호출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송수신을 위한 대상 근거리 통 신 단말기 연결 단계를 수행한 후(S25), 연결 단계(S20)가 종료된다. Th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1 performs the connection step (S20). First, as shown in FIG. 4, when a key input signal input by a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calls an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10n, the control unit 300 does this. Recognizing signal input step S21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key input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0,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20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n, the control unit 300 connects the Zigbee repeater 20 to the Zigbee communication band through the Zigbee communication unit of the Zigbee module 500 according to the input key input signal, and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 signal of the terminals 10a, ..., 10n is transmitted to the Zigbee repeater 20. That i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all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300 transmits the call signal a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Zigbee module 500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the Zigbee repeater 20. Repeater connection step (S23) is performed, the ZigBe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ZigBee module 500 converts the cal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to a signal suitable for communication and the ZigBee communication unit transfers it to the ZigBee repeater 20 . The Zigbee repeater 20 receiv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ransferred call signal and accordingly performs a process for accessing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called by the user, the Zigbee repeater 20 performs a built-in Zigbee communication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call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gram (S25), the connection step (S20) is terminated.

그런 후, 제어부(300)는 전송 단계(S30)를 수행한다. 제어부(300)는 신호 입력부(100)의 음성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로서의 음성 신호를 신호 처리부(200)로 하여금 신호 처리하도록 한다(S31). 여기서, 음성 정보는 저장부(400)에 임시 저장되고 제어부(300)에 의하여 임시 저장된 음성 정보를 신호 처리부(200)를 통하여 신호 변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300 performs the transmission step (S30). The controller 300 causes the signal processor 200 to process a voice signal as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20 of the signal input unit 100 (S31). In this case,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and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voice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by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200.

신호 처리되어 변환된 음성 신호는 제어부(300)에 의하여 지그비 모듈(500)로 전송되어 지그비 중계기(20)로 전달되는 중계기 전송 단계(S33)가 수행된다. 그런 후, 지그비 중계기(20)는 연결 정보에 의하여 호출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지그비 중계기(20)는 입력된 변환 음성 신호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으로 전송한다(S35). The voic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Zigbee module 500 by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relay transmission step S33 is transmitted to the Zigbee repeater 20. Then, the Zigbee repeater 20 maintains a connection state with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called by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Zigbee repeater 20 receives the converted converted voice signal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to the terminals 10a, ..., 10n (S35).

그런 후, 호출 신호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통하여 지그비 중계기(20)와 소통을 이루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는 이에 구비되는 지그비 모듈을 사용하여 전송된 변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신호 처리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수신된 변환 음성 신호를 역변환한다(S41). 그런 후,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 즉 대상 제어부는 역변환된 변환 음성 신호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신호 출력부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역변환된 변환 음성 신호, 즉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음성 출력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3). 경우에 따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신호 출력부의 화상 출력부를 통하여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가 수행하는 실행 모드를 화상 표시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화상 출력 단계(S45)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T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communicating with the Zigbee repeater 20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 signal receive the converted voice signal transmitted using the Zigbee module provided therein. Then,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to inversely convert the received converted speech signal (S41). Then,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that is, the target control unit is a speaker provided in the signal out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ie,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as illustrated in S43. In some cases,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And 10n may control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output step (S45)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execution mode performed by .10n) may be further performed.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출력 단계가 수행된 후,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는 모드 수행 단계를 실행한다(S50). 즉,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는 통화 모드와 저장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수행 단계를 수행하는데, 통화 모드에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대방 대상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변환하고 이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역전송하고, 저장 모드에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상대방 대상 사용자가 수신하여 응답하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저장부에 저장한다. After the output steps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are performed,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execute a mode performing step (S50). That is, an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performs a mode performing step including a call mode and a storage mode,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converts the voice signal by the target user of the target and then converts it to the Zigbee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If the reverse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modul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does not show a response that the counterpart target user receives and responds to in the storage mode, The voice signa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신호 입력부의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상대방 대상 사용자에 의한 수신 여부에 따른 모드 판단 단계(S510)를 수행하여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가 통화 모드와 저장 모드 중 상대방 대상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를 판단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is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signal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By performing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51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ceived by the counterpart target user through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10n) determines the mode selected by the counterpart user among the call mode and the storage mode.

상대방 대상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가 통화 모드인 경우, 즉 대상 사용자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키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하고자 하는 통화 모드를 위한 버튼을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응답을 위한 상대방 대상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대방 대상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대상 음성 신호를 변환하는 음성 신호 변환 단계(S520)을 수행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지그비 중계기(20)를 거쳐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으로 전달되는 경로와 역방향으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지그비 중계기(20)로 전달하는 중계기 전송 단계(S530)를 수행하고, 지그비 중계기(20)는 사용자에 의한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로 전달한다(S540). When the mode selected by the counterpart target user is the call mode, that is, the call mode for which the target user receives and responds to a voice signal from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When a signal is generated by pressing a button and a voice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unterpart target user for a response,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controls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Performs a voice signal conversion step (S520) of converting a voice signal by the counterpart target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of 10n) through a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path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10a, ..., 10n via the Zigbee repeater 20; Transmitter transmission step (S530) for transmitting to the Zigbee repeater 20 through the Zigbee module of the terminal (10a, ..., 10n), the Zigbee repeater 20 is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terminal 10 by the user (S540).

그런 후,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로부터 지그비 중계기(20)를 거쳐 전달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 사용자에 의한 변환된 음성 신호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지그비 모듈(500)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처리부(200)에서 역변환 신호 처리되는 음성 신호 역변환 단계가 수행된다(S550).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300)는 역변환된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 사용자의 대상 음성 신호를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음성 출력부(620)를 통하여 출력한다(S560).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300)는 신호 출력부(600)에 구비되는 화상 출력부(630)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작동 모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S570). Then, the converted voice signal by the us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transmitted from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via the Zigbee repeater 20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 voice signal inverse transform step, which is received through the ZigBee module 500 of FIG. 10 and that is inversely converted by the signal processor 2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is performed (S550). The control unit 300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outputs the target voice signal of the inverse transformed target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10n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620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S560).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control unit 300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10 outputs an operation mode indicating a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630 included in the signal output unit 600. It may be (S570).

반면,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키 입력부에 의한 어떠한 신호도 수령하지 못하거나 별도의 응답을 위한 통화 모드를 선택하는 키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저장 모드를 수행한다. 먼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음성 정보 저장 단계를 수행한다(S580). 그런 후,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10a,...,10n)의 제어부는 신호 출력부의 화상 출력부에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된 저장 모드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한다(S590). 예를 들어, 저장모드에 대한 메세지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저장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저장 모드 수행에 대한 표시 및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수신 및 저장된 시각을 나타내는 메세지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does not receive any signal by the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or call mode for a separate respon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key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controller 300 performs a storage mode. First,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stores the user's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e storage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A voice information storage step is performed (S580). Then,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10a, ..., 10n) outputs a message for the storage mod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image output unit of the signal output unit (S590). For example, the message for the storage mode may be composed of an indication of performing a storage mode indicating that the voice signal from the user is stored and a message indicating a time when the voice signal from the user is received and stored.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저전력 기반의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므로 전달되는 음성 정보의 과도한 신호 처리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를 통한 입력시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만의 음성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로 하여금 제한된 입력 시간의 인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화상 출력부를 통한 경고 표시 등을 이룰 수도 있는 등 다 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이를 연결하는 지그비 중계기를 구비하고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응답을 하는 통화 모드와 반응이 없는 경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low-power ZigBee communication, so to prevent an error due to excessive signal processing of the transmitted voice information, only during a predetermined time when inputting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warning display through an image output unit to enable the user to recognize a limited input time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can be inpu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Zigbee repeater for connecting the same, and may perform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received voice information when there is no response with the call mode for responding to the voice informa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3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연결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전송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mission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출력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모드 수행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 performing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근거리 통신 시스템 10...근거리 통신 단말기1 ...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10 ...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s

20...지그비 중계기 100...신호 입력부20 ... Zigbee Repeater 100 ... Signal Input

110...키 입력부 200...신호 처리부110 ... key input 200 ... signal processing unit

300...제어부 400...저장부300 control unit 400 storage unit

500...지그비 모듈 600...신호 출력부500 ... Zigbee Module 600 ... Signal Output

Claims (8)

신호 입력부, 제어부, 지그비 모듈, 저장부, 신호 출력부를 갖는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 및 지그비 중계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지그비 중계기를 지그비 통신 대역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 중의 하나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부터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상기 지그비 중계기를 거쳐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상기 다른 하나의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나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음성 신호를 역전송하기 위한 통화 모드와, 상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수행 단계;를 포함하고, An initialization step of initializ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signal input unit, a control unit, a Zigbee module, a storage unit, a signal output unit, and a Zigbee repeater; Connect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Zigbee repeater to a Zigbee communication band;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Zigbee repeater from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s to an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an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ing a mode in which the other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all mode for reversely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o the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상기 연결 단계는: 상기 신호 입력부에 구비되는 키 입력부 및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키 입력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상기 지그비 중계기를 지그비 통신 대역으로 연결시키고 연결 정보를 전달하는 중계기 연결 단계와, 상기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그비 중계기가 다른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연결 단계를 포함하고, The connecting step may include: a signal input step of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and a voice signal through a key input unit and a voice input unit provided in the signal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via the Zigbee module based on the input key input signal; A repeater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Zigbee repeater to a Zigbee communication band and transferr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a target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the Zigbee repeater to another target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환하는 음성 신호 변환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상기 지그비 중계기로 전달하는 중계기 전송 단계와, 상기 지그비 중계기가 입력된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다른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The transmitting step may include: a voice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a repeater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ontrol unit,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Zigbee repeater through the Zigbee module, and the Zigbee And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inputted by a repeater to the other short-range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 단계는:The output stage is: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부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역변환시키는 음성 신호 역변환 단계와,An inverse voice signal conversion step of inversely conver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by a signal processor provided i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가 상기 역변환된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음성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And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output step, wherei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voice signal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inverse transformed voice signal.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드 수행 단계는:The step of performing the mode is: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통화 모드와 상기 저장 모드 중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단계와,A mod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by a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 mode selected by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mong the call mode and the storage mod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가 상기 통화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When the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ode selected by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s the call mode,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대상 음성 신호를 변환하는 대상 음성 신호 변환 단계와,A target voice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by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arget voice signal by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상기 지그비 중계기로 전달하는 중계기 전송 단계와,A repeater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verted target voice signal to the Zigbee repeater; 상기 지그비 중계기가 상기 하나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상기 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 전송 단계와,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converted target voice signal to the on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Zigbee repeater; 상기 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역변환하는 음성 신호 역변환 단계와,Inversely converting the converted speech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역변환된 대상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 음성 출력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inverse transformed target voice signal through a voice output unit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드 수행 단계는:The step of performing the mode is: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통화 모드와 상기 저장 모드 중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단계와,A mod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by a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a mode selected by a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mong the call mode and the storage mod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key input unit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가 상기 저장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When the controller of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ode selected by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s the storage mode,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대상 근거리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하는 음성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And storing voic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target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005119A 2008-01-17 2008-01-17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87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19A KR101387191B1 (en) 2008-01-17 2008-01-17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19A KR101387191B1 (en) 2008-01-17 2008-01-17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68A KR20090079268A (en) 2009-07-22
KR101387191B1 true KR101387191B1 (en) 2014-04-21

Family

ID=4129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119A KR101387191B1 (en) 2008-01-17 2008-01-17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19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846A (en) * 2003-06-04 2004-12-13 주식회사 싸이더스 Wireless terminal
KR20070051107A (en) * 2005-11-14 2007-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instant messaging service using zigbe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846A (en) * 2003-06-04 2004-12-13 주식회사 싸이더스 Wireless terminal
KR20070051107A (en) * 2005-11-14 2007-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instant messaging service using zigb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68A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0752B2 (en) Universal gateway module for interfacing a security system control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CN113572731B (en) Voice communication method, personal computer,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2857272B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90180631A1 (en) Personal sound system for display of sound pressure level or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
US853271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udible location alarm from ear level device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CN109890021A (en) Bluetooth headset switching method, bluetooth headset and terminal
KR10070151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outputting selectively converting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to voice sound according to a movement speed
CN104038625A (en)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CN104980884B (en) Information transferring method and information carrying means
JP2008187221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all switching method and call switching program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all switching program
KR20140147586A (en) Smart watch
CN110913070B (en) Call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JP5291288B2 (en) Intercom system
KR101387191B1 (en) Mobile local phone system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2503580U (en)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0466361B1 (en) Telephone having a function of a home-gateway
KR101517232B1 (en) Voice transmitting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19513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80051292A (en) Data transmitting method using by bluetooth module, and terminal thereof
CN210093310U (en) Remote audio communication system of data center
KR200352454Y1 (en) Remote message received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of cellular phone
CN111836242B (en) Bluetooth quick connection method and Bluetooth input device
JP2006515487A (en) Universal gateway module that interfaces security system controller and external peripheral devices
CN103607503A (en) WIFI Direct-based cordless telephone sending/receiving apparatuse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