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733B1 -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733B1
KR101384733B1 KR1020080029040A KR20080029040A KR101384733B1 KR 101384733 B1 KR101384733 B1 KR 101384733B1 KR 1020080029040 A KR1020080029040 A KR 1020080029040A KR 20080029040 A KR20080029040 A KR 20080029040A KR 101384733 B1 KR101384733 B1 KR 10138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ective circuit
circuit board
lead plat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3428A (en
Inventor
김봉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733B1/en
Publication of KR2009010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호회로기판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nd to a protection circuit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wisting of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and improving electrical reliability,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어 셀 및 상기 베어 셀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호회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 조립체는 상기 베어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의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e cell and a protective circuit assemb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wherein the protective circuit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lead plat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bare cell, and the first lead. The plate may be a battery pack including an upper surface of a flat plate shape, a support surface bent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bent from an end of the support surface.

따라서, 리드 플레이트의 변형이 용이하여 전극 단자의 높이의 불균일에 의한 산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보호회로기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ead plate is easily deformed and is not affected by the dispersion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erminal. In addition, the deformation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and electrical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리드 플레이트, 전극 단자, 보호회로 조립체, 배터리 팩, 신뢰성 Lead plate, electrode terminal, protective circuit assembly, battery pack, reliability

Description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호회로기판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nd to a protection circuit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wisting of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and improving electrical reliability,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인 건전지에 비해 경제적이다.Secondary batteries are more economical than disposable batteries because they can be used over and over again.

또한, 적은 부피에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 capacity in a small volume, it is widely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digital cameras.

뿐만 아니라, 대용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소형의 전자기기 이외에도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동공구 등의 고출력용 제품에도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a large capacity is possible, it is used in high-power products such as hybrid cars and power tools as well as sm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이러한 이차 전지로는,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이 있다.Examples of such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ies, and the like.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며,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small size and high capacity, high operating voltage, and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와 상기 외장재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여 외장재를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in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packaging material to seal the packaging material.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태에 따라 캔형 및 파우치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캔형은 각형과 원통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cans and pouch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cans can be classified into squares and cylinders.

리튬 이차 전지가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된 캔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캡 조립체가 위치하여 캔을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sealing the can by placing a cap assembly in an opening formed in the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이때, 캡 조립체는 음극을 띄는 전극 단자와 양극을 띄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ap assembly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having a negative electrode and a cap plate having a positive electrod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차 전지를 베어 셀이라고 하며, 베어 셀은 보호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팩을 형성한다.The secondary battery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alled a bare cell, and the bare cel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to form a battery pack.

통상적으로 베어 셀과 보호회로기판은 리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리드 플레이트는 보호회로기판과 부착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베어 셀과 연결된다.In general, the bare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using a lead plate, and the lead plate is connected to the bare cell by welding or the like while being attached to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리드 플레이트는 베어 셀과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베어 셀과 보호회로기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lead plate not only electrically connects the bare cell and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but also maintains a gap between the bare cell and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하지만, 전극 단자의 높이가 균일하지 못하여 산포를 가지게 되면, 전극 단자와 보호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리드 플레이트에 변형이 생기게 된다.However, if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erminal is not uniform to have a dispersion, a deformation occurs in the lead plate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특히, 전극 단자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보호회로기판에 부착된 리드 플레 이트가 전극 단자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전극 단자와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erminal is low, the lead plate attached to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s bent in the electrode term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이때, 리드 플레이트가 휘어짐에 따라, 리드 플레이트가 부착된 보호회로기판도 함께 휘는 문제가 발생한다.At this time, as the lead plate is bent, a problem occurs that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with the lead plate is also bent.

따라서, 전극 단자와 용접된 리드 플레이트의 부위에는 보호회로기판을 당기고 있는 만큼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portion of the lead plate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s much as pulling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따라서,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전기적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Therefore, since it can fall easily even in the external small impact, electrical reliability falls.

또한, 보호회로기판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회로기판을 덮는 덮개가 위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ver covering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may be positioned to protect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덮개는 보호회로기판에 실장된 외부 연결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되는데, 보호회로기판이 휘어지게 되면, 외부 연결 단자가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The cover is formed with a hole so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s exposed to the outside. I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s ben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호회로기판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that can prevent the twist of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and improve the electrical reliability.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보호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리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보호회로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nd a first lead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wherein the first lead plate has a flat plate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protective circui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surface, a support surface bent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bent from an end of the support surface.

본 발명은 베어 셀 및 상기 베어 셀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호회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 조립체는 상기 베어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의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e cell and a protective circuit assemb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wherein the protective circuit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lead plat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bare cell, and the first lead. The plate may be a battery pack including an upper surface of a flat plate shape, a support surface bent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bent from an end of the support surface.

본 발명의 상기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이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상기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surface facing.

본 발명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본 발명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from the first extension.

본 발명의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상기 하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ective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is formed, the low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 플레이트의 변형이 용이하여 전극 단자의 높이의 불균일에 의한 산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of the lead plate is easy and is not affected by the dispersion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erminal.

따라서, 보호회로기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deformation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and electrical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details of the object and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두께, 길이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lengths, and the like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기판과 리드 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A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a lead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은 베어 셀(100), 상기 베어 셀(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호회로 조립체(200)를 포함한다.1A and 1B,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re cell 100 and a protection circuit assembly 200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 셀(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2를 참조하면, 베어 셀(100)은 전극 조립체(10),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캔(20) 및 상기 캔(20)의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캡 조립체(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which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are c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e cell 10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a can 20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can. Cap assembly 30 positioned on the opening of 20.

또한, 베어 셀(100)은 상기 캔(20)에 수용되는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절연 케이스(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re cell 100 may include an insulating case 40 positioned on an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mmodated in the can 20.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제1 전극판(11), 제2 전극판(13) 및 세퍼레이터(15)로 이루어지며, 각각 적층된 후 젤리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late 11, a second electrode plate 13, and a separator 15, and may be stacked in a jelly roll form after being stacked.

이하, 제1 전극판(11)을 양극판이라 하고, 제2 전극판(13)을 음극판이라고 한다.Hereinafter,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is called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 is called a negative electrode plate.

물론, 극판 형성 과정에 따라 제1 전극판(11) 및 제2 전극판(13)의 극성은 바뀔 수 있다.Of course, the polaritie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lectrode plate forming process.

상기 양극판(11)은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양극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양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양극 무지부를 포함한다.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is formed by apply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luminum or the like, and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non-coated portion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또한, 상기 음극판(13)은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음극 무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3 is formed by apply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copper or the like, and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to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상기 세퍼레이터(15)는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3) 사이에 개재되어 두 극판(11, 13)의 단락을 방지하고, 표면이 다공막 구조로 되어 있어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를 제공한다.The separator 15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3 to prevent short-circuits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11 and 13, and has a porous membrane structure on the surface thereof to provide a passage for lithium ions.

상기 양극 무지부에는 상기 캡 조립체(30)의 캡 플레이트(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탭(17)이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음극 무지부에는 상기 캡 조립체(30)의 전극 단자(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 탭(19)이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된다.A first electrode tab 1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31 of the cap assembly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uncoated portion, and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cap assembly 30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uncoated portion. A second electrode tab 1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33 is attached to enable energization.

따라서, 제1 전극 탭(17)은 제1 전극판(11)과 같은 극성을 가지며, 제2 전극 탭(19)은 제2 전극판(13)과 같은 극성을 갖는다.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tab 17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9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

이하, 제1 전극 탭(17)을 양극 탭이라 하고, 제2 전극 탭(19)을 음극 탭이라고 한다.Hereinafter, the first electrode tab 17 is called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9 is called a negative electrode tab.

이때, 양극 탭(17) 및 음극 탭(19)은 니켈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의 재질 및 접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positive electrode tab 17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9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nickel, and may be attached to the posi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and the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by ultrasonic welding, laser welding, or the like. It does not limit the joining method.

상기 양극 탭(17) 및 음극 탭(19)에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계부에 극판(11, 13)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테이프(18)가 감겨져 있다.An insulating tape 18 is wound arou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7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9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1 and 13 at the boundary portion drawn out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10.

상기 양극 집전체로는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티탄 또는 이들의 합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을 표면 처리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stainless steel, nickel, aluminum, titanium or alloys thereof, and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surface treated on the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among which aluminum or aluminum alloy is used. desirable.

양극 집전체의 형태로는 호일, 필름, 시트, 펀칭된 것, 다공질체, 발포제 등 을 들 수 있으며, 두께는 통상 1~50μm, 바람직하게는 1~30μm이며, 본 발명에서 이의 형태 및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a foil, a film, a sheet, a punched one, a porous body, a foaming agent, and the like, and the thickness is usually 1 to 50 μm, preferably 1 to 30 μm,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s shape and thickness It is not limited.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흡장 또는 탈리할 수 있는 물질로서, 코발트, 망간, 니켈에서 선택되는 최소한 1종 및 리튬과의 복합산화물 중 1종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or desorbing lithium ions, and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cobalt, manganese, nickel, and at least one of a composite oxide with lithium.

음극 집전체로는 스테인레스강, 니켈, 구리, 티탄 또는 이들의 합금,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을 표면 처리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바람직하다.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stainless steel, nickel, copper, titanium or alloys thereof, or a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on the surface of copper or stainless steel, and among these, copper or a copper alloy is preferable. Do.

음극 집전체의 형태로는 호일, 필름, 시트, 펀칭된 것, 다공질체, 발포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두께는 통상 1~50μm, 바람직하게는 1~30μm이며, 본 발명에서 이의 형태 및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shap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a foil, a film, a sheet, a punched one, a porous body, a foaming agent, and the like, and the thickness is usually 1 to 50 μm, preferably 1 to 30 μm. It is not limited.

음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흡장 또는 탈리할 수 있는 물질로서,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등의 탄소 재료,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or detaching lithium ions, a carbon material such as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carbon composite, carbon fiber, lithium metal, lithium alloy,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세퍼레이터(1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퍼레이터 물질을 사용하며,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그 표면은 다공막 구조로 되어 있다.The separator 15 uses a commonly used separator material and is formed of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the surface thereof has a porous membrane structure.

이러한 다공막 구조는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근처가 되면 세퍼레이터(15)가 용융되어 막힘으로써 절연 필름이 된다.Such a porous membrane structure becomes an insulating film when the separator 15 melts and is clogg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approaches 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이렇게 절연 필름으로 바뀜으로써, 양극판(11)과 음극판(13) 간의 리튬 이온 이동이 차단되고, 더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됨으로써,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이 중단된다.By switching to the insulating film as described above, the lithium ion movemen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3 is blocked, and no further current flows, thereby stopping the temperature rise inside the battery.

상기 캔(20)은 개구된 상단부를 갖는 형태의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10) 및 전해액을 수용하며,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에 절연 케이스(40)를 수용할 수 있다.The can 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open upper end portion,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electrolyte, and accommodate the insulating case 40 on the electrode assembly 10.

금속재로는 가볍고 연성이 있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캔(20)이 금속재로 형성되는 경우 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전극 단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As the metal material, light and ductile aluminum,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may be used. When the can 2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metal material may have polarity and may be used as an electrode terminal.

캔(20)의 형상은 각형이거나 모서리가 둥글게 구부러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캔(20)의 개구된 상단부는 캡 플레이트(31)와 용접 또는 열 융착되어 밀봉된다.The shape of the can 20 may be rectangular or oval with rounded corners, and the open upper end of the can 20 is sealed by welding or heat fusion with the cap plate 31.

상기 캡 조립체(30)는 캡 플레이트(31), 절연 가스켓(32), 전극 단자(33), 절연 플레이트(34), 터미널 플레이트(35) 및 전해액 주입구 마개(36)를 구비한다.The cap assembly 30 includes a cap plate 31, an insulating gasket 32, an electrode terminal 33, an insulating plate 34, a terminal plate 35, and an electrolyte inlet stopper 36.

상기 캡 플레이트(31)는 캔(20)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도록 캔(20)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절연 가스켓(32)과 전극 단자(33)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통공(31a)이 형성된다.The cap plate 31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an 20 to seal the opening of the can 20,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opening, and the insulating gasket 32 and the electrode terminal 33 are inserted therein. A terminal through hole 31a may be formed.

또한, 캡 플레이트(31)에는 캔(20)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주입구(31b)가 형성되며, 전해액 주입구 마개(36)가 전해액 주입구(31b)를 밀폐하며 결합된다.In addition, the cap plate 31 is formed with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b that provides a passage for injecting electrolyte into the can 20,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stopper 36 is sealed to seal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b. .

또한, 캡 플레이트(31)는 전지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파단되어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31c)를 포함하며, 벤트(31c)에는 파단이 용이하도록 노치가 형성 된다.In addition, the cap plate 31 includes a vent 31c for discharging ga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ncreases, and a notch is formed in the vent 31c to facilitate breaking.

상기 절연 가스켓(32)은 캡 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단자 통공(31a)에 결합되며, 전극 단자(33)와 캡 플레이트(31)를 절연시기키 위해 절연성 물질로 형성된다.The insulating gasket 32 is coupled to the terminal through hole 31a formed in the cap plate 31, and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insulate the electrode terminal 33 and the cap plate 31.

또한, 절연 가스켓(32)의 중앙부는 전극 단자(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ulating gasket 32 forms a hole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33 can be coupled.

상기 전극 단자(33)는 절연 가스켓(3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캡 플레이트(31)에 결합되며, 전극 단자(33)의 하단부는 캡 플레이트(31)를 관통한 상태에서 터미널 플레이트(35)와 연결된다.The electrode terminal 33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gasket 32 to be coupled to the cap plate 31, and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33 passes through the cap plate 31. Connected with.

상기 절연 플레이트(34)는 캡 플레이트(31)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터미널 플레이트(35)의 외부면을 절연하고, 전극 단자(33)와 터미널 플레이트(35)와의 연결을 위한 홀을 형성한다.The insulating plate 34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1, insulates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35, and forms a hole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 33 and the terminal plate 35. .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35)는 절연 플레이트(34)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전극 단자(33)와 연결되어 전기적 경로를 형성한다.The terminal plate 35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34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to form an electrical path.

또한, 터미널 플레이트(35)의 하부면에는 음극 탭(19)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단자(33)는 음극 단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1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35,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33 serves a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상기 절연 케이스(40)는 캔(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을 방지한다.The insulating case 40 is positioned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10 inserted into the can 20 to prevent the flow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절연 케이스(40)는 터미널 플레이트(35)와 터미널 플레이트(35)를 덮는 절연 플레이트(34)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주변부가 벽을 형성하고 있다.Insulation case 40 has a peripheral portion to form a wall to seat the terminal plate 35 and the insulating plate 34 covering the terminal plate 35.

또한, 절연 케이스(40)는 쇼트를 방지하도록 양극 탭(17)과 음극 탭(19)을 소정 거리 이격시키며,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한 탭 홈(41) 및 탭 홀(42)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case 40 spaces the positive electrode tab 17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9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a short, and the tab groove 41 and the tab hole 42 to serve as guides when protruding outward. Can be formed.

또한, 절연 케이스(40)에는 주입되는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10)로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주입 홀(4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jection hole 43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case 40 to provide a passage to allow the injected electrolyte to flow well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0.

상기 보호회로 조립체(200)는 보호회로기판(210)과 상기 베어 셀(10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복수개의 리드 플레이트(230, 250, 270)를 구비한다.The protection circuit assembl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lead plates 230, 250, and 270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210 and the bare cell 100.

상기 보호회로기판(210)은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11), 인쇄회로기판(211)의 일면에 실장되는 보호 모듈(212), PTC(213) 및 리드 플레이트(230, 250, 270)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단자(214, 215, 216)를 포함한다.The protective circuit board 21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211 having a wiring pattern formed thereon, a protection module 212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1, a PTC 213, and a lead plate 230, 250, And connection terminals 214, 215, and 216 for connecting with 270.

또한, 보호회로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211)의 다른 일면에 실장되며, 외부 전자/전기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외부 연결 단자(21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21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1, and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217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electronic / electrical device.

또한, 보호회로기판(210)은 베어 셀(100)에 구비되는 전극 단자(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218)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210 forms a hole 218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provided in the bare cell 100.

상기 홀(218)은 베어 셀(100)과 보호회로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리드 플레이트(270)와 전극 단자(33)를 용접하는 경우, 용접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용접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이면 무방하다.The hole 218 provides a passage for welding when the lead plate 270 and the electrode terminal 33 are wel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re cell 1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210. It may be as large as possible.

보호회로기판(210)의 접속 단자(214, 215, 216)에 연결되는 리드 플레이트는 제1 리드 플레이트(270) 및 제2 리드 플레이트(230, 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ad plate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214, 215, and 216 of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210 may include first lead plates 270 and second lead plates 230 and 250.

제1 리드 플레이트(270)는 일단이 제1 접속 단자(216)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전극 단자(33)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first lead plate 27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6,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제2 리드 플레이트(230, 250)는 일단이 제2 접속 단자(214, 215)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캡 플레이트(31)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second lead plates 230 and 2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14 and 21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ap plate 31.

제1 및 제2 리드 플레이트(230, 250, 270)는 통상 전도성이 높은 니켈 등으로 형성되며, 이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and second lead plates 230, 250, and 270 are usually made of nickel having a high conductivity, and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plates 230, 250, and 270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리드 플레이트(230, 25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호회로기판(210)의 양가장자리에서 접속 단자(214, 215)와 연결되도록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개의 제2 리드 플레이트(230, 250) 모두가 전기적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 리드 플레이트일 수 있다.The second lead plates 230 and 250 may be formed in two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214 and 215 at both edges of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2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wo second lead plates 230 250 may all be electrode lead plates for forming electrical pathways.

또한, 하나의 제2 리드 플레이트는 전극 리드 플레이트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리드 플레이트는 베어 셀(100)과 보호회로기판(210)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리드 플레이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second lead plate may be used as an electrode lead plate, and the other second lead plate may be used as an auxiliary lead plate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bare cell 100 and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210.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270)는 제1 접속 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평판 형태의 상부면(271), 상기 상부면(271)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지지면(273) 및 상기 지지면(273)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상부면(271)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며, 전극 단자(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부면(275)을 포함한다.The first lead plate 270 may have a flat top surface 27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6, a support surface 273 bent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271, and the support surface. A lower surface 275 is bent from an end of the 27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27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상기 하부면(275)은 전극 단자(33)와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호회로기판(210)에 형성된 홀(2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The lower surface 275 should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218 formed in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210 so as to be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따라서,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270)는 상기 상부면(271)이 상기 제1 접속 단자(216)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면(275)은 상기 전극 단자(33)와 용접되기 전에는 유동이 용이한 형태를 갖는다.Therefore, the first lead plate 27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27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6 and the lower surface 275 is flowed before being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This has an easy form.

따라서, 전극 단자(33)의 높이가 불균일하더라도, 전극 단자(33)와 용접되는 하부면(275)이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회로기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erminal 33 is uneven, the lower surface 275 to be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3 can flow, thereby preventing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from bending.

따라서, 보호회로기판의 휨에 의해서 제1 리드 플레이트와 전극 단자의 용접 부위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restoring force acting on the welded portion of the first lead plate and the electrode terminal by the bending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또한,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제1 리드 플레이트와 전극 단자의 용접 부위가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lding portion of the first lead plate and the electrode terminal from easily falling off even under a small external shock, and improve electrical reliability.

도3a 내지 도3e는 제1 리드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3A to 3E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first lead plate.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면(271)은 접속 단자(216)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270)의 폭 방향(W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7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면(271)은 상기 지지면(273) 및 상기 하부면(275)보다 큰 폭을 갖는 형태가 된다.As shown in FIG. 3A, the upper surface 27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270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216 ( 277, and thus, the upper surface 271 may have a shape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support surface 273 and the lower surface 275.

또한, 제1 리드 플레이트(27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77′)는 폭 방향(W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277′a)와 제1 연장부(277′a)로부터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270)의 길이 방향(L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277′b)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first lead plate 270 includes the first extension part 277 ′ a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77 ′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direc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277'b extending from the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270 may be formed.

또한, 제1 리드 플레이트(270)는 도3c 내지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면(275′)이 상부면(271)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으며, 연장부(279, 279′)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3C through 3E, the first lead plate 270 may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275 ′ is facing the upper surface 271, and the extension portions 279 and 279 may be used. ′) May be formed.

도3d와 같이 연장부(279)는 제1 리드 플레이트(270)의 폭 방향(W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D, the extension part 279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270.

또한, 도3e와 같이 연장부(279′)는 제1 리드 플레이트(270)의 폭 방향(W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279′a)와 제1 연장부(279′a)로부터 제1 리드 플레이트(270)의 길이 방향(L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279′b)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E, the extension part 279 'is forme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279'a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79'a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270. The first lead plate 27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279'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direction).

마찬가지로, 하부면(275′)은 전극 단자(33)와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호회로기판(210)에 형성된 홀(2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상부면(271)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Similarly, since the lower surface 275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218 formed in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210 so as to be welded with the electrode terminal 33, the lower surface 275' must be formed longer than the upper surface 271. .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various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b는 도1a의 보호회로기판과 리드 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the lead plate of FIG. 1A.

도2는 도1a의 베어 셀의 일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bare cell of FIG. 1A. FIG.

도3a 내지 도3e는 제1 리드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A to 3E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first lead plate.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전극 조립체 11 : 제1 전극판10 electrode assembly 11 first electrode plate

13 : 제2 전극판 15 : 세퍼레이터13: 2nd electrode plate 15: separator

17 : 제1 전극 탭 18 : 절연 테이프17: first electrode tab 18: insulating tape

19 : 제2 전극 탭 20 : 캔19: second electrode tab 20: can

30 : 캡 조립체 31 : 캡 플레이트30 cap assembly 31 cap plate

31a : 단자 통공 31b : 전해액 주입구31a: terminal hole 31b: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c : 벤트 32 : 절연 가스켓31c: Vent 32: Insulation Gasket

33 : 전극 단자 34 : 절연 플레이트33: electrode terminal 34: insulation plate

35 : 터미널 플레이트 36 : 전해액 주입구 마개35 terminal plate 36 electrolyte plug

40 : 절연 케이스 41 : 탭 홈40: insulation case 41: tab groove

42 : 탭 홀 43 : 주입 홀42: tap hole 43: injection hole

100 : 베어 셀 200 : 보호회로 조립체.100: bare cell 200: protective circuit assembly.

210 : 보호회로기판 211 : 인쇄회로기판210: protective circuit board 211: printed circuit board

212 : 보호 모듈 213 : PTC212: protection module 213: PTC

214, 215, 216 : 접속 단자 217 : 외부 연결 단자214, 215, 216: connection terminal 217: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8 : 홀 230, 250 : 제2 리드 플레이트218: hole 230, 250: second lead plate

270 : 제1 리드 플레이트 271 : 상부면270: first lead plate 271: upper surface

273 : 지지면 275 : 하부면273: support surface 275: lower surface

277, 277′, 279, 279′: 연장부 277, 277 ', 279, 279': Extension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극 단자 및 상기 전극 단자와 절연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 셀; 및 A bare cell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and a cap plate insulated from the electrode terminal; And 상기 베어 셀의 상기 전극 단자 및 상기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전극 단자 및 상기 캡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보호회로 조립체를 포함하되,A protective circuit assembly positioned o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of the bare cell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상기 보호회로 조립체는 상기 전극 단자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보호회로기판, 상기 보호회로기판과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리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보호회로기판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The protective circuit assembly may include a protective circuit board includ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a first lead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between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the cap plate. A second lead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보호회로기판에 가까이 위치하는 평판 형태의 상부면, 상기 전극 단자 상에 위치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의 일단과 상기 하부면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first lead plate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of a flat plate shape positioned near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 lower surface disposed on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support surface connecting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to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호회로 조립체는 상기 보호회로기판의 상기 캡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표면 상에 위치하는 PT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protective circuit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PTC positioned on the surface facing the cap plate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관통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이격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되,The protective circuit board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ositioned near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a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lea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지면은 상기 상부면의 상기 하부면을 향하는 일단과 상기 하부면의 상기 상부면을 향한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support surface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between one en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one end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리드 플레이트의 형상은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shape of the second lead plate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rst lead plate battery pack.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top surface further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제 13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top surface further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ead plate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upper surface. 삭제delete
KR1020080029040A 2008-03-28 2008-03-28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384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40A KR101384733B1 (en) 2008-03-28 2008-03-28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40A KR101384733B1 (en) 2008-03-28 2008-03-28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28A KR20090103428A (en) 2009-10-01
KR101384733B1 true KR101384733B1 (en) 2014-04-14

Family

ID=4153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040A KR101384733B1 (en) 2008-03-28 2008-03-28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7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88B1 (en) * 2010-05-24 2012-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US11031602B2 (en) 2013-10-21 2021-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battery current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175A (en) * 2004-02-13 200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KR100543779B1 (en) * 2004-07-21 2006-01-2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Inner battery pack appli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it
KR20060012810A (en) 2004-08-04 2006-02-09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Internal battery pack for a cellular phon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175A (en) * 2004-02-13 200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KR100543779B1 (en) * 2004-07-21 2006-01-2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Inner battery pack appli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it
KR20060012810A (en) 2004-08-04 2006-02-09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Internal battery pack for a cellular phon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28A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5433B2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breaking connector by using venting gas
US10693121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13029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973310B1 (en) Electrode tab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998303B1 (en)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959870B1 (en)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973314B1 (en)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973313B1 (en) Protection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EP2104159A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p assembly
KR10092903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20060099501A1 (en) Secondary battery
EP3518305B1 (en) Secondary battery
US11289782B2 (en) Secondary battery
KR101050534B1 (en) Insulation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US10084177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short-circuit member
KR100973309B1 (en) Insulation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951906B1 (en) Cap assembly and s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EP2477257B1 (en) Secondary battery
CN110679012B (en) Secondary battery
KR100867929B1 (en) Secondary battery
KR101520152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101156331B1 (en) Electrode assembly, method for fabric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KR101308296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384733B1 (en)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242134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