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558B1 -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 Google Patents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558B1
KR101385558B1 KR1020120003642A KR20120003642A KR101385558B1 KR 101385558 B1 KR101385558 B1 KR 101385558B1 KR 1020120003642 A KR1020120003642 A KR 1020120003642A KR 20120003642 A KR20120003642 A KR 20120003642A KR 101385558 B1 KR101385558 B1 KR 10138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crete
slab
half slab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100A (ko
Inventor
김현묵
김현욱
김인배
Original Assignee
김현욱
김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욱, 김현묵 filed Critical 김현욱
Priority to KR102012000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5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하여 주택, 저수조, 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시공 편의성 및 공기 단축 등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외부벽체는 조립 가능한 콘크리트 블럭체로 구성하고, 바닥체를 비롯한 층간 구조체 및 천정 구조체는 하프 슬라브를 수평 상태로 외부벽체에 조립시킨 후,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한 구조로 채택하여, 주택, 주차장, 저수조 등과 같은 건축물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 및 기밀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Prefabricated construction using half slab}
본 발명은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 거더(truss girder)를 포함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하여 주택, 저수조, 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시공 편의성 및 공기 단축 등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택 및 이에 상응하는 각종 건축물은 기초 콘크리트 위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고, 조적 및 미장 등과 같은 여러 단계의 시공 과정이 소요됨에 따라, 건축 및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물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고, 한 번 시공 완료된 후에는 리모델링 및 하자 보수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건축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사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공장에서 규격화하여 미리 제작한 건축모듈을 시공부지로 운송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주택이 시공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주택은 철재 콘테이너 또는 목재 등을 이용함에 따라, 조립 이음새 부분의 기밀성이 떨어지고, 시공 완료된 건물의 전반적인 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철골구조물을 이용하여 주택을 비롯한 각종 건물을 짓는 것이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039399(2005.04.29)에는 각 벽체의 연결부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고, 하부를 기초가 되는 기초하판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하부와 벽체를 서로 끼움된 상태로 고정하여 시공됨으로 견고한 결착으로 강도가 증대하고 누수와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콘크리트 조립건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각 벽체의 조립 이음새 부분의 기밀성이 떨어지고, 건물내에 복층을 구성하기 위한 슬라브 시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지붕이 슬라브 구조가 아닌 트러스 및 패널로 이루어져 단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벽체는 조립 가능한 콘크리트 블럭체로 구성하고, 바닥체를 비롯한 층간 구조체 및 천정 구조체는 하프 슬라브를 수평 상태로 외부벽체에 조립시킨 후,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한 구조로 채택하여, 주택, 주차장, 저수조 등과 같은 건축물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 및 기밀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안쪽방향을 향하여 수직을 이루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블럭 구조로 제작된 복수의 외부벽체와; 상면에 안쪽방향을 향하여 수직을 이루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블럭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외부벽체의 조립시 각 코너에 배치되는 직각 형태의 코너벽체와; 시공부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타설되는 것으로서,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하단부와 일체로 조립되도록 측면부에 철근이 노출되는 바닥 콘크리트와; 건축물의 천정을 이루도록 서로 밀착 배열되는 동시에 테두리 단부가 외부벽체의 안착면 및 코너벽체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복수의 천정용 하프슬라브와; 상기 천정용 하프슬라브를 커버하면서 서로 밀착되는 동시에 테두리 단부가 외부벽체의 상면과 일체로 조립되는 복수의 지붕용 하프슬라브와; 건축물의 층 구분을 위한 수평구조체로서 테두리 단부가 외부벽체의 내면에 일체로 조립되는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와; 상기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를 비롯한 천정용 하프슬라브 및 지붕용 하프슬라브의 상면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벽체의 안착면 및 코너벽체의 안착면 위로 노출된 철근과, 상기 천정용 하프슬라브의 트러스거더에 배근된 철근이 서로 일체로 엮어진 후, 상기 토핑 콘크리트가 천정용 하프슬라브 및 안착면 위에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저면에 앙카볼트가 일체로 삽입 고정되고,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시 일체로 심어진 수평유지판에 앙카볼트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저면을 통하여 노출된 철근과, 상기 바닥 콘크리트의 측면을 통해 노출된 철근이 일체로 엮어진 후, 앙카볼트 및 수평유지판이 존재하는 바닥 콘크리트의 측면과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저면 사이 공간에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는 50mm의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의 깊이는 70mm로 형성되며, 끼움홈내에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끼움홈의 바닥면과 돌기의 선단면 사이공간내에 무수축 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벽체의 내면에는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의 테두리단이 삽입 안착되어 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벽체의 안착홈내에 노출된 철근과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의 트러스거더에 배근된 철근이 서로 일체로 엮어지고,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의 상면 및 안착홈내에 도핑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상면에 환봉이 일체로 삽입 고정되고, 이 환봉의 상단끝이 지붕용 하프슬라브의 테두리를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지붕용 하프슬라브의 트러스거더에 배근된 철근과 일체로 엮어진 후, 지붕용 하프슬라브의 상면에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 콘크리트 및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 위에 타설된 토핑용 콘크리트 위에는 철근 콘크리트 블럭체로 제작된 공간 구분용 칸막이 벽체가 더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칸막이 벽체의 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외부벽체의 내면에는 칸막이 벽체의 끼움홈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돌기가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각 외부벽체의 내면에는 그 폭방향을 따라 수직 절곡된 형상의 앵글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앵글과 바닥 콘크리트 위에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 간에는 외부벽체 지지용 보강대가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블럭 구조의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를 미리 제작하여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고, 층을 구분하는 구조체 및 천정을 이루는 구조체를 하프 슬라브로 채택하여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한 구조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재질로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방수 및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시공 구조를 주택 뿐만 아니라, 주차장, 저수조 등과 같은 밀폐형 건축물에도 유용하게 적용하여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외부벽체에 대한 시공시 지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외부벽체의 하단부 조립 구조 및 그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외부벽체와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 간의 조립 구조 및 그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외부벽체와 천정용 하프슬라브 간의 조립 구조 및 그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외부벽체의 상단과 지붕용 하프슬라브 간의 조립 구조 및 그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의 조립 이음매 부분에 무수축 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택 뿐만 아니라, 주차장, 저수조 등과 같은 건축물을 트러스거더를 포함하는 하프슬라브를 비롯하여, 콘크리트 블럭 구조체인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도면에서 출입문 및 창문을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의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첨부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해당 시공부지에 통상의 기초 콘크리트(30)가 타설되고, 그 위에 원하는 건축구조물(주택, 저수조, 주차장 등)의 바닥 콘크리트(34)가 소정의 두께로 타설된다.
이때, 상기 시공부지의 테두리 부분에는 바닥 콘크리트(34)의 두께에 상당하는 외부벽체 시공용 트렌치(98)(Trench)가 형성되는 상태가 되며, 물론 트렌치(98)의 바닥면은 기초 콘크리트(30)의 표면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30)의 타설시 수평유지판(36)의 하단부를 함께 매립함으로써, 트렌치(98)를 통하여 노출된 기초 콘크리트(30)의 표면 위에는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조립을 위한 수평유지판(36)이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시공부지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30)의 측면에는 트렌치(98)쪽으로 연장되는 철근(32)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원하는 건축구조물(주택, 저수조, 주차장 등)의 벽체를 이루는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 그리고 벽체내에서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 벽체(90) 등이 제조공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미리 제작 구비된다.
상기 외부벽체(10)는 폭 1000 mm, 두께 220mm로 제작되며, 길이(높이)는 시공 건축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조절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벽체(10)의 상면에는 안쪽방향을 향하여 수직 단차을 이루는 안착면(1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쐐기 형태의 돌기(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타측면에 돌기(12)를 수용할 수 있는 끼움홈(14)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며, 물론 내부에는 철근(18)이 배근되고, 배근된 철근(18)의 상단 및 하단부는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코너벽체(20)는 외부벽체(10)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외부벽체(10)의 각 코너 위치에 세워지는 것으로서, 외부벽체(10)와 마찬가지로 제조공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미리 제작 구비된 것이며, 코너 부분에 배치되므로 직각 단면을 갖는 구조로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너벽체(20)는 상면에 안쪽방향을 향하여 수직 단차를 이루는 안착면(2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쐐기 형태의 돌기(22)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끼움홈(24)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고, 상하면에 철근이 일정 길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 제조시,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저면에 기초 콘크리트(30)에 고정된 수평유지판(36)과의 조립을 위한 앙카볼트(82)가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복수의 외부벽체(10)와 코너벽체(20)를 세우는 동시에 돌기(12,22) 및 끼움홈(14,24) 간을 상호 삽입 체결하면서, 각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하단부를 트렌치(98)내에 인입되게 한 다음, 앙카볼트(82)를 수평유지판(36)에 관통 삽입하여 너트(84)로 체결하게 됨으로써, 일단 외부벽체(10)와 코너벽체(20)의 수직 기립 상태가 이루어진다.
또한, 첨부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벽체(10)와 코너벽체(20)의 수직 기립 상태가 이루어지게 한 다음,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저면을 통하여 노출된 철근(18)과 바닥 콘크리트(34)의 측면을 통해 노출된 철근(32)을 서로 일체로 엮어 준 후, 트렌치(98)내를 토핑 콘크리트(70)로 타설함으로써, 철근(18)을 비롯한 앙카볼트(82) 및 수평유지판(36) 등이 토핑 콘크리트(70)에 의하여 보이지 않게 타설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복수의 외부벽체(10)들이 배열될 때, 각 외부벽체(10)의 돌기(12)와 끼움홈(14)이 상호 삽입 체결되고, 또한 코너벽체(20)의 돌기(22) 및 끼움홈(24)도 인접한 외부벽체(10)의 끼움홈(14) 및 돌기(12)와 서로 삽입 체결된다.
특히, 첨부한 도 8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각 돌기(12,22)는 50mm의 길이로 형성하고, 타측면에 형성되는 각 끼움홈(14,24)의 깊이는 70mm로 형성하여, 끼움홈(14,24)내에 돌기(12,22)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끼움홈(14,24)의 바닥면과 돌기(12,22)의 선단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끼움홈(14,24)의 바닥면과 돌기(12,22)의 선단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생성되게 한 이유는 일정한 공간내에 무수축 몰탈(86)을 충진하여, 각 외부벽체(10)의 이음새 및 외부벽체(10)와 코너벽체(20) 간의 이음새에 대한 기밀 및 방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한편, 복수의 외부벽체(10)들이 서로 조립되면서 수직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조립 과정 등에서 외부력이 작용하여 넘어갈 수 있으므로, 시공이 완료될 때 까지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수직 기립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별도의 보강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3에서 보듯이, 각 외부벽체(10)의 내면에 그 폭방향을 따라 수직 절곡된 형상의 앵글(94)을 분리 가능하게 볼트 등을 매개로 조립하여 각 외부벽체(10)들을 일체화로 고정시킨 후, 앵글(94)의 직각부분과 바닥 콘크리트(34) 간에 다수개의 외부벽체 지지용 보강대(96)가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시공 완료 시점까지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수직 기립 상태를 보장할 수 있고, 물론 시공 완료 후에는 앵글(94) 및 외부벽체 지지용 보강대(96)는 재활용 가능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시공부지의 기초 콘크리트(30) 위에 바닥 콘크리트(34)를 타설하고, 복수의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를 수직 기립 상태로 조립한 다음, 필요에 따라 공간을 구분할 수 있는 칸막이 벽체(90)가 더 세워지게 되며, 이 칸막이 벽체(90)도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칸막이 벽체(90)의 측면에 끼움홈(92)이 형성되고, 외부벽체(10) 제작시 설계 위치에 따라 외부벽체(10)의 내면에 칸막이 벽체(90)의 끼움홈(92)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돌기(19)가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되어, 끼움홈(92)과 내부돌기(19)의 결합에 따라 칸막이 벽체(90)의 수직 기립이 이루어지면서 공간 분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 콘크리트(34) 위에 복수의 외부벽체(10)를 비롯하여 코너벽체(20) 및 칸막이 벽체(90)를 세워서, 원하는 건축구조물(주택, 저수조, 주차장 등)의 외부벽 및 내부 공간 분할을 완료한 후, 복층을 원할 경우 복층 구조에 대한 조립 시공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원하는 건축구조물의 복층 구축을 위한 구성으로서, 트러스 거더를 갖는 하프슬라브를 이용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트러스 거더는 삼각형의 꼭지점에 철근이 배열되는 동시에 와이어 강선을 이용하여 각 철근을 트러스 구조로 엮어서 제작된 것이고, 하프 슬라브는 트러스 거더의 구성 중 하단 두 개의 철근과 와이어 강선의 하부가 콘크리트로 몰딩된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트러스 거더를 갖는 하프슬라브를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로 채택하여 상기와 같이 조립된 외부벽체(10)의 내면에 조립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벽체(10)의 내면에는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테두리단이 삽입 안착되어 거치되는 안착홈(15)이 형성되며, 안착홈(15)내에는 외부벽체(10)내에 배근된 철근(18)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건축물의 층 구분을 위한 수평구조체인 복수의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테두리 단부를 외부벽체(10)의 내면에 형성된 안착홈(15)내에 삽입하여 거치시킨 다음, 안착홈(15)내에 노출된 철근(18)과,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트러스거더(62)에 배근된 철근(64)을 서로 일체로 엮어준 후,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상면 및 안착홈(15)내에 도핑 콘크리트(70)를 타설함으로써,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에 의하여 해당 건축구조물의 복층 시공이 이루어진다.
한편, 트러스 거더를 갖는 하프슬라브를 이용하여 해당 건축구조물의 천정도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천정용 하프슬라브(40)를 시공 건축물의 천정을 이루도록 서로 밀착 배열하는 동시에 그 테두리 단부를 외부벽체(10)의 안착면(16) 및 코너벽체(20)의 안착면(26)에 안착시킨 후, 외부벽체(10)의 안착면(16) 및 코너벽체(20)의 안착면(26) 위로 노출된 철근(18)과 천정용 하프슬라브(40)의 트러스거더(42)에 배근된 철근(44)을 서로 일체로 엮어준 다음, 천정용 하프슬라브(40) 및 안착면(16,26) 위에 토핑 콘크리트(70)를 타설함으로써, 해당 건축구조물의 천정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 그리고 천정 시공이 완료되면, 일정한 내부 밀폐공간을 갖는 저수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주택의 경우에는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 그리고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 및 천정 시공이 완료된 후, 지붕을 더 조립 시공하여 단열성 및 외관미를 더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상면에 외부벽체 및 코너벽체 제작시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환봉(17)을 일체로 삽입 고정하고, 이 환봉(17)을 복수의 지붕용 하프슬라브(50)에 조립 고정시키게 된다.
즉, 첨부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지붕용 하프슬라브(50)를 양쪽에 경사지게 배열하여 천정용 하프슬라브(40)를 커버하는 동시에 각 환봉(17)의 상단끝을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테두리 부분을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돌출된 환봉(16)의 상단에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트러스거더(52)에 배근된 철근(54)을 일체로 엮어준 후, 환봉(16)을 비롯한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상면에 걸쳐 토핑 콘크리트(70)를 타설함으로써, 주택의 지붕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천정용 하프슬라브(40) 위에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70) 상면(바람직하게는, 칸막이 벽체(90)와 대응되는 면)과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저면 사이에는 지붕구조체을 이루는 지붕용 하프슬라브의 견고한 조립 상태 유지 및 하중 지지를 위하여 다수개의 지지보(56)가 받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벽체는 조립 가능한 콘크리트 블럭체로 구성하고, 층간 구조체 및 천정 구조체는 하프 슬라브를 수평 상태로 외부벽체에 조립시킨 후,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한 구조로 채택하여, 원하는 건축 구조물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방수 및 기밀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단열성을 갖는 조립식 건축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은 주택 뿐만 아니라, 주차장, 밀폐형의 저수조 등과 같이 다양한 건축 구조물에 응용 적용할 수 있다.
10 : 외부벽체 12 : 돌기
14 : 끼움홈 15 : 안착홈
16 : 안착면 17 : 환봉
18 : 철근 19 : 내부돌기
20 : 코너벽체 22 : 돌기
24 : 끼움홈 26 : 안착면
30 : 기초 콘크리트 32 : 철근
34 : 바닥 콘크리트 36 : 수평유지판
40 : 천정용 하프슬라브 42 : 트러스거더
44 : 철근 50 : 지붕용 하프슬라브
52 : 트러스거더 54 : 철근
56 : 지지보 60 :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
62 : 트러스거더 64 : 철근
70 : 토핑 콘크리트 82 : 앙카볼트
84 : 너트 86 : 무수축 몰탈
90 : 공간 구분용 칸막이 벽체 92 : 끼움홈
94 : 앵글 96 : 외부벽체 지지용 보강대
98 : 트렌치

Claims (11)

  1. 상면에 안쪽방향을 향하여 수직을 이루는 안착면(1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12)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끼움홈(14)이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블럭 구조로 제작된 복수의 외부벽체(10)와;
    상면에 안쪽방향을 향하여 수직을 이루는 안착면(2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22)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끼움홈(24)이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블럭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외부벽체(10)의 조립시 각 코너에 배치되는 직각 형태의 코너벽체(20)와;
    시공부지의 기초 콘크리트(30) 위에 타설되는 것으로서,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하단부와 일체로 조립되도록 측면부에 철근(32)이 노출되는 바닥 콘크리트(34)와;
    건축물의 천정을 이루도록 서로 밀착 배열되는 동시에 테두리 단부가 외부벽체(10)의 안착면(16) 및 코너벽체(20)의 안착면(26)에 안착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복수의 천정용 하프슬라브(40)와;
    상기 천정용 하프슬라브(40)를 커버하면서 서로 밀착되는 동시에 테두리 단부가 외부벽체(10)의 상면과 일체로 조립되는 복수의 지붕용 하프슬라브(50);
    건축물의 층 구분을 위한 수평구조체로서 테두리 단부가 외부벽체(10)의 내면에 일체로 조립되는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
    상기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를 비롯한 및 천정용 하프슬라브(40) 및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상면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 콘크리트(34) 및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 위에 타설된 토핑용 콘크리트(70) 위에는 철근 콘크리트 블럭체로 제작된 공간 구분용 칸막이 벽체(90)가 더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의 안착면(16) 및 코너벽체(20)의 안착면(26) 위로 노출된 철근(18)과, 상기 천정용 하프슬라브(40)의 트러스거더(42)에 배근된 철근(44)이 서로 일체로 엮어진 후, 상기 토핑 콘크리트(70)가 천정용 하프슬라브(40) 및 안착면(16,26) 위에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저면에 앙카볼트(82)가 일체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타설시 일체로 심어진 수평유지판(36)에 앙카볼트(82)가 삽입되어 너트(84)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저면을 통하여 노출된 철근(18)과 바닥 콘크리트(34)의 측면을 통해 노출된 철근(32)이 서로 일체로 엮어진 후, 앙카볼트(82) 및 수평유지판(36)이 존재하는 바닥 콘크리트(34)의 측면과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저면 사이 공간에 토핑 콘크리트(70)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각 돌기(12,22)는 50mm의 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면에 형성되는 각 끼움홈(14,24)의 깊이는 70mm로 형성되며, 끼움홈(14,24)내에 돌기(12,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끼움홈(14,24)의 바닥면과 돌기(12,22)의 선단면 사이공간내에 무수축 몰탈(86)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의 내면에는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테두리단이 삽입 안착되어 거치되는 안착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의 안착홈(15)내에 노출된 철근(18)과, 상기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트러스거더(62)에 배근된 철근(64)이 서로 일체로 엮어지고, 층 구분용 하프슬라브(60)의 상면 및 안착홈(15)내에 도핑 콘크리트(70)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벽체(10) 및 코너벽체(20)의 상면에 환봉(17)이 일체로 삽입 고정되고, 이 환봉(17)의 상단끝이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테두리를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트러스거더(52)에 배근된 철근(54)과 일체로 엮어진 후, 지붕용 하프슬라브(50)의 상면에 토핑 콘크리트(70)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벽체(90)의 측면에는 끼움홈(92)이 형성되고, 외부벽체(10)의 내면에는 칸막이 벽체(90)의 끼움홈(92)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돌기(19)가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외부벽체(10)의 내면에는 그 폭방향을 따라 수직 절곡된 형상의 앵글(94)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앵글(94)과 바닥 콘크리트(34) 위에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70) 간에는 외부벽체 지지용 보강대(96)가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0120003642A 2012-01-12 2012-01-12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138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42A KR101385558B1 (ko) 2012-01-12 2012-01-12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42A KR101385558B1 (ko) 2012-01-12 2012-01-12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00A KR20130083100A (ko) 2013-07-22
KR101385558B1 true KR101385558B1 (ko) 2014-04-29

Family

ID=4899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642A KR101385558B1 (ko) 2012-01-12 2012-01-12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27B1 (ko) * 2014-12-23 2016-03-09 김현묵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SG11201810845QA (en) 2016-06-23 2019-01-30 Hickory Design Pt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NL2017492B1 (nl) * 2016-09-19 2018-03-27 Betonson Prefab B V Werkwijze voor het bouwen van een voor personen toegankelijk gebouw
KR102484159B1 (ko) * 2020-10-15 2023-01-16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CN114776064B (zh) * 2022-04-12 2023-09-26 中原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用加固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534B1 (ko) * 1997-02-24 1999-08-02 전주한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39399A (ko) * 2003-10-25 2005-04-29 강원산업(주) 이동식 콘크리트 조립 건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534B1 (ko) * 1997-02-24 1999-08-02 전주한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39399A (ko) * 2003-10-25 2005-04-29 강원산업(주) 이동식 콘크리트 조립 건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00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321C (en) Building method using multi-storey panels
CN102449246B (zh) 建筑物及建造建筑物的方法
KR101385558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US20120005971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KR102154095B1 (ko) Pc세그먼트를 이용한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323380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102178070B1 (ko) 목재 블록과 그것들을 이용한 목재 패널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KR20150115181A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157721B1 (ko)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US3834094A (en) Track system wall assembly for houses or the like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WO2012060863A2 (en) Wall pane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in situ assembly
JP5165984B2 (ja) バルコニー床の支持構造
KR101132334B1 (ko)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KR102507299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벽 패널을 이용한 지상 pc 주차장 및 그 시공방법
US3665664A (en) Building panel and structure constructed therewith
KR20140112175A (ko)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3228155A (en) Pre-cut stone building construction
JP5102578B2 (ja) 建物ユニット、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4355244B2 (ja) 建物
KR101363914B1 (ko) 목조 건축물용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