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58B1 -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 Google Patents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858B1
KR101372858B1 KR1020130109771A KR20130109771A KR101372858B1 KR 101372858 B1 KR101372858 B1 KR 101372858B1 KR 1020130109771 A KR1020130109771 A KR 1020130109771A KR 20130109771 A KR20130109771 A KR 20130109771A KR 101372858 B1 KR101372858 B1 KR 10137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pulsion engine
driving rod
nozzle
nozzle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영희
이효남
오석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10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8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8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thrust or thrust vector control
    • F02K9/86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thrust or thrust vector control using nozzle throats of adjustable cross-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7Rocket nozz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cross-sectional area of a nozzle throat provided in a nozzle portion installed in a propulsion eng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provided in an inlet side of the nozzle portion in the propulsion engine and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a housing hou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facing the nozzle portion; and a driving rod mounted in the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configured to be slid inside and outside the opening portion by using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ropulsion engine, and blocking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 throat by the sliding.

Description

이중추력 추진기관의 노즐목 조절장치{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본 발명은 연소가스를 이용하는 추진기관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apparatus of a propulsion engine using combustion gas.

일반적으로 이중추력 추진기관은 1단 구간에서의 높은 추력과 2단 구간에서의 낮은 추력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러한 이중추력 추진기관은 동일한 임펄스를 갖는 단일추력 추진기관에 비해 좋은 비행 효율을 갖는다. 여기서, 좋은 비행 효율이란 사거리 증가를 의미하는데, 그 원리는 1단 구간은 단시간 내에 추진기관을 원하는 속도에 도달시키도록 높은 추력을 갖게 하고, 이후 2단 구간은 추진기관의 비행 항력을 상쇄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낮은 추력으로 배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In general, double thrust propulsion engines are characterized by high thrust in the first stage and low thrust in the second stage. Such a double thrust propulsion engine has good flight efficiency compared to a single thrust propulsion engine having the same impulse. Here, good flight efficiency means increased range, the principle of which is that the first stage has a high thrust to reach the propulsion engine at the desired speed within a short time, and the second stage is enough to offset the flight drag of the propulsion engine. By distributing it with low thrust having a magnitude of.

일반적으로 고체 추진기관에서의 추력의 크기는 연소실 압력에 비례하는데, 연소실 압력이 낮을수록 같은 양의 추진제를 사용하더라도 추진제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중추력 추진기관에서 2단 구간은 낮은 추력에 상응하는 낮은 압력 때문에 연소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만약 2단 구간에서의 연소실 압력을 높일 수 있다면 추진기관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력은 다음과 같이 연소실 압력과 노즐목 단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노즐목의 단면적 조절을 통하여 추진기관의 전체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In general, the magnitude of thrust in a solid propulsion engine is proportional to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The lower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the lower the propellant efficiency is, even if the same amount of propellant is used. Therefore, the second stage of the dual thrust propulsion engine has a problem that the combustion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of the low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ow thrust. If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in the second stage can be increased,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ropulsion engine can be improved. Since the thrust is proportional to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and the nozzle neck cross section as follow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ropulsion engine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cross section of the nozzle neck.

F = C x P x AF = C x P x A

여기서 F는 추력, C는 추력계수, P는 연소실 압력, A는 노즐목의 단면적이다. 이식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수준의 추력을 내기 위해서 선택할 수 있는 압력과 노즐목 단면적의 조합은 두 가지가 될 수 있다. 하나는 낮은 연소실 압력에서 큰 단면적을 갖는 노즐목을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높은 연소실 압력에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노즐목을 사용하는 것이다.Where F is thrust, C is the thrust factor, P is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and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As can be seen from the implant, there can be two combinations of pressure and nozzle neck cross-sections that can be selected to produce the same level of thrust. One is to use a nozzle neck with a large cross sectional area at low combustion chamber pressures, and the other is to use a nozzle neck with a small cross sectional area at high combustion chamber pressures.

전자의 경우가 일반적인 이중추력 추진기관에 해당한다. 즉, 추력이 높은 1단 구간에서의 큰 노즐목이 2단 구간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2단 구간에서 낮은 수준의 추력을 내기 위해서는 연소 압력이 낮아야만 한다. 하지만, 연소 압력을 일정수준 이하로 낮출 경우 불안정 연소 또는 연소반응이 중단될 수도 있어, 이는 비효율적인 추진제 사용을 의미한다. The former is a typical double thrust propulsion engine. That is, since a large nozzle neck in the first stage with high thrust is used as it is in the second stage, the combustion pressure must be low in order to give a low level of thrust in the second stage. However, if the combustion pressure is lowered below a certain level, unstable combustion or the combustion reaction may be stopped, which means an inefficient use of propellant.

따라서, 이중추력 추진기관의 2단 구간에서 노즐목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제어하여 연소실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추력은 낮게 유지할 수 있는 노즐목 조절장치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a nozzle neck control device that can control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in the second stage of the dual thrust propulsion engine to reduce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while maintaining a low thrust.

본 발명은 이중추력 추진기관의 2단 연소구간에서 유효 노즐목의 단면적을 줄어들게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ffective nozzle neck in the two-stage combustion section of the dual thrust propulsion engine.

또한, 이중추력 추진기관의 연소구간별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피동적으로 노즐목의 단면적을 줄여주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passivel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by using the pressure chang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section of the double thrust propulsion engin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목 조절장치는, 추진기관에 설치되는 노즐부에 구비되는 노즐목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관 내의 상기 노즐부 입구측에 설치되고, 수용부를 구비하는 브래킷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노즐부와 마주보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 내외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구동로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provided in the nozzle unit provided in the propulsion engine, the propulsion engine A housing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nozzle portion, the bracket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facing the nozzle portion, and mount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nd out of the opening by using a pressure change in the engine, and includes a drive rod formed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nozzle neck by the slide movemen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도록 유입로를 형성하는 가스유입공, 및 상기 가스유입공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가스는 상기 추진기관 내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충전되고,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전된 상기 연소가스가 팽창되며 상기 노즐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rod is provided to cover the gas inlet hole, and a gas inlet hole for forming an inflow path so that the combustion gas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e gas And a check valve for introducing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hole into the housing, wherein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gas inlet hole according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opulsion engine and the housing. And the driving rod is filled with the combustion gas filled in the housing as the pressure in the propulsion engine is lowered, and the driving rod may slide toward the nozzle neck.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가스유입공과 연통 가능한 홀을 구비하는 밸브몸체와, 상기 구동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연통부재, 및 상기 연통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밸브몸체를 탄성가압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면, 상기 가스유입공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홀과 상기 가스유입공이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eck valve may include a valve body having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as inlet hole, a communication member coupled to the driving rod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flowing through the hole flows into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member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valve body, wherein the valve body is moved away from the gas inlet hole when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hole, thereby moving the hole and the A gas inlet may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gas to flow into the housing, and the combustion gas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as inle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로드의 외주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파단됨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late further includes a front end plat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to limit movement of the driving rod, and the front end plate is broken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driving rod.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driving rod can be released.

상기 전단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로드 외주에는 상기 구동로드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걸림홈에 결속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A lock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shear plate, and a stopp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d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and the stopper slides the driving rod in response to a pressure change in the propulsion engine. It is bound to the locking groove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e rod.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로드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일측이 개방된 링(ring) 형상일 수도 있다.The stopper may have a ring shape in which one side to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d is opened.

상기 노즐부에는 상기 구동로드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파단되는 상기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부가 수용되는 전단플레이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hear plate groove for receiving the fracture portion of the shear plate is broken as the drive rod slides.

상기 파단부는 상기 전단 플레이트의 내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reak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ear plate.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충전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로드 외주에 설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rod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to prevent leakage of the fluid filled in the housing.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로드가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목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막음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ro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rive rod, the drive rod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nozzle neck in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rod slides us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propulsion engine. It may further include.

연소구간의 천이에 따라 유효 노즐목 단면적을 감소시켜, 2단 구간에서 연소압력을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원하는 수준의 낮은 추력을 유지함으로써 2단 구간에서의 추진제 연소 효율을 높여 추진기관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effective nozzle neck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combustion section, and the combustion pressure is kept high in the second stage, while maintaining the low thrust level as desired. Can be.

또한, 연소구간별 연소압력의 변화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 피동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과도하게 높은 압력으로 인한 추진기관의 폭발문제 등을 방지하여 추진기관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is pass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mbustion pressure for each combustion section without any manipul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losion problem of the propulsion engine due to excessively high pressure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pulsion engin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목 조절장치에서, 구동로드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동로드가 이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노즐목 조절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노즐목 조절장치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체크밸브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연소가스의 유출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체크밸브를 통하여 연소가스가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a는 도 2a에 도시된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b는 도 2a에 도시된 구동로드에 의해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이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c는 도 2b에 도시된 전단 프레이트의 파단이 발생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전단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전단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a에 도시된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rive rod moves in the nozzle neck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driving rod shown in FIG. 1A moves.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ure 1a.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ure 1b.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ure 1a.
Figure 4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flow of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the check valve shown in Figure 2a.
4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a housing through the check valve illustrated in FIG. 2A.
FIG. 5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breakage of the shear plate shown in FIG. 2A occurs. FIG.
FIG. 5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ar plate break occurs by the driving rod illustrated in FIG. 2A; FIG.
FIG. 5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after fracture of the shear plate shown in FIG. 2B.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ear plate shown in Figure 1a.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hear plate shown in Figure 6a.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shown in FIG. 1A; FIG.

이하, 본 발명의 노즐목 조절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nozzle neck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목 조절장치에서, 구동로드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동로드가 이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a, 도2b는 각각 도 1a, 도 1b에 도시된 노즐목 조절장치의 A-A선,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rive rod is moved in the nozzle neck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drive rod shown in Figure 1a move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the nozzle neck adjus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A and 1B, respectively,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shown in FIG. 1A.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목 조절장치(100)는 브래킷(110), 하우징(120) 및 구동로드(1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중추력 추진기관(10)은 높은 추력이 발생하는 1단 구간과 낮은 추력이 발생하는 2단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추력은 추진제의 연소가스에 의한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과 노즐목(21)의 단면적과의 곱에 비례한다. 이때, 상기 2단 구간에서 상기 연소가스에 의한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을 지나치게 낮게 형성시킬 경우 불안정 연소에 따른 추진기관(10)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2단 구간에서 상기 연소가스에 의한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은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는 대신 노즐목(21)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추진기관(10)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기 2단 구간에서 요구되는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1A to 3, the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110, a housing 120, and a driving rod 130. In general, the dual thrust propulsion engine 10 is composed of a first stage section that generates high thrust and a second stage section that generates low thrust. Here, the thrust is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by the combustion gas of the propellan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throat 21. In this cas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due to the combustion gas is formed too low in the second stage, the performance of the propulsion engine 10 may be reduced due to unstable combustion. Instead of maintaining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due to the gas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cross section of the nozzle neck 21 is reduced, thereby generating thrust required in the second stage without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ulsion engine 10. You can.

브래킷(110)은 추진기관(10) 내의 노즐부(20) 입구측에 설치되며, 노즐목 조절장치(10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부(20) 내부에서 상기 연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노즐목 조절장치(100)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The bracket 110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nozzle unit 20 in the propulsion engine 10 and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combustion gas moves inside the nozzle unit 20. The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100 can be stably disposed on the path.

노즐부(20)는 추진기관(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노즐부(20)에는 노즐목(21)이 형성된다. 노즐목(21)은 추진기관(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연소가스가 추력을 발생시키며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면적은 노즐부(20)의 축을 중심으로 바라보는 상태에서 상기 연소가스가 분출되는 유로의 면적이다.The nozzle unit 20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propulsion engine 10, and a nozzle neck 21 is formed in the nozzle unit 20. The nozzle neck 21 is formed to have a small cross-sectional area such that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propulsion engine 10 escapes generating thrus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21 is viewe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nozzle unit 20. It is the area of the flow path from which the combustion gas is ejected.

하우징(120)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노즐부(20)와 마주보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상태의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housing 1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has an opening facing the nozzle part 20. Inside the housing 120 is formed a space for accommodating a fluid in the gas or liquid state.

구동로드(130)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하우징(130)에 장착되고,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하우징(120)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 내외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노즐목(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의 내부는 구동로드(13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어 일정압력이 유지되는 반면, 상기 1단 구간에서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은 고압으로 형성되는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고압으로 형성되고, 상기 2단 구간에서는 저압으로 전환되는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이 고압에서 저압으로 전환되게 된다.The driving rod 130 is mounted on the housing 130 to cover the opening, and is configur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opening provided in the housing 120 by a pressure change in the propulsion engine 10. It is formed to block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 neck 21 by the movement. More specifically,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is sealed by the drive rod 130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while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in the first stage is the combustion gas is formed at a high pressure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is converted from a high pressure to a low pressure by the combustion gas which is formed at a high pressure by the high pressure and is converted to a low pressure in the second stage section.

이에 따라, 상기 1단 구간에서 상기 2단 구간으로 전환될 때 하우징(120) 내부와 추진기관(10) 내부에는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차에 의해 하우징(120) 내부 유체의 압축 또는 팽창하는 현상으로 인해 구동로드(130)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구동로도(130)가 노즐목(21)의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로드(130)에 의해 밀폐된 하우징(120)의 내부를 고압의 기체가 충전된 상태로 형성하고,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1단 구간에서 상기 2단 구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고압에서 저압으로 바뀌면, 추진기관(10) 내부보다 상대적으로 고압 상태인 하우징(10) 내부에 충전된 기체가 팽창하며 구동로드(1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노즐목(21)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120 and the propulsion engine 10 when the first stage section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ge section,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auses the compression or expansion of the fluid inside the housing 120. Due to the phenomenon, the driving rod 130 slides, and the driving path 130 may be formed to block a part of the nozzle neck 21 by the slide movement. For exampl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sealed by the driving rod 130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gas of high pressure is filled, and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is increas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As the change from high pressure to low pressure, the gas filled in the housing 10 in a relatively high pressure state than the inside of the propulsion engine 10 expands and slides the driving rod 130 to move a part of the nozzle neck 21. It can be made to block.

한편, 구동로드(130)는 가스유입공(131), 및 체크밸브(137)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 rod 130 includes a gas inlet hole 131, and a check valve 137.

가스유입공(131)은 하우징(120)의 내부로 추진기관(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도록 유입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gas inlet hole 131 may form an inflow path so that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propulsion engine 10 flows into the housing 120.

체크밸브(137)는 가스유입공(131)을 덮도록 설치되고, 가스유입공(131)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체크밸브(137)는 도면에서 가스유입공(131)의 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스유입공(131)의 상기 유입로가 형성되는 경로 상의 다른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체크밸브(137)는 상기 연소가스의 이동방향을 한 방향으로 제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소가스가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연소가스가 하우징(120)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137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gas inlet hole 131 and may introduce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hole 131 into the housing 120. Although the check valve 137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as inlet hole 131 in the drawing, it may be installed at another position on the path where the inlet path of the gas inlet hole 131 is formed. The check valve 137 limi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to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mbustion gas may be allowed to flow into the housing 120, and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may be restricted from flowing out of the housing 120.

이에 따라, 상기 연소가스는 추진기관(10) 내부와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가스유입공(131)을 통해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되어 충전되고, 상기 2단 구간에서 상기 추진제의 연소량이 조절됨에 따라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이 함께 낮아진다.Accordingly,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gas inlet hole 131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of the propulsion engine 10 and the housing 120, and is charged. As the amount of combustion is controlled,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is lowered together.

이때, 하우징(120) 내부에 충전된 상기 연소가스는, 체크밸브(137)에 의해서 하우징(120) 외부로의 유출이 제한됨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에서 팽창되어 구동로드(130)를 노즐목(21)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켜 노즐목(21)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bustion gas filled in the housing 120 is expanded in the housing 120 as the outflow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is limited by the check valve 137 to move the drive rod 130 to the nozzle neck.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21 can be adjusted by sliding toward 21.

그리고, 구동로드(130)는 하우징(120) 내에 충전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동로드(130) 외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연소가스는 하우징(120) 외부로의 누출없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1단 구간에서 상기 2단 구간으로 추진기관(10)의 추력이 전환되면 구동로드(130)의 이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rod 130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160 installed outside the driving rod 130 to prevent leakage of the fluid filled in the housing 120. Accordingly, when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is charged without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when the thrust of the propulsion engine 10 is chang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the driving gas is driven. The movement of the rod 130 can be made more accurately.

또한, 노즐목 조절장치(100)는 구동로드(130)의 단부에 설치되는 막음봉(1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막음봉(138)은 구동로드(130)가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가스가 추진기관(10)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하고, 노즐목(21)의 내주면과 근접하도록 대응되게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rod 138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riving rod 130. The blocking rod 138 is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rod 130 slides using a pressure chang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except for a space in which the combustion gas may be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propulsion engine 10. The nozzle neck 21 is disposed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이하, 체크밸브(137)를 통해 하우징(120) 내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하우징(120) 외부로 상기 연소가스의 유출이 방지되며 하우징(120)의 내부가 밀폐되는 동작 메커니즘에 대하여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chanism in which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check valve 137, the outflow of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is prevented,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is seal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B.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체크밸브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연소가스의 유출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체크밸브를 통하여 연소가스가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이다.Figure 4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flow of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the check valve shown in Figure 2a, Figure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heck valve shown in Figure 2a. Concept.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체크밸브(137)는 밸브몸체(133), 연통부재(135), 및 탄성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4A and 4B, the check valve 137 may include a valve body 133, a communication member 135, and an elastic member 134.

밸브몸체(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유입공(131)과 연통 가능한 Y형의 홀(132)을 구비할 수 있다. 홀(132)은 밸브몸체(133)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valve body 133 may be provided with a Y-shaped hole 132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gas inlet hole 131 as shown. At least one hole 132 may be provided in the valve body 133.

연통부재(135)는 구동로드(130)에 결합되고, 홀(132)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가스가 하우징(120) 내로 유입되는 연통홀(136)을 구비할 수 있다. 연통부재(135)는 연통홀(136)을 제외한 부분으로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동로드(130)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mber 135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rod 130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136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hole 132 flows into the housing 120. The communication member 135 may be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rod 130 to limit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to a portion excluding the communication hole 136.

탄성부재(134)는 연통부재(135)에 지지되어 밸브몸체(133)를 탄성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134)는 도면에서 스프링구조로 도시되었으나,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 고무 또는 탄성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elastic member 134 may be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member 135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valve body 133. Although the elastic member 134 is illustrated as a spring structure in the figure, it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or elastic pad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이에 따라, 추진기관(10)이 작동되기 전 밸브몸체(13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가스유입공(131)을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추진기관(10)이 작동을 시작하면,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이 고압으로 변하고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하우징(120) 내부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구동로드(130)에 구비되는 가스유입공(131)으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힘에 의해 밸브몸체(133)가 탄성부재(134)를 밀어내며 가스유입공(1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밸브몸체에 구비되는 홀(132)을 통해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연통홀(136)을 통해 하우징(120) 내로 이동하여 충전되게 된다.Accordingly, before the propulsion engine 10 is operated, the valve body 133 is elastically pressurized by the elastic member 134 as shown in FIG. 4A to seal the gas inlet hole 131. When the propulsion engine 10 starts to operate,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changes to a high pressure, and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which is in a relatively low pressure state. At this time, as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gas inlet hole 131 provided in the driving rod 130, as shown in FIG. 4B, the valve body 133 is elastically elastic ( Push 134 to move away from the gas inlet 131. At this time,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hole 132 provided in the valve body and moved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6 to be filled.

그리고, 추진기관(10)이 상기 2단 구간으로 전환되어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하우징(120) 내부는 추진기관(10) 내부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인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에 충전된 상기 연소가스는 하우징(120) 외부로 빠져나가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밸브몸체(133)는 상기 연소가스의 유입이 중지됨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가스유입공(131)을 밀폐하며, 하우징(120) 내부의 상기 연소가스가 가스유입공(13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propulsion engine 10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g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is lowere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is changed to a state of relatively high pressure than the propulsion engine 10. Accordingly, the combustion gas filled in the housing 120 is abou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occurs. In this case, as the inlet of the combustion gas is stopped, the valve body 133 is elastically pressurized by the elastic member 134 as shown in FIG. 4A to close the gas inlet hole 131,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The combustion gas of the may be made to prevent the outflow through the gas inlet 131.

이하, 전단플레이트(140)가 구동로드(1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파단됨에 따라, 구동로드(130)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는 동작 메커니즘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s the front plate 140 is broken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drive rod 130, an operation mechanism in which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drive rod 130 is relea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B.

도 5a는 도 2a에 도시된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b는 도 2a에 도시된 구동로드에 의해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이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5c는 도 2b에 도시된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이 발생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FIG. 5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before breaking of the shear plate shown in FIG. 2A. FIG. 5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hear plate is broken by the driving rod shown in FIG. 2A.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after the failure of the shear plate shown in FIG. 2B.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전단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전단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hear plate shown in FIG. 1A,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shear plate illustrated in FIG. 6A.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구동로드(130)의 외주에 설치되어 구동로드(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단 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플레이트(1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 구간에서, 상기 연소가스가 하우징(120) 내로 유입됨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에 증가하는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구동로드(130)가 슬라이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된다. 이때, 전단 플레이트(140)는 구동로드(1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한다.5A to 6B, the front plate 140 may be furthe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13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ing rod 130. 2A, the driving plate 130 is driven by the combustion gas that increases in the housing 120 as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housing 120 in the first stage. The force to move the slide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shear plate 140 limits the slide movement of the drive rod 130.

그리고, 추진기관(10)이 상기 2단 구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에 상기 연소가스가 팽창하고, 구동로드(1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에따라 전단 플레이트(140)는 도 5b,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에 파단이 발생하며 구동로드(130)의 이동 제한을 해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propulsion engine 10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ge, the combustion gas expands inside the housing 120, and the front plate 140 slides as the driving rod 130 slides. As shown in FIG. 5C, a break occurs in part and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driving rod 130 may be released.

노즐부(20)에는 도 5b,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드(13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파단되는 전단 플레이트(140)의 파단부(147)가 수용되는 전단 플레이트 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로드(130)는 파단부(14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걸림현상 없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5B and 5C, the nozzle part 20 is provided with a shear plate groove 145 in which the fracture portion 147 of the shear plate 140 is broken as the driving rod 130 slides. Can be. Accordingly, the driving rod 130 may be made to slide without the locking phenomenon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break 147.

한편, 전단 플레이트(140)의 내측에는 걸림홈(142)이 형성되고, 구동로드(130) 외주에는 구동로드(130)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토퍼(1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드(130)의 외주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간에서 하우징(120)의 내벽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구동로드(13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42)에 결속되어 구동로드(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groove 14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late 140, the stopper 150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er side of the driving rod 13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130. The stopper 150 may be installed in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130 as shown in FIG. 2A,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0 in the first section. Then, when the driving rod 130 slides in response to the pressure change in the propulsion engine 10, as shown in FIG. 5C, the driving rod 130 may be bound to the locking groove 14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ing rod 130. .

파단부(147)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드(1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정크기 이상의 힘을 전달 받으면 파단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전단 플레이트(140)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부(247)는, 전단 플레이트(240)의 내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파단이 발생될 수 있어 상기 파단이 원하는 시점에 발생되지 못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추진기관(10)의 작동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A, the break 147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ear plate 140 so that break occurs when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transmitted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driving rod 130.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break portions 24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ear plate 240. Accordingly, the break may be generated with a smaller force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of the propulsion engine 10 that may occur by not causing the break at a desired time.

도 7은 도 1a에 도시된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opper shown in FIG. 1A. FIG.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드(130)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일측이 개방된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구동로드(130)가 이동하면 걸림홈(142)에 결속되어 구동로드(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topper 150 has a ring shape in which one side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d 130 is opened as shown, and is driven according to a pressure change in the propulsion engine 10. When the rod 130 moves, the rod 130 may be bound to the locking groove 14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ing rod 1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기관(10)의 노즐목(21) 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없이 상기 1단 및 2단 구간에 따라 추진기관(10)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는 시점에 피동적으로 노즐목 조절장치(100)가 작동하여 노즐목(21)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단계별로 추력의 변화가 발생되는 추진기관(10)의 안정적이며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t the tim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10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ithout any operation for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21 of the propulsion engine 10. By passively operating the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100 to adjust the area of the nozzle neck 21, a stable and accurate operation of the propulsion engine 10 in which a change in thrust is generated step by step can be achieved.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됨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비교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수준에서 변형, 부가, 삭제, 치환 가능한 발명 등 모든 균등한 수준의 발명에 대하여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modified, added, delet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ompar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grasped from the claims It is obvious that all equivalent levels of invention, such as substitutable inven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노즐목 조절장치 110 : 브래킷
120 : 하우징 130 : 구동로드
140 : 전단 플레이트 150 : 스토퍼
160 : 씰링부재
100: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110: bracket
120 housing 130 drive rod
140: shear plate 150: stopper
160: sealing member

Claims (10)

추진기관에 설치되는 노즐부에 구비되는 노즐목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관 내의 상기 노즐부 입구측에 설치되고, 수용부를 구비하는 브래킷;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노즐부와 마주보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 내외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도록 유입로를 형성하는 가스유입공; 및
상기 가스유입공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가스는 상기 추진기관 내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충전되고,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전된 상기 연소가스가 팽창되며 상기 노즐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가스유입공과 연통 가능한 홀을 구비하는 밸브몸체;
상기 구동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연통부재; 및
상기 연통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밸브몸체를 탄성가압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면, 상기 가스유입공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홀과 상기 가스유입공이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provided in the nozzle unit provided in the propulsion engine,
A bracket installed at the nozzle part inlet side of the propulsion engine and having a receiving part;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nozzle portion; And
A driving rod mount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opening by using a pressure chang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the driving rod being formed to block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 neck by the slide movement Including,
The driving rod is
A gas inlet hole forming an inflow path so that combustion gas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 check valve installed to cover the gas inlet hole and introducing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hole into the housing;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gas inlet hole and fil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opulsion engine and the housing,
As the pressure of the driving rod is lowered in the propulsion engine, the combustion gas filled in the housing is expanded and slides toward the nozzle neck.
The check valve
A valve body having a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gas inlet hole;
A communication member coupled to the driving rod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hole flows into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member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valve body;
When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hole, the valve body is moved away from the gas inlet hole so that the hole and the gas inlet ho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prevent the outflow through the gas in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추진기관에 설치되는 노즐부에 구비되는 노즐목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관 내의 상기 노즐부 입구측에 설치되고, 수용부를 구비하는 브래킷;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노즐부와 마주보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 내외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구동로드; 및
상기 구동로드의 외주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파단됨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neck provided in the nozzle unit provided in the propulsion engine,
A bracket installed at the nozzle part inlet side of the propulsion engine and having a receiving part;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nozzle portion;
A driving rod mount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opening by using a pressure chang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the driving rod being formed to block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 neck by the slide movement ; And
A front plat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ing rod,
The shear plate is broken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drive rod, the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drive rod is relea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로드 외주에는 상기 구동로드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걸림홈에 결속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shear plate,
A stopp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d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The stopper is a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ive rod slides in response to a pressure change in the propulsion engine, the driving rod is bound to the locking groov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e r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로드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일측이 개방된 링(ring)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opper is a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shaped (open) one side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drive r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상기 구동로드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파단되는 상기 전단 플레이트의 파단부가 수용되는 전단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ozzl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neck is provided with a shear plate groove for receiving the breaking portion of the shear plate is broken as the drive rod slid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는 상기 전단 플레이트의 내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reaker is a nozzle neck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ear plat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충전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로드 외주에 설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And the driving rod includes a sealing membe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d to prevent leakage of fluid filled in the housing.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로드가 상기 추진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목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막음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목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It is installed on the end of the drive rod, the nozzle neck adjus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rod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zzle neck in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rod slides using the pressure change inside the propulsion engine. .


KR1020130109771A 2013-09-12 2013-09-12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KR101372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771A KR101372858B1 (en) 2013-09-12 2013-09-12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771A KR101372858B1 (en) 2013-09-12 2013-09-12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858B1 true KR101372858B1 (en) 2014-03-10

Family

ID=5064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771A KR101372858B1 (en) 2013-09-12 2013-09-12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8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7602A1 (en) * 2014-12-17 2016-06-23 Herakles Device for modulating a gas ejection s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8312A (en) 1969-10-22 1971-09-28 Us Navy Self-actuated dual area annular nozzle
US4826104A (en) 1986-10-09 1989-05-02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Thrust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8312A (en) 1969-10-22 1971-09-28 Us Navy Self-actuated dual area annular nozzle
US4826104A (en) 1986-10-09 1989-05-02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Thruste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7602A1 (en) * 2014-12-17 2016-06-23 Herakles Device for modulating a gas ejection section
FR3030634A1 (en) * 2014-12-17 2016-06-24 Herakles GAS EJECTION SECTION MODULATION DEVICE
US10690090B2 (en) 2014-12-17 2020-06-23 Arianegroup Sas Device for modulating a gas ejection s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409B1 (en) Pressure package system
KR20110073234A (en) Damper
US9573557B2 (en) Valve for a cold gas generator and airbag system
KR20180071261A (en) Fluid control valve
KR101372858B1 (en) Nozzle throat control apparatus of dual propulsion system
US20150369263A1 (en) Actuator unit
CN210920179U (en) Valve structure and liquid engine
EP3835600B1 (en) Hydraulic cylinder
WO2018047647A1 (en) Damping valve and cylinder device
CN205331496U (en) Two three -way valves of electromagnetism elder generation air guide accuse
JP5661407B2 (en) solenoid valve
JP2018009676A (en) Solenoid type cutoff valve
KR101897735B1 (en) Accumulator
US10145481B2 (en) Pneumatic valve
US4465090A (en) Air relay
JP2011243217A (en) Vacuum control valve and vacuum control system
KR101388497B1 (en) Variable nozzle apparatus of dual thrust propulsion system
JP4828642B1 (en) Vacuum control valve and vacuum control system
GB2193757A (en) Door closer
US3704855A (en)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an element
GB2148449A (en) Shock absorber with fluid end stop
JP6796291B2 (en) Air cylinder
CN215719138U (en) Pneumatic control valve and liquid engine
KR101871582B1 (en) Rotary type valve avd nozzle assembly structure
RU2528591C1 (en) Constant low-pressure shutoff electropneumatic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