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957B1 -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957B1
KR101368957B1 KR1020130071164A KR20130071164A KR101368957B1 KR 101368957 B1 KR101368957 B1 KR 101368957B1 KR 1020130071164 A KR1020130071164 A KR 1020130071164A KR 20130071164 A KR20130071164 A KR 20130071164A KR 101368957 B1 KR101368957 B1 KR 10136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front housing
housing
main bod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847A (ko
Inventor
심익현
Original Assignee
심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익현 filed Critical 심익현
Priority to KR102013007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9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12Primers; Detonator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7/00Fuze-setting apparatus
    • F42C17/04Fuze-setting apparatus for electric fu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폭약을 기폭하기 위한 전기뇌관의 각선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선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제1 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제2 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180도 상대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작함으로써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Wire connector for electric detonator.}
본 발명은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작함으로써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뇌관(***, detonator)은, 금속관에 기폭약을 채워넣은 화공품으로 화약류를 기폭할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타격이나 화염 또는 전기불꽃 등으로 쉽게 인화 폭발하여 본체의 폭약을 폭발로 이끄는 장치로서, 전기뇌관(electric detonator) 과, 비전기식 뇌관이 있다.
상기 전기뇌관은, 발파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두 가닥의 각선(C)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발파 작업을 위해서는 이러한 각선(C)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필요하다.
도 1 내지 도 2에는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는, 제1 하우징(2)과, 상기 제1 하우징(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3)과, 상기 제1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되며 후단부(6)가 상기 각선(C)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제1 금속부재(4)와, 상기 제2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단부(6)가 상기 각선(C)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금속부재(4)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금속부재(5)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는, 상기 제1 금속부재(4) 및 제2 금속부재(5)의 후단부(6)를 별도의 클램핑 공구를 이용하여 클램핑함으로써 각선(C)과 연결시키므로, 상기 클램핑 공구가 없는 경우에는 발파 현장에서 각선(C)을 상기 제1 금속부재(4) 및 제2 금속부재(5)의 후단부(6)에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는, 각선(C)과 연결된 상기 제1 금속부재(4) 및 제2 금속부재(5)를 상기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각각의 후방으로부터 단순히 밀어서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각선(C)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금속부재(4) 및 제2 금속부재(5)가 상기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는, 상기 제1 하우징(2)과 상기 제2 하우징(3)의 결합이 단순한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사용 횟수가 증가하면 헐거워져서 상기 제1 하우징(2)과 상기 제2 하우징(3)이 서로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는, 각선(C)이 삽입되는 상기 제1 하우징(2)과 상기 제2 하우징(3)의 후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먼지나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제1 하우징(2) 및 상기 제2 하우징(3)의 후단부로 침투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작함으로써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는, 폭약을 기폭하기 위한 전기뇌관의 각선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선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제1 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제2 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180도 상대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결합 홈부를 구비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가 구비하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의 제1 부재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의 제2 부재의 결합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의 제1 부재가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의 제2 부재의 결합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 및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제2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 및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절개부로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각선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제1 각선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각선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1 금속부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각선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각선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2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금속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금속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제1 각선 연결부 및 상기 제2 각선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상기 측면부들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상기 각선이 삽입될 경우 상기 각선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선이, 후방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사이로 삽입될 경우, 상기 한 쌍의 탄성부에 의한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각선 연결부 및 상기 제2 각선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동일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후방에서 상기 각선들 중 하나가 삽입되는 제1 각선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후방에서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제2 각선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2 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 각각은, 상기 제1 각선 삽입구 또는 상기 제2 각선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사이로 삽입된 각선이 관통할 수 있는 각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 각각은, 상기 각선이 감겨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의 표면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 중 하나의 표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 중 나머지 하나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체결될 수 있는 홈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180도 상대 회전시킨 상태에서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제2 전방 하우징부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작함으로써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하우징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하우징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V-V선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금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 금속부재 및 제2 금속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금속부재 및 제2 금속부재가 서로 근접하면서 탄성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금속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각선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A-A선 단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의 V-V선 단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폭약을 기폭하기 위한 전기뇌관의 각선(C)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로서, 제1 금속부재(10)와, 제2 금속부재(20)와,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금속부재(10)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판 부재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와, 제1 각선 연결부(12)와, 제1 접촉부(1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1)와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 및 상기 제1 접촉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으며 기다랗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는, 상기 본체부(11)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각선(C)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부재로서, 측면부(121)와, 탄성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부(121)는, 한 쌍이 마련되는데, 상기 본체부(11)의 후단부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12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는데, 상기 측면부(121)들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13)가 위치한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접촉부(13)는, 상기 본체부(11)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제1 끝단 돌출부(131)와, 제1 끝단 경사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끝단 돌출부(1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의 전단부의 끝단이 절곡됨으로써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끝단 경사부(132)는, 상기 제1 끝단 돌출부(131)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끝단 돌출부(13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연장되어 경사져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2 금속부재(20)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판 부재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와, 제2 각선 연결부(22)와, 제2 접촉부(2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21)와 상기 제2 각선 연결부(22) 및 상기 제2 접촉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1)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으며 기다랗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제2 각선 연결부(22)는, 상기 본체부(21)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각선(C)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부재로서, 측면부(221)와, 탄성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접촉부(23)는, 상기 제1 접촉부(1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21)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각선 연결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끝단 돌출부(231)와, 제2 끝단 경사부(23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금속부재(20)는 상기 제1 금속부재(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2 금속부재(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금속부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속부재(10)와 점대칭되는 자세로 상기 제2 하우징(4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끝단 돌출부(231)는 상기 제1 끝단 돌출부(131)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자세가 된다.
상기 제1 하우징(30)은, 상기 제1 금속부재(10)를 둘러싸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심축(C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1 후방 하우징부(31)와, 제1 전방 하우징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3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됨으로써,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과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는, 각선(C)이 삽입되는 쪽인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로서,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는, 제1 각선 삽입구(33)와, 마개(34)와, 각선 관통공(35)와, 미끄럼 방지턱(36)과, 걸고리(37)와, 스토퍼(38)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각선 삽입구(33)는, 후방에서 상기 각선(C)들 중 하나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상기 마개(34)는, 상기 제1 각선 삽입구(33)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 각선 삽입구(33)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개로서, 끝단에는 마개 돌출부(341)가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부에는 삽입된 각선(C)이 관통할 수 있는 각선 관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 돌출부(341)는, 상기 마개(34)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각선 삽입구(33)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마개 홈부(34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마개 홈부(342)는, 상기 마개 돌출부(3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마개 돌출부(341)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턱(36)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이다.
상기 걸고리(37)는,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표면으로부터 "ㄱ" 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122) 사이로 삽입된 각선(C)이 감겨서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스토퍼(38)는,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부분으로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와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내부로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는, 상기 제1 접촉부(13)를 감쌀수 있도록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로서, "T"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상면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40)은, 상기 제2 금속부재(20)를 둘러싸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심축(C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2 후방 하우징부(41)와, 제2 전방 하우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40)는, 상기 제1 하우징(3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됨으로써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과 제2 전방 하우징부(42)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는, 또 다른 각선(C)이 삽입되는 쪽인 상기 제2 하우징(40)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로서, 상기 제2 각선 연결부(22)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는, 제2 각선 삽입구(43)와, 마개(44)와, 각선 관통공(45)와, 미끄럼 방지턱(46)과, 걸고리(47)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는, 상기 제2 접촉부(23)를 감쌀수 있도록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로서, 내부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미리 정한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단면과 대응되는 "T"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돌출부(39)와 체결될 수 있는 홈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선(C)들 중 하나의 일단을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제1 각선 삽입구(33)를 통하여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를 향하여 전방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각선(C)은 상기 제1 금속부재(10)의 한 쌍의 탄성부(122) 사이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되는 각선(C)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부(12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렇게 벌어진 상기 한 쌍의 탄성부(122)는, 상기 각선(C)에 탄성력을 가한 상태로 상기 각선(C)을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마개(34)를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마개(34)의 마개 돌출부(341)를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마개 홈부(3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30)의 제1 각선 삽입구(33)를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에 고정된 각선(C)은 상기 마개(34)에 형성되어 있는 각선 관통공(35)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각선 관통공(35)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온 각선(C)을 상기 걸고리(37)에 감아서 고정하면, 각선(C)들 중 하나를 상기 제1 금속부재(10) 및 제1 하우징(30)에 결합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상기 각선(C)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금속부재(20)의 탄성부(222)들 사이로 삽입하고,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마개(44)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제2 각선 삽입구(43)를 폐쇄시킨 후, 상기 마개(44)의 각선 관통공(45)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온 각선(C)을 상기 걸고리(47)에 감아서 고정하면, 각선(C)들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2 금속부재(20) 및 제2 하우징(40)에 결합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한 쌍의 각선(C)의 연결이 완료된 상기 제1 하우징(30) 및 상기 제2 하우징(40)을 서로 근접시켜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를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속부재(10)의 제1 끝단 경사부(132)와 상기 제2 금속부재(20)의 제2 끝단 경사부(232)가 서로 맞닿아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제1 접촉부(13) 및 제2 접촉부(2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속부재(10)의 제1 끝단 돌출부(131)는 상기 제2 금속부재(20)의 본체부(21)에 탄성력을 가한 상태에서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 금속부재(20)의 제2 끝단 돌출부(231)는 상기 제1 금속부재(10)의 본체부(11)에 탄성력을 가한 상태에서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내부로 삽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8)에 의하여 삽입 깊이가 제한되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돌출부(39)는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홈부(49)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각선(C)이 삽입될 경우 상기 각선(C)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부(122, 2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선(C)이 후방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122, 222) 사이로 삽입될 경우, 상기 한 쌍의 탄성부(122, 222)가 발생시키는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각선(C)이 후방으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 및 상기 제2 각선 연결부(2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내부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상기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의 결합 구조가 단순해지고, 상기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각선 삽입구(33) 및 제2 각선 삽입구(43)를 탈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상기 마개(34, 4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각선 삽입구(33) 및 제2 각선 삽입구(43)를 통하여 먼지나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의 내부로 침투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 및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표면으로부터 "ㄱ" 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고리(37, 47)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선 관통공(35, 45)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온 각선(C)을 상기 걸고리(37, 47)에 감아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선(C)이 외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에도, 그 외력이 상기 제1 각선 연결부(12) 및 제2 각선 연결부(22)로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각선(C)들이 상기 탄성부(122, 222)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에 형성된 돌출부(39)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에 형성된 홈부(49)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가 결합되는 경우,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와는 달리, 상기 돌출부(39)가 홈부(49)에 걸리면서 "딸깍"하는 소리와 "걸림이 완료되었다"는 촉감을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 및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 및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턱(36, 46)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 및 제2 후방 하우징부(41)를 파지한 상태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의 손가락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접촉부(13) 및 상기 제2 접촉부(23)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끝단 돌출부(131, 23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가 결합되는 경우, 서로에게 탄성력을 가한 상태에서 접촉할 수 있어, 상기 제1 금속부재(10) 및 제2 금속부재(20)의 전기적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접촉부(13) 및 제2 접촉부(23)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끝단 경사부(132, 23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끝단 경사부(132)와 상기 제2 끝단 경사부(232)가 서로 맞닿아 미끄러지면서 상기 제1 접촉부(13) 및 제2 접촉부(23)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자세로, 즉 상기 제1 금속부재(10)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금속부재(20)가 위에 위치한 자세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 및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가 "T" 자 형상의 서로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미리 정한 방향으로만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에 삽입될 수 있어, 작업자가 삽입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잘못된 방향으로는 삽입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200)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100)의 구성요소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 하우징(130)의 제1 전방 하우징부(32) 및 제2 하우징(140)의 제2 전방 하우징부(42)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바, 이하에서는 그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는, 상기 제1 접촉부(13)를 감쌀수 있도록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로서,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부재(321)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부재로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31)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부재(322)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부재로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로(31)부터 상기 제1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재(321)와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322)의 "ㄷ"자 형상 양단부는, 상기 제1 부재(321)의 "ㄷ"자 형상 양단부와 서로 근접한 상태("⊂⊃")로 마주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321)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부재(322)의 양단부 사이에는, 상기 제1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성된 절개부인 한 쌍의 슬릿(3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322)는, 상기 제1 부재(321)의 양단부와 마주하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결합 홈부(32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 홈부(323)의 폭은, 상기 제1 부재(321)의 외부 폭과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재(321)의 외주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재(3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부(3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는, 상기 제2 접촉부(23)를 감쌀수 있도록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41)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로서, 제1 부재(421)와, 제2 부재(4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재(421)의 외주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재(4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부(4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부재(422)의 "ㄷ"자 형상 양단부는, 상기 제1 부재(421)의 "ㄷ"자 형상 양단부와 서로 근접한 상태("⊂⊃")로 마주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421)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부재(422)의 양단부 사이에는, 상기 제2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성된 절개부인 한 쌍의 슬릿(4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130)과 상기 제2 하우징(140)은, 서로 동일한 3차원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30)과 상기 제2 하우징(140)을 180도 상대 회전시킨 자세에서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제1 부재(321)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제2 부재(422)의 결합 홈부(423)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의 제1 부재(421)가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의 제2 부재(322)의 결합 홈부(3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탈착 가능한 결합이 완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200)는,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42)가, 180도 상대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3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우징(130) 및 제2 하우징(140)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10 : 제1 금속부재
11 : 본체부 12 : 제1 각선 연결부
121 : 측면부 122 : 탄성부
13 : 제1 접촉부 131 : 제1 끝단 돌출부
132 : 제1 끝단 경사부 20 : 제2 금속부재
21 : 본체부 22 : 제2 각선 연결부
221 : 측면부 222 : 탄성부
23 : 제2 접촉부 231 : 제2 끝단 돌출부
232 : 제2 끝단 경사부 30, 130 : 제1 하우징
31 : 제1 후방 하우징부 32 : 제1 전방 하우징부
33 : 제1 각선 삽입구 34, 44 : 마개
341, 441 : 마개 돌출부 342, 442 : 마개 홈부
35, 45 :각선 관통공 36, 46 :미끄럼 방지턱
37, 47 : 걸고리 38 : 스토퍼
39 : 돌출부 40, 140 : 제2 하우징
41 : 제2 후방 하우징부 42 : 제2 전방 하우징부
43 : 제2 각선 삽입구 49 : 홈부
321 : 제1 부재 322 : 제2 부재
323 : 결합 홈부 324 : 슬릿
421 : 제1 부재 422 : 제2 부재
423 : 결합 홈부 424 : 슬릿
C : 각선 C1 : 중심축

Claims (12)

  1. 폭약을 기폭하기 위한 전기뇌관의 각선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선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제1 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관형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제2 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180도 상대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결합 홈부를 구비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가 구비하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의 제1 부재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의 제2 부재의 결합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의 제1 부재가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의 제2 부재의 결합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 및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제2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 및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절개부로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각선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제1 각선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각선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1 금속부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각선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각선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2 금속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금속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금속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제1 각선 연결부 및 상기 제2 각선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상기 측면부들로부터 각각 절곡됨으로써, 상기 각선이 삽입될 경우 상기 각선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선이, 후방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사이로 삽입될 경우, 상기 한 쌍의 탄성부에 의한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각선 연결부 및 상기 제2 각선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는,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동일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후방에서 상기 각선들 중 하나가 삽입되는 제1 각선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후방에서 상기 각선들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제2 각선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2 후방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 각각은,
    상기 제1 각선 삽입구 또는 상기 제2 각선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사이로 삽입된 각선이 관통할 수 있는 각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 각각은,
    상기 각선이 감겨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후방 하우징부의 표면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 중 하나의 표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 중 나머지 하나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체결될 수 있는 홈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전방 하우징부와 상기 제2 전방 하우징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KR1020130071164A 2013-06-20 2013-06-20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KR10136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164A KR101368957B1 (ko) 2013-06-20 2013-06-20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164A KR101368957B1 (ko) 2013-06-20 2013-06-20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985A Division KR101368953B1 (ko) 2011-05-03 2011-05-03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847A KR20130076847A (ko) 2013-07-08
KR101368957B1 true KR101368957B1 (ko) 2014-02-28

Family

ID=4899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164A KR101368957B1 (ko) 2013-06-20 2013-06-20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12B1 (ko) 2016-11-15 2018-10-04 노정일 뇌관의 각선 연결용 컨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20B1 (ko) * 2015-06-09 2016-02-12 심익현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CN116231938A (zh) * 2021-12-06 2023-06-06 威灵(芜湖)电机制造有限公司 连接组件和电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32A (ja) * 1993-06-25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用具
KR100424732B1 (ko) 2000-01-28 2004-03-30 석명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KR200410147Y1 (ko) 2005-11-16 2006-03-07 주식회사 한화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32A (ja) * 1993-06-25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用具
KR100424732B1 (ko) 2000-01-28 2004-03-30 석명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KR200410147Y1 (ko) 2005-11-16 2006-03-07 주식회사 한화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12B1 (ko) 2016-11-15 2018-10-04 노정일 뇌관의 각선 연결용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847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871B2 (en) Wire terminal connector
JP5755506B2 (ja) 端子金具
KR101368957B1 (ko)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US9099809B2 (en) Connection system including connector body with integral primary and secondary lock
EP1821375A2 (en) A terminal fitting, a method of crimping it and a positioning jig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H05503391A (ja) 電気コネクター
US2832816A (en) Self-insulated two-way butt connector
KR101368953B1 (ko)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JP5990129B2 (ja) コネクタ
US9466937B2 (en) Crimping pliers
KR101594120B1 (ko)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US20140335713A1 (en) Connector
KR101545655B1 (ko)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EP3108542B1 (en)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KR101545656B1 (ko) 전기뇌관 각선용 컨넥터
JP4337102B2 (ja) 電線端部絶縁キャップ
JP4763427B2 (ja) 電線シール部材
JP2012196265A (ja) 紐留め具
JP2009158311A (ja) 電線分岐用圧縮スリーブ
CN110366717B (zh) 感测尖端驻留
JP2009158311A5 (ko)
KR101904612B1 (ko) 뇌관의 각선 연결용 컨넥터
JP2016158498A (ja) 電線管の接続体
KR200492007Y1 (ko) 벌브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