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28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286B1
KR101385286B1 KR1020140007391A KR20140007391A KR101385286B1 KR 101385286 B1 KR101385286 B1 KR 101385286B1 KR 1020140007391 A KR1020140007391 A KR 1020140007391A KR 20140007391 A KR20140007391 A KR 20140007391A KR 101385286 B1 KR101385286 B1 KR 10138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discharge
aroma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김강영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키고,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송풍기는 공조운전시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하고 하부 송풍부가 정지이므로,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에서 송풍된 다량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에서 집중 토출될 수 있고, 실내의 원거리까지 다량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상부를 신속하게 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송풍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된다. 송풍기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후 열교환기와 열교환될 수 있고,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KR 10-1315427 B1 (2013년09월30일)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송풍기가 상부 송풍유닛과 하부 송풍유닛으로 구성되어, 송풍기의 송풍모드 개수가 적고, 실내로 최적의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데 제한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으며, 상기 송풍기는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하부 송풍부가 정지이다.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최대풍량모드일 수 있다.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일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약풍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일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중풍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일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강풍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안내하는 하부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토출바디에 배치된 아로마 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아로마 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는 송풍기와;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으며, 상기 송풍기는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이다.
상기 상부 송풍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토출바디와;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의 옆에 위치하고 사이드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사이드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송풍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부 토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고,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는 송풍기와; 상기 하부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안내하는 하부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토출바디에 배치된 아로마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아로마 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한다.
상기 상부 송풍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토출바디와;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의 옆에 위치하고 사이드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사이드 토출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송풍부는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의 조합에 의해 보다 다양한 송풍모드를 실시할 수 있고, 실내 환경을 보다 최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에서 송풍된 다량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에서 집중 토출될 수 있고, 실내의 원거리로 보다 다량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실내의 상부를 신속하게 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화유닛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실내의 원거리까지 도달되면서 실내의 전체를 고르고 신속하게 청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아로마 운전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하부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아로마 성분과 함께 실내로 고르게 퍼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제어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공조운전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공조운전시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공조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운전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운전시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제어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블럭도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된 흡입바디(2)와; 공기흡입구(I)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4)와; 공기흡입구(I)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4)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는 송풍기(6)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가 실내로 직접 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바디(8)(10)(12)(14)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는 토출바디(8)(10)(12)(14)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흡입바디(2)는 베이스(22)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흡입바디(2)는 베이스(22)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배면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바디(2)는 공기조화기의 배면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바디(2)는 베이스(22)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리어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고, 흡입바디(2)는 공기조화기의 리어 어퍼 케이스일 수 있고, 베이스(22)는 공기조화기의 리어 로어 케이스일 수 있다. 베이스(22)에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은 송풍기(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2)에는 베이스(22)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커버(25)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흡입바디(2)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유동 방향으로 열교환기(4)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흡입바디(2)와 열교환기(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흡입바디(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와 송풍기(6)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베이스(2)의 상측 위치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구동시, 열교환기(4)로 저온 저압의 냉매가 통과할 수 있고,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거나 제습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의 공조운전으로 운전되거나 제습운전의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고, 냉방운전의 공조운전이나 제습운전의 공조운전시 압축기는 온될 수 있다. 압축기의 온시 열교환기(4)는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냉방기 또는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열교환기(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6)는 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하,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상,하,좌,우측 네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 송풍부(U)(M)(L)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부(U)(M)(L)는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부(U)(M)(L)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송풍부(U)와,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송풍부(L)와, 상부 송풍부(U)와 하부 송풍부(M)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송풍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송풍부(U)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토출부(U1)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부(U)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U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사이드 토출부(U2)는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부(U)는 공기를 2 방향으로 송풍하는 2 방향 토출 송풍부일 수 있다.
중앙 송풍부(M)는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고,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사이드 토출부(M1)(M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부(M1)(M2)는 공기를 좌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좌측 토출부(M1)와, 공기를 우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우측 토출부(M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송풍부(U)는 공기를 2 방향으로 송풍하는 2 방향 토출 송풍부일 수 있다.
하부 송풍부(L)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L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송풍부(L)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사이드 토출부(L2)(L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사이드 토출부(L2)(L3)는 공기를 좌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좌측 토출부(L2)와, 공기를 우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우측 토출부(L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송풍부(U)는 공기를 3 방향으로 송풍하는 3 방향 토출 송풍부일 수 있다.
토출바디(8)(10)(12)(14)는 상부 송풍부(U) 상측에 위치하고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8A)가 형성된 상부 토출바디(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8)(10)(12)(14)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와 하부 송풍부(L)의 옆에 위치하고 사이드 공기토출구(10A)(12A)가 형성된 사이드 토출바디(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8)(10)(12)(14)는 하부 송풍부(L)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가 형성된 하부 토출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는 전면에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는 하면에 상부 송풍부(U)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는 상부 송풍부(U)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는 송풍기(6)의 상측 위치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는 상부 토출부(U)의 상측 위치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는 상승시 상부 토출구(8A)가 상승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하강시 상부 토출구(8A)가 은닉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토출바디(8)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9)는 송풍기(6) 및 열교환기(4)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토출바디(8)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15)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시 상부 토출바디(8)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구동원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치합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15)는 공조운전시 상승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승강기구(15)는 후술하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승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바디(10)(12)는 송풍기(6)에서 옆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사이드 공기토출구(10A)(02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바디(10)(12)에는 사이드 공기토출구(10A)(12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10B)(12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바디(10)(12)는 송풍기(6)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토출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바디(10)에는 송풍기(6)에서 좌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좌측 공기토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토출바디(10)에는 좌측 공기토출구(10A)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여닫을 수 있는 좌측 베인(10B)이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바디(10)(12)는 송풍기(6)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토출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토출바디(12)에는 송풍기(6)에서 우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우측 공기토출구(12A)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토출바디(12)에는 우측 공기토출구(12A)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우측 공기토출구(12A)를 여닫을 수 있는 우측 베인(12B)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베인(10B)을 회전시키는 좌측 구동기구(11)와, 우측 베인(12B)을 회전시키는 우측 구동기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기구(11)와 우측 구동기구(13)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기구(11)와 우측 구동기구(13)는 공조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롱 파워 공조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는 송풍기(6)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는 전면에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는 하부 송풍부(L)에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는 상면에 하부 송풍부(L)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를 개폐하는 무빙 키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키트(16)는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를 개폐하는 하부 도어일 수 있다.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키트(16)는 전진되어 공기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고, 후퇴되어 공기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무빙 키트(16)를 진퇴시키는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가 올려지는 하부 토출바디(14)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원과, 무빙 키트(16)가 안착되는 무빙 키트 캐리어와, 구동원의 구동시 무빙 키트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공조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차폐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의 임펠러(61)(62)(63)와 복수개의 팬모터(64)(65)(66)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의 임펠러(61)(62)(63)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팬모터에 하나의 임펠러가 설치된 송풍유닛의 복수개가 송풍기(6)가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임펠러(61)(62)(63)는 상부 송풍부(U)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임펠러(61)와, 중앙 송풍부(M)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임펠러(62)와, 하부 송풍부(L)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3임펠러(6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팬모터(64)(65)(66)는 제1임펠러(61)를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64)와, 제2임펠러(62)를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65)와, 제3임펠러(63)를 회전시키는 제3팬모터(66)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 임펠러(61)(62)(63)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7)과, 팬하우징(67)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68)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67)은 임펠러(61)(62)(63)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다.
팬 하우징(67)에는 전판부(70)와, 전판부(7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67)에는 제1임펠러(61)의 둘레부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1임펠러(61)의 회전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부는 제1임펠러(61)와 이격된 거리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스크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부는 하나의 상부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 스크롤부(71)(7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부 스크롤부(71)(72)는 팬 하우징(67)의 좌측 상부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임펠러(61)와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좌측 상부 스크롤부(71)와, 팬 하우징(67)의 우측 상부에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임펠러(61)와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우측 상부 스크롤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 좌측 상부 스크롤부(71)는 상부 토출부(U1)와 좌측 상부 컷오프(UC1)로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상부 스크롤부(72)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U2)와 우측 상부 컷오프(UC2)로 연결될 수 있다.
팬 하우징(67)에는 제2임펠러(62)의 둘레부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2임펠러(62)의 회전시 공기를 안내하는 제2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부는 제2임펠러(62)와 이격된 거리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스크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부는 하나의 중앙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격된 복수개의 중앙 스크롤부(73)(7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중앙 스크롤부(73)(74)는 팬 하우징(67)의 좌측 중앙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임펠러(62)와 이격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좌측 중앙 스크롤부(73)와, 팬 하우징(67)의 우측 중앙에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임펠러(62)와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우측 중앙 스크롤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 좌측 중앙 스크롤부(73)는 좌측 토출부(M1)와 좌측 중앙 컷오프(MC1)로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중앙 스크롤부(74)는 우측 토출부(M2)와 우측 중앙 컷오프(MC2)로 연결될 수 있다.
팬 하우징(67)에는 제3임펠러(63)의 둘레부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3임펠러(63)의 회전시 공기를 안내하는 제3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유로부는 제3임펠러(63)와 이격된 거리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스크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유로부는 하나의 하부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격된 복수개의 하부 스크롤부(75)(76)(7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하부 스크롤부(75)(76)(77)는 제 3 임펠러(63)의 하측 위치에 하부 우측 토출부(L3)의 방향으로 갈수록 제3임펠러(63)와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하부 중앙 스크롤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하부 스크롤부(75)(76)(77)는 팬 하우징(67)의 좌측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3임펠러(63)와 이격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좌측 하부 스크롤부(76)와, 팬 하우징(67)의 우측 하부에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3임펠러(63)와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되는 우측 하부 스크롤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하부 중앙 스크롤부(75)는 하부 토출부(L1)와 하부 컷오프(LC1)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부 좌측 스크롤부(76)는 좌측 하부 토출부(L2)와 좌측 하부 컷오프(LC2)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우측 스크롤부(77)는 우측 하부 토출부(L3)와 우측 하부 컷오프(LC3)로 연결될 수 있다.
팬하우징(67)은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C)를 구획하는 상부 구획벽(B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획벽(B1)은 제1임펠러(6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2임펠러(6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각각 안내할 수 있다.
팬하우징(67)은 중앙 송풍부(C)와 하부 송풍부(L)를 구획하는 하부 구획벽(B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획벽(B2)는 제2임펠러(6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3임펠러(6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각각 안내할 수 있다.
제1임펠러(61)의 회전시, 제1임펠러(61)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좌측 상부 스크롤부(71)를 따라 유동된 후 상부 구획벽(B1)에 안내될 수 있고, 일부가 상부 사이드 토출부(U2)를 통해 토출될 수 있으며, 나머지가 우측 상부 스크롤부(72)를 따라 유동된 후 상부 토출부(U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의 회전시, 제2임펠러(62)에 의해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좌측 중앙 스크롤부(73)와 하부 구획벽(B2)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된 후 우측 중앙 토출부(M2)로 토출될 수 있고, 제2임펠러(62)에 의해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우측 중앙 스크롤부(74)와 상부 구획벽(B1)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된 후 좌측 중앙 토출부(M1)로 토출될 수 있다.
제3임펠러(63)의 회전시, 제3임펠러(62)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하부 중앙 스크롤부(75)와 하부 좌측 스크롤부(76) 및 하부 우측 스크롤부(77)로 분산되어 안내될 수 있다. 하부 중앙 스크롤부(75)로 유동된 공기는 하부 우측 토출부(L3)로 토출될 수 있고, 하부 좌측 스크롤부(76)로 유동된 공기는 하부 토출부(L1)으로 토출될 수 있으며, 하부 우측 스크롤부(77)로 안내된 공기는 하부 구획벽(B2)에 안내된 후 좌측 하부 토출부(L2)로 토출될 수 있다.
오리피스(68)는 임펠러(61)(62)(63)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고, 오리피스(68)에는 제1임펠러(61)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오리피스부(78)와, 제2임펠러(62)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오리피스부(79)와, 제3임펠러(63)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오리피스부(80)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1팬모터(64)와 제1임펠러(61)는 상부 토출바디(8) 및 사이드 토출패널(10)(12)로 공기를 송풍하는 상부 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제2팬모터(65)와 제2임펠러(62)는 사이드 토출패널(10)(12)로 공기를 송풍하는 중앙 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제3팬모터(65)와 제3임펠러(63)는 하부 토출바디(14) 및 사이드 토출패널(10)(12)로 공기를 송풍하는 하부 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상부 송풍유닛과, 중앙 송풍유닛과, 하부 송풍유닛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전판부(70)의 상부와, 제1임펠러(61)와, 제1팬모터(64)와, 복수개의 상부 스크롤부(71)(72)와, 상부 토출부(U1)와, 상부 사이드 토출부(U2)와, 상부 구획벽(B1) 및 제1오리피스부(78)가 상부 송풍부(U)를 구성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전판부(70)의 중앙부와, 제2임펠러(62)과, 제2팬모터(65)와, 복수개의 중앙 스크롤부(73)(74)와, 좌측 토출부(M1)와, 우측 토출부(M2)와, 상부 구획벽(B1)과, 하부 구획벽(B2) 및 제2오리피스부(79)가 중앙 송풍부(M)를 구성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전판부(70)의 하부와, 제3임펠러(63)과, 제3팬모터(66)와, 복수개의 하부 스크롤부(75)(76)(77)와, 하부 토출부(L1)와, 좌측 하부 토출부(L2)와, 우측 하부 토출부(L3)와, 하부 구획벽(B2) 및 제3오리피스부(80)가 하부 송풍부(L)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송풍기(6)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풍기 커버(8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송풍기 커버(82)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82)는 베이스 커버(25)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커버(25)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82)는 베이스 커버(25)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송풍기 커버(82)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어퍼 커버일 수 있고, 베이스 커버(25)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로어 커버일 수 있다. 송풍기 커버(82)에는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에 하부 토출바디(14)의 선단을 둘러싸는 개구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 커버(82)에는 공기조화기의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6)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리모컨(10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리모컨(10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송풍기 커버(82) 또는 베이스 커버(25)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디스플레이(86)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출력신호는 와이파이 모듈로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기설정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제어부(24)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제어부(24)와 통신하는 통신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송풍기 커버(82)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110)에는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 음성인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복수개의 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과 음성인식모듈은 모두 하나의 통신모듈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통신모듈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입력부(100)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00)에는 냉방운전의 공조운전이 입력될 수 있고, 제습운전의 공조운전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00)에는 롱 파워 모드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00)에는 약풍,중풍,강풍 등의 풍량이 입력될 수 있다.
롱 파워 모드는 냉방운전의 공조운전이나 제습운전의 공조운전시,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상부에서 집중 토출하는 상부 집중 토출 모드일 수 있다. 롱 파워 모드는 냉방운전의 공조운전시 냉방 운전시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롱 파워 모드는 제습운전의 공조운전시 냉방 운전시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입력부(100)로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이 입력되고 롱 파워 모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입력부(100)로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이 입력됨과 아울러 롱 파워 모드가 입력되면 롱 파워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입력부(100)로 약풍,중풍,강풍 등의 풍량이 입력된 경우, 입력부(100)로 입력된 풍량에 따라 송풍기(6)를 제어될 수 있다.
송풍기(6)의 송풍모드는 약풍모드와, 중풍모드와, 강풍모드를 포함할 경우, 약풍 모드시,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를 제1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고, 중풍 모드시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를 제1회전수 보다 높은 제2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강풍 모드시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를 제2회전수 보다 높은 제3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기(6)의 송풍모드는 중풍모드 없이 약풍모드와 강풍모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송풍기(6)의 송풍모드는 강풍모드 보다 풍량이 많은 파워풍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송풍기(6)는 파워풍모드시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를 제3회전수 보다 높은 제4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기(6)의 송풍모드가 파워풍 모드를 포함할 경우, 송풍기(6)의 송풍모드는 파워풍 모드가 최대풍량모드일 수 있다. 송풍기(6)의 송풍모드가 파워풍 모드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송풍기(6)의 송풍모드는 강풍모드가 최대풍량모드일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의 공조운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시, 송풍기(6)를 구동시킬 수 있고, 송풍기(6)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와 하부 송풍부(C) 모두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공조운전시 제어부(24)는 제1팬모터(64)와, 제2팬모터(65)와, 제3팬모터(66)를 모두 구동시킬 수 있고,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는 모두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시, 승강기구(15)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는 상승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바디(8)의 상부 프론트 토출구(8A)는 개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시,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에 의해 회전된 좌측 베인(10B)는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개방할 수 있으며, 우측 구동기구(13)에 의해 회전된 우측 베인(12B)는 우측 공기토출구(12B)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시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을 후퇴시킬 수 있고,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4)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상부 송풍부(U) 후방의 공기는 상부 송풍부(U)로 흡인되어, 좌우 중 일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중앙 송풍부(M) 후방의 공기는 중앙 송풍부(M)로 흡인되어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하부 송풍부(L) 후방의 공기는 하부 송풍부(L)로 흡인되어 하측 방향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각각 토출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부 토출바디(8)를 통과해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좌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좌측 토출바디(10)를 통과해 좌측 토출바디(10)의 주변으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우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우측 토출바디(12)를 통과해 우측 토출바디(10)의 주변으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하부 토출바디(14)를 통과해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시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네 방향으로 분산 토출할 수 있고, 실내는 입체적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공조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의 롱 파워 공조운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송풍기(6)를 구동시킬 수 있고, 송풍기(6)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하부 송풍부(L)가 정지일 수 있다.
롱 파워 공조운전시 제어부(24)는 제1팬모터(64)와, 제2팬모터(65)를 모두 구동시키되 제3팬모터(66)를 구동시키지 않고,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는 모두 회전될 수 있고, 제3임펠러(63)는 정지일 수 있다.
송풍기(6)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가 최대풍량모드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승강기구(15)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는 상승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바디(8)의 상부 프론트 토출구(8A)는 개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에 의해 회전된 좌측 베인(10B)는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개방할 수 있으며, 우측 구동기구(13)에 의해 회전된 우측 베인(12B)는 우측 공기토출구(12B)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전진모드일 수 있고,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를 전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다.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4)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상부 송풍부(U) 후방의 공기는 상부 송풍부(U)로 흡인되어, 상측 방향과 좌우 중 일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중앙 송풍부(M) 후방의 공기는 중앙 송풍부(M)으로 흡인되어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롱 파워 공조운전시, 제3임펠러(63)는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L)로는 공기가 흡인되지 않는다.
송풍기(6)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부 토출바디(8)를 통과해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고, 송풍기(6)에서 좌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좌측 토출바디(10)를 통과해 좌측 토출바디(10)의 주변으로 토출될 수 있으며, 송풍기(6)에서 우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우측 토출바디(12)를 통과해 우측 토출바디(12)의 주변으로 토출될 수 있다.
롱 파워 공조운전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상부 주변의 세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와 좌측 토출바디(10)와 우측 토출바디(12)로 토출되는 공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이 아닌 공조운전시 보다 풍량 및 풍속이 증대될 수 있다. 상부 토출바디(8)와 좌측 토출바디(10)와 우측 토출바디(12)로 토출된 공기는 실내의 원거리까지 빠르게 유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의 도중에 롱 파워 모드가 입력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에서 롱 파워 공조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6)는 공조운전에서 공기를 송풍하던 하부 송풍부(L)가 정지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에서 롱 파워 공조운전으로 전환되는 경우, 무빙 키트 진퇴기구(17)가 전진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를 전진 위치로 무빙시킬 수 있으며,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의 도중에 롱 파워 오프가 입력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에서 공조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6)는 정지 중이던 하부 송풍부(L)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롱 파워 공조운전에서 공조운전으로 전환되는 경우, 무빙 키트 진퇴기구(17)가 후퇴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브(16)를 후퇴 위치로 무빙시킬 수 있으며,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송풍기(6)는 정지일 수 있고,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 및 하부 송풍부(L)는 정지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 정지시, 승강기구(15)를 하강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는 하강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바디(8)의 상부 프론트 토출구(8A)는 차폐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 정지시,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차폐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에 의해 회전된 좌측 베인(10B)는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차폐할 수 있으며, 우측 구동기구(13)에 의해 회전된 우측 베인(12B)는 우측 공기토출구(12B)를 차폐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 정지시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전진모드일 수 있고,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를 전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26)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필터와 이온발생기와 전기집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청정운전이 입력되면, 온될 수 있고, 정화유닛(26)은 이온발생기 또는 전기집진기가 온되어 공기흡입구(I)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상부 송풍부(U)와 가깝고 하부 송풍부(L)과 먼 상부 정화유닛과, 하부 송풍부(L)과 가깝고 상부 송풍부(U)와 먼 하부 송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은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고, 공조운전되면서 공기청정운전되는 공기청정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으며, 공조운전되지 않으면서 공기청정운전되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청정 공조운전은 정화유닛(26)에서 정화되고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운전일 수 있다. 그리고, 단독 공기청정운전은 정화유닛(26)에서 정화된 공기가 열교환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되는 운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입력부(100)에 공조운전이 입력될 수 있고,
공기청정운전이 입력될 수 있으며, 공조운전과 공기청정운전이 함께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 공조운전과, 단독 공기청정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 중에서 선택된 운전으로 운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 공조운전과, 단독 공기청정운전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공기청정 공조운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등은 입력부(100)를 통해 공조운전과 공기청정운전을 모두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과 제습 운전 중 하나의 공조운전으로 운전되면서 공기청정운전될 수 있다. 공기청정 공조운전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공조운전되면서 정화유닛(26)이 온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이 이온발생기일 경우, 이온발생기는 온되어 음이온과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할 수 있고, 공기는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청정해질 수 있다.
정화유닛(26)이 전기집진기일 경우, 공기는 전기집진기의 전리부에서 전리된 후 전기집진기의 포집부에서 포집될 수 있고, 전기집진기를 통과한 공기는 청정해질 수 있다.
공기청정 공조운전시, 실내의 공기는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된 후 열교환기(4)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4)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제습될 수 있다. 공기청정 공조운전시, 송풍기(6)는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된 후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과 같이,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과 좌측 토출바디(10)의 주변과 우측 토출바디(10)의 주변과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인 네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된 후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는 실내로 넓고 고르게 퍼질 수 있고, 실내는 온도 및 청정도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공기청정 공조운전은 입력부(100)로 공기청정운전의 정지가 입력되면, 정화유닛(26)이 오프될 수 있다.
이하, 단독 공기청정운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등은 입력부(100)를 통해 냉방 운전이나 제습 운전 등의 공조운전을 입력하지 않고, 공기청정운전을 단독으로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송풍기(6)는 상부 송풍부(U)와 하부 송풍부(L)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중앙 송풍부(M)가 정지일 수 있다.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정화유닛(26)은 온될 수 있다.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제1팬모터(64)와, 제3팬모터(66)는 모두 구동일 수 있고, 제2팬모터(65)는 정지일 수 있으며, 제1임펠러(61)와, 제3임펠러(63)는 회전될 수 있고, 제2임펠러(62)는 정지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승강기구(15)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는 상승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바디(8)의 상부 프론트 토출구(8A)는 개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차폐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에 의해 회전된 좌측 베인(10B)은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차폐할 수 있으며, 우측 구동기구(13)에 의해 회전된 우측 베인(12B)은 우측 공기토출구(12B)를 차폐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는 무빙 키트(16)를 후퇴시킬 수 있고, 무빙 키트(16)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제1팬모터(64) 및 제3팬모터(66)의 구동에 따른 제1임펠러(61)와 제3임펠러(63)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되어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될 수 있고, 열교환기(4)를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상부 송풍부(U) 후방의 공기는 상부 송풍부(U)로 흡인되어, 상측 방향과 좌우 중 일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는다. 상부 송풍부(U)에서 좌우 중 일측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좌측 베인(10B) 또는 우측 베인(12B)에 막히고, 상부 송풍부(U)의 공기는 전부 상부 토출부(U1)로 유도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 중 하부 송풍부(L) 후방의 공기는 하부 송풍부(L)로 흡인되어, 하측 방향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하부 송풍부(L)에서 좌측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좌측 베인(10B) 에 막히고, 하부 송풍부(L)에서 우측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우측 베인(12B)에 막히며, 하부 송풍부(L)의 공기는 전부 하부 토출부(L1)로 유도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부 토출바디(8)를 통과해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고, 송풍기(6)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하부 토출바디(14)를 통과해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공기조화기는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과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인 두 방향으로 상,하 분산 토출할 수 있고, 이렇게 토출된 정화된 공기는 실내의 원거리까지 도달되면서 실내의 전체를 고르고 신속하게 청정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그 풍량이 설정될 수 있고, 설정된 풍량으로 단독 공기청정운전되는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약풍 공기청정운전과 중풍 공기청정운전과 강풍 공기청정운전 중 하나의 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
약풍 공기청정운전과 중풍 공기청정운전과 강풍 공기청정운전은 서로 풍량만 상이하고 상부 송풍부(U)와 하부 송풍부(L)가 공기를 송풍하고 중앙 송풍부(M)가 정지인 것이 가능하다.
약풍 공기청정운전과 중풍 공기청정운전과 강풍 공기청정운전은 서로 풍량이 상이하고 어느 하나의 운전이 타 운전들과 상이하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약풍 공기청정운전과 중풍 공기청정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하부 송풍부(L) 각각이 공기를 송풍하고 중앙 송풍부(M)가 정지인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6)는 약풍 공기청정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하부 송풍부(L) 각각이 약풍 모드로 공기를 송풍하고 중앙 송풍부(M)가 정지일 수 있다. 송풍기(6)는 중풍 공기청정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하부 송풍부(L) 각각이 중풍 모드로 공기를 송풍하고 중앙 송풍부(M)가 정지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약풍 공기청정운전과 중풍 공기청정운전시 승강기구(15)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차폐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약풍 공기청정운전과 중풍 공기청정운전시,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과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인 두 방향으로 상,하 분산 토출할 수 있고, 이렇게 토출된 정화된 공기는 실내의 원거리까지 도달되면서 실내의 전체를 고르고 신속하게 청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강풍 공기청정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과 하부 송풍부(L) 각각이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6)는 강풍 공기청정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와 하부 송풍부(L) 각각이 강풍 모드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강풍 공기청정운전시 승강기구(15)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무빙 키트 진퇴기구(17)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송풍기(6)는 강풍 공기청정운전시,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기청정 및 공조운전이나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과 같이, 상부 토출바디(8)의 전방과 좌측 토출바디(10)의 주변과 우측 토출바디(10)의 주변과 하부 토출바디(14)의 전방인 네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와 하부 송풍부(L) 각각이 강풍 모드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에 의해 정화유닛(26)에 의해 청정된 공기를 실내로 신속하게 토출할 수 있고, 실내는 신속하게 청정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공조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공조운전시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공조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아로마 운전시 송풍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은 하부 토출바디(14)에 배치된 아로마 키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160)는 하부 토출바디(14)에 배치되어 아로마 성분(G)을 배출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160)는 하부 토출바디(14) 내부로 아로마 성분(G)을 배출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160)에는 아로마 성분(G)을 배출하는 아로마 캡슐(A)이 구비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에는 아로마 성분(G)을 생성하는 아로마 발생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는 아로마 키트(160)가 무빙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로마 케이스일 수 있고, 공기는 이러한 아로마 케이스를 통과할 수 있으며, 아로마 캡슐(A)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G)은 아로마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실내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은 내부에 아로마 발생물질인 기능성 물질이 담겨질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은 외부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기능성 물질이 미립화되어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은 아로마 발생물질인 기능성 물질을 하전시켜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정전분무캡슐일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액체 상태로 아로마 캡슐(A)에 담겨질 수 있고, 고전압인가에 의해 생긴 전기력에 의해 액적이 미립화되어 분무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로즈마리 아로마오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 레몬 아로마오일, 바질 아로마오일 등의 각종 아로마 오일일 수 있고, 아로마 캡슐(A)에서 배출된 아로마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은 기능성 물질이 담겨지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고, 용기에는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은 용기 내 기능성 물질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단자(미도시)와,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능성 물질이 모세관 현상으로 상승되는 다공성 전극(미도시)과, 용기에 배치되고 고전압 인가시 다공성 전극과 전위차를 발생하는 접지 전극(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캡슐(A)이 장착되는 아로마 캡슐 홀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162)에는 아로마 캡슐(A)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캡슐 홀더(162)에 장착되어 아로마 캡슐(A)에 설치된 단자와 접촉되는 연결단자(16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연결단자(1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전압 발생기(16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168)는 아로마 캡슐 홀더(162)에 설치되어 아로마 키트(16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160)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어부(24)와 리드 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4)에 아로마 키트(160)가 온되면,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캡슐(A)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아로마 캡슐(A)은 고전압의 인가시 아로마 발생물질에서 아모마 성분(B)이 발생되어 아로마 캡슐(A)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A)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G)은 하부 토출바디(14)의 내부에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24)에 아로마 키트(160)가 오프되면,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캡슐(A)로 고전압을 더 이상 인가하지 않고, 아로마 캡슐(A)에서는 아로마 성분(G)이 배출되지 않는다.
아로마 키트(160)는 전진되어 공기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고, 후퇴되어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키트(160)를 진퇴시키는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는 하부 토출바디(14)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원(172)과, 아로마 키트(160)가 안착되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174)와, 구동원(172)의 구동시 아로마 키트 캐리어(174)를 진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17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7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어부(24)와 리드 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4)가 구동원(172)을 후퇴모드로 제어하면, 구동원(172)에 의해 동작되는 동력전달부재(176)는 아로마 캐리어(174)를 후퇴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캐리어(174)와 함께 후퇴되어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24)가 구동원(172)을 전진모드로 제어하면, 구동원(172)에 의해 동작되는 동력전달부재(176)은 아로마 캐리어(174)를 전진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캐리어(174)와 함께 전진되어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고, 공조운전되지 않고 아로마가 실내로 퍼지는 아로마 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으며, 공조운전되면서 아로마가 실내로 퍼지는 아로마 공조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
공조운전은 냉방 운전 또는 제습 운전일 수 있고, 아로마 키트(160)가 온,오프 운전되지 않는 비 아로마 운전일 수 있다.
아로마 운전은 공조운전되지 않고 아로마 키트(160)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G)이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와 함께 실내로 퍼지는 운전이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시간은 공기조화기가 아로마 운전 제어를 실시하도록 설정된 시간이다. 아로마 운전시간은 10분,15분,20분 등과 같은 설정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시점부터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1회 실시된 후 완료될 수 있다.
아로마 공조운전은 아로마 키트(160)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G)이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실내로 퍼질 수 있는 운전이다. 아로마 공조운전은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아로마 성분(G)과 함께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아로마 성분(G)이 배출되지 않고,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입력부(100)에 공조운전이 입력될 수 있고, 아로마 운전이 입력될 수 있으며, 공조운전과 아로마 운전이 함께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과, 아로마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단독 공기청정운전 중에서 선택된 운전으로 운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과, 아로마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롱 파워 공조운전 중에서 선택된 운전으로 운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과, 아로마 공조운전과,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 중에서 선택된 운전으로 운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과, 아로마 공조운전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아로마 공조운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로마 공조운전은 아로마 키트(160)가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운전되고, 아로마 키트(160)가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운전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공조운전과 동일할 수 있다. 아로마 공조운전시 송풍기(6)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와 하부 송풍부(C) 모두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아로마 공조운전시 송풍기(6)는 입력부(100)로 입력된 풍량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아로마 공조운전은 약풍 아로마 공조운전과 중풍 아로마 공조운전과 강풍 아로마 공조운전 중 하나의 운전이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입력부(100)를 통해 공조운전과 아로마 운전을 각각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과 제습 운전 중 하나의 공조운전으로 운전되면서 아로마 키트(160)를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운전시킬 수 있다. 아로마 공조운전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공조운전되면서 아로마 키트(160)가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고,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시 아로마 키트(160)의 운전은 종료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승강기구(15)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는 상승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바디(8)의 상부 프론트 토출구(8A)는 개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차폐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좌측 구동기구(11)에 의해 회전된 좌측 베인(10B)은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개방할 수 있으며, 우측 구동기구(13)에 의해 회전된 우측 베인(12B)은 우측 공기토출구(12B)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는 아로마 키트(160)를 후퇴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160)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아로마 키트(160)를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송풍기(6)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C)와 하부 송풍부(L) 모두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아로마 공조운전시 제1팬모터(64)와, 제2팬모터(65)와, 제3팬모터(66)는 모두 구동일 수 있고,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는 모두 회전될 수 있다.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와 제3임펠러(63)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할 수 있고, 열교환기(4)에 의해 냉각되거나 제습될 수 있다.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과 하부 송풍부(L)로 분산되어 흡인될 수 있다. 상부 송풍부(U)로 흡인된 공기는 좌,우 토출바디(10)(12) 중 하나와 상부 토출바디(8)를 통해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중앙 송풍부(M)로 흡인된 공기는 좌,우 토출바디(10)(12)를 통해 분산 토출될 수 있다. 하부 송풍부(L)로 흡인된 공기는 하부 토출바디(14)와 좌,우 토출바디(10)(12)를 통해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풍기(6)의 구동시, 하부 송풍부(L)에서 하부 토출바디(14)로 송풍된 공기는 아로마 키트(160)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G)과 함께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토출바디(8)와, 좌,우 토출바디(10)(12)로 냉각 또는 제습된 공기를 토출될 수 있고, 하부 토출바디(14)로 냉각 또는 제습됨과 아울러 아로마 성분(G)이 포함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이 개시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되면, 아로마 키트(160)가 운전 정지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 (160)에서는 더 이상 아로마 성분(G)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된 이후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조운전과 같이 운전될 수 있다.
이하, 아로마 운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로마 운전시 송풍기(6)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가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C)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아로마 운전시 하부 송풍부(C)의 제3팬모터(66)를 약풍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입력부(100)를 통해 냉방운전의 공조운전과 제습운전의 공조운전을 입력하지 않고, 아로마 운전을 입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운전으로 운전되지 않고, 아로마 키트(160)를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운전시킬 수 있다.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키트(160)는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고,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시 아로마 키트(160)의 운전은 종료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승강기구(15)를 하강모드로 유지할 수 있고, 상부 토출바디(8)의 상부 프론트 토출구(8A)는 차폐된 상태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좌측 구동기구(11) 및 우측 구동기구(13) 각각을 차폐모드로 유지할 수 있고, 좌측 베인(10B)은 좌측 공기토출구(10A)를 차폐할 수 있으며, 우측 베인(12B)은 우측 공기토출구(12B)를 차폐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는 아로마 키트(160)를 후퇴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160)는 하부 토출바디(14)의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키트(160)를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송풍기(6)는 아로마 운전시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C)가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L)가 단독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하부 송풍부(L)는 약풍모드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시 제1팬모터(64)와, 제2팬모터(65)는 정지이고, 제3팬모터(66)는 구동이며,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는 정지이고, 제3임펠러(63)는 회전될 수 있다.
제3임펠러(63)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할 수 있고,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 송풍부(U)와 중앙 송풍부(M)로 흡인되지 않고, 하부 송풍부(L)로 흡인될 수 있다. 하부 송풍부(L)로 흡인된 공기는 하측 방향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하부 송풍부(L)에서 좌측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좌측 베인(10B)에 막히고, 하부 송풍부(L)에서 우측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우측 베인(12B)에 막히며, 하부 송풍부(L)의 공기는 모두 하부 토출부(L1)로 유도될 수 있다. 하부 송풍부(L)에서 송풍된 공기는 하부 토출부(L1)로 집중될 수 있고, 하부 토출부(L1)를 통해 하부 토출바디(14)로 송풍될 수 있다. 하부 토출바디(14)로 송풍된 공기는 아로마 키트(160)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G)과 함께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14A)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토출바디(8)와, 좌,우 토출바디(10)(12)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하부 토출바디(14)로 아로마 성분(G)이 포함된 공기를 집중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이 개시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되면, 아로마 키트(160)가 운전 정지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160)에서는 더 이상 아로마 성분(G)이 배출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이 개시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이 경과되면, 송풍기(6)가 정지되어 하부 송풍부(L)가 더 이상 공기를 송풍하지 않고, 아로마 키트 진퇴기구(170)가 전진모드로 제어되어 아로마 키트(160)가 하부 프론트 토출구(14A)를 차폐할 수 있다.
2: 흡입바디 4: 열교환기
6: 송풍기 8: 상부 토출바디
8A: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 10,12: 사이드 토출바디
10A,10B: 사이드 공기토출구 14: 하부 토출바디
14A: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 61: 제1임펠러
62: 제2임펠러 63: 제3임펠러
64: 제1팬모터 65: 제2팬모터
66: 제3팬모터 67: 팬하우징
68: 오리피스 160: 아로마 키트
L: 하부 송풍부 M: 중앙 송풍부
U: 상부 송풍부

Claims (25)

  1.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으며,
    상기 송풍기는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롱 파워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하부 송풍부가 정지인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송풍부는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토출바디와;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의 옆에 위치하고 사이드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사이드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송풍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부 토출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는 롱 파워 공조운전시 최대풍량모드인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인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약풍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인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중풍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인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강풍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안내하는 하부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토출바디에 배치된 아로마 키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아로마 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조화기.
  14.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는 송풍기와;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으며,
    상기 송풍기는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단독 공기청정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중앙 송풍부가 정지인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송풍부는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된 공기조화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된 공기조화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토출바디와;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의 옆에 위치하고 사이드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사이드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송풍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부 토출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송풍하고,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를 갖는 송풍기와;
    상기 하부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안내하는 하부 토출바디와;
    상기 하부 토출바디에 배치된 아로마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아로마 공조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모두가 공기를 송풍하고,
    아로마 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가 정지이고, 하부 송풍부가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조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송풍부는 상기 상부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공기조화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된 공기조화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송풍부는 공기를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사이드 토출부가 더 형성된 공기조화기.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부 프론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토출바디와;
    상기 상부 송풍부와 중앙 송풍부와 하부 송풍부의 옆에 위치하고 사이드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사이드 토출바디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007391A 2014-01-21 2014-01-21 공기조화기 KR10138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91A KR101385286B1 (ko) 2014-01-21 2014-01-2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91A KR101385286B1 (ko) 2014-01-21 2014-01-2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286B1 true KR101385286B1 (ko) 2014-04-17

Family

ID=5065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391A KR101385286B1 (ko) 2014-01-21 2014-01-2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2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5673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1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2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539A (ja) * 1984-08-25 1986-03-20 Nishida Tekko Kk 換気装置付空調用補助送風装置
KR20050033285A (ko) * 2003-10-06 2005-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0021115A1 (ja) 2008-08-18 2010-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熱体収納装置
KR2013004398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539A (ja) * 1984-08-25 1986-03-20 Nishida Tekko Kk 換気装置付空調用補助送風装置
KR20050033285A (ko) * 2003-10-06 2005-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0021115A1 (ja) 2008-08-18 2010-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熱体収納装置
KR2013004398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5673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1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2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774113B2 (en) 2019-12-10 2023-10-03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796190B2 (en) 2019-12-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852360B2 (en) 2019-12-10 2023-12-2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906176B2 (en) 2019-12-10 2024-02-20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50014E1 (en)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KR101385286B1 (ko) 공기조화기
KR10138529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095989B1 (ko) 스윙 루버를 구비한 스탠드형 에어컨
KR102220214B1 (ko) 공기 청정기
CN106642310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320677B1 (ko) 공기조화기
KR20150028171A (ko) 제습기
CN203132000U (zh) 空气净化装置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101385289B1 (ko) 공기조화기
CN101828077B (zh) 空调机
KR10138529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CN104390280B (zh) 一种窗式空气净化机
KR101385293B1 (ko) 공기조화기
CN102124275A (zh) 空调机
CN207936375U (zh) 一种新式厂房降温***
CN101737853A (zh) 空调机
KR101349311B1 (ko) 공기조화기
CN111637548B (zh) 室内空气处理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385292B1 (ko) 공기조화기
CN105188320A (zh) 一种屏蔽机柜内部空气调节装置
CN105318418A (zh) 挂壁式空调器
CN100455910C (zh) 空调器的室内机
CN203964156U (zh) 挂壁式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