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045B1 - Multi unit - Google Patents

Multi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045B1
KR101370045B1 KR1020120053408A KR20120053408A KR101370045B1 KR 101370045 B1 KR101370045 B1 KR 101370045B1 KR 1020120053408 A KR1020120053408 A KR 1020120053408A KR 20120053408 A KR20120053408 A KR 20120053408A KR 101370045 B1 KR101370045 B1 KR 10137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data
charg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9504A (en
Inventor
문수섭
김성두
Original Assignee
문수섭
(주)모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섭, (주)모던텍 filed Critical 문수섭
Priority to KR102012005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045B1/en
Publication of KR20130129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인렛(in-let)부와 상기 충전 유니트의 아웃렛(out-let)부를 호환시킴으로써, 다양한 인렛부를 갖는 차량을 충전시킬 수 있다.In the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art of the vehicle and the out-let part of the charging unit are compatibl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for charging the vehicle. The vehicle can be charged.

Description

멀티 유니트{MULTI UNIT}Multi Unit {MULTI UNIT}

본 발명은 멀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과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과 상기 충전 유니트를 연결시키는 멀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unit, and relates to a multi unit for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전기 차량(EV : Electronic Vehicle)에는 EV 배터리가 설치되며, 배터리 제어 시스템으로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설치된다. An EV battery i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EV),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s installed as a battery control system.

현재, 녹색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서 전기 차량에 관한 연구는 물론 전기 차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기 차량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발 진행 단계에 불과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는 물론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합되는 충전 시스템이 보급화되지 못하고 있다.Currently,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y, a lot of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as well as electric vehicles. However, the charging system that meets a variety of consumer needs as well as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only to the development progress stage so far has not been populariz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75147호에는 발전기 제어 신호와 발전기 상태 신호를 동일 전송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인렛부를 갖는 차량과 일정한 아웃렛부를 갖는 충전 유니트를 전력적/통신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275147 discloses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 generator control signal and a generator status signal through the same transmission line, but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 telecommunicationally connect a vehicle having various inlets and a charging unit having a constant outlet. Has not been present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75147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0275147

본 발명은 차량과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과 상기 충전 유니트를 연결시키는 멀티 유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unit for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인렛(in-let)부와 상기 충전 유니트의 아웃렛(out-let)부를 호환시킬 수 있다.The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in-let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out-let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compatibl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for su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vehicle.

또한, 차량과 상기 차량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제1 데이터와 상기 충전 유니트의 제2 데이터를 호환시킬 수 있다.Further,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can be made compatibl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vehicle.

또한, 차량과 상기 차량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인렛(in-let)부와 상기 충전 유니트의 아웃렛(out-let)부를 호환시키고, 상기 차량의 제1 데이터와 상기 충전 유니트의 제2 데이터를 호환시킬 수 있다.
The in-let part of the vehicle and the out-let part of the charging unit are made compatibl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vehicle, and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can be made compatible.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는 차량의 인렛부와 충전 유니트의 아웃렛부를 호환시킴으로써 다양한 인렛부를 갖는 차량을 충전시킬 수 있다.The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a vehicle having various inlet portions by making the inlet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outlet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compatible.

또한, 차량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와 충전 유니트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호환시킴으로써 신뢰성 있는 차량의 충전이 가능하고, 위 데이터를 이용해 충전 유니트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를 통해 충전 제어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used in the vehicle and the data used in the charging unit are compatible to enable reliable charging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he charging unit using the above data. Through this, charging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유럽의 차량 인렛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미국의 차량 인렛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일본의 차량 인렛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중국의 차량 인렛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let portion of Europ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let portion of the United States.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let portion of Japa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let portion of China.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1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ulti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멀티 유니트(110)는 차량(130)(vehicle)과 상기 차량(13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150)(charging unit)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130)의 인렛(in-let)부와 상기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out-let)부를 호환시킨다.The multi unit 110 shown in FIG. 1 is an inlet of the vehicle 130 between a vehicle 130 and a charging unit 150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vehicle 130. The in-let part and the outlet part of the charging unit 150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충전 유니트(150)로부터 충전용 전력을 공급받는 차량(130)은 소위 전기 자동차와 같이 전력으로 운행되는 운행체일 수 있다.The vehicle 130 supplied with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150 may be a vehicle driven by electric powe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이와 같은 차량(130)은 내부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139)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배터리(139)를 충전시키는데 충전 유니트(150)가 이용된다. 이때의 충전 유니트(150)는 주유소의 주유기와 유사한 지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vehicle 130 includes a battery 139 capable of storing power therein, and the charging unit 150 is used to charge the battery 139.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150 may be regarded as being in a position similar to that of the gas station.

주유기의 주유 노즐과 차량(130)의 주유구는 규격화되어 있어 동일한 주유기로 다양한 차량(130)을 주유할 수 있다.Since the oil supply nozzle of the oil feeder and the oil filling hole of the vehicle 130 are standardized, various vehicles 130 may be oiled by the same oil feeder.

그러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인렛부(131), 소위 소켓의 형상이 다양한 관계로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 소위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and the so-called connector cannot be connected due to various shapes of the inlet portion 131 and the so-called socket.

이러한 문제는 인렛부(131)에 대한 규격이 국가별, 제조사별로 다른데서 기인한다. 또한, 일반 주유와 달리 차량(130) 충전시에는 충전 유니트(150)에서 차량(130) 정보를 입수하여 충전 상태 등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데 차량(13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도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 유니트(150)에서는 경우에 따라 차량(130) 정보를 획득하지 못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충전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This problem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pecifications for the inlet portion 131 are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and manufacturer. In addition, unlike normal fueling, when charging the vehicle 130,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vehicle 130 information from the charging unit 150 to detect the charging state, etc.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from the vehicle 130 is not uniform. I can't. Therefore, in some cases, the charging unit 150 may not be able to perform reliable charging by failing to acquire the vehicle 130 information.

결과적으로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 유니트(150)가 다양한 차량(130)을 충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전기 자동차 등의 전력 이용 차량(130)의 보급화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ging unit 150 is unable to charge the various vehicles 130 in the charging system, which is a major obstacle to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130, such as electric vehicle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110)가 이용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ulti-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멀티 유니트(110)는 차량(130)과 충전 유니트(1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차량(130)의 인렛(in-let)부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out-let)부를 호환시킨다.The multi unit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and makes an in-let portion of the vehicle 130 compatible with an outlet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150.

이를 위해 멀티 유니트(110)는 인렛부(131)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제1 연결부(111), 아웃렛부(152)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가 마련된 제2 연결부(112) 및 제1 연결부(111)와 상기 제2 연결부(112)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ulti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11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inlet part 13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12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152. )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113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2.

이때,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5핀 ~ 12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composed of 5 pin ~ 12 pin.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차량(130)의 인렛부(131)는 다양한 규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tandards.

도 2 내지 도 5는 차량(130)의 인렛부(131)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to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도 2는 유럽의 인렛부(131)를 나타내고, 도 3은 미국의 인렛부(131)를 나타낸다. 도 4는 일본의 인렛부(131)이고, 도 5는 중국의 인렛부(131)이다.2 shows the inlet portion 131 of Europe, and FIG. 3 shows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United States. 4 is an inlet portion 131 of Japan, and FIG. 5 is an inlet portion 131 of China.

살펴보면, 핀의 패치, 형태 등이 모두 다른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it, you can see that the patch, shape, etc. of the pins are all different.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차량(130) 인렛부(131)를 충전 장치의 아웃렛부(152)에 연결시키기 위해 멀티 유니트(110)는 제1 연결부(111)를 포함한다.As such, the multi-unit 1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11 to connect the various types of vehicle inlet part 131 to the outlet part 152 of the charging device.

제1 연결부(111)는 인렛부(131)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11)는 각 종류별로 마련된 제1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량(130)의 인렛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 각 국가별, 제조사별로 마련되었거나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렛부(131)의 홀 수가 5 ~ 12이므로 제1 커넥터는 5핀 ~ 12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may have one or more first connectors connected to the inlet part 131. Therefore, since the first connector 11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provided for each type, the first connector 111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s 131 of the various vehicles 130. Since the number of holes of the inlet portion 131 is provided or expected to be provided by each country, manufacturer, 5-12, the first connector may be composed of 5 pin ~ 12 pin.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connector.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마찬가지로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도 해당 차량(130)에 적용 가능하도록 아웃렛부(152)가 형성될 것이므로 아웃렛 역시 다양하게 형성된다. 다양한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를 차량(130)의 인렛부(131)에 연결하기 위해 제2 연결부(112)는 아웃렛부(152)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112)는 각 종류별로 마련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에 연결될 수 있다.Like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is also formed in the outlet portion 152 to be applicable to the vehicle 130, the outlet is also variously formed. In order to connect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various charging units 150 to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2 may have one or more second connectors connected to the outlet portion 152. have. Therefore, sinc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provided for each typ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152 of the various charging units 150.

이상의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12)에 의하면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는 멀티 유니트(110)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멀티 유니트(110)의 목적은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를 연결시키는 것이므로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12)를 연결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 제3 연결부(113)가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described above, the inlet part 131 of the vehicle 130 and the outlet par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are connected to the multi unit 110. Since the purpose of the multi unit 110 is to connect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and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2. Means are needed. In this means, the third connector 113 may be used.

제3 연결부(113)는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12)를 연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량(130)과 충전 유니트(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3 연결부(113)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에서 대응되는 핀끼리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연결부(113)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12)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거나, 충전 유니트(150)로부터 공급된 충전용 전력을 정류, 감압, 승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113 connects the first connector 11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 to thereby electrically connect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The third connection part 113 may have a structure for connecting pi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wire to form a passag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2, or means for rectifying, reducing pressure, boosting the power for charging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150 It may include.

이상의 제1 연결부(111), 제2 연결부(112), 제3 연결부(113)에 의하면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의 종류에 상관없이 차량(130)을 충전 유니트(15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13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inlet part 131 of the vehicle 130 and the outlet par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The vehicle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50.

제1 연결부(111), 제2 연결부(112), 제3 연결부(113)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1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1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ulti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는 충전 대상 차량(130)의 인렛부(131)가 도 5의 규격을 따르고,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가 도 2의 규격을 따르는 경우가 개시된다.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inlet part 131 of the charging target vehicle 130 follows the standard of FIG. 5, and the outlet par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follows the standard of FIG. 2.

이러한 경우 인렛부(131)와 아웃렛부(152)의 규격 차이로 인하여 서로 연결할 수 없는 상태이다.In this case,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ations between the inlet portion 131 and the outlet portion 152 is a state that can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도 5의 규격을 따르는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제1 연결부(111)와 도 2의 규격을 따르는 제2 커넥터가 마련된 제2 연결부(112)를 포함하는 멀티 유니트(110)를 이용하면 인렛부(131)와 아웃렛부(15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의 멀티 유니트(110)는 아웃렛부(152)에 끼울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충전용 전력 공급자는 이러한 구성의 멀티 유니트(110)를 다양한 인렛부(131)/아웃렛부(152)의 규격에 대응하도록 마련해 두면, 차량(130), 충전 유니트(150)의 종류에 상관없이 충전용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ulti unit 110 including the first connector 111 provided with the first connector compliant with FIG. 5 and the second connector 112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or compliant with FIG. The 131 and the outlet 1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multi unit 110 may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o that the multi uni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let unit 152. If the charging power supplier provides the multi unit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various inlet parts 131 and the outlet parts 152, the charging power supplier may be charg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Can provide power.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1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는 지면에 설치되는 멀티 유니트(110)가 개시된다.7 discloses a multi unit 110 installed on the ground.

도 7에 도시된 멀티 유니트(110)는 복수의 제1 커넥터가 마련된 제1 연결부(111)와 복수의 제2 커넥터가 마련된 제2 연결부(112)를 포함한다.The multi unit 110 illustrated in FIG. 7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1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1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제1 커넥터는 차량(130)의 인렛부(131)에 연결되는 수단이므로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와 같은 노즐의 형태를 갖는다. 제2 커넥터는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에 연결되는 수단이므로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같은 소켓의 형태를 갖는다.Since the first connector is a mean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the first connector may have the same nozzle shape as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Since the second connector is a means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the second connector has the same socket shape as the inlet part 131 of the vehicle 130.

도 7의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12)는 위에서부터 아래 순서로 도 2, 도 3, 도 4, 도 5의 규격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구성되고 있다. 물론, 각 커넥터의 종류, 개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유니트(110)는 도 2 내지도 5의 규격에 따른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를 지원한다.The first connector 11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 of FIG. 7 are configured as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FIGS. 2, 3, 4, and 5 in the or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course, the type, number, and order of each connector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the multi unit 110 supports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and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FIGS. 2 to 5.

도 7에서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가 도 2의 규격을 따르고, 차량(130)의 인렛부(131)가 도 5의 규격을 따르는 경우를 상정하면, 아웃렛부(152)는 제2 연결부(112)에서 맨 위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고, 제1 연결부(111)에서 맨 아래의 제1 커넥터가 차량(130)의 인렛부(131)에 연결된다. 차량(130)과 멀티 유니트(110) 사이가 이격될 수 있으므로 제1 연결부(111)는 내부 또는 외부에 각 제1 커넥터에 연결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In FIG. 7, when the outlet par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follows the standard of FIG. 2, and the inlet part 131 of the vehicle 130 complies with the standard of FIG. 5, the outlet part 152 is The second connector 112 is connected to the top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111 at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Since the vehicle 130 and the multi unit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may include a cable connected to each first connector inside or outside.

도 7에서는 내부에 케이블이 마련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커넥터를 잡아당기면 제1 커넥터는 멀티 유니트(110)로부터 벗어나 차량(130)의 인렛부(131)까지 연장된다. 이때, 차량(130)까지의 길이가 일정할 수는 없으므로 케이블의 노출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In FIG. 7, the case where a cable is provided in the inside is shown. Pulling the first connector extends from the multi unit 110 to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At this time, since the length to the vehicle 130 may not be constan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exposure length of the cable.

이를 위해 멀티 유니트(110)는 조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ulti unit 110 may include an adjusting unit (not shown).

조정부는 멀티 유니트(110)에 대한 케이블의 노출 길이를 조정하고, 충전 완료 후 케이블이 멀티 유니트(110)에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케이블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may adjust the exposure length of the cable to the multi unit 110, and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able so that the cable is easily received in the multi unit 110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도 7의 멀티 유니트(110)에는 복수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마련되므로 멀티 유니트(110)가 복수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Since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and the second connectors are provided in the multi unit 110 of FIG. 7, the multi unit 110 need not be provided in plurality.

한편,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는 멀티 유니트(11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연결부(112)에는 해당 아웃렛부(152)에 대응하는 제2 커넥터만 마련되면 충분하다. 이때의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의 규격과 무관하게 형성되어도 좋다.The outlet uni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multi unit 110.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only the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outlet part 152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The second connector at this time may be formed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 of the first connector.

멀티 유니트(110)의 위치는 차량(130)과 충전 유니트(150)의 사이이다. 따라서,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사용자는 충전 유니트(150)보다 멀티 유니트(110)에 가깝게 위치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멀티 유니트(110)에서 충전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multi unit 110 is between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Therefore, the user who supplies the charging power is located closer to the multi unit 110 than the charging unit 150.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the us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charging information in the multi unit 110 and to control the charging.

이를 위해 멀티 유니트(110)는 제어부(115), 표시부(116), 입력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ulti unit 110 may include a controller 115, a display unit 116, and an input unit 117.

제어부(115)는 차량(130)의 정보와 충전 유니트(150)의 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5 may obtai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30 and charging information of the charging unit 150.

충전용 전력을 공급할 경우 차량(130)에 포함된 배터리(139)의 충전 상태 등을 포함하는 차량(130)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충전 유니트(15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용 전력량 등의 충전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When the charging power is supplie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vehicle 130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39 included in the vehicle 130.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harging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power for charging provided from the charging unit 150.

제어부(115)는 차량(130) 정보와 충전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여 충전 중단 시기, 충전 비용 등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5 may obtain and process the vehicle 130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charging stop time, the charging cost, and the like.

표시부(116)는 제어부(115)의 출력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16)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피커 등의 청각적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5)의 출력 데이터는 제어부(115)에서 획득된 데이터이거나 제어부(115)에서 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16)에는 배터리(139)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차량(130) 정보, 충전 정보, 충전 비용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6 displays the output data of the control unit 115. The display unit 116 may include a display and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The output data of the controller 115 may be data acquired by the controller 115 or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5.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16 may display the vehicle 130 information, the charging information, the charging cost, and the like, which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39.

입력부(117)는 충전 유니트(15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의 제어 신호는 충전 유니트(150)에 의한 충전용 전력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이때의 온오프 제어 신호는 제어부(115)와 연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30) 사용자가 설정 금액만큼의 충전을 소망하는 경우 입력부(117)를 통해 설정 비용을 입력하면 설정 비용만큼의 충전용 전력이 공급된 후 충전이 오프된다. 내부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The input unit 117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150.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includes a signal for turning on and off the supply of the charging power by the charg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on-off control signal may be mad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115.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vehicle 130 desires to charge as much as the set amount of money, when the user inputs the set cost through the input unit 117, the charging is turned off after supplying the set amount of charging power. The internal operation process may be as follows.

입력부(117)를 통해 설정 비용이 입력되면 제어부(115)는 충전 온 신호를 충전 유니트(150)로 전송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부(115)에서 직접 감지하거나 충전 유니트(150)로부터 전송받아 전력량 대비 비용을 설정 비용에서 차감한다. 이렇게 차감된 비용이 0이 되면 제어부(115)는 충전 오프 신호를 충전 유니트(150)로 전송하고 충전은 종료된다.When the set cost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7, the control unit 115 transmits a charge on signal to the charging unit 150 to perform charging. Then,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is directly sensed by the controller 115 or received from the charging unit 150 to reduce the cost compared to the amount of power from the setting cost. When the subtracted cost is 0, the controller 115 transmits a charge-off signal to the charging unit 150 and the charging is terminated.

또한, 입력부(117)는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차량(130) 충전은 짧은 시간에 충전을 수행하는 급속 충전과, 급속 충전 대비 적은 비용을 요구하는 대신 긴 시간에 걸쳐 충전을 수행하는 완속 충전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은 비용과 관계되므로 차량(13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130)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부(117)를 통해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17 may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The charging of the vehicle 130 may be performed by one of rapid charging, which performs charging in a short time, and slow charging, which performs charging over a long time instead of requiring less cost than the rapid charging. In this case, since the fast charging and the slow charging are related to the cos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pid charging and the slow charging are perform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of the vehicle 130. The request of the vehicle 130 user may be ref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17.

한편, 표시부(116)와 입력부(11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터치 스크린으로 표시부(116)와 입력부(117)를 형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6 and the input unit 117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16 and the input unit 117 may be formed using a touch screen.

멀티 유니트(110)에 제어부(115), 표시부(116), 입력부(117)가 포함되면, 충전 유니트(150)의 충전 제어부(155), 충전 표시부(156), 충전 입력부(157)는 배제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15, the display unit 116, and the input unit 117 are included in the multi unit 110, the charge control unit 155, the charge display unit 156, and the charge input unit 157 of the charging unit 150 may be excluded. Can be.

이상에서는 충전용 전력이 공급되는 라인을 중심으로 멀티 유니트(110)를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교환을 중심으로 멀티 유니트(110)를 살펴보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multi-unit 110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line to which charging power is supplied. Hereinafter, the multi unit 110 will be described based on data exchange.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용 전력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충전 유니트(150) 또는 멀티 유니트(110)에서 차량(130) 정보를 알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normally, it is necessary to know the vehicle 130 information from the charging unit 150 or the multi unit 110.

그런데, 차량(13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충전 유니트(150) 또는 멀티 유니트(11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와 다를 수 있다. 이는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마찬가지로 국가별, 제조사별로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차량(130)에 이용되기 때문이다.However,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30 may be different from the data used in the charging unit 150 or the multi unit 110. This is because various data communication methods for each country and manufacturer are used for the vehicle 130 similarly to the inlet unit 131 of the vehicle 130.

이때, 차량(130)이 이용하는 통신 방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방식,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 등 다양하다. 이에 따라 충전 유니트(150)에서는 해당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차량(130)으로부터 전송된 차량(130) 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 이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경우에 따라 차량(130)에 탑재된 차량 제어부(135)는 충전 유니트(150)의 충전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유니트(150)로부터 전송된 차량(130) 정보가 차량(13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차량(130)에서는 차량(130)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the vehicle 130 may be various, such as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ly, the charging unit 150 cannot use the vehicle 130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30 whe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is not used. The opposite is also true. In some cases, the vehicle controller 135 mounted on the vehicle 130 may requir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charging unit 150. At this time, if the vehicle 130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unit 150 does not use a communication method supported by the vehicle 130, the vehicle 130 may not acquire the vehicle 130 information.

이와 같이 차량(130)과 충전 유니트(150)에 따라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전력 충전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하기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110)가 이용될 수 있다.Thus, the multi-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normal power charging is not performed because data exchange is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멀티 유니트(110)는 차량(130)과 충전 유니트(150)의 사이에서 차량(130)의 제1 데이터와 충전 유니트(150)의 제2 데이터를 호환시킬 수 있다.The multi unit 110 may make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130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150 compatible between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구체적으로 멀티 유니트(110)는 차량(130)의 제1 데이터를 충전 유니트(150)의 제2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충전 유니트(150)의 제2 데이터를 차량(130)의 제1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변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multi unit 110 converts first data of the vehicle 130 into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150 and converts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150 into first data of the vehicle 130. The conversion unit 114 may be included.

이때, 제1 데이터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규약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이고, 제2 데이터는 PLC 통신 규약, CAN 통신 규약, 직렬 통신 규약 중 하나에 따른 데이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data may be data according to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rotocol or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second data may be data according to one of a PLC communication protocol, a C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have.

PLC는 전기선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인터넷등을 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한 서비스로 전력선 통신이라고도 한다.PLC is a service that provides voice, data, internet, etc. at high speed through electric line and is also called power line communication.

차량(130)에는 차량 제어부(135), 소위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복수개의 ECU를 병렬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이 CAN이다. CAN은 2개의 통신선을 사용하고, 두 통신선의 전압 차이로 데이터를 통신하게 된다.The vehicle 130 may include a vehicle control unit 135 and a plurality of so-called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CAN connects multiple ECUs in parallel to communicate data. CAN uses two communication lines and communicates data with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munication lines.

직렬 통신은 RS-232, RS-422, RS-485 등일 수 있다.The serial communication may be RS-232, RS-422, RS-485, or the like.

제1 데이터가 소통되는 통신선은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데이터가 소통되는 통신선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멀티 유니트(110)는 제1 연결부(111)를 통해 제1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12)를 통해 제2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line through which the first data is communicate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let unit 131 of the vehicle 130. The communication line through which the second data is communicate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let unit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multi unit 110 may obtain first data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11 and may obtain second data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112.

이렇게 입수된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는 변환부(114)로 전달되며, 변환부(114)는 제1 데이터를 제2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2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차량(130)의 제1 데이터가 PLC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이고 충전 유니트(150)의 제2 데이터가 CAN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 변환부(114)는 제1 데이터를 CAN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충전 유니트(150)로 출력한다. 또한, 제2 데이터를 PLC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차량(130)으로 출력한다.The obtained first data or the second data is transferred to the converter 114, and the converter 114 converts the first data into the second data and converts the second data into the first data. For example, when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130 is data according to the PLC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150 is data according to the CAN communication protocol, the conversion unit 114 converts the first data to CAN communication. The data is converted into data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output to the charging unit 150. In addition, the second data is converted into data according to the PLC communication protocol and output to the vehicle 130.

따라서, 멀티 유니트(110)에 의하면 차량(130)과 충전 유니트(150)는 채택한 통신 방식과 상관없이 정상적인 전력 충전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 unit 110,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can be charged normally without regard to the communication method adopted.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 유니트(110)는 제어부(115), 표시부(116), 입력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5)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처리하게 되는데, 차량(130)과 차량(130) 유니트와의 관계에서와 같이 멀티 유니트(110)도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유니트(110)의 제어부(115)가 정상 동작되도록 변환부(114)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115)에서 이용 가능한 제3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에서는 제3 데이터를 처리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 unit 110 may include a controller 115, a display unit 116, and an input unit 117.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5 acquires and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multi-unit 11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first data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130 and the vehicle 130 unit. The second data may not be used as it is. Accordingly, the converter 114 converts at least on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nto third data available to the controller 115 to provide the controller to the controller 115 of the multi-unit 110. Can be.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may process the third data.

멀티 유니트(110)는 제어부(115)의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16)와 충전 유니트(15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 unit 1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6 for displaying output data of the controller 115 and an input unit 117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150.

입력부(117)에서 생성된 신호는 제어부(115)에서 처리 가능한 제3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17)에서 생성된 신호를 바로 충전 유니트(150)로 전송하면 소망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환부(114)는 입력부(117)에서 생성된 신호를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7 may be third data that may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5. Therefore, i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7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harging unit 150,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the converter 114 may convert the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7 into second data.

이상에서는 차량(130)의 인렛부(131)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부(152)를 호환시키는 멀티 유니트(110), 차량(130)의 제1 데이터와 충전 유니트(150)의 제2 데이터를 호환시키는 멀티 유니트(110)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각 멀티 유니트(110)는 하나의 멀티 유니트(110)로 통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ulti unit 110 for making the inlet portion 131 of the vehicle 130 and the outlet portion 152 of the charging unit 150 compatible,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130,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150 As described above, the multi unit 110 for data compatibility has been described, and each multi unit 110 may be integrated into one multi unit 110.

즉, 멀티 유니트(110)는 차량(130)과 상기 차량(13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150)의 사이에서 차량(130)의 인렛(in-let)부와 충전 유니트(150)의 아웃렛(out-let)부를 호환시키고, 차량(130)의 제1 데이터와 충전 유니트(150)의 제2 데이터를 호환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ulti unit 110 is an in-let portion of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between the vehicle 130 and the charging unit 150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vehicle 130. The out-let of the () may be compatible, and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130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150 may be compatible.

이를 위해 멀티 유니트(110)에는 차량(130)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커넥터가 마련되고, 제1 커넥터에는 제1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1 통신선이 포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ulti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vehicle 130, and the first connector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line through which first data is communicated.

또한, 멀티 유니트(110)에는 충전 유니트(150)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가 마련되고, 제2 커넥터에는 제2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2 통신선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harging unit 150,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line through which the second data is communicated.

이상의 멀티 유니트(110)는 충전 유니트(150)와 별개의 시설물로 형성되거나, 충전 유니트(150)에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multi-unit 11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facility from the charging unit 150, or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mounted on the charging unit 150.

또한, 본 발명의 멀티 유니트(110)에 따르면 기설치된 충전 유니트(150)를 그대로 이용하여 다양한 차량(13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unit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for charging to the various vehicles 130 by using the pre-installed charging unit 150 as it i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멀티 유니트 111...제1 연결부
112...제2 연결부 113...제3 연결부
114...변환부 115...제어부
116...표시부 117...입력부
130...차량 131...인렛부
135...차량 제어부 139...배터리
150...충전 유니트 151...아웃렛부
155...충전 제어부 156...충전 표시부
157...충전 입력부
110 ... multi unit 111 ... first connection
112 ... 2nd connection 113 ... 3rd connection
114 control unit 115 control unit
116 ... display 117 ... input
130 ... vehicle 131 ... inlet
135 Vehicle control unit 139 Battery
150 ... Charging unit 151 ... Outlet
155 ... Charging control section 156 ... Charging display section
157 ... Charge input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과 상기 차량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유니트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제1 데이터와 상기 충전 유니트의 제2 데이터를 호환시키는 멀티 유니트에 있어서,
제3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3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멀티 유니트.
A multi-unit which makes the first data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compatible between a vehicle and a charging uni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vehicle,
A controller for processing third data;
A display unit displaying output data of the control unit;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And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nto the third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data to the controller, and conver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into the second data;
Multi unit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차량의 제1 데이터를 상기 충전 유니트의 제2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상기 충전 유니트의 제2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제1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멀티 유니트.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converting unit converts first data of the vehicle into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and converts second data of the charging unit into first data of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규약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PLC 통신 규약, CAN 통신 규약, 직렬 통신 규약 중 하나에 따른 데이터인 멀티 유니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ata is data according to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rotocol or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second data is data according to one of a PLC communication protocol, a C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53408A 2012-05-21 2012-05-21 Multi unit KR101370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08A KR101370045B1 (en) 2012-05-21 2012-05-21 Multi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08A KR101370045B1 (en) 2012-05-21 2012-05-21 Multi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04A KR20130129504A (en) 2013-11-29
KR101370045B1 true KR101370045B1 (en) 2014-03-06

Family

ID=498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408A KR101370045B1 (en) 2012-05-21 2012-05-21 Multi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0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1197A1 (en) * 2018-01-16 2019-07-17 Dr. Ing. h.c. F. Porsche AG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onnector
KR102445876B1 (en) 2021-03-19 2022-09-21 주식회사 에코루션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outlet unit for being furnished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2513B1 (en) * 2017-01-31 2021-04-23 Renault Sas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INTEGRATED LOCKOUT FUNCTION
KR102175012B1 (en) * 2018-09-12 2020-11-05 주식회사 디앤케이 multi interface connector of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of electric vehicle in emergenc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830A (en) * 1993-05-10 1994-11-25 Sumitomo Wiring Syst Ltd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automobile
JPH11220813A (en) * 1998-02-02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Power supply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relay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2011117155A (en) * 2009-12-02 2011-06-16 Jfe Engineering Corp Mechanical multistory parking garage equipped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KR20110101846A (en) * 2010-03-10 2011-09-16 최인숙 Data service system on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electric car charg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830A (en) * 1993-05-10 1994-11-25 Sumitomo Wiring Syst Ltd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automobile
JPH11220813A (en) * 1998-02-02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Power supply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relay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2011117155A (en) * 2009-12-02 2011-06-16 Jfe Engineering Corp Mechanical multistory parking garage equipped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KR20110101846A (en) * 2010-03-10 2011-09-16 최인숙 Data service system on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electric car charg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1197A1 (en) * 2018-01-16 2019-07-17 Dr. Ing. h.c. F. Porsche AG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onnector
DE102018100824A1 (en) * 2018-01-16 2019-07-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ndside electric vehicle charging plug
US10525842B2 (en) 2018-01-16 2020-01-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nd-ba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plug
KR102445876B1 (en) 2021-03-19 2022-09-21 주식회사 에코루션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outlet unit for being furnish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04A (en)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5413B (en) The method of more direct-current charging post parallel connection automatic chargings
JP6982528B2 (en) Battery packs and chargers, and battery pack kits for power tools
CN105008173B (en) Across agreement charging adapter
EP2214287A2 (en) Charging System
CN201369587Y (en) Device for assisting to transmit electric power and information among electric devices
KR101370045B1 (en) Multi unit
KR101876056B1 (en)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20170197517A1 (en) Multi-mode charging system
US20140249976A1 (en) Accounting system and ev charging system
CN207116873U (en) Fast charge adapter and fast charge cable structure
US9193274B2 (en) Battery electric vehicle jumper cable and jump starting method
CN104881385A (en) Communication Over Identification Line
US20140359318A1 (en) Power adapters
KR20160030261A (en) Apparatus and method to change current limit
US20160250939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cabl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applying the same
CN106004476A (en) Alternating-current and direct-current integrated charging interface for electric automobile
CN105870743A (en) Cooperation structure of charge control box and power plug of electric automobile
US8390252B2 (en) Char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device
US9502911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with charging profile data update facility
CN103650361A (en) Communication system
CN106129502A (en) A kind of method of double mode charging, Apparatus and system
CN105161941A (en) Single-input multi-output quick-charge cable and quick charger
CN107025197A (en) Conversion equipment
CN110203088A (en) Switching power supply identification system and its charging method
KR102186878B1 (en) Socket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