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010B1 -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010B1
KR101379010B1 KR1020120106372A KR20120106372A KR101379010B1 KR 101379010 B1 KR101379010 B1 KR 101379010B1 KR 1020120106372 A KR1020120106372 A KR 1020120106372A KR 20120106372 A KR20120106372 A KR 20120106372A KR 101379010 B1 KR101379010 B1 KR 10137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wetting
sheet
electrode
raw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8045A (en
Inventor
원용협
정병주
박순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3010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3Scanning systems hav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fibres, light guides or waveguides as scann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수직 전극 구조의 전기습윤셀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이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는 행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렌즈-여기서 복수의 렌즈 각각은 원통형의 전기습윤 전극, 상기 전기습윤 전극 내에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습윤 폴리머, 상기 전기습윤 전극의 하부를 밀봉하는 투명 밀봉막, 상기 전기습윤 전극의 상부를 밀봉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스루홀 내에 채워져 있는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포함함-;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기습윤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일측이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기습윤 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공통 전극으르 형성하는 복수의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TFT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렌즈에 연결되어 있는 TFT들은 각각 게이트 전극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셀렉트 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TFT 중 열로 배치되어 있는 렌즈에 연결되어 있는 TFT들에 구동 전위를 공급하는 복수의 소스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owetting cell variable focus lens array of a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comprises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in a matrix,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encapsulates a cylindrical electrowetting electrode, an electrowetting polymer formed also in a cylindrical shape within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 first fluid and a second fluid having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lectrowetting fill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by the electrowetting polymer; A plurality of TFTs (Thin Film Transis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wetting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One sid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the other side is connected in common to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to form a common electrode, the TFTs connected to the lenses arranged in a row of the plurality of TFTs, respectively The gate electrodes are connected in common to form a plurality of select lines, and a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for supplying a driving potential to the TFTs connected to the lenses arranged in rows among the plurality of TFTs are connected.

Description

수직 전극 구조의 전기습윤셀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Electrowetting Cell Varifocal Lens Array with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본 발명은 수직 전극 구조의 전기습윤셀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wetting cell variable focus lens array having a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가변 초점을 갖는 초소형 렌즈들의 집합체는 산업분야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성장하고 있다.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레이저 집광, 공초점, 고속 광학 입력장치 등 많은 분야의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Aggregation of ultra-small lenses with variable focus is becoming an integral component in the industry. It is driving innovation in many areas, including autonomous 3-D displays, laser focusing, confocals, and high-speed optical inputs.

액체형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5-7021247 "가변초점렌즈 집합체 제조 방법~" 에 공지되어 있다. WO 03/069380에는 개개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의 원리는 하기와 같다. The liquid variable focus lens array is known fro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7021247 "Method of manufacturing variable focus lens assembly". In WO 03/069380 a method of manufacturing individual variable focus lenses is known. The principle of the variable focus lens according to these is as follows.

도 1은 많이 알려져 있는 전기습윤 기술을 이용한 가변 초점 렌즈의 기본 구성도이다. 전기습윤(electrowetting) 기술은 하나의 전극 위에 소수성 절연체를 코팅하고 절연체 위에 물과 오일을 올려놓고, 물과 접촉된 또 하나의 대항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소수성 절연체의 계면 성질이 친수성으로 변하게 되어 기름을 밀어내면서 디스플레이, 액체 렌즈, 액체 이송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FIG. 1 is a bas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riable focus lens using a well-known electrowetting technique. Electrowetting technology coats a hydrophobic insulator on one electrode, places water and oil on the insulator, and applies a voltage to another counter electrode in contact with water, which changes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hydrophobic insulator to hydrophilic. While pushing, it plays the role of display, liquid lens, liquid transfer.

도 1을 참조하여 가변 초점 렌즈의 동작을 살펴본다. An operation of the variable focus le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틀(7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전극(20)이 있고, 전극(20) 위에 플루오로폴리머(10)가 형성되어있다. 하부 밀봉막(40)은 투명이다. 투명한 상부 밀봉막(30)의 투명 전극은 물(60)과 접촉되어 있다. 전극(20)과 물접촉 전극(30)에 가해진 전위에 따라 물(60)은 플루오로폴리머(10)에 접촉각을 생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투명 오일(50)과 물(60)에 의한 곡률을 생성하게 된다. 전위에 따라 곡률 반경이 바뀌어져 초점이 변하게 된다. The mold 7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lectrode 20 therein, and a fluoropolymer 10 formed on the electrode 20. The lower sealing film 40 is transparent.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upper sealing film 30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60. According to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electrode 20 and the water contact electrode 30, the water 60 generates a contact angle in the fluoropolymer 10, thereby converting the curvature by the transparent oil 50 and the water 60. Will be created. The radius of curv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potential, and the focus changes.

반드시 물과 오일만의 조합이 아닌 전기습윤도의 차이를 갖는 2가지 액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변 초점 렌즈 각각을 제조하여 결합하면 렌즈들이 다른 특성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일괄 작업에 의한 어레이의 제작 방법이 도입되었으나, 마이크로 크기의 렌즈를 제조할 경우에는 제조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의 스루홀 내부 표면에 전극을 생성하고, 그 전극에 폴리머층을 구성하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게 되어,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의 가격을 높이게 되고 활용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마이크로렌즈들을 제어하기 위한 투명 구동회로의 구성의 어려움은 상용화에 걸림돌이되고 있다.It is not necessarily a combination of water and oil alone, but a combination of two liquids with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When manufacturing and combining each of the variable focus lenses, the lens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ray by batch operation has been introduced. However, when manufacturing a micro-sized len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Creating electrod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s of tens to hundreds of microns and constructing the polymer layer on the electrodes becomes very demanding, resulting in increased cost and reduced utilization of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constructing a transparent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microlenses is an obstacle to commercializ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로 크기의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대형 증착 장비나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쉽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수직 전극 구조의 전기습윤셀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wetting cell lens array having a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and precisely manufacture a micro-sized variable focus lens array without using a large deposition apparatus or a sputtering apparatus. .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riable focus lens array,

행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렌즈-여기서 복수의 렌즈 각각은 원통형의 전기습윤 전극, 상기 전기습윤 전극 내에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습윤 폴리머, 상기 전기습윤 전극의 하부를 밀봉하는 투명 밀봉막, 상기 전기습윤 전극의 상부를 밀봉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스루홀 내에 채워져 있는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포함함-;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기습윤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일측이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기습윤 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공통 전극으르 형성하는 복수의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TFT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렌즈에 연결되어 있는 TFT들은 각각 게이트 전극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셀렉트 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TFT 중 열로 배치되어 있는 렌즈에 연결되어 있는 TFT들에 구동 전위를 공급하는 복수의 소스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in a matrix,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comprises a cylindrical electrowetting electrode, an electrowetting polym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in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 transparent sealing film for sealing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for sealing the top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a first fluid and a second fluid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fill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by the electrowetting polymer; A plurality of TFTs (Thin Film Transis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wetting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One sid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the other side is connected in common to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to form a common electrode, the TFTs connected to the lenses arranged in a row of the plurality of TFTs, respectively The gate electrodes are connected in common to form a plurality of select lines, and a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for supplying a driving potential to the TFTs connected to the lenses arranged in rows among the plurality of TFTs are connected.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의 투명 밀봉막은 상기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TFT, 상기 복수의 콘덴서, 상기 복수의 셀렉트 선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신호선이 모두 탑재될 수 있는 크기의 투명베이스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투명베이스 시트 상에는 상기 복수의 소스 신호선에 각각 소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ransparent sealing film of the plurality of lenses is formed by a transparent base sheet having a size on which the plurality of lenses, the plurality of TFTs, the plurality of capacitors, the plurality of select lines, and the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can be mounted. And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capable of providing sourc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respectively, on the transparent base sheet.

또한, 상기 복수의 TFT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TFT는 동일한 드라이버 리본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리본은 드라이버 시트-여기서 드라이버 시트는 평평하고 두께가 균일한 제1 베이스시트,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전극층, 상기 게이트전극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라인을 포함함-를 절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FT disposed in a row among the plurality of TFTs is formed on the same driver ribbon, and the driver ribbon is a driver sheet, in which the driver sheet is a first base sheet having a flat and uniform thickness, A gate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layer, and a semiconductor line partially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콘덴서는 동일한 콘덴서 리본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 리본은 콘덴서 시트-여기서 콘덴서 시트는 평평하고 두께가 균일한 제2 베이스시트,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및 상기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독립전극라인을 포함함-를 절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ribbons may be formed of a condenser sheet, wherein the condenser sheet is a flat, uniform thickness second base sheet, the second base sheet is flat, A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a dielectric partially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and an independent electrode line formed on the dielectric.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의 투명 전극은 상기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TFT, 상기 복수의 콘덴서, 상기 복수의 셀렉트 선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신호선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투명 전극 시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와 상기 투명 전극 시트 사이에 절연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투명 전극 시트 상에는 상기 투명 전극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시트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are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having a size to cover all of the plurality of lenses, the plurality of TFTs, the plurality of capacitors, the plurality of select lines, and the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And forming an insulating adhesive layer between the lens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wherein a sealing sheet for seal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coat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It features.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드라이버 리본과 상기 콘덴서 리본 사이에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 상기 반도체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 상기 독립전극라인이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s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the semiconductor line are connected between the driver ribbon and the condenser ribbon, and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the independent electrode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소스 신호선은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드라이버 리본의 반도체 라인 상에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rce signal line may be positioned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ine of the driver ribb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또한, 상기 드라이버 리본, 상기 렌즈, 상기 소스 신호선 및 상기 콘덴서 리본은 상기 드라이버 리본과 상기 콘덴서 리본 사이에 채워지는 경화용 충진재에 의해 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r ribbon, the lens, the source signal line, and the condenser ribbon may be cured by a hardening filler filled between the driver ribbon and the condenser ribbon.

또한, 상기 경화용 충진재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ler for cu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

또한, 상기 드라이버 리본 및 상기 콘덴서 리본은 상기 투명베이스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하도록 상기 투명베이스 시트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r ribbon and the condenser ribbon may b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base sheet to be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 of the transparent base shee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전기습윤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복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시트,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시트,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밀봉 시트 및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전극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1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원 배열체의 드라이버 시트가 상기 투명 밀봉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되도록 복수의 1차원 배열체를 상기 투명 밀봉 시트 상에 평면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투명 밀봉 시트와 상기 복수의 1차원 배열체를 각각 접착시켜서 2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 형성되어 있는 스루홀 내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극 시트의 투명 전극이 상기 제1 유체에 접촉하도록 하면서 상기 2차원 배열체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having an electrowetting electrode, a drive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FTs, a capacito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a transparent sealing sheet having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each of the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sheets; Producing an electrowetting raw panel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Cutting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at regular intervals to produce a one-dimensional array; Continuously arranging a plurality of one-dimensional arrays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in a plane such that the driver sheet of the one-dimensional array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Bonding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and the plurality of one-dimensional arrays respectively to produce a two-dimensional array;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fluids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while allow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contact the first flui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includes

전기습윤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복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시트,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시트,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밀봉 시트 및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전극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드라이버 시트와 콘덴서 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쌓고 붙여서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2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배열체의 드라이버 시트가 상기 투명 밀봉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되도록 상기 2차원 배열체를 상기 투명 밀봉 시트 상에 부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 형성되어 있는 스루홀 내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극 시트의 투명 전극이 상기 제1 유체에 접촉하도록 하면서 상기 2차원 배열체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having an electrowetting electrode, a drive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FTs, a capacito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a transparent sealing sheet having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each of the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sheets; Producing 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s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Allowing the driver sheet and the condenser sheet to be bonded by an adhesive to stack and paste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panels to produce an electrowetting raw bulk; Cutting the electrowetting raw bulk at regular intervals to produce a two-dimensional array; Attaching and sealing the two-dimensional array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such that the driver sheet of the two-dimensional array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fluids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while allow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contact the first flui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includes

전기습윤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복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시트,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시트,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밀봉 시트 및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전극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 상에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다른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여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이 쌓여서 부착되어 있는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경화시켜서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2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배열체의 드라이버 시트가 상기 투명 밀봉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되도록 상기 2차원 배열체를 상기 투명 밀봉 시트 상에 부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 형성되어 있는 스루홀 내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극 시트의 투명 전극이 상기 제1 유체에 접촉하도록 하면서 상기 2차원 배열체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having an electrowetting electrode, a drive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FTs, a capacito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a transparent sealing sheet having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each of the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sheets; Producing a pre-cured electrowetting raw panel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A plurality of pre-cured electrical pre-cured processes may be repeated by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ed raw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to generate and contact another pre-cured electro-wetted raw panel on the pre-cured electrowetting raw panel. Producing a pre-cured electrowetting raw bulk to which the wet raw panels are stacked and attached; Curing the pre-wetting raw bulk to produce an electrowetting raw bulk; Cutting the electrowetting raw bulk at regular intervals to produce a two-dimensional array; Attaching and sealing the two-dimensional array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such that the driver sheet of the two-dimensional array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fluids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while allow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contact the first fluid.

여기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성의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다른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각각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빈공간을 경화용 충진재로 채우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콘덴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상기 콘덴서 시트를 압착하고 상기 경화용 충진재를 굳혀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넝릉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enerating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may include attaching conductiv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one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Arranging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Filling the voids of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with a filler for curing; Attaching the condenser sheet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ba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And compressing the driver sheet and the condenser sheet and hardening the curing filler to generate the electrowetting raw pattern.

또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성의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다른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각각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빈공간을 경화용 충진재로 채우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콘덴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상기 콘덴서 시트를 압착하고 상기 경화용 충진재를 굳혀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넝릉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enerating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may further include attaching conductiv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one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Arranging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Filling the voids of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with a filler for curing; Attaching the condenser sheet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ba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And compressing the driver sheet and the condenser sheet and hardening the curing filler to generate the electrowetting raw pattern.

또한,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성의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 라인의 다른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각각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빈공간을 경화용 충진재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콘덴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상에 부착하여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producing the pre-cured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the step of attaching each conductiv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Arranging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so as not to contact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Filling the voids of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with a filler for curing; And attaching the condenser sheet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to correspond to the driver sheet ba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to produce the pre-cured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또한,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는 원통형의 포밍섬유에 전기습윤 폴리머를 입히고, 그 위에 전극을 입혀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by coating an electrowetting polymer on a cylindrical forming fiber, and by coating an electrode thereon.

또한,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서 상기 포밍섬유를 제거하여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가 노출되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wetting polymer is exposed and generated by removing the foaming fiber from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또한, 상기 포밍섬유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솔벤트를 사용하여 녹여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oaming fiber is made of plasti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l by melting using a solvent.

또한, 상기 포밍섬유가 금속 재질인 경우 산이나 알카리를 사용하여 녹여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orming fiber is a metal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solved by using acid or alkali.

또한, 상기 포밍섬유에 이형재를 바른 후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를 입혀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로부터 상기 포밍섬유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the release material is applied to the forming fibers, the electrowetting polymer is coated so that the forming fibers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electrowetting raw fibers.

또한, 상기 경화용 충진재는 투명한 재질로써, 에폭시, 레진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ler for curing is a transparent materi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any one of epoxy, resin and silicone.

또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상기 반도체라인에 부착하여 전기적인 접점을 구성한 후,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배열을 위한 절연성의 그루브를 만들어 놓고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attaching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to the semiconductor line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grooves f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wetting raw fibers to make and arrange the electrowetting raw fibers.

또한, 상기 반도체라인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전기적 접촉 면적을 높이고,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전기습윤 전극 표면에 전도성 접착제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tact area between the semiconductor line and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to improve adhesion, a conductive adhesiv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크기의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대형 증착 장비나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sized variable focus lens array can be manufactured without using large deposition equipment or sputtering apparatus.

또한, 연속 공정에 의하여 저가의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수많은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ow-cost variable focus lens array by a continuous process, thereby enabling numerous applications.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와 결합하여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레이저 가공, 고성능 내시경, 공초점 현미경, 고성능 광 신호 처리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in combination with a display, and can be applied to laser processing, a high performance endoscope, a confocal microscope, and a high performance optical signal processing.

도 1은 많이 알려져 있는 전기습윤 기술을 이용한 가변 초점 렌즈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에서의 가변 초점 렌즈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요소인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드라이버시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콘덴서시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하부 소스전극 포함 투명 밀봉시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1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2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제3 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4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마무리 공정인 제4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다른 공정에 의해 1차원 배열체를 형성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as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riable focus lens using a well-known electrowetting technique.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that are the basic elements for configuring the variable focus lens in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er sheet for config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denser sheet for constitut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parent sealing sheet including a lower source electrode for form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proces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process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hird process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urth proces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ourth process which is a finishing proces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forming a one-dimensional array of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other proces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의 구성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초점을 전기적인 신호로 가변할 수 있는 렌즈, 즉 가변 초점 렌즈(이하 "렌즈"라 함)(430) 들이 가로 세로로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그 간격은 아주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lenses capable of varying the focus as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variable focus lens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nses") 430 are regularly distribu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intervals are located very close to each other. .

렌즈(430)는 전기습윤 원리를 사용하는 렌즈이다. 렌즈(430)들에는 전기습윤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을 갖추고 있고, 각각의 렌즈를 능동구동(AM구동)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극에 연결되는 구동소자인 TFT(Thin Film Transistor)(450)가 있으며, 구동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렌즈(430)에 콘덴서(440)가 연결되어 있다. Lens 430 is a lens using the electrowetting principle. The lenses 430 have electrodes for supplying an electrowetting potential, and a TFT (Thin Film Transistor) 450 which is a driving element connected to each electrode for active driving (AM driving) each lens. In order to maintain the driving potential, the capacitor 440 is connected to each lens 430.

콘덴서(430)의 한쪽 전극은 공통 접점으로 연결되어 전원(400)에 연결된다. 가로열의 렌즈(430)들에 연결된 TFT(450)의 게이트들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선택라인인 셀렉트1(410), 셀렉트2(420)... 들을 구성하고, 각 셀렉트라인(410, 420)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ON 신호를 주어서, 하나의 셀렉트라인이 ON되어 그 셀렉트라인에 연결된 TFT의 게이트가 동시에 ON 되고, TFT(450)에 연결된 렌즈에 소스신호(렌즈 구동 데이터)가 제공된다. One electrode of the capacitor 4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400 through a common contact. The gates of the TFTs 450 connected to the rows of lenses 430 are commonly connected to form select lines 410, 420, and the like, and select lines 410 and 420, respectively. By sequentially giving a gate ON signal, one select line is turned on so that a gate of a TFT connected to the select line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and a source signal (lens drive data) is supplied to a lens connected to the TFT 450.

소스신호는 세로열의 렌즈들에 구동전위를 주기 위하여 세로열의 TFT의 하나의 전극들과 공통으로 연결된다. 정리하면 셀렉트1(410)에 TFT ON 신호가 주어지면 셀렉트1(410)에 연결된 모든 TFT가 ON되고, 소스1(211), 소스2(212), 소스3(213)에 연결된 렌즈에 전기습윤 구동 전위가 세팅된다. 이 전위는 렌즈에 연결된 콘덴서(440)들에 저장된다. The source signal is commonly connected to one electrodes of the TFTs in the column to give a driving potential to the lenses in the column. In summary, when a TFT ON signal is applied to the select 1 410, all the TFTs connected to the select 1 410 are turned on, and electrowetting the lenses connected to the source 1 211, the source 2 212, and the source 3 213. The driving potential is set. This potential is stored in condensers 440 connected to the lens.

셀렉트1(410)이 OFF되면, 셀렉트1(410)에 연결된 모든 TFT가 OFF 되고, 렌즈(430)에 연결된 콘덴서(440)들의 전위는 유지되어, 렌즈의 전기습윤도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select 1 410 is turned off, all the TFTs connected to the select 1 410 are turned off, and the potentials of the condensers 440 connected to the lens 430 are maintained to maintain the electrowetting degree of the lens.

순차적으로 다음의 셀렉트2(420)에 전기신호를 가하면 연결된 모든 TFT가 작동되고, 셀렉트2(420)의 렌즈들에 소스라인의 전위들이 공급되게 된다.When an electrical signal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next select 2 420, all connected TFTs are activated, and potentials of the source line are supplied to the lenses of the select 2 420.

후기의 과정에서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의 제조 공정을 위한 구성 요소들과 그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에 의한 공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later process, the components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nd the process method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에서의 가변 초점 렌즈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요소인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구성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that are the basic elements for configuring the variable focus lens in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포밍섬유(130)는 제조 공정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굵기가 균일하고, 표면의 정밀도가 높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말한다. 전기습윤 폴리머(110)와 전기습윤 전극(120)의 두께는 서브 마이크로 정도이고, 렌즈 구동을 위한 TFT가 연결되면서, 렌즈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어야 하는 공정의 특성때문에, 형상을 유지하면서 사용 후 제거가 용이한 포밍섬유(130)를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orming fiber 130 refers 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uniform thickness and high surface precision used to facilit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and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is about the sub-micro, and after the TFT for driving the lens is conne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should be minimized, it is removed after us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Easy to use forming fiber 130.

제조 과정은 포밍섬유(130)에 전기습윤 폴리머(110)를 균일하게 입힌다. 전기습윤 폴리머(110)의 재질은 현 시점에서 많이 연구되어 안정화된 플루오로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후 연구의 진행에 의하여 전기습윤도 차이가 큰 재질로 대체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플루오로 폴리머 필름의 생성은 어렵다고 하는데, 전기습윤 이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스핀 코팅법을 활용하여 1000옹스트롱의 두께를 얻는 예가 보고되고 있다. 같은 공정은 아니지만 전기습윤 폴리머(110)를 딥코팅방법에 의하여 두께가 균일하게 코팅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증착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uniformly coats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on the forming fiber (130). The material of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is preferably a fluoro polymer that has been studied and stabilized at this time. As a result of further research,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a material with a large difference in electric wettability. Generally,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fluoropolymer film. In the case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an example of obtaining a thickness of 1000 angstroms by using a spin coating method has been reported. Although not the same process, there is also a method of uniformly coating the thickness of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by a dip coating method. Also, a deposition method can be considered.

전기습윤 폴리머(110) 위에 전기습윤 전극(120)을 생성하여 전기습윤 원시섬유(150)를 만든다.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is created on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to make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전기습윤 전극(120)은 수직 전극이기 때문에 투명전극이지 않아도 된다. 금속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에 의해 입힐 수 있다. 서브마이크로 두께로 균일하게 입히는 것이 가능하다. 저렴한 제조 공정으로는 은 용액을 이용한 습식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 후 가벼운 열처리 공정으로 안정화된 전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does not need to be a transparent electrode because it is a vertical electrode. The metal can be deposited by vapor deposition or sputtering. It is possible to coat uniformly with a submicron thickness. As an inexpensiv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tabilized electrode by a light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coating using a wet coating method using a silver solution.

제조 공정이 완료되는 단계에서 포밍섬유(130)는 제거되어져야 한다. The foaming fibers 130 should be removed at the stage w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eted.

만약에 포밍섬유(130)의 재질이 플라스틱이면, 포밍섬유(130)의 제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포밍섬유(130)는 용매(솔벤트)에 쉽게 녹아야한다. 그 솔벤트에 전기습윤 폴리머(110)는 녹지 않아야한다. If the foaming fiber 130 is plastic, the foaming fibers 130 must be readily soluble in the solvent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foaming fibers 130.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should not melt in the solvent.

만약에 포밍섬유(130)의 재질이 금속이면, 포밍섬유(130)의 제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포밍섬유(130)는 산이나 알카리에 쉽게 녹을 수 있어야 한다. 렌즈 생성시에 두께는 수백 마이크로이기 때문에 쉽게 녹는다. 전기습윤 전극(120)이 녹지 않게 하는 공정의 기법이 필요하다. If the foaming fiber 130 is a metal, the foaming fibers 130 should be readily soluble in acid or alkali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foaming fibers 130. When the lens is created, it is easily melted because it is hundreds of microns thick.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in the process that prevents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from melting.

친환경을 위한 방법으로 포밍섬유(130)를 녹여내지 않고, 물리적인 힘으로 뽑아내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포밍섬유(130)에 이형재(그림 표시 안함)를 바른 후 전기습윤 폴리머(110)를 코팅하고, 전기습윤 전극(120)을 코팅하여 전기습윤 원시섬유(150)를 만든다. 여기서, 이형재는 전기습윤 폴리머(110)에서 포밍섬유(130)가 쉽게 분리되어 빠져나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형재는 연구되어져 공지되어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핵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As a method for eco-friendliness, a means for extracting the foaming fibers 130 with a physical force without melting them can be used. After applying a release material (not shown) to the forming fiber 130,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is coated, and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is coated to make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Here, the release material serves to make the forming fiber 130 easily separated from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old releasing material which has been studied and known, and it is not a key component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드라이버시트의 구성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er sheet for config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공통의 TFT(450)가 렌즈(430)의 전기습윤 전극(120)에 하나씩 연결되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drive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common TFT 450 must be connected to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of the lens 430 one by one.

리본위에 TFT가 1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선출원의 드라이버 리본을 사용하면 되지만, 리본 상태에서의 정열문제가 새롭게 대두된다. Although the driver ribbon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TFTs are arranged one-dimensionally on the ribbon can be used, a problem of alignment in the ribbon state is newly emer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트 상태에서 제조 공정을 진행하고, 자르는 공정에 의하여 각각의 렌즈에 TFT가 연결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최종적인 구조는 드라이버 리본의 형태이지만 공정의 완성 직전까지는 시트 상태의 TFT를 사용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sheet state, and a method in which a TFT is connected to each lens by a cutting process is used. The final structure is in the form of a driver ribbon, but a sheet-state TFT is use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드라이버 시트(200)는 평평하고 두께가 균일한 베이스시트(206) 위에 게이트전극(205) 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게이트절연층(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반도체라인(20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The driver sheet 200 has a gate electrode layer 205 formed on a flat and uniform base sheet 206 and a gate insulating layer 201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

반도체라인(202)은 게이트절연층(201) 위에 반도체 층을 입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는 방향으로 스크라이빙하여 완성한다. 나중에 반도체라인(20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잘라서 리본 형태를 이루게 된다. The semiconductor line 202 is formed by depositing a semiconductor layer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01 and scribing in a direction as shown in Fig. And later cu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miconductor line 202 to form a ribbon.

베이스시트(206)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재질로 구성되고, 렌즈(430)들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하기 위해서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으면서도 베이스시트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sheet 206 is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electrically insulated, and in order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430 as close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sheet 206 be extremely thin and function as a base shee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콘덴서시트의 구성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denser sheet for constitut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렌즈(430)에는 구동전위의 유지를 위한 콘덴서(440)가 하나씩 연결되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5, each lens 430 should be connected with one capacitor 440 for maintaining the driving potential.

선출원의 콘덴서리본의 경우 드라이버리본과 마찬가지의 정밀한 얼라인(정열)문제가 발생한다. In the case of the condenser ribbon of the prior art, a precise alignment problem similar to that of the driver ribbon occurs.

드라이버시트(200)의 사용과 유사한 형식으로 콘덴서시트(230)를 사용하여 공정을 편리하게 한다. 콘덴서시트(230)는 평평하고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시트(236) 위에 공통전극(23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유전체(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독립전극라인(233)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ndenser sheet 230 is us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use of the driver sheet 200 to facilitate the process. The common electrode 231 is formed on the base sheet 236 having a flat and uniform thickness and the dielectric sheet 232 is formed thereon and the independent electrode line 233 is formed thereon Respectively.

공통전극(231) 위에 전면에 걸쳐 유전체와 전극을 입힌 후에 스크라이빙에 의해 유전체(232)와 독립전극라인(233)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공통전극(231) 위에 다른 필름에서 만든 유전체와 독립전극을 전사시키는 것으로,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dielectric 232 and the independent electrode line 233 can be formed by scribing the dielectric and the electrode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231. Another method is to transfer the dielectric and the independent electrode made from another film on the common electrode 231,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loss of material.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하부 소스전극 포함 투명 밀봉시트(210)의 구성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parent sealing sheet 210 including a lower source electrode for form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의 하부 밀봉에 사용되는 시트가 필요하다. With reference to FIG. 6, a sheet used for bottom sealing of a variable focus lens array is required.

투명하고 왜곡이 없는 초특급 광학 재질의 투명 베이스시트(212)가 필요하다. 여기서 투명 베이스시트(212)의 투명도를 위해 빛의 투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가 최소화되어져야 한다. 이 투명 베이스시트(212) 위에는 렌즈(430)에 구동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소스전극라인(211)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전극라인(211)의 폭과 두께는 렌즈(430)의 구성에서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There is a need for a transparent basesheet 212 of a super high grade optical material that is transparent and free of distortion. Here, for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base sheet 212, all elements that may affect the transmission of light should be minimized. A source electrode line 211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base sheet 212 to supply a driving potential to the lens 430.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ource electrode line 211 is almost negligib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43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1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proces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준비된 드라이버시트(200) 위에 길이 방향으로 반도체라인(202) 하나에 전기습윤 원시섬유(150) 하나를 놓는 형태로 필요한 개수만큼 반도체라인(202)들 위에 전기습윤 원시섬유(150)들을 놓는다. Referring to FIG. 7, the number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on the semiconductor lines 202 is required as long as on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 150 is placed on one semiconductor line 2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repared driver sheet 200. Place 150).

다음, 반도체라인(202) 하나에 소스라인 연결 부재(220) 하나를 놓는다. 전기습윤 원시섬유(150)와 소스라인 연결 부재(220)는 접촉되지 않고, 반도체라인(202)과만 접촉면을 갖는다. Next, on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220 is placed in one semiconductor line 202.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and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22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ave only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miconductor line 202.

소스라인 연결 부재(220)는 전도성을 가진 선으로, 추후 소스전극라인(211)과 전기적인 연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넣는 것이다. 취급의 편리성을 위하여 미리 드라이버시트(200)의 반도체라인(202)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220 is a line having conductivity and is inserted later for convenient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ource electrode line 211. [ It is preferable to adhere to the semiconductor line 202 of the driver seat 200 in advance for convenience of handling.

소스라인 연결 부재(220)를 반도체라인(202)에 부착하여 전기적인 접점을 구성한 다음, 전기습윤 원시섬유(150)의 배열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절연성의 그루브(도시하지 않음)를 만들어 놓고 전기습윤 원시섬유(15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220 is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line 202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and then an insulat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raw fibers 150.

전기적인 접점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전기습윤 원시섬유(150)의 전기습윤전극(120)에 전도성 점착제를 코팅한 다음에 반도체라인(202)에 부착하는 것이 전기적인 접촉면적을 키우는 방법이 된다.In order to strengthen the electrical contact, a conductive adhesive is coated on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of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and then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line 202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tact area.

다음, 전기습윤 원시섬유(150) 위에 콘덴서시트(230)를 씌운다. 콘덴서시트(230)의 독립전극라인(233)이 전기습윤 원시섬유(1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게 씌운다. 독립전극라인(233) 하나에 전기습윤 원시섬유(150) 하나가 연결되게 한다.Next, the capacitor sheet 230 is placed on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The independent electrode line 233 of the capacitor sheet 230 is covered to be long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On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is connected to one independent electrode line 23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2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process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콘덴서시트(230)를 씌운 후에 내부의 빈 공간에 경화용 충진재(245)를 채우고, 드라이버시트(200), 전기습윤 원시섬유(150) 및 컨덴서시트(230)를 압착한 후, 경화용 충진재(245)를 경화시켜서 전기습윤 원시 패널(290)을 완성한다. Referring to FIG. 8, after filling the capacitor sheet 230, the hardening filler 245 is filled in an empty space therein, and the driver sheet 200,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and the capacitor sheet 230 are compressed. Thereafter, the curing filler 245 is cured to complete the electrowetting raw panel 290.

경화용 충진재(245)로는 에폭시, 레진, 실리콘 등이 적당하다. 경화용 충진재(245)의 속성은 절단 공정에 편리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용 충진재(245)는 투명이어서 경화용 충진재(245)가 채워진 전기습윤 원시 패널(290) 전체가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As the curing filler 245, epoxy, resin, silicone and the like are suitable. The property of the curing filler 245 is preferably a material convenient for the cutt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curing filler 245 is transparent, the entire electrowetting raw panel 290 filled with the curing filler 245 may be transparent.

경화용 충진재(245)의 충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콘덴서시트(230)를 씌우기 전에 경화용 충진재(245)를 채우고 콘덴서시트(230)를 씌우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filling of the curing filler 245, it is possible to fill the curing filler 245 and cover the condenser sheet 230 before covering the condenser sheet 230.

이후 과정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가 제조될 수 있다.From then on,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먼저, 첫 번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first method will be described.

전기습윤 원시 패널(290)을 전기습윤 원시섬유(15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잘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차원 배열체(294)를 만든다.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290 is cut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 150 to form a one-dimensional array 294 as shown in FIG.

다음, 1차원배열체(294)를 하부 소스전극 포함 투명 밀봉시트(210)에 한 줄씩 붙여나간다. 이때, 1차원배열체(294)가 소스전극라인(211)과 직교되고, 소스라인 연결부재(220)가 소스전극라인(211)과 직교되게 부착되어야 한다. 필요한 렌즈의 개수가 될 때까지 붙여나간다. Next, the one-dimensional array body 294 is pasted one by one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210 including the lower source electrode. At this time, the one-dimensional array body 294 should be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 211, and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220 should be attached orthogonally to the source electrode line 211. Stick out until the required number of lenses.

다음, 두 번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econd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제3 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hird process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습윤 원시 패널(290)의 한 면에 접착제(240)를 바른 다음 필요한 렌즈의 개수만큼 쌓아나간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을 전기습윤 원시 벌크(295)라고 한다. 정밀한 얼라인의 과정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제시된 다른 방법보다 편리하고, 생산 후의 정밀도도 높다.Referring to FIG. 9, the adhesive 240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electrowetting raw panel 290 and then stacked as many as the number of lenses required. The one produced in this process is called electrowetting raw bulk (295). Precise alignment process is required, but it is more convenient than other methods presented so far and has high precision after production.

공정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기습윤 원시 패널(290)을 완성하지 않고, 경화용 충진재(245)를 맨 나중에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드라이버시트(200) 위에 길이 방향으로 반도체라인(202) 하나에 전기습윤 원시섬유(150) 하나를 필요한 개수만큼 놓는다. 그리고, 반도체라인(202) 하나에 소스라인 연결 부재(220) 하나를 놓는다. 그 후, 전기습윤 원시섬유(150) 위에 콘덴서시트(230)를 씌운다. 위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계속 진행하여 필요한 렌즈의 개수만큼 반복한다. 그 후, 경화용 충진재(245)를 채우고 경화시켜 전기습윤 원시벌크(295)를 만들 수 있다. Another method of the process is to use the curing filler 245 last without completing the electrowetting raw panel 290. That is, on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is placed in the semiconductor line 2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driver sheet 200 as many times as necessary. Then, on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220 is placed in one semiconductor line 202. Thereafter, the capacitor sheet 230 is overlaid on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150. The above process is continued sequentially and the number of lenses required is repeated. Thereafter, the curing filler 245 may be filled and cured to form the electrowetting raw bulk 29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4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urth proces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습윤 원시벌크(295)를 전기습윤 원시섬유(15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잘라서 2차원 배열체(300)를 만든다. Referring to FIG. 10,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bulk 295 is cut orthogon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 150 to form a two-dimensional array 300.

2차원 배열체(300)의 포밍섬유(130)를 제거하면 스루홀(140)이 나타되고, 스루홀(140) 내부 원통형의 표면에는 전기습윤 폴리머(110) 면이 나타나게 된다. When the forming fiber 130 of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is removed, the through hole 140 appears, and the surface of the electrowetting polymer 110 appears on the cylindrical surface inside the through hole 140.

여기서, 포밍섬유(130)의 제거는 포밍섬유(130)를 제거하는 용액에 2차원 배열체(300)를 일정 시간 담궈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고, 이형재에 의해 이형되는 방법으로 포밍섬유(130)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적합한 공정을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removal of the forming fiber 130 is a method of removing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by dipp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olution for removing the forming fiber 130, forming the forming fiber 130 by the release method by the release material There is a way to remove it. An appropriate process can be selected.

다음, 2차원 배열체(300)를 하부 소스전극 포함 투명 밀봉시트(210)에 붙인다. 이때 2차원 배열체(300)에 포함된 TFT 드라이버 라인이 소스전극라인(211)과 직교되고, 소스라인 연결부재(220)가 소스전극라인(211)과 직교되게 부착되고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어야 한다. 전기적인 접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Next,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is attached to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210 including the lower source electrode. At this time, the TFT driver line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 211, and the source line connection member 220 is orthogonally attached to the source electrode line 211 and made an electrical contact . Means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possible may be used.

2차원 배열체(300)의 하부에 하부 소스전극 포함 투명 밀봉시트(210)가 완벽하게 부착되어 스루홀(140)의 한쪽면을 밀봉하게 되어 홀이 생성된다. A transparent sealing sheet 210 including a lower source electrode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to seal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40 to generate a hole.

다음, 전기습윤 렌즈(430)를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스루홀(140)에 오일을 채운다. 미량 주입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정확한 양의 오일을 채운다. 동시 공정을 위하여 잉크젯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Next, oil is filled in each through hole 140 to constitute the electrowetting lens 430. Use a microinjection dispenser to fill the correct amount of oil.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n ink jet for simultaneous processing.

그 후, 스루홀(140)의 남은 공간에 물을 채운다. Thereafter, the remaining space of the through hole 140 is filled with wate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마무리 공정인 제4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ourth process which is a finishing proces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2차원 배열체(300)의 상부에는 물에 공통 전위를 주기 위한 상부투명전극(335)이 필요하다. 이 투명전극(335)은 전기습윤 전극(120)과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이 접촉을 막기 위해 2차원 배열체(300)의 상부에 절연접착층(320)을 코팅하고, 상부투명전극(335)이 코팅되어 있는 상부투명전극밀봉시트(330)를 부착하여 상부 밀봉을 한다.Referring to FIG. 11, an upper transparent electrode 335 is required on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to give a common potential to water. The transparent electrode 335 should not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120. In order to prevent this contact, the insulating adhesive layer 320 is coated on the two-dimensional array 300,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sealing sheet 330 on which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335 is coated is attached to seal the upper part.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가 제조 완성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한편, 이러한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스1(211), 소스2(212), 소스3(213)에는 각각의 렌즈 구동전위를 주는 구동 드라이버들에 연결하고, 셀렉트1(410), 셀렉트2(420), 셀렉트3(421)에는 쉬프트레지스터의 출력을 연결하여 순차적으로 렌즈에 연결된 TFT를 구동하게 한다. Meanwhile, in order to connect the variable focus lens array with the driving circuit, as illustrated in FIG. 2, the source 1 211, the source 2 212, and the source 3 213 are connected to driving drivers that give respective lens driving potentials. The output of the shift register is connected to the select 1 410, the select 2 420, and the select 3 421 to sequentially drive the TFT connected to the lens.

콘덴서들의 공통전극(231)은 전원(400)에 연결하여 각각의 렌즈의 구동전위를 저장하게 한다. 그리고, 상부의 투명전극(335)은 전원2(401)에 연결하여 렌즈들의 공통전위를 구성하게 한다. The common electrode 231 of the capacitors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400 to store the driving potential of each lens.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335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2 401 to configure common potential of the lens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24)

행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렌즈-여기서 복수의 렌즈 각각은 원통형의 전기습윤 전극, 상기 전기습윤 전극 내에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습윤 폴리머, 상기 전기습윤 전극의 하부를 밀봉하는 투명 밀봉막, 상기 전기습윤 전극의 상부를 밀봉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스루홀 내에 채워져 있는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포함함-;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기습윤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일측이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기습윤 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공통 전극으르 형성하는 복수의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TFT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렌즈에 연결되어 있는 TFT들은 각각 게이트 전극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셀렉트 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TFT 중 열로 배치되어 있는 렌즈에 연결되어 있는 TFT들에 구동 전위를 공급하는 복수의 소스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in a matrix,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comprises a cylindrical electrowetting electrode, an electrowetting polym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in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 transparent sealing film for sealing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for sealing the top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a first fluid and a second fluid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fill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by the electrowetting polymer;
A plurality of TFTs (Thin Film Transis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wetting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One sid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in common to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to form a common electrode,
The TFTs connected to the lenses arranged in rows among the plurality of TFTs each have a gate electrode connected in common to form a plurality of select lines.
A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for supplying a driving potential to the TFTs connected to the lenses arranged in a row among the plurality of TFTs are connected.
Wherein the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is a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의 투명 밀봉막은 상기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TFT, 상기 복수의 콘덴서, 상기 복수의 셀렉트 선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신호선이 모두 탑재될 수 있는 크기의 투명베이스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투명베이스 시트 상에는 상기 복수의 소스 신호선에 각각 소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sealing film of the plurality of lenses is formed by a transparent base sheet having a size on which the plurality of lenses, the plurality of TFTs, the plurality of capacitors, the plurality of select lines, and the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can be mounted.
And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capable of providing sourc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are formed on the transparent base sheet
Wherein the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is a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FT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TFT는 동일한 드라이버 리본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리본은 드라이버 시트-여기서 드라이버 시트는 제1 베이스시트,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전극층, 상기 게이트전극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라인을 포함함-를 절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Among the plurality of TFTs, the TFTs arranged in rows are formed on the same driver ribbon,
The driver ribbon is a driver sheet, wherein the driver sheet is partially formed on the first base sheet, the gate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first base sheet, the gate insulation layer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layer, and the gate insulation layer. Including semiconductor lines
Wherein the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is a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콘덴서는 동일한 콘덴서 리본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 리본은 콘덴서 시트-여기서 콘덴서 시트는 제2 베이스시트,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및 상기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독립전극라인을 포함함-를 절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The method of claim 3,
Among the plurality of capacitors, the capacitors arranged in rows are formed on the same capacitor ribbon,
The capacitor ribbon is a capacitor sheet, wherein the capacitor sheet is a second base sheet, a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base sheet, a dielectric partially formed on the common electrode, and an independent electrode formed on the dielectric. Including lines-created by cutting
Wherein the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is a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의 투명 전극은 상기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TFT, 상기 복수의 콘덴서, 상기 복수의 셀렉트 선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신호선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투명 전극 시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와 상기 투명 전극 시트 사이에 절연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투명 전극 시트 상에는 상기 투명 전극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시트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nsparen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are formed on a transparent electrode sheet having a size to cover all of the plurality of lenses, the plurality of TFTs, the plurality of capacitors, the plurality of select lines, and the plurality of source signal lines.
An insulating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lens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a sealing sheet for seal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coat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Wherein the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is a variable focal length lens arr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드라이버 리본과 상기 콘덴서 리본 사이에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 상기 반도체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 상기 독립전극라인이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lens is positioned such that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the semiconductor line are connected between the driver ribbon and the condenser ribbon, and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and the independent electrode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신호선은 상기 전기습윤 전극과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드라이버 리본의 반도체 라인 상에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ource signal line is positioned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ine of the driver ribb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리본, 상기 렌즈, 상기 소스 신호선 및 상기 콘덴서 리본은 상기 드라이버 리본과 상기 콘덴서 리본 사이에 채워지는 경화용 충진재에 의해 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driver ribbon, the lens, the source signal line, and the condenser ribbon are cured by a hardening filler filled between the driver ribbon and the condenser ribb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충진재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ardening filler is a variable focus lens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리본 및 상기 콘덴서 리본은 상기 투명베이스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하도록 상기 투명베이스 시트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driver ribbon and the condenser ribbon ar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base sheet to be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base sheet.
전기습윤형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습윤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복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시트,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시트,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밀봉 시트 및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전극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1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원 배열체의 드라이버 시트가 상기 투명 밀봉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되도록 복수의 1차원 배열체를 상기 투명 밀봉 시트 상에 평면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투명 밀봉 시트와 상기 복수의 1차원 배열체를 각각 접착시켜서 2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 형성되어 있는 스루홀 내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극 시트의 투명 전극이 상기 제1 유체에 접촉하도록 하면서 상기 2차원 배열체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wetting variable focus lens array,
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having an electrowetting electrode, a drive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FTs, a capacito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a transparent sealing sheet having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each of the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sheets;
Producing an electrowetting raw panel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Cutting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at regular intervals to produce a one-dimensional array;
Continuously arranging a plurality of one-dimensional arrays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in a plane such that the driver sheet of the one-dimensional array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Bonding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and the plurality of one-dimensional arrays respectively to produce a two-dimensional array;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fluids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while allow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contact the first fluid
≪ / RTI >
전기습윤형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습윤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복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시트,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시트,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밀봉 시트 및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전극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드라이버 시트와 콘덴서 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쌓고 붙여서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2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배열체의 드라이버 시트가 상기 투명 밀봉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되도록 상기 2차원 배열체를 상기 투명 밀봉 시트 상에 부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 형성되어 있는 스루홀 내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극 시트의 투명 전극이 상기 제1 유체에 접촉하도록 하면서 상기 2차원 배열체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wetting variable focus lens array,
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having an electrowetting electrode, a drive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FTs, a capacito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a transparent sealing sheet having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each of the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sheets;
Producing 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s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Allowing the driver sheet and the condenser sheet to be bonded by an adhesive to stack and paste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panels to produce an electrowetting raw bulk;
Cutting the electrowetting raw bulk at regular intervals to produce a two-dimensional array;
Attaching and sealing the two-dimensional array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such that the driver sheet of the two-dimensional array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fluids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while allow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contact the first fluid
≪ / RTI >
전기습윤형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습윤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복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시트,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시트, 복수의 소스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밀봉 시트 및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전극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 상에 상기 드라이버 시트,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및 상기 콘덴서 시트를 사용하여 다른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여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이 쌓여서 부착되어 있는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경화시켜서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습윤 원시 벌크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2차원 배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배열체의 드라이버 시트가 상기 투명 밀봉 시트의 소스전극라인과 직교되도록 상기 2차원 배열체를 상기 투명 밀봉 시트 상에 부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전기습윤도의 차이가 있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 형성되어 있는 스루홀 내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극 시트의 투명 전극이 상기 제1 유체에 접촉하도록 하면서 상기 2차원 배열체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wetting variable focus lens array,
A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having an electrowetting electrode, a drive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TFTs, a capacitor sheet hav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a transparent sealing sheet having a plurality of source electrode line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each of the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sheets;
Producing a pre-cured electrowetting raw panel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A plurality of pre-cured electrical pre-cured processes may be repeated by using the driver sheet, the plurality of electro-wetted raw fibers, and the condenser sheet to generate and contact another pre-cured electro-wetted raw panel on the pre-cured electrowetting raw panel. Producing a pre-cured electrowetting raw bulk to which the wet raw panels are stacked and attached;
Curing the pre-wetting raw bulk to produce an electrowetting raw bulk;
Cutting the electrowetting raw bulk at regular intervals to produce a two-dimensional array;
Attaching and sealing the two-dimensional array on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such that the driver sheet of the two-dimensional array is orthogonal to the source electrode lines of the transparent sealing sheet;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fluids having a difference in electrowetting degree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And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two-dimensional array while allow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sheet to contact the first fluid
≪ / RTI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성의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다른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각각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빈공간을 경화용 충진재로 채우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콘덴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상기 콘덴서 시트를 압착하고 상기 경화용 충진재를 굳혀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넝릉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producing the electrowetting raw panel,
Attaching a conductive source line connection member to each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on the driver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anging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Filling the voids of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with a filler for curing;
Attaching the condenser sheet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ba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And
Compressing the driver sheet and the condenser sheet and hardening the hardening filler to generate the electrowetting raw pattern.
≪ / RTI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성의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다른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각각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빈공간을 경화용 충진재로 채우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콘덴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상기 콘덴서 시트를 압착하고 상기 경화용 충진재를 굳혀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 패넝릉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producing the electrowetting raw panel,
Attaching a conductive source line connection member to each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on the driver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anging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Filling the voids of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with a filler for curing;
Attaching the condenser sheet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ba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 primitive fibers; And
Compressing the driver sheet and the condenser sheet and hardening the hardening filler to generate the electrowetting raw pattern.
≪ / RTI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성의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버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TFT의 각 반도체라인의 다른 한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각각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빈공간을 경화용 충진재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버 시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콘덴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전기습윤 원시섬유 상에 부착하여 상기 경화전 전기습윤 원시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producing the pre-cured electrowetting raw panel,
Attaching a conductive source line connection member to each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on the driver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anging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semiconductor line of the plurality of TFTs formed in the driver sheet;
Filling the voids of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raw fibers with a filler for curing; And
Attaching the condenser sheet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to correspond to the driver sheet ba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s to produce the pre-curing electrowetting primitive panel
≪ / RTI >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는 원통형의 포밍섬유에 전기습윤 폴리머를 입히고, 그 위에 전극을 입혀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is produced by coating an electrowetting polymer on a cylindrical forming fiber and coating an electrode there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에서 상기 포밍섬유를 제거하여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가 노출되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said through hole removes said foaming fiber from said electrowetting primitive fiber to expose said electrowetting polym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섬유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솔벤트를 사용하여 녹여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If the forming fibers are made of plastic,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by melting using a solven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섬유가 금속 재질인 경우 산이나 알카리를 사용하여 녹여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If the forming fiber is a metal material,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by melting using acid or alkali.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섬유에 이형재를 바른 후 상기 전기습윤 폴리머를 입혀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로부터 상기 포밍섬유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pplying an electrowetting polymer to the forming fiber to separate the forming fiber from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충진재는 투명한 재질로써, 에폭시, 레진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ardening filler is a transparent material,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focus lens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any one of epoxy, resin and silic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라인 연결부재를 상기 반도체라인에 부착하여 전기적인 접점을 구성한 후,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배열을 위한 절연성의 그루브를 만들어 놓고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ttaching the source line connecting member to the semiconductor line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and then forming an insulating groove for arranging the electrowetting raw fibers and arranging the electrowetting raw fibers. Manufacturing metho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습윤 원시섬유의 전기습윤 전극 표면에 전도성 접착제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conductive adhesiv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wetting electrode of the electrowetting raw fiber.
KR1020120106372A 2012-03-23 2012-09-25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KR1013790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97 2012-03-23
KR20120029897 2012-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45A KR20130108045A (en) 2013-10-02
KR101379010B1 true KR101379010B1 (en) 2014-03-27

Family

ID=4963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372A KR101379010B1 (en) 2012-03-23 2012-09-25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01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240A (en)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29870A (en) * 2006-09-29 2008-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Electrowetting device and varifocal lens, optical pickup device,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droplet operation device, optical element, zoom lens, imaging device, light modul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130620A (en) * 2010-05-28 2011-12-06 정병주 Electrowetting display weaved with driver fiber and it's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240A (en)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29870A (en) * 2006-09-29 2008-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Electrowetting device and varifocal lens, optical pickup device,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droplet operation device, optical element, zoom lens, imaging device, light modul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130620A (en) * 2010-05-28 2011-12-06 정병주 Electrowetting display weaved with driver fiber and it's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45A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8194B2 (en)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03362A1 (en) Liquid lens array
CN101776795B (en) Liquid lens array capable of discretely zoom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375352A (en) Contact structure for a tunable liquid crystal optical device
KR20100110787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wetting device,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electrowetting device
JP202402339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and resulting optical device
KR20120090594A (en) Method of fabricating polymer electrode and polymer actuator employing the polymer electrode
US9480165B2 (en) Flexible substra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04647A (en) Driver fiber, electorwetting lens array, electorwetting prism array, it's method of fabrication
JP5248869B2 (en) Method for filling a cavity in an optical microtech compound with a fluid material
KR101379010B1 (en)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TWI400541B (en) 3d grid controllable liquid cryst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82445B2 (en) Micro-fluidic variable optical devic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135693B (en) Three-dimensional grid control type liquid cryst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129144A (en) Piezoelectric actuator, inkjet head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81009B1 (en) Electrowetting varifocal lens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CN105842760A (en) Electrically-controlled zooming lenticule arra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1402946B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having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5605807A (en) Switchable optical functiona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KR101932651B1 (en) High magnification optical lens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ns assembly and Optical instrument using the lens assembly
CN103797533A (en) Display device
KR101924613B1 (en) Tunable-focus lenticular microlens array using g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1792618B (en) Micro thermal array based on heterogeneous driving uni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10130620A (en) Electrowetting display weaved with driver fiber and it's processing method
CN210626779U (en) Line wall type multi-electrode control electrowetting driving liquid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