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611B1 - Op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Op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611B1
KR101381611B1 KR1020120098491A KR20120098491A KR101381611B1 KR 101381611 B1 KR101381611 B1 KR 101381611B1 KR 1020120098491 A KR1020120098491 A KR 1020120098491A KR 20120098491 A KR20120098491 A KR 20120098491A KR 101381611 B1 KR101381611 B1 KR 10138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moving
sliding groove
bas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1761A (en
Inventor
전홍진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2009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611B1/en
Publication of KR2014003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7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52Controlling, signalling or testing correct functioning of a switch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조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제2방향으로 제1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
An invention for an operating devi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a first mov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base par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not only provide a high degree of freedom in operability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and operate the second moving part in a desired direction, but also allow the user to finely move the second moving part as needed and perform precise work. Provides high precision operability.

Description

조작장치{OPERATING APPARATUS}Manipulator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ng device provide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들이 존재하며, 이들 각각은 소정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LCD와 같은 고정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장치와, 예컨대 스위치, 버튼, 키, 다이얼, 조이스틱, 내비게이션 패드와 같이 기계적으로 조작되거나 예컨대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이 전기적으로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devices today, each of which uses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The user interface is generally output devices in the form of fixed displays, such as LCDs, and mechanically operated, for example, switches, buttons, keys, dials, joysticks, navigation pads, or electrically operated such as touch pads and touch screens. It includes one or more input device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46504호(2000년 7월 2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버튼기능을 가진 스틱이 부착된 리모콘 송신기)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46504 (published on July 25, 2000, the name of the invention: a remote control transmitter with a stick with a button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장치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ration device capable of precisely and accurately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작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제2방향으로 상기 제1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art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part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on on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first moving portion, and the first slide groove is coupled to the first slide groov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liding protrus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is formed so that a second sliding groove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ther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liding protrus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unit for returning the first moving unit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moving unit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 is preferably a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작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타측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부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rotatably provided;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The base part includes a first sliding protrusion,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such that the first moving part is movably coupled to the base 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support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in the first sliding groove to return the first moving part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Is installed, the second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ving portion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moving portion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A second sliding protrusion is provided to be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to support the second sliding groove and return the second moving part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It is desirable to b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high degree of freedom of operability so that a user can freely move and operate the second moving part in a desired direction, the user can finely move the second moving part as needed and perform precise work. Provides high precision ope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제2이동부 조작이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신호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작 및 그에 따른 신호입력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and the signal input operation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second moving unit operation from affecting the rotation signal input made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bas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device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 as viewed from the bottom.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view showing a first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peration device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8 is a view showing a seco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peration device shown i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8.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moving state of the opera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 as viewed from the botto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100)는 케이스부(110)와,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를 포함한다.1 to 3, the ope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art 110, a base part 120, a first moving part 130, and a second moving part ( 140).

케이스부(110)는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를 수용한다. 케이스부(11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한다.The case part 110 accommodates the base part 120,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0. The case part 110 includes an upper case 111 and a lower case 115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가 결합된 상태의 케이스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호생략)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part 110 in a state where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5 are coupled is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the base part 120 and the first moving part 130 therein. And an accommodation space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moving portion 140.

또한, 상부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상부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제2이동부(140)가 이를 통해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하부케이스(115)의 내부에는 하부관통공(116)이 형성되어 베이스부(120)가 이를 통해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In addition, an upper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11 so that 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part 110 through the lower case 115, and a lower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lower case 115. The ball 116 is formed so that the base portion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portion 110 through it.

상기와 같은 케이스부(110)는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도록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지름보다 긴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part 110 as described above has a diameter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0 so as to secure a moving space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베이스부(12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20)는 케이스부(110)에 수용되며, 하부케이스(115)에 결합되어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base part 120 is formed in disk shape in which the hollow (symbol abbreviation) is formed inside. The base part 12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part 11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115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part 1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0)는 돌출부(121)를 구비한다. 돌출부(121)는 베이스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하부케이스(11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121)는 하부케이스(115)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관통공(116)에 삽입되어 하부관통공(116)의 내측내주면(117)과 맞물리며, 베이스부(120)는 돌출부(121)와 하부케이스(115) 간의 맞물림을 매개로 하부케이스(115)에 결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portion 120 includes a protrusion 121. The protrusion 121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20, and protrudes toward the lower case 115. The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116 formed in the lower case 115 to be engaged with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7 of the lower through hole 116, and the base 120 has the protrusion 121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t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115 through the engagement between the case 115.

아울러, 베이스부(120)는 그 외주면이 하부케이스(115)의 외측내주면(118)과 맞물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20)는 돌출부(121) 부분이 하부케이스(115)의 내측내주면(117)과, 외주면 부분이 하부케이스(115)의 외측내주면(118)과 각각 이격이 발생되지 않게 맞물리는 상태로 하부케이스(115)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2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gaged with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8 of the lower case 115. Accordingly, the base portion 120 has a protrusion 121 engaged with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7 of the lower case 11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with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8 of the lower case 115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It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115 in a state.

이러한 베이스부(120)는 외력에 의해 케이스부(110)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부케이스(115) 상에 맞물려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20)는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시, 다른 요소의 이동으로 인한 개입 없이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 과정에서의 오차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조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ase part 120 is engaged on the lower case 115 so as not to flow in the case part 110 by an external force. The base unit 120 moves when the first moving unit 13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0 move, without the intervention of other elements, the first moving unit 13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0. By only making it possib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rror in the operation proces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스부(1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0)는 제1이동부(130)의 이동방향인 제1방향(a)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방향인 제2방향(b)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Base unit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120 is flush with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direction b,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I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forming.

베이스부(120)는 조작장치(100)가 설치되는 전자장치(미도시)와의 회전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전자장치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부(120)와 전자장치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은 베이스부(120)나 전자장치 간의 직접적인 결합 뿐 아니라, 케이스부(110)나 제1이동부(130) 또는 제2동부(140)와 전자장치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구성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ase unit 1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electronic device by a rotatable coupl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in which the oper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The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base part 120 and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only a direct coupling between the base part 120 or the electronic device, but also the case part 110, the first moving part 130, or the second moving part 140 and the electronic device. Rotational coupling between the two may be made, and the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is a matter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direction movement state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이동부(130)는 베이스부(12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제1이동부(13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부(110)에 수용된다.3 and 4, the first moving part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se part 120. The first moving part 130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hollow (not shown) formed therein, and is coupled to the base part 120 so as to be movable and accommodated in the case part 110.

제1이동부(130)는 베이스부(120)에 베이스부(120)의 회전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1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은 제1슬라이딩돌기(125)와 제1슬라이딩홈(13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홈(13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돌기(125)가 구비된다.The first moving part 130 is movably coupled to the base part 120 in a first direction (a)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se par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coupling between the base unit 120 and the first moving unit 130 may be achieved by coupling betwe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and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That is,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is formed in one of the base part 120 and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is provided in the other.

본 실시예에서, 제1슬라이딩돌기(125)는 베이스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돌기(125)는 제1이동부(130)와 대면하는 측에 구비되며, 제1이동부(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120. Accordingly,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is provided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moving part 130.

본 실시예에서, 제1슬라이딩홈(131)은 제1이동부(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홈(131)은 베이스부(120)와 대면하는 제1이동부(13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1슬라이딩홈(131)은 제1방향(a)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이동부(130)의 제1방향(a)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irst moving part 130.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facing the base part 120.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in the first direction a.

제1슬라이딩홈(131)에는 제1슬라이딩돌기(125)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돌기(125)는 제1슬라이딩홈(131)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1슬라이딩홈(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돌기(125)와 제1슬라이딩홈(131)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제1이동부(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20)에 결합된다.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in a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By the movable coupling betwe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and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the first moving part 130, as shown in Figs. 5 and 6, in the first direction (a) It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20 to be movable.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direction moving state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8.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제2이동부(14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동부(1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부(110)에 수용된다.2 and 7, 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oving part 130. 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hollow (not shown) formed therein,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130 to be received in the case part 110.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에 제1방향(a)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2방향(b)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은 제2슬라이딩홈(135)과 제2슬라이딩돌기(145)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홈(135)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돌기(145)가 구비된다.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130 in a second direction b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coupling between the first moving unit 13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0 may be achieved by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and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That is,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is formed in one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0, and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is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0.

본 실시예에서, 제2슬라이딩홈(135)은 제1이동부(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슬라이딩홈(135)은 제2이동부(140)와 대면하는 제1이동부(130)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2슬라이딩홈(135)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2이동부(140)의 제2방향(b)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irst moving part 130.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facing the second moving part 140.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is formed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b, thereb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in the second direction b.

본 실시예에서,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2이동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1이동부(130)와 대면하는 제2이동부(140)에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second moving unit 140. Accordingly,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facing the first moving part 130.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2슬라이딩홈(13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2슬라이딩홈(135)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2슬라이딩홈(13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슬라이딩돌기(145)와 제2슬라이딩홈(135)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제2이동부(1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b)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이동부(130)에 결합된다.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By the movabl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the second moving part 140, as shown in Figs. 8 and 9, in the second direction (b). It is coupled to the first moving unit 130 to be movable.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으로 이동된 제1이동부(130) 또는 제2방향(b)으로 이동된 제2이동부(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15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부(150)는 제1탄성부재(151) 및 제2탄성부재(155)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econd moving in the first moving unit 130 or the second direction (b)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It further includes a return unit 150 for returning the moving unit 140 to the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urn unit 150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5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55.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홈(131)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151)는 제1슬라이딩홈(131)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돌기(125)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각 제1탄성부재(151)는 일측 단부가 제1슬라이딩돌기(125)와 인접되게 배치되고, 타측 단부가 제1슬라이딩홈(131)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member 151 is illustrated as being a coil spring install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as shown in FIG. 4. The first elastic member 151 is provided with a pair with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grooves 131 therebetween. Each first elastic member 151 is dispos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131.

상기와 같은 제1탄성부재(1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제1슬라이딩돌기(125)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1이동부(130)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1슬라이딩돌기(125) 및 제1이동부(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elastic member 151 is compressed by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which is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n the first moving unit ( When the external force for moving the 130 disappears, it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125 and the first moving part 130 to their original position while returning to their original state.

본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재(1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홈(135)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55)는 제2슬라이딩홈(135)에 삽입되는 제2슬라이딩돌기(145)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각 제2탄성부재(155)는 일측 단부가 제2슬라이딩돌기(145)와 인접되게 배치되고, 타측 단부가 제2슬라이딩홈(135)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lastic member 155 is illustrated as being a coil spring install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as shown in FIG. The second elastic member 155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sliding protrusions 145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liding grooves 135 therebetween. Each second elastic member 155 is dispos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econd sliding groove 135.

상기와 같은 제2탄성부재(15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b)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제2슬라이딩돌기(145)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2이동부(140)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2슬라이딩돌기(145) 및 제2이동부(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elastic member 155 is compressed by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which is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b), and then the second moving unit ( When the external force for moving the 140 disappears, it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145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0 to their original position while returning to their original state.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moving state of the opera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제2이동부(140)의 상부면이 상부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관통공(112)을 통해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1 to 4, the oper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ase 110 through an upper through hole 112 i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11. It is provided to have a form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이동부(140)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접촉면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케이스부(110)의 외주면을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제2이동부(140)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제2이동부(140)를 제1방향(a) 및 제2방향(b)으로 조작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unit 110 serves as a contact surface that the user can operate while touching with a finger. For example, while the user hol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unit 110 with the rest of the fingers except the index finger, the u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with the index finger to remove the second moving unit 140. It can operate in 1 direction (a) and 2nd direction (b).

상기와 같은 제2이동부(140)의 이동은 제2이동부(140)의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미도시)에 의해 입력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입력신호는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감지수단은 제2이동부(140)의 변위를 제2이동부(140)와 접촉되어 감지하는 접촉식 방식일 수도 있고, 제2이동부(14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감지하는 비접촉 방식일 수도 있다.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is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by a sensing means (not shown)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and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sent to. The sensing means may be a contact type for sensing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ving part 140, or a non-contact method for detecting the second moving part 140 without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moving part 140. have.

본 실시예에서, 제2이동부(140)의 이동은 비접촉 방식의 감지수단인 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입력신호로 변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자기센서를 이용한 변위 및 이동 감지 구성은 당업자가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is illustrated as being sensed by a magnetic sensor which is a non-contact sensing means and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Displacement and movement detection configuration using a magnetic sensor is a content that can be ful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이동부(140)를 원하는 방향 및 거리만큼 조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140)를 제1방향(a)으로 조작할 경우,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 상에서 제1방향(a)으로 직접 이동되지는 않지만, 베이스부(120) 상에서 이동되는 제1이동부(130)에 의해 제1이동부(130)와 함께 제1방향(a)으로 이동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manipulate and move the second moving unit 140 by a desired direction and distance. That is,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second moving part 140 in the first direction a,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placed on the first moving part 130. Although not direct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it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together with the first moving part 130 by the first moving part 130 moved on the base part 120.

이때, 사용자는 제1이동부(130)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이동부(140)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작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전자장치에 제1방향(a)으로의 이동신호를 원하는 이동거리만큼 입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move the second moving part 140 by a desired distance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by operating the operation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move the first moving part 140 in the first direction ( The moving signal to a) can be input as much as the desired moving distance.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이동부(140)를 제2방향(b)으로 조작할 경우,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 상에서 제2방향(b)으로 직접 이동된다.8 and 9,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second moving part 140 in the second direction b, the second moving part 140 is placed on the first moving part 130. It is moved directly in the second direction (b).

이때, 사용자는 제2이동부(140)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이동부(140)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작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전자장치에 제2방향(b)으로의 이동신호를 원하는 이동거리만큼 입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move the second moving unit 140 by a desired distance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and by operating the operation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rection ( b) a movement signal to b) can be input as desired.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제1방향(a) 이동 및 제2방향(b)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130)의 제1방향(a) 이동거리와 제2이동부(140)의 제2방향(b) 이동거리의 조절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 자유자재로 조작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move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of the first moving unit 13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0 as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 10, free movement to various positions is performed by adjus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direction (a)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a moving distance of the second direction (b)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Can be manipulated freely.

이러한 조작장치(100)는, 제2이동부(140)의 조작 과정에서 회전 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의 직선방향 이동만을 이용하여 제2이동부(14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operation device 100 moves the second movement using only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0 so that rotational movement does not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ving part 140. The movement of the unit 140 is made.

즉, 조작장치(100)는 제1방향(a) 및 제2방향(b) 이동, 즉 직선방향으로의 이동과, 이러한 직선방향의 이동 성분을 합성하여 곡선, 대각선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을 제공한다.That is, the operation device 1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that is, in the linear direction, and combines the movement components in the linear direction to various directions such as curves and diagonal directions. Provide move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의 직선방향으로의 이동을 이용하여 조작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14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140)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The oper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that is operated by using the movement in the linear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unit 13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0, the user in the desired direc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high degree of freedom in operability to freely move and manipulate the second mover 140, the user can move the second mover 140 finely as needed and perform high precision work. Provides operability.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그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 부분인 제2이동부(140)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2이동부(140) 조작이 베이스부(11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신호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조작 및 그에 따른 신호입력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such that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which is an operation part of the user, does not occur in the operation proces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ving unit 140 is performed by the base unit. By not affecting the rotation signal input made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1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and the signal input operation according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조작장치 110 : 케이스부
111 : 상부케이스 112 : 상부관통공
115 : 하부케이스 116 : 하부관통공
117 : 내측내주면 118 : 외측내주면
120 : 베이스부 121 : 돌출부
125 : 제1슬라이딩돌기 130 : 제1이동부
131 :
100: operating device 110: case part
111: upper case 112: upper through hole
115: lower case 116: lower through hole
117: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118: outer inner peripheral surface
120: base portion 121: protrusion
125: first sliding projection 130: the first moving part
131:

Claims (7)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제2방향으로 상기 제1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A base portion;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A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in on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first moving portion so as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sliding portion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Op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is rotatably provided in a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part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sliding groove is formed in one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so as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groove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Op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liding projections ar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eturn part for returning the first moving part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moving part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5,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타측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부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A base portion rotatably provided;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And a second mov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
A first slid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base part, and a first sliding protrusion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such that the first moving part is movably coupled to the base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to support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return the first moving part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Become,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a second slid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part has a second sliding protrusion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to return the second moving part,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sliding groove and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KR1020120098491A 2012-09-05 2012-09-05 Operating apparatus KR101381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491A KR101381611B1 (en) 2012-09-05 2012-09-05 Oper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491A KR101381611B1 (en) 2012-09-05 2012-09-05 Oper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761A KR20140031761A (en) 2014-03-13
KR101381611B1 true KR101381611B1 (en) 2014-04-04

Family

ID=5064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491A KR101381611B1 (en) 2012-09-05 2012-09-05 Op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6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79A1 (en) * 2019-04-04 2020-10-08 (주)코텍 Operating device
KR102170901B1 (en) * 2019-04-04 2020-10-28 (주)코텍 Operating device
KR102148164B1 (en) * 2019-04-04 2020-08-26 (주)코텍 Opera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23A (en) * 2001-01-12 2001-06-05 박창복 Door closing apparatus
JP2011509739A (en) * 2008-01-15 2011-03-31 ヴァテチェ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X-ray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23A (en) * 2001-01-12 2001-06-05 박창복 Door closing apparatus
JP2011509739A (en) * 2008-01-15 2011-03-31 ヴァテチェ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X-ra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761A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2529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US9182825B2 (en) Input device comprising a touch-sensitive input surface
JP5962597B2 (en) Operating device
EP3133628B1 (en) Input apparatus
CA2817883A1 (en) Mouse device
US5164712A (en) X-Y direction input device
KR101381611B1 (en) Operating apparatus
US20200209908A1 (en) Pointing device
JP2007227337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20140327657A1 (en) Input device for touch interface
KR101099030B1 (en) Multi-directional input appratus
KR20080054369A (en) Device for selection of symbols, such as characters, icons and/or multiple choices
JP5976058B2 (en) Shift changer
KR100632114B1 (en) Point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276493B2 (en) Input device
CN113168245B (en) Input device for computer
WO2014171409A1 (en) Switch device
KR101190381B1 (en) Haptic switching apparatus
US20150084890A1 (en) Input device
JP2016207634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4913673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KR20200041322A (en) Force detection sensor
JP2012089405A (en) Switching equipment
JP2018009985A (en) Clamp sensor and measuring apparatus
JP5251081B2 (en) Switching device and information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