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437B1 -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437B1
KR101377437B1 KR1020130057702A KR20130057702A KR101377437B1 KR 101377437 B1 KR101377437 B1 KR 101377437B1 KR 1020130057702 A KR1020130057702 A KR 1020130057702A KR 20130057702 A KR20130057702 A KR 20130057702A KR 101377437 B1 KR101377437 B1 KR 10137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e unit
sand
cover structure
fixed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5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37B1/ko
Priority to PCT/KR2014/004484 priority patent/WO2014189249A1/ko
Priority to JP2016515260A priority patent/JP2016519233A/ja
Priority to EP14801075.4A priority patent/EP3000938A4/en
Priority to US14/892,596 priority patent/US201601156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와 배출부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FIXED UNIT STRUCTURE TO RESTORE THE LOSS OF SAND, STRUCTURE AND RESTOR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고,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고정식 구조체 유닛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파도가 많은 해안가의 해안의 침식작용이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안의 침식작용은 폭풍우 등의 기상조건에 의한 국부적인 발생요인과 연속적인 파도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장기적인 발생요인이 있다. 이러한 침식작용은 사계절 내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동절기에 발생하는 북서풍, 남서풍에 의한 파도는 침식작용을 더욱 심각하게 유발하고 있다.
상기 해안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방파제 구조물과 블록 구조물 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방파제 구조물은 해안으로 향하는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저감시켜 넓은 공간의 정온화 해역을 창출하고 해안선을 보호하는 것이나, 파랑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효과가 미흡하며, 방파제 구조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중복파에 의해 심각한 침식이 유발됨과 동시에 심하게는 방파제 구조물이 붕괴되어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상기 방파제 구조물이 수면위로 돌출되도록 시공되는바, 자연경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바닷물이 일정구간에 정체되어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유발되고, 자연생태계 환경에 나쁜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상기 블록 구조물로는 등록특허 제10-0895525호 및 등록특허 제10-1011020호가 있다. 상기 블록 구조물은 침식작용이 일어나는 구간의 모래 위에 쌓아 올리므로 연안침식에 따른 모래 이동을 줄여주나,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과정에서 해저면의 형태에 맞춰서 설치하기가 어렵고, 블록과 해저면 사이에 있는 모래도 쉽게 파도에 휩쓸려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단순히 침식 모래가 수중 방향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막는 것에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유실 모래를 육지 방향으로 복원하며, 유수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자연생태계에 친환경적인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10)와 배출부(20)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H)가 일체로 마련되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한 쌍의 외벽부(40,40')와 상기 외벽부(40,4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5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배출부(20)의 단부에는 높이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도부(21)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유입부(10)측에는 유입유도부(11)가 길이 방향의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실방지부(60,60')가 수직되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H)의 단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공부(H)가 스크류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내면에 스크류 홈(7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에는 유도와이어(W)가 관통되도록 복수 개의 와이어홀(80)이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배출부(20)에는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수문(9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물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구조물(S)에 있어서,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고정식 복원방법(M)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복원방법(M)은 침식으로 인한 해안이나 하안의 복원 위치를 선정하는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배치하여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하는 구조물 형성 단계(S200); 및 고정되어진 상기 고정식 구조물(S)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물 형성 단계(S200)는,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제작하는 구조체 유닛 제작 단계(S210); 상기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할 위치의 해저면을 정리하는 해저면 정리 단계(S220); 및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구조체 유닛 배치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유수가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유입부(10)로 유입되어지는 유수 유입 단계(S310); 유입된 유수가 침식부(30)의 모래를 침식시키는 모래 침식 단계(S320); 침식된 모래와 유수가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어지는 유수 배출 단계(S330); 및 침식된 모래가 퇴적되는 모래 퇴적 단계(S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에 따르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침식 모래가 수중 방향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막는 것에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유실 모래를 육지 방향으로 복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홀에 유도와이어를 관통시켜 용이하게 커버 구조체 유닛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공부가 형성되어 유수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자연생태계에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유실 모래 방지를 위한 블록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커버 구조체 유닛을 배치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의 수문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물의 개념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도시한 개략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의 시간의 경과에 의한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10)와 배출부(20)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H)가 일체로 마련되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한다.
벤츄리 효과란, 단면의 면적이 서서히 축소되는 형상의 구조물에서, 축소되는 지점에서의 유체의 흐름속도가 빨라지도록 유도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단면이 서서히 축소되도록 제작하여, 유수의 흐름이 빨라지도록 유도하고, 이로써 적극적으로 모래를 복원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입부(10)에서 배출부(20)를 향하여 유수가 유도되어야 하는바, 유수의 기본방향을 따라 유입부(10)와 배출부(20)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 해안이나 하안의 경우라면, 육지 방향에 배출부(2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하부에는 침식부(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 유수의 흐름에 따라 바닥의 모래가 적극적으로 침식되어지고, 침식 모래가 상기 배출부(20)를 통해 퇴적되어진다.
따라서, 유입부(10)의 단면적에 비하여 배출부(20)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야 벤츄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사각형 단면 뿐만 아니라, 곡선형, 삼각형, 사다리꼴 형상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중공부(H)의 단면 형상도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단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중공부(H)의 형상이 벤츄리 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한 쌍의 외벽부(40,40')와 상기 외벽부(40,4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5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형상은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형상에 대한 하나의 일 실시예이다. 한편, 상기 외벽부(40,40')는 직립하는 형상이외에도, 사선형 형상, 곡선형 형상으로도 제작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50)도 수평형 형상이외에도 곡선형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배출부(20)의 단부에는 높이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도부(21)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유입부(10)측에는 유입유도부(11)가 길이 방향의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부(21)는 유수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출유도부(21)가 형성되지 않으면, 배출부(20)의 외측에서 갑작스런 유수의 팽창으로 흐름에 다소 차질이 생김과 동시에 모래의 상승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배출유도부(21)를 통해서 유수가 연속적으로 흐르게 되는바, 침식 모래가 배출부(20)의 외측으로 적극적으로 유도되어, 퇴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입유도부(11)는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유수로부터 상기 유입부(10)가 받을 수 있는 압력을 저감하고, 유수의 흐름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연스런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실방지부(60,60')가 수직되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60,60')는 유수의 침식부(30)를 통한 침식작용으로 발생한 침식 모래가 배출부(20)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측면 하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실방지부(60,60')의 단면은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되, 쐐기형으로 제작되어지고, 재질은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실방지부(60,60)가 자중에 의하여 바닥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공부(H)의 단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공부(H)가 스크류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내면에 스크류 홈(70)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홈(70)에 의하여 중공부(H)는 스크류 형상을 지니며, 이로써 유수의 흐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유도가 가능한바, 바닥에 대한 침식을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에는 유도와이어(W)가 관통되도록 복수 개의 와이어홀(80)이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배치 과정에서 인접한 커버 구조체 유닛(U)과의 관계에서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여야 하는바, 작업간에 정밀도가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도와이어(W)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와이어홀(80)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유도와이어(W)를 따라서 자연스럽게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이 이동하도록 하면 인접한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정밀한 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홀(80)은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부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배출부(20)에는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수문(90)이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수문(90)은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개폐되어지되, 유수의 흐름이 육지 방향을 향할 때는 개방되어지고, 유수의 흐름이 수중 방향을 향할 때는 닫혀지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모래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문(90)은 상부에 경첩을 두어 개폐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되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구조물(S)은 청구항 1항 내지 7항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되어질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와이어(W)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고정식 복원방법(M)은 상기 고정식 복원방법(M)은 침식으로 인한 해안이나 하안의 복원 위치를 선정하는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청구항 1항 내지 6항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배치하여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하는 구조물 형성 단계(S200); 및 고정되어진 상기 고정식 구조물(S)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는 공지의 수단을 통하여 복원이 필요한 지점을 파악하고, 위치와 범위를 부표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형성 단계(S200)는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이용하여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의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바닥의 모래를 침식하고, 침식된 모래를 배출부(20)의 외부로 배출시켜 퇴적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전체적으로 해안선 또는 하안선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지며, 배출부(20)가 육지 방향을 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물 형성 단계(S200)은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제작하는 구조체 유닛 제작 단계(S210); 상기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할 위치의 해저면을 정리하는 해저면 정리 단계(S220); 및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구조체 유닛 배치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 유닛 제작 단계(S210)는 해안에 근접한 육지에서 이루어지되,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곳에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해저면 정리 단계(S220)는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정밀한 배치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하는 것으로, 커버 구조체 유닛(U) 간에 단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바닥면을 평탄화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조체 유닛 제작 단계(S210)와 해저면 정리 단계(S220)는 그 순서에 명확한 선후관계가 없는 것으로 작업환경이나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체 유닛 배치 단계(S230)는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단계이다. 통상적으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배치하게 되나, 고정식 구조체 유닛(U)은 배치 과정에서 인접한 커버 구조체 유닛(U)과의 관계에서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여야 하는바, 작업간에 정밀도가 요구되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식 구조체 유닛(U)은 전체적으로 해안선 또는 하안선과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와이어(W)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와이어홀(80)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유도와이어(W)를 따라서 자연스럽게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이 이동하도록 하면 인접한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정밀한 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유수가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유입부(10)로 유입되어지는 유수 유입 단계(S310); 유입된 유수가 침식부(30)의 모래를 침식시키는 모래 침식 단계(S320); 침식된 모래와 유수가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어지는 유수 배출 단계(S330); 및 침식된 모래가 퇴적되는 모래 퇴적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 효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의 유수 유입 단계(S311), 모래 침식 단계(S312), 유수 배출 단계(S313) 및 모래 퇴적 단계(S314)는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으로써,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수의 흐름에 따라 과정을 세분화하면, 상기와 같은 순차적 단계로 진행된다.
한편,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의 시간의 경과에 의한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a 에서부터 d 까지 복원되어지는 모래의 시간에 따른 순차적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즉, 고정식 구조물(S)의 근접한 곳에서부터 육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모래가 복원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U: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10:유입부
11:유입유도부 20:배출부
21:배출유도부 30:침식부
40,40':외벽부 50:덮개부
60:유실방지부 70:스크류 홈
80:와이어홀 90:수문
H:중공부 W:유도와이어
S:고정식 구조물 M:고정식 복원방법
S100:복원 위치 선정 단계 S200:구조물 형성 단계
S210:구조체 유닛 제작 단계 S220:해저면 정리 단계
S230:구조체 유닛 배치 단계 S300:유실 모래 복원 단계
S310:유수 유입 단계 S320:모래 침식 단계
S330:유수 배출 단계 S340:모래 퇴적 단계

Claims (11)

  1.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10)와 배출부(20)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H)가 일체로 마련되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한 쌍의 외벽부(40,40')와 상기 외벽부(40,4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5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배출부(20)의 단부에는 높이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도부(21)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유입부(10)측에는 유입유도부(11)가 길이 방향의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실방지부(60,60')가 수직되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H)의 단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공부(H)가 스크류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내면에 스크류 홈(7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에는 유도와이어(W)가 관통되도록 복수 개의 와이어홀(80)이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배출부(20)에는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수문(9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
  8.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해 수중에 구비되어지는 고정식 구조물(S)에 있어서,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물.
  9.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고정식 복원방법(M)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복원방법(M)은 침식으로 인한 해안이나 하안의 복원 위치를 선정하는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배치하여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하는 구조물 형성 단계(S200); 및
    고정되어진 상기 고정식 구조물(S)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형성 단계(S200)는,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제작하는 구조체 유닛 제작 단계(S210);
    상기 고정식 구조물(S)을 형성할 위치의 해저면을 정리하는 해저면 정리 단계(S220); 및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을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구조체 유닛 배치 단계(S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유수가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유입부(10)로 유입되어지는 유수 유입 단계(S310);
    유입된 유수가 침식부(30)의 모래를 침식시키는 모래 침식 단계(S320);
    침식된 모래와 유수가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어지는 유수 배출 단계(S330); 및
    침식된 모래가 퇴적되는 모래 퇴적 단계(S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KR1020130057702A 2013-05-22 2013-05-22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KR10137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702A KR101377437B1 (ko) 2013-05-22 2013-05-22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PCT/KR2014/004484 WO2014189249A1 (ko) 2013-05-22 2014-05-20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JP2016515260A JP2016519233A (ja) 2013-05-22 2014-05-20 流失砂復元固定式構造体ユニット、構造物及び復元方法
EP14801075.4A EP3000938A4 (en) 2013-05-22 2014-05-20 FIXED-TYPE STRUCTURAL UNIT FOR RESTORING LOST SAND, STRUCTURE AND RESTORATION METHOD
US14/892,596 US20160115664A1 (en) 2013-05-22 2014-05-20 Fixed type structure unit for restoring lost sand, structure and resto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702A KR101377437B1 (ko) 2013-05-22 2013-05-22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437B1 true KR101377437B1 (ko) 2014-03-25

Family

ID=5064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702A KR101377437B1 (ko) 2013-05-22 2013-05-22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15664A1 (ko)
EP (1) EP3000938A4 (ko)
JP (1) JP2016519233A (ko)
KR (1) KR101377437B1 (ko)
WO (1) WO201418924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79B1 (ko) * 2014-10-13 2014-12-22 김형은 조류와 파도를 이용한 모래 이동장치
KR20160001403A (ko) * 2014-06-27 2016-01-06 (주) 선안전기술공사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CN109196167A (zh) * 2016-04-01 2019-01-11 株式会社韩海 防止海岸侵蚀用流失沙捕集装置
KR101949499B1 (ko) 2018-07-03 2019-02-18 주식회사 나라에너지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KR20230127645A (ko) * 2022-02-25 2023-09-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3343A1 (it) * 2016-05-11 2017-11-11 Giuseppe Tamburrano Modulo per un sistema modulare antierosione delle coste e sistema modulare comprendente detto modulo
CN113293730B (zh) * 2021-04-01 2022-07-15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滩固沙调控方法及装置
CN115977018B (zh) * 2022-11-28 2024-07-16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漂浮式柔性平板的波浪遮蔽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35B1 (ko) 2011-11-11 2012-05-24 주식회사 해건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7057A (en) * 1957-12-02 1961-09-13 Christiani & Nielsen As Improvements in navigable waterways
JPS569507A (en) * 1979-07-02 1981-01-31 Meiji Gomme Kasei:Kk Gravity type structure
US4367978A (en) * 1980-09-15 1983-01-11 Cecil Schaaf Device for preventing beach erosion
US4498805A (en) * 1983-11-29 1985-02-12 Weir Frederick E Breakwater module and means for protecting a shoreline therewith
US5215406A (en) * 1992-04-23 1993-06-01 Hudson J Harold Artificial ocean reef module and method of module construction
AU5783798A (en) * 1997-02-10 1998-08-26 Donald Edward Dorrell Means for dissipating wave energy
JP4550231B2 (ja) * 2000-06-30 2010-09-22 株式会社産学連携機構九州 底質移動制御方法
JP2003232051A (ja) * 2002-02-07 2003-08-19 Kyuuyama:Kk 潮汐、落差等自然エネルギー利用の自動浚渫システム
JP2005002737A (ja) * 2003-06-13 2005-01-06 Japan Technology:Kk 海岸堆砂工法
US6896445B1 (en) * 2004-01-05 2005-05-24 Eric Engler Modular artificial reef, sea wall and marine habitat
JP2006125102A (ja) * 2004-10-29 2006-05-18 Nishimatsu Constr Co Ltd 海岸用ブロック
US7029200B1 (en) * 2004-11-24 2006-04-18 Granger Plastics Company Shoreline erosion barrier
KR100554600B1 (ko) * 2005-05-23 2006-03-03 (유) 이도건설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호안구조
KR100931797B1 (ko) * 2006-09-08 2009-12-14 우윤희 해변가의 모래유실 방지 구조물
KR100895525B1 (ko) 2009-03-11 2009-04-30 우암종합건설(주) 해안침식 방지 및 어장 형성을 위한 다골다공형 잠제
KR101011020B1 (ko) 2010-03-19 2011-01-26 박재훈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35B1 (ko) 2011-11-11 2012-05-24 주식회사 해건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03A (ko) * 2014-06-27 2016-01-06 (주) 선안전기술공사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KR101724097B1 (ko) * 2014-06-27 2017-04-06 (주) 선안전기술공사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KR101475379B1 (ko) * 2014-10-13 2014-12-22 김형은 조류와 파도를 이용한 모래 이동장치
CN109196167A (zh) * 2016-04-01 2019-01-11 株式会社韩海 防止海岸侵蚀用流失沙捕集装置
CN109196167B (zh) * 2016-04-01 2020-12-08 株式会社韩海 防止海岸侵蚀用流失沙捕集装置
KR101949499B1 (ko) 2018-07-03 2019-02-18 주식회사 나라에너지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KR20230127645A (ko) * 2022-02-25 2023-09-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KR102622995B1 (ko) * 2022-02-25 2024-0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9233A (ja) 2016-06-30
US20160115664A1 (en) 2016-04-28
EP3000938A1 (en) 2016-03-30
WO2014189249A1 (ko) 2014-11-27
EP3000938A4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437B1 (ko)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Van Rijn Coastal erosion and control
Wang et al.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River mouth
Abam Impact of dams on the hydrology of the Niger Delta
CN1318702C (zh) 河床与海床泥沙截留、促淤积防冲刷的装置
Sato et al. Study on scouring at the foot of coastal structures
CN105155464B (zh) 一种用于沉排促淤加固的浮板装置
Van Rijn Coastal erosion control based on the concept of sediment cells
KR101377443B1 (ko)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CN104912028A (zh) 一种圆形浮式防波堤
Pruszak Polish coast-two cases of human impact
JP5342048B1 (ja) 離岸式海中防波堤
Soliman et al. Shoreline changes due to construction of Alexandria submerged breakwater, Egypt
CN207003395U (zh) 一种浮动式拦污结构
KR20110083935A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Neshaei et al. Impact of Groyne Construction on Beach; Case Study Anzali & Astara Coasts
Uda et al. TOPOGRAPHIC RESPONSE TO EXTENSION OF AN OBLIQUE TRAINING JETTY AT IMAGIRE-GUCHI TIDAL INLET
Beck et al. Ebb-Tidal delta development where before there was none, Shark River Inlet, New Jersey
Schijf Delta Project: Generalities on Coastal Processes and Protection
Sato et al. Field investigation of topographic response to floods and waves around Tenryu River mouth
EP2252741B1 (en) Sediment accretion method
Xie et al. Numerical study on hydrodynamic mechanism of sediment trapping by geotextile mattress with sloping curtain (GMSC)
Lahousse et al. Morphology of the southern North Sea coast from Cape Blanc-Nez (F) to den Helder (NL)
JPS6221915A (ja) 波浪制御構造物
Kawata Methodology of beach erosion control and it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