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207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207B1
KR101383207B1 KR1020110041296A KR20110041296A KR101383207B1 KR 101383207 B1 KR101383207 B1 KR 101383207B1 KR 1020110041296 A KR1020110041296 A KR 1020110041296A KR 20110041296 A KR20110041296 A KR 20110041296A KR 101383207 B1 KR101383207 B1 KR 10138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anel
film
coupled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767A (ko
Inventor
황학모
김인주
윤용중
윤성환
가인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207B1/ko
Priority to EP11187486.3A priority patent/EP2520968B1/en
Priority to US13/295,222 priority patent/US8792252B2/en
Priority to TW100145674A priority patent/TWI470302B/zh
Priority to CN201110461297.8A priority patent/CN102768420B/zh
Publication of KR2012012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207B1/ko
Priority to US14/304,575 priority patent/US93326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1Number of plates being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및 세트 커버들의 일부가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하고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된 필름 부재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두께를 최소화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표시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슬림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또는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배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노트북, 모니터, 모바일 기기 또는 텔레비전 등으로 제품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면 세트 커버와 배면 세트 커버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및 이에 더하여 제품의 전면 및 배면 세트 커버가 필수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가장자리를 필수적으로 덮게 되므로, 그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테두리 폭이 증가되고 테두리 부분의 단차로 인하여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 및 세트 커버들의 일부가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하고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두께의 최소화와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기판에 결합된 필름 부재의 박리를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의 최소화와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된 필름 부재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기판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은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되고, 상기 필름 부재의 각 측면은 상기 제 1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지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측면이 상기 제 1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상부 편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측면이 상기 제 1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상부 편광 필름; 및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전면 전체에 결합되며, 각 측면이 상기 제 2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3 기울기의 제 3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리타더 필름(Retarder Film)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타더 필름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 리타더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만을 지지하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된 필름 부재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부 편광 필름이고, 상기 패널 보호 부재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부 편광 필름; 및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 리타더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전면 전체에 결합된 리타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 보호 부재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편광 필름 및 상기 리타더 필름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와 상기 패널 보호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만을 지지하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세트 커버에 형성된 제 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 부재에 소정 갭을 두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 보호 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와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 보호 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는 세트 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도록 상기 세트 플레이트를 덮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패드부에 결합된 복수의 회로 필름;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결합된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널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쌈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를 과감하게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부 폭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패널 지지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만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를 과감하게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기구물(베젤)을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필름 부재의 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된 필름 부재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패널 보호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 필름 부재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C-C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E-E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F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패널 보호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패널 보호 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G-G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H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패널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J-J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하부 기판(112)과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과 상부 기판(114)에 결합된 필름 부재(116)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결합된 필름 부재(116), 및 하부 기판(112)의 배면에 결합된 하부 편광 필름(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기판(112)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에 의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의 구동 방식에 따라 상부 기판(1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부 기판(112)은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의 차전압에 대응되는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한다.
상부 기판(114)은 하부 기판(112)에 형성된 각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2)과 대향 합착된다. 이때, 상부 기판(114)에는 액정층의 구동 방식에 따라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기판(114)은 액정층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컬러 필터로 필터링하여 소정의 컬러 광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소정의 컬러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 기판(112) 및 상부 기판(114)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층의 구동 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 부재(116)는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결합(또는 부착)되어 상부 기판(114)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상부 편광 필름으로 구성된다.
하부 편광 필름(118)은 하부 기판(112)의 배면에 부착되어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조사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패널 지지 부재(130)에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기구물(베젤)을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부 기판(114)에 부착된 필름 부재(116)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14)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과 필름 부재(116)의 각 측면은 소정 기울기의 경사면(CF1, CF2)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상부 기판(114)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Chamfer) 등의 가공 공정에 의해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CF1)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필름 부재(116)의 각 측면은 레이저 또는 컷팅 휠 등을 이용한 컷팅 공정에 의해 제 1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CF2)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이때, 필름 부재(116)의 각 측면은 상부 기판(114)의 측면으로부터 0.1±0.07mm 범위의 거리(D1)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경사면(CF2)의 폭(W1)은 0.15±0.0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부 기판(114)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에 제 1 경사면(CF1)을 형성함과 아울러 필름 부재(116)의 각 측면에 제 2 경사면(CF2)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필름 부재(116)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에 대응되는 하부 기판(112)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패드부에 결합된 복수의 회로 필름(150), 복수의 회로 필름(150)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160), 및 패드부와 복수의 회로 필름(150)과 인쇄회로기판(160)을 덮도록 패널 지지 부재(130)에 결합된 데코 커버(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측은 하부 기판(112)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이 될 수 있다.
복수의 회로 필름(150) 각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미도시)가 실장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2)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게이트(또는 스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회로 필름(150)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160)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회로 필름(15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쇄회로기판(160)은 복수의 회로 필름(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화상을 표시하기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6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각종 전원 회로(미도시), 및 메모리 소자(미도시) 등이 실장된다.
데코 커버(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에 대응되는 패널 지지 부재(13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와 복수의 회로 필름(150) 및 인쇄회로기판(160)을 덮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와 복수의 회로 필름(150) 및 인쇄회로기판(16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데코 커버(170)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패널 지지 부재(130)에 결합되는 후크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도 2에서, 백 라이트 유닛(120)은 패널 지지 부재(130)에 수납되는 도광판(122), 반사 시트(124), 및 광학 부재(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광판(122)은 평판 형태(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시킨다. 이때, 광원은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4)는 도광판(122)의 배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킨다.
광학 부재(126)는 도광판(122)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광학 부재(126)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상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에서, 패널 지지 부재(130)는 필름 부재(116)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지지 부재(130)는 세트 커버(131), 지지 커버(133), 가이드 프레임(135),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커버(131)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커버(133)와 가이드 프레임(135)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러한 세트 커버(131)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세트 커버(131)는 세트 플레이트(131a), 및 세트 측벽(1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131a)는 평판 형태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플레이트(131a)는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배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세트 측벽(131b)은 세트 플레이트(131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때, 세트 측벽(131b)의 외측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단차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세트 측벽(131b)은 가이드 프레임(135)의 측면을 감싸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측벽(131b)은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측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지지 커버(133)는 세트 커버(131)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가이드 프레임(135)을 지지함과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한다. 이를 위해, 지지 커버(133)는 백 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지지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지 커버(133)는 세트 플레이트(131a)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나사에 의해 세트 커버(13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커버(133)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인 측면 및 슬림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35)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커버(133)의 지지 측벽에 안착됨과 아울러 접착 부재(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프레임(135)은 패널 결합부(135a), 및 패널 결합부(135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세트 측벽(131b)에 결합되는 가이드 측벽(13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결합부(135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대향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패널 결합부(135a)는 접착 부재(14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측벽(135b)은 세트 측벽(131b)에 인접한 패널 결합부(135b)의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지 커버(133)의 지지 측벽과 세트 측벽(131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과 아울러 세트 측벽(131b)에 결합된다.
제 1 결합 부재(137)는 가이드 프레임(135)의 가이드 측벽(135b)에 형성된다. 제 2 결합 부재(139)는 제 1 결합 부재(137)에 결합되도록 세트 커버(131)의 세트 측벽(131b)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 부재(137)는 단턱면과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이드 측벽(135b)의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 결합 부재(139)는 제 1 결합 부재(137)에 대응되도록 세트 측벽(131b)의 내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결합 부재(137)의 단턱면은 제 2 결합 부재(139)에 결합된 제 1 결합 부재(137)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 1 결합 부재(137)의 경사면은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 각각은 상호 체결을 위해 반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이드 프레임(135)과 세트 커버(131)가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측면에서 가이드 프레임(135)은 지지 커버(133)의 지지 측벽과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트 커버(131)는 세트 플레이트(131a)를 통해 지지 커버(133)의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나사에 의해 지지 커버(133)와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40)는 가이드 프레임(135)의 패널 결합부(135a)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가이드 프레임(135)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접착 부재(140)는 가이드 프레임(135)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결합력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편광 필름(11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착 부재(14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착 부재(13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가이드 프레임(135)에 결합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135)을 세트 커버(131)에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상부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접착 부재(14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35)에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 부재(140)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액정층의 변화 또는 접착 부재(140)의 접착력에 의한 액정층의 변화로 인하여 빛샘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의 빛샘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빛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결합 부재(137)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동될 수 있도록 제 2 결합 부재(139)에 소정 갭(G)을 두고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간의 갭(G) 내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널 지지 부재(130)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를 과감하게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기구물(베젤)을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필름 부재(116)와 상부 기판(114)의 에지부에 경사면(CF1, CF2)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필름 부재(116)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C-C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하부 기판(112)과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과 상부 기판(114)에 결합된 필름 부재(2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필름 부재(216)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필름 부재(21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게이트 라인에 대응되는 수평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에 대응되는 수직 라인 단위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표시한다.
필름 부재(216)는 상부 기판(114)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상부 편광 필름(216a), 및 상부 편광 필름(216a)에 결합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리타더 필름(216b; Retarder Fil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편광 필름(216a)은 데코 커버(170)를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 편광 필름(216a)의 각 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또는 컷팅 휠 등을 이용한 컷팅 공정에 의해 상부 기판(114)에 형성된 제 1 경사면(CF1)의 제 1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CF2)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여기서, 상부 편광 필름(216a)의 각 측면은 상부 기판(114)의 측면으로부터 0.1±0.07mm 정도 이격(D1)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리타더 필름(216b)은 상부 편광 필름(216a)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때, 리타더 필름(216b)의 각 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또는 컷팅 휠 등을 이용한 컷팅 공정에 의해 상부 편광 필름(216a)에 형성된 제 2 경사면(CF2)의 제 2 기울기와 동일한 제 3 기울기의 제 3 경사면(CF3)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여기서, 제 2 및 제 3 경사면(CF2, CF3)의 전체 폭(W2)은 0.15±0.0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리타더 필름(216b)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한다. 이를 위해, 리타더 필름(216b)은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수직 또는 수평 라인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RF1)과,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수직 또는 수평 라인에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RF1)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 리타더 패턴(RF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라타더 패턴(RF1, RF2)은 디스플레이 패널(210)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광축을 서로 다른 광축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입체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리타더 필름(216b)을 가지는 필름 부재(216)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E-E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F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하부 기판(112)과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과 상부 기판(114)에 결합된 필름 부재(116)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3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보호하는 패널 보호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패널 보호 부재(3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패널 보호 부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내지 제 4 측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12)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패드부에 결합된 복수의 회로 필름(150)과 복수의 회로 필름(150)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160)이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에 대응되는 부분은 데코 커버(170)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는 상기의 패널 보호 부재(350)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패널 보호 부재(350)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정 택 타임(Tack Time)을 고려하면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링제의 점도(Viscosity)는 1500 ~ 30000cps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상 공정 시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패널 보호 부재(350)는 무색(또는 투명) 또는 유색(예를 들어, 청색, 적색, 또는 흑색)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인 측면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2)에서 발생되는 내부 전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색 수지 또는 광 차단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각각의 측면 전체와 필름 부재(116)의 측면 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의 상부는 필름 부재(116)의 측면 일부, 즉 제 2 경사면(CF2)의 하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및 필름 부재(116)의 측면 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의 상부는 필름 부재(116)의 측면 전체, 즉 제 2 경사면(CF2)의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부재(116)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 전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각각의 측면 전체, 및 하부 기판(112)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으로부터 0.2 ~ X 범위의 곡률(R)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X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및 필름 부재(116)의 전체 두께의 평균값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가 삭제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외부 환경 또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즉, 패널 보호 부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2) 필름 부재(116)의 박리를 방지한다.
3)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취급시 인적 피해를 방지한다.
4) 습기 등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5)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광의 전반사에 의한 측면 빛샘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패널 보호 부재(3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손상, 필름 부재(116)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G-G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H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하부 기판(112)과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과 상부 기판(114)에 결합된 필름 부재(2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30),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를 보호하는 패널 보호 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에서 패널 보호 부재(4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패널 보호 부재(45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제 1 측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내지 제 4 측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패널 보호 부재(4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패널 보호 부재(35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및 상부 편광 필름(216a) 각각의 측면 전체와 리타더 필름(216b)의 측면 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의 상부는 리타더 필름(216b)의 측면 일부, 즉 제 3 경사면(CF3)의 하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1에 도시된 패널 보호 부재(350)와 유사하게,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과 상부 편광 필름(216a) 및 리타더 필름(216b) 각각의 측면 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의 상부는 리타더 필름(216b)의 측면 전체, 즉 제 3 경사면(CF3)의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타더 필름(216b)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 전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각각의 측면 전체, 및 하부 기판(112)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측면으로부터 0.2 ~ X 범위의 곡률(R)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X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및 필름 부재(216)의 전체 두께의 평균값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보호 부재(4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하게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가 삭제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를 외부 환경 또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패널 보호 부재(4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손상, 필름 부재(216)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하부 기판(112)과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과 상부 기판(114)에 결합된 필름 부재(116)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53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보호하는 패널 보호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패널 지지 부재(5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패널 지지 부재(530)는 필름 부재(116)의 전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350)의 측면을 감싼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530)는 세트 커버(531), 지지 커버(133), 가이드 프레임(135),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530)에서 세트 커버(53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패널 지지 부재(13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세트 커버(531)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커버(133)와 가이드 프레임(135)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감싼다. 이러한 세트 커버(531)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세트 커버(531)는 세트 플레이트(531a), 및 세트 측벽(5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531a)는 평판 형태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배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플레이트(531a)는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배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세트 측벽(531b)은 세트 플레이트(531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350)의 측면을 감싼다. 이때, 세트 측벽(531b)의 높이는 필름 부재(116)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이러한 세트 측벽(531b)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부(또는 베젤)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측벽(531b)은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측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53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 커버(631), 배면 커버(633), 지지 커버(133), 가이드 프레임(135),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패널 지지 부재(530)에서 세트 커버(631)와 배면 커버(63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패널 지지 부재(13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세트 커버(631)는 세트 플레이트(631a) 및 세트 측벽(6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631a)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즉 상술한 백 라이트 유닛(200)이 수납된 지지 커버(133)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세트 측벽(631b)은 세트 플레이트(631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350)의 측면을 감싼다. 이때, 세트 측벽(631b)의 높이는 필름 부재(116)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이러한 세트 측벽(631b)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부(또는 베젤)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측벽(631b)은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측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트 커버(631)는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배면과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금색, 은색 등의 컬러 색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면 커버(633)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세트 플레이트(631a)의 배면을 덮음으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배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이때, 배면 커버(633)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631a)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세트 플레이트(631a) 또는 지지 커버(133)의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나사(미도시)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631a)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커버(633)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있으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트 커버(531, 631)의 세트 측벽(531b, 631b)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비교하면, 세트 측벽(531b, 631b)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측면의 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부로 인한 디자인적인 측면의 미감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세트 측벽(531b, 631b)의 두께(또는 폭)은 0.3mm ~ 2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의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같이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의 필름 부재(116)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의 필름 부재(216)와 동일하게 상부 편광 필름(216a)과 리타더 필름(21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J-J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는 하부 기판(112)과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과 상부 기판(114)에 결합된 필름 부재(116)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53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40),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보호하는 패널 보호 부재(350), 및 패널 보호 부재(350)를 덮도록 필름 부재(116)의 측면과 패널 지지 부재(73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에서 패널 지지 부재(730) 및 밀봉 부재(7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패널 지지 부재(730)는 세트 커버(731), 배면 커버(733), 지지 커버(133), 가이드 프레임(135),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137, 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패널 지지 부재(730)에서 세트 커버(731)와 배면 커버(73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패널 지지 부재(13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세트 커버(731)는 세트 플레이트(731a), 하부 세트 측벽(731b), 및 상부 세트 측벽(73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731a)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즉 상술한 백 라이트 유닛(200)이 수납된 지지 커버(133)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하부 세트 측벽(731b)은 세트 플레이트(731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35)의 측면(상술한 가이드 측벽)을 감쌈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 세트 측벽(731b)의 내면에는 가이드 프레임(135)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137)에 결합되는 제 2 결합 부재(139)가 형성된다.
상부 세트 측벽(731c)은 하부 세트 측벽(731)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350)의 측면을 감싼다. 이때, 상부 세트 측벽(731c)의 높이는 필름 부재(116)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이러한 상부 세트 측벽(731c)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부(또는 베젤)을 형성한다.
상술한 하부 세트 측벽(731b)과 상부 세트 측벽(731c)은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측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트 커버(731)는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배면과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금색, 은색 등의 컬러 색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면 커버(733)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세트 플레이트(731a)의 배면을 덮음으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60)의 배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이때, 배면 커버(733)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731a)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세트 플레이트(731a) 또는 지지 커버(133)의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나사(미도시)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731a)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커버(733)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있으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7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350)를 덮도록 필름 부재(116)의 측면과 상부 세트 측벽(731c)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 부재(740)는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져 필름 부재(116)의 측면과 상부 세트 측벽(731c)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어 경화됨으로써 패널 보호 부재(350)에 의해 필름 부재(116)의 측면과 상부 세트 측벽(731c)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밀봉한다. 이와 같은, 밀봉 부재(740)는 이물질 등이 필름 부재(116)의 측면과 상부 세트 측벽(731c)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디자인적인 미감을 향상시킨다.
상기의 밀봉 부재(7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밀봉 부재(7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필름 부재(116)와 세트 측벽(531b, 631b)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패널 보호 부재(350)에 의해 필름 부재(116)의 측면과 세트 측벽(531b)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밀봉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의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같이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의 필름 부재(116)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의 필름 부재(216)와 동일하게 상부 편광 필름(216a)과 리타더 필름(21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 20, 30, 40, 50, 6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210)과 백 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 20, 30, 40, 50, 60)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110, 210)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소자이므로 패널 지지 부재(130, 530, 730)에 수납된 백 라이트 유닛(120)은 생략되고, 나아가, 패널 지지 부재(130, 530, 730)의 지지 커버(133) 역시 생략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부 기판(미도시),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미도시), 및 상부 기판에 결합된 필름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기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발광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기판은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되어 하부 기판에 형성된 발광 소자를 보호한다. 이때, 상부 기판은 하부 기판에 형성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에 형성된 발광 소자는 생략된다. 이러한 상부 기판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따기 등의 가공 공정에 의해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인 2차원 영상만을 표시하거나, 영상 표시 모드에 따라 2차원 영상 또는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2차원 영상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름 부재는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또는 부착)되어 상부 기판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상부 편광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름 부재의 각 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또는 컷팅 휠 등을 이용한 컷팅 공정에 의해 제 1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름 부재는 상부 기판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상부 편광 필름, 및 상부 편광 필름에 결합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리타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디스플레이 패널 112: 하부 기판
114: 상부 기판 116: 필름 부재
118: 하부 편광 필름 120: 백 라이트 유닛
130: 패널 지지 부재 131: 세트 커버
133: 지지 커버 135: 가이드 프레임
140: 접착 부재

Claims (25)

  1.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된 필름 부재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기판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은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고,
    상기 필름 부재의 각 측면은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측면이 상기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상부 편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측면이 상기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상부 편광 필름; 및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전면 전체에 결합되며, 각 측면이 경사지도록 가공된 리타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타더 필름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 리타더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된 필름 부재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된 패널 보호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기판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은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고,
    상기 필름 부재의 각 측면은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필름 부재의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보호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0.2 ~ X 범위의 곡률을 가지며,
    상기 X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와 필름 부재의 두께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는 상기 필름 부재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 각각의 측면 전체, 및 하부 기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부 편광 필름이고,
    상기 패널 보호 부재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각 측면은 상기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각 측면은 상기 상부 기판의 측면으로부터 0.1±0.07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부 편광 필름; 및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 리타더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전면 전체에 결합된 리타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 보호 부재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상부 편광 필름 및 상기 리타더 필름의 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각 측면은 상기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고,
    상기 리터더 필름의 각 측면은 소정 기울기로 경사지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와 상기 패널 보호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만을 지지하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세트 커버에 형성된 제 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 부재에 소정 갭을 두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 보호 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세트 플레이트와 상기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 보호 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세트 측벽을 포함하는 세트 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감싸도록 상기 세트 플레이트를 덮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측벽과 상기 필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세트 커버에 형성된 제 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 부재에 소정 갭을 두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수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패드부에 결합된 복수의 회로 필름;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결합된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41296A 2011-05-02 2011-05-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296A KR101383207B1 (ko) 2011-05-02 2011-05-02 디스플레이 장치
EP11187486.3A EP2520968B1 (en) 2011-05-02 2011-11-02 Display apparatus having chamfered edges
US13/295,222 US8792252B2 (en) 2011-05-02 2011-11-14 Display apparatus
TW100145674A TWI470302B (zh) 2011-05-02 2011-12-09 顯示裝置
CN201110461297.8A CN102768420B (zh) 2011-05-02 2011-12-30 显示设备
US14/304,575 US9332665B2 (en) 2011-05-02 2014-06-1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296A KR101383207B1 (ko) 2011-05-02 2011-05-02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92A Division KR101730330B1 (ko) 2013-12-16 2013-12-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767A KR20120123767A (ko) 2012-11-12
KR101383207B1 true KR101383207B1 (ko) 2014-04-10

Family

ID=4509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296A KR101383207B1 (ko) 2011-05-02 2011-05-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92252B2 (ko)
EP (1) EP2520968B1 (ko)
KR (1) KR101383207B1 (ko)
CN (1) CN102768420B (ko)
TW (1) TWI47030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917B2 (en) 2016-05-26 2018-07-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488689B2 (en) 2017-06-13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566B1 (ko) * 2010-08-02 2017-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998B1 (ko) * 2011-06-29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269965B2 (ja) * 2011-10-07 2013-08-21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5928020B2 (ja) * 2012-03-13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8956033B2 (en) * 2012-04-26 2015-02-17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JP5547778B2 (ja) * 2012-07-23 2014-07-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前面シートの固定構造
KR102077527B1 (ko) * 2012-12-04 2020-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312072B2 (ja) 2012-12-26 2018-04-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034050B1 (ko) * 2012-12-27 2019-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3945019A (zh) * 2013-01-22 2014-07-23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电子装置
KR101433571B1 (ko) 2013-01-24 2014-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076503B1 (ko) * 2013-01-24 2020-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3126B1 (ko) * 2013-03-29 201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333866A1 (en) * 2013-05-06 2014-11-1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fixing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module
US8994042B2 (en) 2013-05-20 2015-03-31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049409B2 (en) * 2013-06-14 2015-06-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180700B2 (en) * 2013-07-01 2019-01-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158802B1 (ko) * 2013-10-31 2020-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107564B1 (ko) 2013-11-06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463390B1 (ko) * 2013-12-19 2014-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5125182A (ja) 2013-12-25 2015-07-0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541352B1 (ko) 2014-02-27 2015-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119583B1 (ko) * 2014-03-31 202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4199206B (zh) * 2014-08-19 2017-10-27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装配方法
US10509439B2 (en)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551384A (zh) * 2014-09-02 2016-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KR102293651B1 (ko) * 2014-12-0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4460084B (zh) * 2014-12-10 2018-05-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液晶显示的边框结构
CN104566032B (zh) * 2014-12-30 2017-02-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防水背光模组
KR102304102B1 (ko) * 2015-01-14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749809A (zh) * 2015-04-03 2015-07-0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
US10675975B2 (en) 2015-04-17 2020-06-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Glass lens assembly with an elastic adhesive
CN104850183A (zh) 2015-05-21 2015-08-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显示结构及移动终端
KR102470129B1 (ko) * 2015-07-20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20996B1 (ko) * 2015-07-30 202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301554B1 (ko) * 2015-08-07 2021-09-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7054079A (ja) * 2015-09-11 2017-03-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754288B1 (ko) * 2015-12-30 2017-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보더리스 표시장치
US10180534B2 (en) 2015-12-30 2019-01-15 Lg Display Co., Ltd. Borderless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2487877B1 (ko) * 2016-04-12 2023-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346074A (zh) * 2016-05-04 2017-11-1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CN105739189A (zh) * 2016-05-11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0231346B2 (en) * 2016-05-27 2019-03-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548461B1 (ko) 2016-06-10 2023-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4087B1 (ko) * 2016-06-24 2023-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66314B1 (ko) * 2016-07-12 2018-06-12 (주)코텍 곡면형 디스플레이
US10534227B2 (en) * 2016-09-19 2020-01-14 Lg Display Co., Ltd. Integrated display module and ultra-slim display device
KR102608241B1 (ko) * 2016-10-26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8293B1 (ko) * 2016-10-31 2023-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8074483A (zh) * 2016-11-14 2018-05-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无边框显示器及应用该无边框显示器的电子装置
US10412843B2 (en) * 2017-01-09 2019-09-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843385A (zh) * 2017-01-09 2017-06-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电子装置及制造方法
US10405439B2 (en) * 2017-01-09 2019-09-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896488B2 (ja) * 2017-04-03 2021-06-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6873254A (zh) * 2017-04-26 2017-06-2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5123B1 (ko) * 2017-06-15 2021-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7608105A (zh) * 2017-08-30 2018-01-19 广东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能增大有效显示面积的液晶显示模组
KR20190049987A (ko) * 2017-11-0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50320A (ko) 2017-11-02 2019-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52461B1 (ko) * 2017-11-03 2022-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817622B (zh) * 2017-11-27 2020-07-1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器
KR102468862B1 (ko) * 2017-12-27 2022-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520826B1 (ko) * 2018-03-28 202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0599901B (zh) * 2018-06-12 2023-09-08 三星显示有限公司 窗以及包括其的显示装置
US11304315B2 (en) * 2018-06-28 2022-04-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9188785A (zh) * 2018-09-25 2019-01-11 南京中电熊猫平板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及其制造方法
KR102563783B1 (ko) * 2018-11-13 2023-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46718B1 (ko) * 2018-11-16 2024-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CN109387969A (zh) * 2018-11-30 2019-02-26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无边框显示器
CN110827687B (zh) * 2018-12-05 2022-05-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754376B1 (en) * 2019-04-10 2020-08-2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dustrial automation display device
KR20200127741A (ko)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9106B1 (ko) * 2019-05-21 202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471204B (zh) * 2019-07-23 2022-07-19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及应用于该显示装置的装配方法
CN110379303A (zh) * 2019-07-29 2019-10-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708197B (zh) 2020-06-23 2023-12-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制作方法
CN114596770A (zh) * 2020-12-07 2022-06-0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219713A (zh) * 2021-04-30 2021-08-0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327A (ko) * 1999-07-14 2001-02-26 카네코 히사시 플랫형 패널 표시장치
US6204906B1 (en) 1999-03-22 2001-03-20 Lawrence E. Tannas, Jr. Methods of customizing the physical size and shape of commercial off-the-shelf (COTS) electronic displays
US20040141102A1 (en) 2003-01-08 2004-07-22 Mei-Hui Li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fastening structure thereof
US20100315570A1 (en) 2009-06-11 2010-12-16 Mathew Dinesh 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21B2 (ko) 1980-05-19 1992-01-28
KR960015106B1 (ko) * 1986-11-25 1996-10-28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면실장형 반도체패키지 포장체
JPH0527247A (ja) 1991-07-24 1993-02-05 Rohm Co Ltd 液晶パネルのシール方法及び構造
JP3158667B2 (ja) 1991-08-01 2001-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の再生方法
JPH06250163A (ja) * 1993-02-24 1994-09-09 A G Technol Kk 表示装置用遮光膜
JP3581627B2 (ja) * 1999-02-24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603455B1 (ko) * 2000-12-30 2006-07-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편광 입체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15488A (ja) * 2005-02-07 2006-08-17 Nitto Denko Corp 積層型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287669A (ja) * 2006-03-23 2007-11-01 Canon Inc 有機発光装置及び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8848155B2 (en) 2007-08-31 2014-09-30 Citizen Holdings Co., Ltd. Liquid crystal panel with gas barrier layer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panel production method
JP4575486B2 (ja) * 2007-10-24 2010-11-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表示装置
US8754997B2 (en) * 2011-02-11 2014-06-17 Japan Display West Inc.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1957506B (zh) * 2010-09-28 2012-07-2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模块及其组装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4906B1 (en) 1999-03-22 2001-03-20 Lawrence E. Tannas, Jr. Methods of customizing the physical size and shape of commercial off-the-shelf (COTS) electronic displays
KR20010015327A (ko) * 1999-07-14 2001-02-26 카네코 히사시 플랫형 패널 표시장치
US20040141102A1 (en) 2003-01-08 2004-07-22 Mei-Hui Li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fastening structure thereof
US20100315570A1 (en) 2009-06-11 2010-12-16 Mathew Dinesh 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917B2 (en) 2016-05-26 2018-07-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488689B2 (en) 2017-06-13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0968B1 (en) 2015-10-14
CN102768420B (zh) 2015-06-24
KR20120123767A (ko) 2012-11-12
US8792252B2 (en) 2014-07-29
EP2520968A1 (en) 2012-11-07
US20120281383A1 (en) 2012-11-08
US9332665B2 (en) 2016-05-03
TWI470302B (zh) 2015-01-21
CN102768420A (zh) 2012-11-07
US20140293574A1 (en) 2014-10-02
TW201245802A (en)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2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66064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368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871891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8181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55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2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108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213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138836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471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836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03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54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64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41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69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