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180B1 -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 Google Patents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180B1
KR101381180B1 KR1020120031763A KR20120031763A KR101381180B1 KR 101381180 B1 KR101381180 B1 KR 101381180B1 KR 1020120031763 A KR1020120031763 A KR 1020120031763A KR 20120031763 A KR20120031763 A KR 20120031763A KR 101381180 B1 KR101381180 B1 KR 101381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button
infusion
drug reservoi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9757A (en
Inventor
김용년
Original Assignee
(주)이화프레지니우스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프레지니우스카비 filed Critical (주)이화프레지니우스카비
Priority to KR102012003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180B1/en
Priority to PCT/KR2013/001979 priority patent/WO2013147440A1/en
Priority to JP2015503108A priority patent/JP5816389B2/en
Publication of KR2013010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는 일정량의 약물이 충전되는 약물 저장소의 팽창 상태에 대응하여 약물 주입 장치의 주입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임의적인 약물 주입 행동을 방지하고 적절한 양의 약물이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약물 주입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injection device. The drug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tructure that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butt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state of the drug reservoi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drug, thereby preventing arbitrary drug injection behavior of the patient and appropriate amount of dru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ing of the input, thereby providing a remarkable effect, such as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acy of drug injection.

Description

약물 주입 장치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Drug injection device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약물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일시적으로 다량의 약물을 환자의 신체 내로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inj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g injecting device capable of variously adjusting the amount of drug continuously supplied and injecting a large amount of drug into the patient's body temporarily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It is about.

특히,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약물이 충전되는 약물 저장소의 팽창 상태에 대응하여 약물 주입 장치의 주입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임의적인 약물 주입 행동을 방지하고 적절한 양의 약물이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tructure that limits the operation of the infusion butt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state of the drug reservoi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drug in the drug injection device to prevent arbitrary drug injection behavior and appropriate It relates to a drug injection device that can control when the amount of drug is injec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고 약물 주입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novel drug injection device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improving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drug injection.

항생제, 진통제나 항암제와 같은 약물은 일정 시간 동안 서서히 환자의 신체 내로 주입해 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약물은 환자의 신체 내로 시간당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일시적으로 약물의 공급량을 늘려 주입하기도 한다. Drugs such as antibiotics, painkillers, or anticancer drugs may need to be injected slowly into the patient's body for a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drug is injected into the patient's body in a constant amount per hour continuously, but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the amount of drug is temporarily increased to be injected.

이러한 일시적인 약물 증량 주입 또는 볼루스 주입(bolus injection)은 환자 체내에서 항생제, 진통제나 항암제와 같은 약물의 농도가 일정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상대적으로 다량의 일정한 약물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볼루스 주입은 혈액 내의 약물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약물의 효과가 신속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is temporary dose escalation or bolus injection involves inject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 constant drug into the pati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rug, such as antibiotics, analgesics or anticancer drugs, needs to increase rapidly to a certain level in the patient's body. Say that. In other words, bolus injection i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drug in the blood so that the effect of the drug can act quickly.

일반적으로 볼루스 주입은 항생제, 진통제나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단순히 한꺼번에 주사하는 경우에 적용되기도 하고, 종종 일정한 시간 동안에 약물이 천천히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해 주는 튜브를 통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약물이 유동하는 튜브 중간에 설치되어 시간당 주입량을 다양하게 조절해 주거나 일시적으로 약물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약물 주입 장치이다. In general, bolus infusion may be applied to simply injecting drugs such as antibiotics, analgesics or anticancer drugs at once, and may also be applied through a tube that often allows the drug to be slowly injected into a pati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drug inj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tube in which the drug flows to adjust the amount of injection per hour or increase the supply of the drug temporarily.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311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446호에는 일정량의 약물을 한꺼번에 주사하기 위한 볼루스 주입에 사용되는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311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446호에서는 링거병과 같은 약물 저장 용기에 튜브의 한쪽이 연결되어 있고 튜브의 다른 쪽은 주사바늘이나 카테터를 통해 환자의 혈관에 연결된 전체 약물 주입 시스템에 있어서 약물이 유동되는 튜브의 중간 부분에 약물 주입 장치(약물 주입량 조절 장치)가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약물 주입량 조절 장치)는 약물의 증량이 필요한 때에 약물 주입 버튼을 눌러 약물 저장소 또는 약물 주머니에 저장된 약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튜브에 유동되는 약물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물을 증량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1-0103116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0516446 disclose a drug injection device used for bolus injection for injecting a certain amount of drug at a time.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103116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16446 the one side of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drug storage container, such as Ringer's disease, the other side of the tube through the needle or catheter of the patient In the entire drug injection system connected to the blood vessel, a drug injection device (drug injection control device)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ube through which the drug flows. Such a conventional drug injection device (drug injection control device) is injected to the patient by pressing the drug injection button when the increase of the drug is needed to discharge the drug stored in the drug reservoir or the drug bag and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drug flowing in the tube It is a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drug.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저장소에 약물이 정해진 용량까지 완전히 충전되기 전이라 해도 환자나 의료진이 주입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임의로 약물 주입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의 구조는 항생제, 진통제나 항암제와 같이 약물의 증량 여부를 주치의가 신중히 결정하여 처방해야 하는 약물의 경우 약물 주입의 안전성이나 유효성을 반감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rug can be injected arbitrarily even when the patient or the medical staff presses the injection button even before the drug reservoir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is completely filled up to a predetermined dos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rug injec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safety or effectiveness of drug injection can be halved in the case of a drug that requires a physician to carefully determine whether to increase the drug, such as antibiotics, analgesics or anticancer drugs.

그러므로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용량의 약물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는 주입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약물이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약물 사용의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의 제공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drug injec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ing of injec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rug by preventing the infusion button from operating until a predetermined dose of the drug is completely filled, thereby providing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safety of drug use. It is required in the fiel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3116호(2001. 11. 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103116 (Nov. 23, 2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446호(2005. 09. 2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16446 (2005. 09. 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advantages.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약물이 충전되는 약물 저장소의 팽창 상태에 대응하여 약물 주입 장치의 주입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임의적인 약물 주입 행동을 방지하고 적절한 양의 약물이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rug injec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state of the drug reservoi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the drug by applying a structure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butt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to prevent any drug injection behavior of the patient and the appropriate amount of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injection device that can control the timing of drug inj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고 약물 주입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drug injection dev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and improv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drug injec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약물 주입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 drug injection devic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약물 주입 장치는 약물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Drug injection devic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drug,

사용자가 눌러서 압력을 가하면 원래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된 경우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주입 버튼과,An injection button which can be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a pressurized pos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and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releasing the applied pressure when moved to the pressurized position;

약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 및 약물이 유출되는 유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이 충전되면 팽창되며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입 버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함으로써 상기 충전된 약물이 상기 유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약물 저장소와,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drug flows in and an out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drug flows out, and expands when the drug flowing through the inflow passage is filled, an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fusion button as the infusion button moves to the pressurized position. A drug reservoir that contracts so that the filled drug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ssage,

상기 약물 저장소가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에 의해 완전히 충전된 완전 팽창 상태로 되기 전에는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후크 리미트와,A hook limit that restricts the infusion button from moving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until the drug reservoir is fully inflated by the drug entering through the inflow passage;

상기 약물 저장소와 상기 주입 버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약물 저장소가 완전 팽창 상태로 될 때에는 상기 주입 버튼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 리미트를 밀어 젖힘으로써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플레이트 푸시를 포함한다.Installed between the drug reservoir and the infusion button, and whe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inflated state, it moves toward the infusion button and pushes the hook limit so that the infusion button can be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An actuating plate push.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약물 주입 장치는, 상기 약물 저장소의 완전 팽창 상태에서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 후, 상기 약물 저장소에 충전된 약물이 상기 유출통로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는 완전 수축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후크 푸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푸시는 일단 약물 주입이 개시되면 상기 약물 저장소의 약물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약물 주입 동작의 연속성을 보장해 주는데, 예를 들어 약물을 수 차례에 걸쳐 나누어 주입할 때 약물주입 간에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 완전히 복귀하게 되버려 후속 약물 주입을 위해 약물 저장소가 다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injection device, after the injection button starts to move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in the fully inflated state of the drug reservoir, the drug filled in the drug reservoir is completely through the outflow passage It may further include a hook push to restrict the injection button from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until the discharged complete contraction state. The hook push ensures the continuity of the drug injection operation once the drug infusion is initiated until the drug in the drug reservoir is completely discharged, e.g. when the drug is dispensed several times, the infusion button is The complete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prevents the problem of having to wait until the drug reservoir is fully filled again for subsequent drug inf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푸시는 상기 약물 저장소가 완전 수축 상태가 될 때 상기 약물 저장소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 푸시를 밀어 젖힘으로써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push can be moved to the drug reservoir whe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contracted state and by pushing the hook push, the injection button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o 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주입 버튼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쿠션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쿠션 플레이트는 약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 역할을 하는 스폰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쿠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쿠션 플레이트는 상기 약물 저장소에 약물이 충전되는 동안 상기 플레이트 푸시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주입 버튼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주입 버튼 사이에서 압축이 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플레이트 푸시의 수평 유지와 흔들림을 방지해 주는 압축 스프링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쿠션 플레이트는 상기 주입 버튼을 최초 눌러서 주입 버튼을 하강시킬 때 약한 탄성을 갖는 압축 스프링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주입 버튼이 바로 상기 약물 저장소를 압축시키지 않고 상기 주입 버튼의 하단부와 상기 플레이트 푸시 사이의 갭을 이용하여 천천히 상기 플레이트 푸시 접촉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게 한다. In the drug injection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cushion plat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ate push and the injection button. For example, the cushion plate may be a sponge serving as a spring having a weak elastic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cushion plate as long as the material has elasticity. The cushion plate serves to fix the plate push so as not to shake while the drug reservoir is filled with the drug reservoir, and as the injection button descends, the plate push is compressed between the plate push and the injection button to continuously push the plate. It acts as a compression spring that keeps the level and prevents shaking. In addition, the cushion plate serves as a compression spring having a weak elasticity when the injection button is first pressed down to lower the injection button, so that the injection button does not immediately compress the drug reservoir, bu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button and the plate push. Use the gap of to slowly descend to the plate push contact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약물 저장소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러버 푸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러버 푸시는 상기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약물 저장소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여 상기 주입 버튼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푸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켜 상기 약물 저장소에 전달하게 한다. In the drug injection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rubber push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ate push and the drug reservoir. The rubber push acts as a buffer between the plate push and the drug reservoir to buffer and delive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late push by the infusion button to the drug reservoir.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는 일정량의 약물이 충전되는 약물 저장소의 팽창 상태에 대응하여 약물 주입 장치의 주입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임의적인 약물 주입 행동을 방지하고 적절한 양의 약물이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약물 주입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drug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events arbitrary drug injection behavior of the patient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limits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butt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state of the drug reservoi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drug.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n the appropriate amount of drug is injected, thereby providing significant effects such as improving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drug inj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약물 저장소가 완전 충전 상태일 때 후크 리미트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약물 저장소가 완전 충전 상태일 때 후크 푸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주입 버튼을 눌러 약물 저장소가 서서히 수축을 시작하는 상태일 때 후크 푸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주입 버튼을 눌러 약물 저장소가 수축을 진행하는 상태, 즉 약물 배출이 진행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약물 저장소가 완전 수축 상태일 때 후크 푸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 8의 상태 이후 약물 저장소가 완전히 충전되기 전일 때 후크 리미트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XX 'of FIG. 3,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ok limit whe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charged state.
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 of FIG. 3 and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ok push whe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charged stat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XX ′ of FIG. 3, illustr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ok push when the injector button is pressed to slowly start contractin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3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rug reservoir contracts by pressing an injection button, that is, a state in which drug discharge proceeds.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XX ′ of FIG. 3,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ok push whe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retracted state.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XX ′ of FIG. 3, illustrating a state of operation of the hook limit after the state of FIG. 8 but before the drug reservoir is fully fi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references c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약물 주입 장치(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9에는 약물의 충전 및 배출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약물 주입 장치(10)의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링거병과 같은 약물 저장 용기에 튜브의 한쪽이 연결되어 있고 튜브의 다른 쪽은 주사바늘이나 카테터를 통해 환자의 혈관에 연결된 전체 약물 주입 시스템은 종래기술과 실질적으로 동일 내지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10)가 전체 약물 주입 시스템의 튜브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며, 약물 저장 용기로부터 환자로의 약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약물 주입 시스템에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1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to 3 illustrate a drug injection device 10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9 show a drug injection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lling and discharging of a drug ( The operating state of 10 is shown. On the other hand, the entire drug injection system is connected to a drug storage container such as Ringer's disease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patient's blood vessel through a needle or catheter is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o the prior art, so Is omit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tube of the entire drug injection system and used to supply drugs from the drug reservoir to the patient. Of course,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rug injection system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약물 주입 장치(10)는 관통구(22, 23)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약물 주입 시스템의 약물 전달용 튜브(미도시)가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어 내부 도관(미도시)과 연결됨으로써 약물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약물 주입 장치(10)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약물 충전 여부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약물 저장소(20)의 팽창 및 수축 상태에 따라 주입 버튼(12)의 동작을 제한하는 구조를 구비한다는 것에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이것은 약물 저장소(20)에 정해진 용량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주입 버튼(12)이 임의로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drug injection device 10 shown in FIGS. 1 and 2 has an internal conduit through which the drug delivery tubes (not shown) of various drug injection systems as described above are introduced and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s 22 and 23. In connection with the (not shown) it can be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drug. In particular,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has a structure that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button 12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tate of the drug reservoir 20 inflated and contra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drug is filled, unlike the prior art It has technical features. This provide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usion button 12 from operating arbitrarily before the dose defined in the drug reservoir 20 is fully fill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약물 주입 장치(10)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상부(11)와 케이스 하부(21)에 의해 전체 케이스 외관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 상부(11)와 케이스 하부(21)에 의해 한정되는 일정한 내부 공간 내에 약물이 충전되는 약물 저장소(20)를 구비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10)의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부품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특징과 직접 관련이 없는 그 밖의 부수적인 부품들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약물 주입 시스템의 약물전달용 튜브(미도시)가 연결되고 약물 저장소(20)와도 연결되어 약물을 유동시키는 내부 도관(미도시), 그리고 약물 전달용 튜브(인입 튜브 및 인출 튜브)와 약물 저장소(20) 사이의 약물 유동을 차단하고 연결하는 부품들은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446호 등에도 설명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 and 2,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ntire case appearance by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21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constitutes a structure. And a drug reservoir 20 in which drugs are filled in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case top 11 and the case bottom 21. On the other hand,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only the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eatures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other additional par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main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is omitted for convenience. For example, an internal conduit (not shown) connected with the drug delivery tube (not shown) of the various drug injection systems as described above and also connected to the drug reservoir 20 to flow the drug, and a tube for drug delivery (inlet tube) And the components for blocking and connecting the drug flow between the withdrawal tube) and the drug reservoir 20 ar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16446, which i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pply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는 약물 저장소(20)에 최종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주입 버튼(12)과, 주입 버튼(12)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주입 버튼(12)이 약물 저장소(20)를 가압하지 않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쿠션 스프링(14)을 구비한다. 이 외에 약물 주입 장치(10)는 주입 버튼(12)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후크 리미트(17)와 후크 푸시(18), 이들과 함께 주입 버튼(12)의 동작 제한 및 동작 제한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플레이트 푸시(15), 그리고 주입 버튼(12)과 약물 저장소(20) 사이에 부품간의 위치 균형을 맞추고 흔들림을 방지해 주기 위한 완충 부재인 쿠션 플레이트(13)와 러버 푸시(16)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includes an injection button 12 for apply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drug reservoir 20 and a injection button 12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jection button 12 is released. A cushion spring 14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reservoir 20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pressurization. In addition,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perform a hook limit 17 and a hook push 18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infusion button 12, and together with these, to limit the operation and release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button 12. Plate push 15 and cushion plate 13 and rubber push 16, which are cushioning members for balancing position between the injection button 12 and drug reservoir 20 and preventing shaking. .

한편, 전술한 케이스 상부(11)와 케이스 하부(21)는 서로 조립되어 일정한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여러 부품들이 고정되고 동작하는 기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upper part 11 and the case lower part 21 may be assembled toge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may provide a reference frame in which various parts are fixed and opera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주입 버튼(12)은 케이스 상부(11)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노출된 주입 버튼(12)을 손으로 눌러서 압력을 가하면 주입 버튼(12)은 원래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손을 떼면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서 쿠션 스프링(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In the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1, the injection button 12 is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case 11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exposed injection button 12 by hand to apply pressure, the injection button 12 moves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 position,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e, the applied pressure is released and the original pressure is relea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ushion spring 14. It will return to the position.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가압 위치'란 주입 버튼(12)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주입 버튼(12)이 케이스 상부(11) 쪽에서 케이스 하부(21) 쪽으로 하강하여 케이스 하부(21) 쪽에 설치된 약물 저장소(20)를 수축 상태로 가압하게 되는 위치 전체를 말한다.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position" means that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jection button 12, and thus the injection button 12 is lowered toward the case lower 21 from the case upper 11 side so that the case lower 21 Refers to the entire position where the drug reservoir 20 installed on the side is pressed in a contracted state.

반면에, '원래 위치'란 주입 버튼(12)이 케이스 상부(11) 쪽에서 케이스 하부(21) 쪽으로 하강하기 전에 쿠션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 상부(11) 쪽에 완전히 올라와 있어 케이스 하부(21) 쪽의 약물 저장소(20)가 완전 팽창 상태(약물 저장소가 약물에 의해 완전히 충전되어 팽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를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position' means that the injection button 12 is fully raised to the upper case 11 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ushion spring 14 before descending from the upper case 11 toward the lower case 21, the lower case ( It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drug reservoir 20 on the 21) side can be kept in a fully expanded state (the drug reservoir is fully filled and expanded by the drug).

약물 저장소(20)는 일종의 신축가능한 재질의 주머니로서, 일측에 약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201)와 타측에 약물이 배출되는 유출통로(202)를 구비한다(도 4 등 참조). 유입통로(201)와 유출통로(202)에는 약물 전달용 튜브나 주사기와 같은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446호의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내부 도관(미도시)이 다양한 약물 주입 시스템의 인입 튜브(미도시)와 인출 튜브(미도시) 사이를 연결하여 약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도관(미도시)은 분지되어 인입 튜브(미도시)와 약물 저장소(20)의 유입통로(201)를 연결하여 유입통로(201)를 통해 약물이 약물 저장소(20)에 저장되도록 약물을 유동시킬 수 있으며, 약물 저장소(20)의 유출통로(202)와 인출 튜브(미도시)를 연결하여 유출통로(202)를 통해 배출되는 약물을 최종적으로 인출 튜브로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저장소(20)는 유입통로(201)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이 충전되면 팽창되며, 주입 버튼(12)이 가압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주입 버튼(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함으로써 충전된 약물이 유출통로(202)를 통해 배출되도록 동작한다. The drug reservoir 20 is a kind of stretchable bag, and includes an inflow passage 201 through which drugs are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an outflow passage 202 through which the drugs are discharged onto the other side (see FIG. 4 and the like). An inlet passage 201 and an outlet passage 202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rug delivery tube or a syringe. For example, an internal conduit (not shown) connects an inlet tube (not shown) and an outlet tube (not shown) of various drug infusion system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prior art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16446. Drug can be flowed. In addition, the inner conduit (not shown) is branched to connect the inlet passage (not shown) and the inlet passage 201 of the drug reservoir 20 so that the drug is stored in the drug reservoir 20 through the inlet passage 201. In this case, the outlet passage 202 and the extraction tube (not shown) of the drug reservoir 20 may be connected to finally discharge the drug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assage 202 to the withdrawal tube. Therefore, the drug reservoir 20 is expanded when the drug flowing through the inflow passage 201 is filled, and contract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fusion button 12 as the infusion button 12 moves to the pressurized position. The filled drug is operat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assage 202.

또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약물저장소(20)에 저장된 약물이 인출 튜브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 및 연결하는 부품들 역시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In addition, components for blocking and connecting the drug stored in the drug reservoir 20 to the withdrawal tube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prior art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주입 버튼(12)의 동작을 제한하는 후크 리미트(17)가 도시되어 있다. 후크 리미트(17)는 약물 저장소(20)가 유입통로(201)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에 의해 완전히 충전된 완전 팽창 상태로 되기 전에는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도 9 참조).4 and 9, a hook limit 17 is shown that limits the operation of the infusion button 12. The hook limit 17 restricts the infusion button 12 from moving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 position until the drug reservoir 20 is in a fully inflated state completely filled by the drug entering through the inflow passage 201. Function (see FIG. 9).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리미트(17)는 첨단부(171), 복귀 스프링(172) 및 회전축(173)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9, the hook limit 17 may have a tip 171, a return spring 172, and a rotation shaft 173.

첨단부(171)는 주입 버튼(12)의 하단부 일부와 접촉하여 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제한 위치'와 그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부분이다. 첨단부(171)의 이동은 후크 리미트(17)를 케이스 하부(21)의 일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173) 및 복귀 스프링(172)과, 플레이트 푸시(15)의 어깨부(151)의 상호 협력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The tip 171 is a portion that moves between the 'restricted position' that can contac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button 12 to limit its movement and the 'release position' that does not restrict its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tip 171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shaft 173 and the return spring 172 to secure the hook limit 17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lower portion 21, and the shoulder 151 of the plate push 15. ) May be achieved by a mutual cooperation operation (see FIG. 4).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저장소(20)에 약물이 완전히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후크 리미트(17)의 첨단부(171)는 '제한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제한 위치'에서는 주입 버튼(12)과 후크 리미트(17) 사이에 갭이 없게 되고 "b" 크기 만큼 상호 중첩 영역, 즉 걸림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입 버튼(12)을 눌러도 후크 리미트(17)의 첨단부(171)에 주입 버튼(12)의 하단부가 걸리게 되어 주입 버튼(12)의 하강이 저지된다. 이러한 후크 리미트(17)의 기능에 의해 환자나 의료진이 임의적으로 주입 버튼(12)을 눌러도 약물 저장소(20)에 약물이 완전히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약물 주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환자의 임의적인 약물 주입 행동을 방지하고 적절한 양의 약물이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B, the tip 171 of the hook limit 17 is in the 'restricted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drug reservoir 20 is not completely filled with the drug. That is, in the 'limiting position', there is no gap between the injection button 12 and the hook limit 17, and a mutually overlapping area, that is, a locking area, is formed by the size of "b". Therefore, even if the injection button 12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button 12 is caught by the tip portion 171 of the hook limit 17, and the lowering of the injection button 12 is prevented. Due to the function of the hook limit 17, even if the patient or the medical staff presses the injection button 12 arbitrarily, the drug injection is impossible when the drug reservoir 20 is not completely filled. This can prevent behavior and control the timing of the right amount of medication.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저장소(20)에 약물이 완전히 충전되는 경우에는 약물 저장소(20)의 완전 팽창에 따라 플레이트 푸시(15)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 푸시(15)의 어깨부(151)는 첨단부(171)의 하부 경사면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후크 리미트(17)는 복귀 스프링(17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복귀 스프링(173)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축(17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ug reservoir 20 is completely filled with the drug reservoir 20 as shown in FIG. 4, the plate push 15 rises according to the full expansion of the drug reservoir 20, and thus the shoulder of the plate push 15. The part 151 pushes up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tip part 171. Accordingly, the hook limit 17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173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ng the return spring 173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173, that is, counterclockwise.

이러한 후크 리미트(17)의 회전에 따라 후크 리미트(17)의 첨단부(171)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해제 위치'에서는 주입 버튼(12)과 후크 리미트(17) 사이에 갭이 "a" 크기 만큼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주입 버튼(12)을 누르면 주입 버튼(12)이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즉, 약물 저장소(20)가 약물로 완전히 충전된 완전 팽창 상태로 될 때에 플레이트 푸시(15)는 주입 버튼(12) 쪽으로 이동하여 후크 리미트(17)를 밀어 젖힘으로써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As the hook limit 17 rotates, the tip 171 of the hook limit 17 moves to the 'release position' as shown in FIG. In this 'release position',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jection button 12 and the hook limit 17 by a size "a", and thus, when the injection button 12 is pressed, the injection button 12 can be lowered. That is, when the drug reservoir 20 is fully inflated with the drug, the plate push 15 moves toward the infusion button 12 and pushes the hook limit 17 so that the infusion button 12 is in its original position. It is to be operated so as to move from the pressing position.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푸시(18)는 약물 저장소(20)의 완전 팽창 상태에서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 후, 약물 저장소(20)에 충전된 약물이 유출통로(202)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는 완전 수축 상태(도 8의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As shown in FIGS. 5-8, the hook push 18 enters the drug reservoir 20 after the infusion button 12 begins to move from its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in the fully inflated state of the drug reservoir 20. It is a component that restricts the infusion button 12 from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until the filled drug is in a fully contracted state (state of FIG. 8), which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ssage 20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푸시(18)는 상단의 후크부(181), 하단의 돌출접촉단(182), 복귀 스프링(183) 및 회전축(184)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the hook push 18 may include a hook portion 181 at an upper end, a protruding contact end 182 at a lower end, a return spring 183, and a rotation shaft 184.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 리미트(17)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도 4 참조), 이에 따라 주입 버튼(12)을 누르면 주입 버튼(12)의 하단의 일측에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 걸림부(121)가 후크 푸시(18)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후크부(181)의 상단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강하고 후크부(181)를 바깥쪽(후술하는 '풀림 위치')으로 밀어내게 된다(도 5 참조). 그런 다음, 돌출 걸림부(121)가 후크부(181) 보다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 후크 푸시(18)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후크부(181)는 복귀 스프링(183)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나가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고 이때 후크부(181)는 돌출 걸림부(121)와 상하로 서로 맞물리면서 걸리게 된다(도 6 참조). 이러한 후크부(181)와 돌출 걸림부(121)의 상호 협력 동작에 의해 주입 버튼(12)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걸림 위치'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hook limit 17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see FIG. 4), and accordingly, when the injection button 12 is presse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L' shape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button 12. The formed protrusion catching part 121 slides along the top inclined surface of the hook part 181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ook push 18, and pushes the hook part 181 to the outside ('unwinding position' described later). (See Fig. 5). Then, when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121 is lowered below the hook portion 181, the hook portion 181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ook push 18 is pushed ou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183. When the hook portion 181 is restored to a position, the hooking portion 181 is engag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protrusion catching portion 121 up and down with each other (see FIG. 6). By the cooperative operation of the hook portion 181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121, a 'locking position' is formed to restrict the injection button 12 from rising.

후크부(181)는 전술한 '걸림 위치'와 주입 버튼(12)이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 위치'(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81)가 바깥쪽으로 밀려난 상태의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181)의 상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주입 버튼(12)의 돌출 걸림부(121)가 하강하는 경우에 그 하강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다.The hook portion 181 is a 'locking position' and the 'locking position' for allowing the injection button 12 to freely mov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5, where the hook portion 181 is pushed outwards) Reciprocating betwee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hook portion 18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121 of the injection button 12 is not limited.

한편, '걸림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의 후크부(181) 왕복 이동은 후크 푸시(18)를 케이스 하부(21)의 일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184) 및 복귀 스프링(183) 그리고 플레이트 푸시(15)의 하단부(152)에 의해 눌리면서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돌출접촉단(182)의 상호 협력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hook portion 181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is the rotary shaft 184 and the return spring 183 for rotatably fixing the hook push 18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case 21. And it can be carried out by the mutual cooperation operation of the protruding contact end 182 that is pushed out by the lower end 152 of the plate push 1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저장소(20)에 약물이 완전히 충전된 후 주입 버튼(12)이 하강하기 시작하면 후크 푸시(18)의 후크부(181)는 '풀림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버튼(12)이 추가로 하강하면서 약물 저장소(20)에 압력이 가해지고 약물 저장소(20)에 충전된 약물이 유출통로(202)를 통해 배출되면서 약물 저장소(20)가 수축되기 시작하면, 주입 버튼(12)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걸림부(121)는 후크부(181) 보다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후크부(181)는 복귀 스프링(18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축(18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infusion button 12 begins to descend after the drug reservoir 20 is fully filled, the hook portion 181 of the hook push 18 is in the 'unlocked position'. Then, as shown in FIG. 6, as the infusion button 12 is further lower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drug reservoir 20, and the drug filled in the drug reservoir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assage 202. When the drug reservoir 20 starts to contract, the protrusion catching part 121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fusion button 12 moves downward than the hook part 181 and the hook part 181 is a return spring (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183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84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move to the 'locked position'.

후크 푸시(18)는 전술한 '걸림 위치'의 형성에 의해 일단 약물 주입이 개시된 후 약물 저장소(20)의 약물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약물 주입 동작의 연속성을 보장해 주는데, 예를 들어 약물을 한번에 전부 주입하지 못하고 수 차례에 걸쳐 나누어 주입할 때 약물주입 간에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 완전히 복귀하게 되버려 후속 약물 주입을 위해 약물 저장소(20)가 다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푸시(18)는 약물 주입시 한번에 주입하지 못하고 나누어 주입해야 할 경우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서 후크 리미트(17)에 의해 걸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여러 번 펌핑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The hook push 18 ensures the continuity of the drug injection operation by the formation of the 'locked position' described above until the drug in the drug reservoir 20 is completely discharged once the drug injection has been initiated, e.g. When injecting several times and divided into several injections, the injection button 12 will return completely to the 'original position' between the injections, requiring waiting until the drug reservoir 20 is fully refilled for subsequent injections. The problem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fore, the hook push 18 can be pumped multiple times by preventing the injection button 12 from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being caught by the hook limit 17 when it is necessary to divide and inject at the same time during drug injection. To provide.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는 상태가 더 진행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저장소(20)가 완전히 수축한 상태까지 주입 버튼(12)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약물 저장소(20)에 충전된 약물은 유출통로(202)를 통해 완전히 배출된다. 이와 같이 약물 저장소(20)가 완전히 수축한 상태로 되면, 플레이트 푸시(15)의 하단부(152)는 후크 푸시(18)의 돌출 접촉단(182)에 도달하여 돌출 접촉단(182)을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된다(도 8의 (b) 참조). 이때 후크 푸시(18)는 복귀 스프링(18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복귀 스프링(183)을 압축하는 방향, 시계방향으로 회전축(18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Then, after further injecting the drug as shown in FIG. 7, the infusion button 12 is lowered until the drug reservoir 20 is completely contracted as shown in FIG. 8. At this time, the drug filled in the drug reservoir 20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ssage 202. When the drug reservoir 20 is fully contract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152 of the plate push 15 reaches the protruding contact end 182 of the hook push 18 to move the protruding contact end 182 outward. It is pushed out (see FIG. 8B). At this time, the hook push 18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84 in the direction, the clockwise direction to compress the return spring 183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183).

이러한 후크 푸시(18)의 회전에 따라 후크 푸시(18)의 후크부(181)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181)가 '풀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주입 버튼(12)은 쿠션 스프링(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속히 상승하게 되고(도 9 참조), 이로써 주입 버튼(12)과 플레이트 푸시(15)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후속 주입 동작을 위해 약물이 약물 저장소(20)에 재충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약물이 유입통로(201)를 통해 추가로 유입되면 약물 저장소(20)는 충전되는 약물에 의해 서서히 팽창된 후 완전히 팽창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10)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the hook push 18 rotates, the hook portion 181 of the hook push 18 moves to the 'unwin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181 is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injection button 12 is quickly rai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ushion spring 14 (see FIG. 9), whereby the injection button 12 and the plate Sufficient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pushes 15 so that the drug can be refilled into the drug reservoir 20 for subsequent infusion operation. When the drug is furth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assage 201, the drug reservoir 20 is gradually inflated by the filled drug and then fully inflated. Accordingly,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rom the state of FIG. 4.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한편, 플레이트 푸시(15)는 약물 저장소(20)와 주입 버튼(12) 사이에 설치된 부품으로서, 후크 리미트(17)와 후크 푸시(18)를 하나의 부품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push 15 is a part installed between the drug reservoir 20 and the infusion button 12, which provides the advantage that the hook limit 17 and the hook push 18 can be operated as one part. .

즉,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푸시(15)는 약물 저장소(20)가 완전 팽창 상태일 때에는 주입 버튼(12) 쪽으로 상승 이동하여 후크 리미트(17)를 밀어 젖힘으로써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에서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한편, 약물 저장소(20)가 완전 수축 상태일 때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 푸시(18)를 밀어 내어 주입 버튼(12)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한다.That is, as already explained above, the plate push 15 moves upward toward the infusion button 12 when the drug reservoir 20 is in the fully inflated state and pushes the hook limit 17 to bring the infusion button 12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It is operable to move from the position to the press position, while the drug reservoir 20 is in the fully retracted state,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ush out the hook push 18 so that the infusion button 1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여러 부품들 사이의 위치 균형과 흔들림 방지를 위한 쿠션 부재로서, 플레이트 푸시(15)와 약물 저장소(20) 사이에 탄성 재질의 러버 푸시(16)가 설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 푸시(15)와 주입 버튼(12)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쿠션 플레이트(13)가 설치될 수 있다. 러버 푸시(16)는 플레이트 푸시(15)와 약물 저장소(2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여 주입 버튼(12)에 의해 플레이트 푸시(15)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켜 약물 저장소(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s a cushioning member for positioning balance and anti-shake between the various parts, an elastic rubber push 1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ate push 15 and the drug reservoir 20, and the plate push 15 An elastic cushion plate 13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jection button 12 and the injection button 12. The rubber push 16 buffers the plate push 15 and the drug reservoir 20 to buffer and delive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late push 15 by the infusion button 12 to the drug reservoir 20. Play a role.

그리고, 쿠션 플레이트(13)는 예를 들어 약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 역할을 하는 스폰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쿠션 플레이트(13)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쿠션 플레이트(13)는 약물 저장소(20)에 약물이 충전되는 동안 플레이트 푸시(15)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주입 버튼(12)이 하강함에 따라 플레이트 푸시(15)와 주입 버튼(12) 사이에서 압축이 되어 지속적으로 플레이트 푸시(15)의 수평 유지와 흔들림을 방지해 주는 압축 스프링의 역할을 한다. The cushion plate 13 may be, for example, a sponge serving as a spring having a weak elastic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cushion plate 13 as long as the material has elasticity. The cushion plate 13 serves to fix the plate push 15 so as not to shake while the drug reservoir 20 is filled with the drug reservoir, and the plate push 15 and the injection button ( 12) serves as a compression spring that is compressed between the continuous to prevent the level and shaking of the plate push (15).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플레이트(13)는 주입 버튼(12)을 최초 눌러서 주입 버튼(12)을 하강시킬 때 약한 탄성을 갖는 압축 스프링 역할을 함으로써, 주입 버튼(12)이 바로 약물 저장소(20)를 압축시키지 않고 주입 버튼(12)의 하단부와 플레이트 푸시(15) 사이의 갭(a')을 이용하여 천천히 플레이트 푸시(15) 접촉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cushion plate 13 serves as a compression spring having a weak elasticity when the injection button 12 is first pressed down to lower the injection button 12, the injection button 12 is immediately The gap 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fusion button 12 and the plate push 15 can be slowly lowered to the plate push 15 contact position without compressing the drug reservoir 20.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10 : 약물 주입 장치
11 : 케이스 상부
12 : 주입 버튼
13 : 쿠션 플레이트
14 : 쿠션 스프링
15 : 플레이트 푸시
16 : 러버 푸시
17 : 후크 리미트
18 : 후크 푸시
20 : 약물 저장소
21 : 케이스 하부
10: drug injection device
11: upper case
12: infusion button
13: cushion plate
14: cushion spring
15: plate push
16: rubber push
17: hook limit
18: push the hook
20: drug store
21: lower case

Claims (5)

삭제delete 약물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사용자가 눌러서 압력을 가하면 원래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된 경우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주입 버튼과,
약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 및 약물이 유출되는 유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이 충전되면 팽창되며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입 버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함으로써 상기 충전된 약물이 상기 유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약물 저장소와,
상기 약물 저장소가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에 의해 완전히 충전된 완전 팽창 상태로 되기 전에는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후크 리미트와,
상기 약물 저장소와 상기 주입 버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약물 저장소가 완전 팽창 상태로 될 때에는 상기 주입 버튼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 리미트를 밀어 젖힘으로써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약물 저장소의 완전 팽창 상태에서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 후, 상기 약물 저장소에 충전된 약물이 상기 유출통로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는 완전 수축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후크 푸시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A drug infusion device installed on a path through which a drug flows,
An injection button which can be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a pressurized pos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and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releasing the applied pressure when moved to the pressurized position;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drug flows in and an out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drug flows out, and expands when the drug flowing through the inflow passage is filled, an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fusion button as the infusion button moves to the pressurized position. A drug reservoir that contracts so that the filled drug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ssage,
A hook limit that restricts the infusion button from moving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until the drug reservoir is fully inflated by the drug entering through the inflow passage;
Installed between the drug reservoir and the infusion button, and whe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inflated state, it moves toward the infusion button and pushes the hook limit so that the infusion button can be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Plate push,
After the infusion button begins to move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essurized position in the fully inflated state of the drug reservoir, the infusion until the drug filled in the drug reservoir is in a fully contracted state where it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ssage.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hook push to restrict the button from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푸시는 상기 약물 저장소가 완전 수축 상태가 될 때 상기 약물 저장소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 푸시를 밀어 젖힘으로써 상기 주입 버튼이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late push operates to move the infusion butt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moving to the drug reservoir and pushing the hook push when the drug reservoir is fully retracte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주입 버튼 사이에 탄성 재질의 쿠션 플레이트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plate of the elastic material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plate push and the infusion butt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푸시와 상기 약물 저장소 사이에 탄성 재질의 러버 푸시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Drug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push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plate push and the drug reservoir.
KR1020120031763A 2012-03-28 2012-03-28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KR101381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63A KR101381180B1 (en) 2012-03-28 2012-03-28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PCT/KR2013/001979 WO2013147440A1 (en) 2012-03-28 2013-03-12 Drug injection device
JP2015503108A JP5816389B2 (en) 2012-03-28 2013-03-12 Drug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63A KR101381180B1 (en) 2012-03-28 2012-03-28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57A KR20130109757A (en) 2013-10-08
KR101381180B1 true KR101381180B1 (en) 2014-04-04

Family

ID=4926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63A KR101381180B1 (en) 2012-03-28 2012-03-28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16389B2 (en)
KR (1) KR101381180B1 (en)
WO (1) WO2013147440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616A (en) * 2018-12-05 2020-06-15 이우석 Medical fluid injector having bolus counter
KR102157228B1 (en) * 2020-03-16 2020-09-17 주식회사 엔게인 Supplying Control Device Of Medical Flu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91B1 (en) * 2015-10-20 2017-03-2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Liquid injector for continuously injecting a liquid amount of the filled
DK3519018T3 (en) * 2016-09-27 2021-06-14 Sanofi Aventis Deutschland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CN110248686B (en) * 2016-09-27 2022-04-29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1715703B1 (en) * 2017-01-02 2017-03-2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Liquid injector for continuously injecting a liquid amount of the filled
EP3675935B1 (en) 2017-08-30 2021-08-04 Pirouette Medical LLC Compact auto-injector
US10441714B2 (en) 2017-10-05 2019-10-15 Pirouette Medical LLC Protective case for an auto-injector
KR102259972B1 (en) * 2019-07-19 2021-06-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having Counter
WO2021086043A2 (en) * 2019-11-01 2021-05-06 김용현 Medicinal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reservoir assembly for medicinal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491623B1 (en) * 2019-11-01 2023-01-27 김용현 Medicinal liquid supply regulating apparatus, reservoir assembly for medicinal liquid supply regulating apparatus,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53B1 (en) * 1991-07-10 1996-07-23 Nissho K K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elf-dosing of a liquid medicine
JPH11244394A (en) * 1998-02-27 1999-09-14 Nissho Corp Machine for self injection of liquid medic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48B1 (en) * 2003-10-06 2005-11-23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A medicinal fluid is supply reg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53B1 (en) * 1991-07-10 1996-07-23 Nissho K K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elf-dosing of a liquid medicine
JPH11244394A (en) * 1998-02-27 1999-09-14 Nissho Corp Machine for self injection of liquid medic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616A (en) * 2018-12-05 2020-06-15 이우석 Medical fluid injector having bolus counter
KR102268926B1 (en) 2018-12-05 2021-06-25 이우석 Medical fluid injector having bolus counter
KR102157228B1 (en) * 2020-03-16 2020-09-17 주식회사 엔게인 Supplying Control Device Of Medical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1528A (en) 2015-04-20
KR20130109757A (en) 2013-10-08
WO2013147440A1 (en) 2013-10-03
JP5816389B2 (en)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180B1 (en) Liquid medicine infusion device
JP7289339B2 (en) drug delivery system
KR20140005182A (en) Improved large-volume bolus patient controlled drug administration device
US20210369981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air and backflow elimination
CN110958893B (en) Drug delivery device
US957293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lf-administration of a treatment fluid
JP2023021388A (en) Drug delivery device including port interface
US11925783B2 (en) Priming system for drug delivery device
US11484649B2 (en) Valve assembly for drug delivery device
CN113874056B (en) Cartridge adapter for a drug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