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711B1 -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711B1
KR101385711B1 KR1020120127273A KR20120127273A KR101385711B1 KR 101385711 B1 KR101385711 B1 KR 101385711B1 KR 1020120127273 A KR1020120127273 A KR 1020120127273A KR 20120127273 A KR20120127273 A KR 20120127273A KR 101385711 B1 KR101385711 B1 KR 10138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displayed
specific area
fingerpri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철
주효민
문상민
김재한
정인승
Original Assignee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생활 보호 기능 및 보안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영역 설정부, 지문 센서부, 설정 영역 비표시부 그리고 설정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영역 설정부는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 받는다. 지문 센서부는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 받는다. 설정 영역 비표시부는 특정 영역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정 영역 표시부는 지문 센서부에서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화면에 비표시된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USER DEVICE, METHOD OF VEILING SELECTED AREA OF CONTENTS DISPLAYED ON SCREEN OF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생활 보호 기능 및 보안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뱅킹 등 개인 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잠금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전화 기능, 부가 기능, 또는 국제 전화 기능 등에 잠금 장치를 적용시키고,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밀번호가 노출되었을 때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점, 사용자 입장에서 비밀번호를 기억해 두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식을 보완하고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식을 통한 잠금 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좌우로 긴 바(Bar) 형태의 센서에 손가락을 긁듯이 지문을 인식시키는 '슬라이딩 방식' 지문 인식 센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지문 인식 센서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다른 기능과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도 행하여 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생활 보호 기능 및 보안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받는 영역 설정부;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설정 영역 비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는 지문 센서부; 그리고 상기 지문 센서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된 상기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는 설정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특정 영역이 화면 상에서 터치 드래그(touch drag) 또는 터치 드로우(touch draw)에 의해 설정되도록 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터치 드래그를 통한 특정 영역 입력 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상기 터치 드래그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 비표시부는 상기 지문 센서부에서 입력받는 상기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입력받은 상기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된 상기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화면 상에서 터치 드래그(touch drag) 또는 터치 드로우(touch draw)에 의해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래그를 통한 특정 영역 입력 시, 상기 터치 드래그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영역 설정 수단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특정 영역을 선정하여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표시되지 않도록 된 특정 영역은 지문 인식을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해야만 다시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진정한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기능 및 보안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선택된 특정 영역을 비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비표시된 특정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선택된 특정 영역을 비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적어도 일부분에 지문 센서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문 센서부(14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와 표시부(1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0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자체로서 입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는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표시부(10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워크스테이션 등에 별도의 지문 인식 장치가 연결된 경우도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부(14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형 지문 센서부(14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를 지문 센서부(140)에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면 연속적으로 부분적인 단편 영상(P1~P4)이 획득된다.
즉, 사용자의 지문 영상이 단편적이지만 서로 연속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획득된다.
지문 센서부(140)에서 읽어들인 단편 지문 영상들은 하나의 지문 영상으로 정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해당 사용자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는 사용자의 등록된 지문 영상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지문 센서부(140)를 통해 획득된 당해 지문 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 영상과 비교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일 이상의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특정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각 손가락의 지문에 대해 특정 동작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지문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된 정합된 지문 영상이 특정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이와 매칭된 특정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퀵 런칭' 기능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진정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진정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사용자가 기 설정해놓을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지문 센서부(140)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고, 지문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된 정합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엄지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한다면, 이와 매칭된 동작, 즉,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선택된 특정 영역을 비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비표시된 특정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부(110), 지문 센서부(140), 설정 영역 비표시부(150) 그리고 설정 영역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영역 설정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이미지, 사진 및 텍스트 문서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콘텐츠의 특정 영역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즉, 비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콘텐츠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화면에는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역 설정이 개시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 설정 개시 버튼(115)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면에 영역 설정 개시 버튼(115)을 표시하고, 영역 설정 개시 버튼(115)을 통해 영역 설정 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 설정 개시부(120)를 더 가질 수 있다.
영역 설정 개시 명령은 영역 설정 개시 버튼(115)의 터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영역 설정부(110)는 영역 설정 수단(117)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설정 수단(117)은 특정 영역이 화면 상에서 터치 드래그(touch drag) 또는 터치 드로우(touch draw)에 의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영역 설정 수단(117)은 터치 드래그를 통한 특정 영역 입력 시,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 드래그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해질 수 있다.
영역 설정 수단(117)은 영역 설정 개시 버튼(115)을 통해 영역 설정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 수단(117)은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을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경계 지움으로써 특정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 및 (c)에서는 영역 설정 수단(117)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창(window)의 형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영역 설정 수단(117)은 사용자에 의해 영역 설정 수단(117)의 모서리 부분이 터치 드래그됨에 따라 크기가 확대/축소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특정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터치 드로우를 통해 특정 영역으로 하고자 하는 부분의 경계를 그려(예를 들면, 올가미 형태로 묶어서) 영역의 경계가 선정되도록 함으로써 특정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그려지는 경계는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직선과 곡선이 함께 사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역 설정부(110)는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역 설정 완료 버튼(119)을 더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영역 설정 완료 버튼(119)은 영역 설정 수단(117)이 표시될 때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역 설정 완료 버튼(119)은 영역 설정 완료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 도 4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정된 특정 영상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한편, 영역 설정 완료 버튼(119)을 통해 영역 설정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 도 4의 (d’) 및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에는 지문 입력 요구창(135)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지문 입력 요구창(135)을 표시하기 위한 지문 입력 요구창 표시부(130)를 더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지문 센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설정 영역 비표시부(150)는 지문 센서부(14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도 4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정된 특정 영상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특정 영상이 화면에 ‘비표시’된다는 것은 설정된 특정 영상이 모자이크 처리되거나, 그레이(gray) 처리되는 등과 같이 하여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영역 표시부(160)는 지문 센서부(140)에서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화면에 비표시된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 내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표시된 부분(17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화면에는 표시 버튼(161)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버튼(161)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는 지문 입력 요구창(135)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도 5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 센서부(140)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저장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도 5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표시되었던 부분이 화면에 다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특정 영상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된 후에는, 지문 센서부(140)를 통해 지문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비표시되도록 된 특정 영상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되도록 하고 싶지 않은 콘텐츠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의 효과뿐만 아니라,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선택된 특정 영역을 비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S21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이미지, 사진 및 텍스트 문서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의 설정 개시는 영역 설정이 개시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영역은 화면 상에서 터치 드래그 또는 터치 드로우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터치 드래그를 통한 특정 영역 입력 시, 터치 드래그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영역 설정 수단이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영역 설정 수단은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을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경계 지움으로써 특정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 설정 수단은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한 창(window) 형태로 형성되어 터치 드래그를 통해 특정 영역을 입력하거나, 터치 드로우룰 통해 영역으로 하고자 하는 부분의 경계를 그려(예를 들면, 올가미 형태로 묶어서) 영역의 경계를 선정함으로써 특정 영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그려지는 경계는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직선과 곡선이 함께 사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영역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22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영역이 화면에 ‘비표시’된다는 것은 특정 영역이 모자이크 처리되거나, 그레이(gray) 처리되는 등과 같이 하여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더하여, 특정 영역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220)는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진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는 경우에, 전술한 특정 영역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220)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문 영상의 일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별도의 지문 영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 없이 특정 영역이 비표시되도록 하거나, 특정 영역의 비표시 전에 지문 영상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S23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화면에 비표시된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240)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이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문 영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요구되도록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영역에 대한 편리하고 신속한 비표시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표시되도록 하고 싶지 않은 콘텐츠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의 효과뿐만 아니라,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단 비표시된 특정 영역을 다시 표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문 영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보안 유지 기능도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영역 설정부
115: 영역 설정 개시 버튼
117: 영역 설정 수단
119: 영역 설정 완료 버튼
120: 영역 설정 개시부
130: 지문 입력 요구창 표시부
140: 지문 센서부
150: 설정 영역 비표시부
160: 설정 영역 표시부

Claims (9)

  1.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받는 영역 설정부;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설정 영역 비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는 지문 센서부; 그리고
    상기 지문 센서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된 상기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는 설정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특정 영역이 화면 상에서 터치 드래그(touch drag) 또는 터치 드로우(touch draw)에 의해 설정되도록 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터치 드래그를 통한 특정 영역 입력 시,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상기 터치 드래그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해지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 비표시부는 상기 지문 센서부에서 입력받는 상기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5.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지문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입력받은 상기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된 상기 특정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화면 상에서 터치 드래그(touch drag) 또는 터치 드로우(touch draw)에 의해 설정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래그를 통한 특정 영역 입력 시, 상기 터치 드래그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영역 설정 수단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화면에 비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진행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27273A 2012-11-12 2012-11-12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8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73A KR101385711B1 (ko) 2012-11-12 2012-11-12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73A KR101385711B1 (ko) 2012-11-12 2012-11-12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711B1 true KR101385711B1 (ko) 2014-04-21

Family

ID=5065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73A KR101385711B1 (ko) 2012-11-12 2012-11-12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7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310A (ko) * 2014-06-13 2015-12-23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지문 인식을 갖는 터치 패널
KR20160043217A (ko) * 2014-10-10 2016-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6485173A (zh) * 2015-08-25 2017-03-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敏感信息展示方法和装置
CN106874727A (zh) * 2017-02-10 2017-06-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双屏终端应用处理方法、装置及一种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907A (ko) * 2000-04-27 2001-11-08 가네꼬 히사시 콘텐츠 분배 방법 및 콘텐츠 분배 시스템
KR100713491B1 (ko) 2005-09-2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불법 사용 방지 방법
KR20070111978A (ko) * 2006-05-18 2007-11-22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KR20100100459A (ko) * 2009-03-06 201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907A (ko) * 2000-04-27 2001-11-08 가네꼬 히사시 콘텐츠 분배 방법 및 콘텐츠 분배 시스템
KR100713491B1 (ko) 2005-09-2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불법 사용 방지 방법
KR20070111978A (ko) * 2006-05-18 2007-11-22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KR20100100459A (ko) * 2009-03-06 201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310A (ko) * 2014-06-13 2015-12-23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지문 인식을 갖는 터치 패널
KR101721929B1 (ko) * 2014-06-13 2017-03-31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지문 인식을 갖는 터치 패널
KR20160043217A (ko) * 2014-10-10 2016-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220783B1 (ko) * 2014-10-10 2021-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6485173A (zh) * 2015-08-25 2017-03-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敏感信息展示方法和装置
CN106485173B (zh) * 2015-08-25 2020-11-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敏感信息展示方法和装置
CN106874727A (zh) * 2017-02-10 2017-06-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双屏终端应用处理方法、装置及一种终端
CN106874727B (zh) * 2017-02-10 2020-05-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双屏终端应用处理方法、装置及一种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9767A1 (en)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ccess to credentials for use in an operation
CN112926094B (zh) 登录屏幕上可访问的受限访问功能性
KR101554068B1 (ko) 사용자 인증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증 방법
US9451458B2 (en) Indirect authorization techniques for accessing restricted content
KR102187833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20140181962A1 (en)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US20140310805A1 (en) Gesture-to-Password Translation
KR101449681B1 (ko) 지문을 이용한 메시지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US97167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vert password manager
US20130139226A1 (en) Secure Authorization
EP289348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US10504292B1 (en) Augmented reality authentication for public device interfaces
US9207850B2 (en)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385711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35487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숨김 페이지 사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408B1 (ko)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020367A1 (en) Method for Performing Biometric Feature Authentication When Multiple Application Interface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KR101290850B1 (ko) 스크롤 휠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109221A1 (en) User device, method of using function lock of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29251A (ko) 전자 장치 내의 객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40036582A (ko)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303843B1 (ko) 제스처를 이용한 암호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97383A (zh) 密码验证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26748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a user of an account using a token
KR101418988B1 (ko) 파일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