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656B1 -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 Google Patents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656B1
KR101367656B1 KR1020110014864A KR20110014864A KR101367656B1 KR 101367656 B1 KR101367656 B1 KR 101367656B1 KR 1020110014864 A KR1020110014864 A KR 1020110014864A KR 20110014864 A KR20110014864 A KR 20110014864A KR 101367656 B1 KR101367656 B1 KR 10136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axis
spectacle lens
polarization axis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508A (ko
Inventor
송영철
Original Assignee
송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철 filed Critical 송영철
Priority to KR102011001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656B1/ko
Priority to PCT/KR2011/001578 priority patent/WO2012115301A1/ko
Publication of KR2012009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렌즈의 형성 시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제 1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과 제 2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을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빛의 회절에 의해 자연스레 안경렌즈에 컬러가 발생하게 되어 평성에는 선글라스 기능으로 사용하고, 안경렌즈를 관통한 빛에 대한 눈부심을 한층 더 걸러주게 되어 눈에 대해 편안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 3D용 렌즈의 착용 시 좌우측의 위상차 축과 편광 축의 방향성이 상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볼 경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지만 본 발명으로 인해 어지러움을 해소할 수 있고, 3D 영상이 지원되는 화면은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렌즈와 상기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Sunglasses combined use three dimensions spectacles lens}
본 발명은 선글라스 기능이 포함된 3차원 입체영상(3D 영상)이 시청 가능한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에 구성되는 각각의 편광 축과 위상차 축을 서로 다르게 하여 평소에는 선글라스 기능으로 사용하고, 3D영상이 지원되는 화면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이 가능토록 구성된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영상의 기술발전은 1920년대에 편광방식과 1948년에 광학 홀로그램(Hologram)방식이 개발되었고, 1980년대에 편광 안경이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입체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입체영상은 디지털 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입체영상방송은 물론 입체 게임이 대중들에게 선을 보이고,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입체영상은 2개의 입체영상을 사람의 좌, 우 눈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안경을 착용하면, 사람은 안경을 통하여 영상에 대한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경이 입체 영상용 안경인 것이다.
한편, 실제 사람의 좌, 우 눈은 서로 다른 영상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다른 영상을 뇌에서 자동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사람의 눈을 통하여 3차원적인 공간에 대한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람이 3차원 공간을 인식하는 요인은 좌, 우 눈을 통하여 다른 영상을 입사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리로 인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영상을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최소한 두 개의 입체 영상 취득용 카메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관찰되는 영상들을 촬영하고, 이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입체영상을 보는 시청자 측에서는 입체 영상을 좌, 우 눈으로 보기 위하여, 입체 영상용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이러한 입체 영상용 안경은 각 렌즈에 필터(Filter)기능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두 영상에 따라 차별적 방향의 신호 흡수를 수행함으로서, 시청자는 좌, 우 눈으로 각각의 선택적인 영상을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에 대한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은 2차원적 평면이미지를 3차원적 실상과 비슷한 느낌과 감각이 오도록 기타 부수적인 도구를 병합하여 사용하거나 물리적, 기계적 힘으로 그 영상을 조작 동형 시켜 그 이미지의 원근감이나 공간성이 착시나, 착각에 의해 사람에게 느껴지도록 하는 영상방법이다. 이러한 3차원 입체영상을 실현하는 데는 근본적으로 인간이 두 개의 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며, 인간이 사물을 입체로 인식하는 원리는 수평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인간의 두 눈이 각기 다른 각도에서 망막을 통하여 사물을 받아들이고, 두 개의 상이 전기신호화 하여 대뇌로 전달되어 합성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평상적인 사람의 시력은 색과 3차원(3D : Three Dimension)라는 관찰에 있어서 공간의 인식을 제공하게 된다. 관찰자에게 3차원의 입체영상이나 스테레오 모델을 제공하는 사진 시스템에 대한 광학적 요구사항의 양호한 실현은 입체영상이나 공간의 시각 인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공간 인식에 대한 자극 조건은 2개의 집단으로 분류된다.
단안집단은 한쪽 눈으로 입체 영상을 허용하며, 피사체의 상대적 크기, 간섭, 선형 및 공간형 투시와 빛과 어둠의 분배, 피사체와 배경과 시각인식의 이동 시차 등을 포함한다.
쌍안집단은 양쪽 눈의 2개의 좌표형 이동성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광학축이 원격 비젼을 위한 평행으로부터 150mm의 가까운 점에서 23°의 수렴각으로 강하게 수렴하는 시각적 수렴과 2개의 상이한 시각적 관찰점으로 인하여 기하학적 영상이 좌우측 눈에 대해 2개의 다른 망막영상을 제공하는 입체영상 시각인 것이다.
체감은 사람의 양쪽 눈이 실세계를 볼 때, 두 눈 사이의 거리로 인해 망막에 맺히는 상이 서로 다르므로 해서 지각되는 것이다.
망막에서 발생하는 상의 불일치란 망막에 투사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대상점에 대한 수평거리를 말하는데 이 거리로 인해 사람은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반면, 시차라는 것은 모니터 상에 투시된 이미지의 두 지점사이의 수평거리를 말하는데 불일치의 폭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양(+)의 시차는 관측점이 입체평면보다 멀리 있는 경우를 양의 시차라 하고, 눈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작을 때 발생되며, 시차가 0보다 큰 경우를 말하며 안쪽으로 들어간 깊이 효과를 보게 된다.
음(-)의 시차는 입체평면보다 가까이 있는 경우를 말하고, 시선이 교차될 때 발생하며 돌출된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이상과 같은 사람 눈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오래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오랜 기간 연구로 인해 최근에는 일반적인 안경의 착용과 같이 형성되며, 입체적으로 보이는 안경렌즈나 영상장치를 사람의 눈을 통하여 접할 수 있는 것이 실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입체적 기능을 가진 제품에 대해 살펴보게 되면,
출원번호 ‘10-2003-0059794’는 편광안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차에 대응한 화상정보가 제 1 에어리어와 제 2 에어리어에 각각 따로 표시되는 화상표시 스크린과 그 화상표시 스크린에 대향관계로 배치된 편광판과 그 편광판의 전방면의 제 1에어리어 또는 제 2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착되어 편광방향을 변환하는 위상차 판을 구비한 입체 화상 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표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기위한 편광안경장치에 있어서, 특정한 편광을 분리함과 함께 좌안 및 우안 중 한쪽 눈으로 관상하기 위한 제 1 관상영역과 다른 쪽 눈으로 관상하기 위한 제 2 관상영역으로 이루어진 편광분리수단과 상기 편광분리수단의 제 1관상영역의 제 1 면에 접착된 제 1 편광방향 변환수단과 상기 편광분리수단의 제 2관상영역의 상기 제 1 면과 반대 측의 제 2 면에 접착된 제 2 편광방향 변환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3D용 안경렌즈는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좌우측의 위상차 축과 편광 축의 방향성이 상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볼 경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3D용 안경렌즈는 편광 축이 교차하지 않아 선글라스로 사용하기에도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경렌즈를 형성 시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제 1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과 제 2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을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빛의 회절에 의해 자연스레 안경렌즈에 컬러가 발생하게 되어 평소에는 선글라스 기능으로 사용하고, 3D 영상이 지원되는 화면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렌즈와 상기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3차원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안경렌즈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Polymethyl Methacrylate) 로 구성된 제 1코팅지와 상기 제 1코팅지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편광판의 편광 축과 상기 편광 축과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위상차 축으로 구성된 제 1편광판과 상기 제 1편광판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편광판과 같이 편광 축과 위상차 축을 가지되 상기 제 1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을 기준으로 90°회전시킨 편광 축과 위상차 축을 가진 제 2편광판 및 상기 제 2편광판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구성된 제 2코팅지가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코팅지, 제 1편광판, 제 2편광판 및 제 2코팅지의 사이에는 접착제인 광학용 투명접착제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은 각각 원편광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의 상호 결착하는 결착점에서 편광 축 사이의 각도와 위상차 축사이의 각도는 각각 75°에서 105°사이의 각을 이루어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3D안경렌즈의 위상차 축을 연장하였을 시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을 사용하게 되면, 안경렌즈의 형성 시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제 1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과 제 2편광판의 편광 축, 위상차 축을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빛의 회절에 의해 자연스레 안경렌즈에 컬러가 발생하게 되어 평소에는 선글라스 기능으로 사용하고, 안경렌즈를 관통한 빛에 대한 눈부심을 한층 더 걸러주게 되어 눈에 대해 편안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 3D안경렌즈의 착용 시 좌우측의 위상차 축과 편광 축의 방향성이 상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볼 경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지만 본 발명으로 인해 어지러움을 해소할 수 있고, 3D 영상이 지원되는 화면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렌즈와 상기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어 그 경제성과 효율성이 높은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3D안경렌즈로 입체영상을 보는 것을 나타내는 도표와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평면도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에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면,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3차원(Three Dimension 이하 3D)안경(10)의 3D안경렌즈(100)의 양측에는 편광 축(200)과 위상차 축(300)이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위상차 축(300)은 상기 편광 축(200)에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되 양측으로 구성되는 3D안경렌즈(100)의 대칭 시 직교하도록 되어 있어 입체영상표시장치(400)에서 발산되는 영상을 눈을 통해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이에 대한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 입체영상을 보는 것을 예를 들게 되면,
3D안경(10)에서 3D안경렌즈(100)의 편광 축(200)과 위상차 축(300)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입체영상을 발산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400)의 렌즈(410)에서는 편광 축(420이 각각 가로편광 축(421)과 세로편광 축(422)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입체영상표시장치(400)에서 발산되는 입체영상이 입체영상표시장치(400)의 가로편광 축(421)과 세로편광 축(422)을 거쳐 3D안경렌즈(100)에 도달하게 되면, 3D안경렌즈(100)의 위상차 축(300)이 직교되어 있어 착용자가 입체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3D안경렌즈(100)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좌측과 우측의 편광 축(200)과 위상차 축(300)의 방향성이 상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유리나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볼 경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를 바탕으로 설명하게 되면, 안경렌즈(20)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Polymethyl Methacrylate) 로 구성된 제 1코팅지(50)와 상기 제 1코팅지(50)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편광판의 편광 축(31)과 상기 편광 축(31)과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위상차 축(32)으로 구성된 제 1편광판(30)과 상기 제 1편광판(30)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편광판(30)과 같이 편광 축(41)과 위상차 축(42)을 가지되 상기 제 1편광판(30)의 편광 축(31), 위상차 축(32)을 기준으로 90°회전시킨 편광 축(41)과 위상차 축(42)을 가진 제 2편광판(40) 및 상기 제 2편광판(40)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구성된 제 2코팅지(60)가 일체화되어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코팅지(50), 제 1편광판(30), 제 2편광판(40) 및 제 2코팅지(60)의 사이에는 접착제인 광학용 투명접착제(70)가 부착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 1코팅지(50)와 제 2코팅지(60)에 사용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이하 PMMA)는 보통 ‘아크릴 수지’라고 부르며, 1930년대에 연구 개발되어 공업화가 시작되었다. 현존하는 수지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수지의 일종으로 가장 투명하고 내후성이 좋은 것이다. 그래서 유기유리, 전기부품 및 건축재료 등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PMMA 재질은 무색으로서 가시광선의 전파장을 흡수하지 않고 자외선도 270nm까지 투과할 수 있다. 또한 착색성이 매우 좋아 흐린 색에서부터 짙은 색까지 광범위한 색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열 또는 일광에서도 변색 또는 퇴색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표면이 광택성이 있고, 가벼우며, 내약품성이 좋아서 강알칼리 및 그 염류에 침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유기사의 염류, 유지, 지방족 탄화수소에도 강하며, 내후성은 플라스틱 중에서는 가장 좋으며, 성형성 및 가공성이 좋아 방풍유리, 광학렌즈, 안경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은 각각 원편광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야 한다.
여기서 원편광은 광파의 전자기장 진동이 원진동인 빛으로, 자기장이나 전기장 중 하나의 성분이 진폭은 일정하지만, 진동방향이 빛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채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직선편광을 사분의 일 파장판의 주면에 45°기울여 입사시키면 되는 것이다. 반대로 원편광이 이것을 지나면 직선편광이 된다.
직선편광 렌즈의 경우는 렌즈의 각도에 제한이 있어 3D영상의 시청 시 얼굴을 기울이면 3D영상 효과가 손상을 입게 되고, 원편광 렌즈의 경우에는 얼굴을 좌우로 기울여도 3D영상의 효과가 유지되며, 좀 더 자연스러운 시청환경을 만들 수 있고, 많이 사람이 동시에 시청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의 상호 결착하는 결착점에서 편광 축(31, 41) 사이의 각도와 위상차 축(32, 42) 사이의 각도는 각각 75°에서 105°사이의 각을 이루어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경렌즈(20)를 이용한 안경(10)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3D안경렌즈(20, 20‘)의 위상차 축(32, 42)을 연장하였을 시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선글라스 겸용 3차원 안경렌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렌즈(20)에 있어서,
PMMA 재질로 구성된 제 1코팅지(50)의 일면에 광학용 투명접착제(OCA : Optical clear adhesive)(70)를 부착하게 되고, 상기 광학용 투명접착제(70)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편광판의 편광 축(31)과 상기 편광 축(31)과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위상차 축(32)으로 구성된 제 1편광판(30)을 부착하고, 다시 상기 광학용 투명접착제(70)를 부착하게 되고, 상기 광학용 투명접착제(70)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편광판(30)과 같이 편광 축(41)과 위상차 축(42)을 가지되 상기 제 1편광판(30)의 편광 축(31), 위상차 축(32)을 기준으로 90°회전시킨 편광 축(41)과 위상차 축(42)을 가진 제 2편광판(40)을 부착하고, 상기 광학용 투명접착제(70)를 또다시 부착 후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PMMA 재질로 구성된 제 2코팅지(60)가 일체화되도록 하여 렌즈(20)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은 각각 원편광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의 연속적으로 부착 시 편광 축(32, 42)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부착하는데, 이때 빛의 회절에 의해 안경렌즈(20)에 컬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자연광이 각각의 90°방향의 원편광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자연적인 색상으로서 안경렌즈(20)에 색상을 넣지 않은 상황에서도 자연적이고 눈에 전혀 부담이 없는 컬러를 나타낼 수 있어 자연스레 선글라스 기능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의 상호 결착 시 교차점에서 편광 축(31, 41) 사이의 각도와 위상차 축(32, 42) 사이의 각도는 각각 75°에서 105°사이의 각을 이루어도 3D영상의 시청이 가능함으로 이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 1편광판(30)의 편광축(31)과 위상차 축(32) 사이의 각도와, 제 2편광판(40)의 편광축(41)과 위상차 축(42) 사이의 각도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제 1편광판(30)의 편광축(31)과 위상차 축(32) 사이의 각도가 35°를 이루면 제 2편광판(40)의 편광축(41)과 위상차 축(42) 사이의 각도도 동일하게 35°로 구성하되,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의 상호 결착 시 제 1,2 편광판(30, 40)의 편광 축(31, 41)이 75°에서 105°사이의 각도를 이루게 결착하여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당연히 제 1,2 편광판(30, 40)의 위상차 축(32, 42)도 75°에서 105°사이의 각도를 이루며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경렌즈(20)를 이용한 안경(10)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3D안경렌즈(20, 20‘)의 위상차 축(32, 42)을 연장하였을 시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상기 안경렌즈(20)를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3D안경렌즈(20)의 위상차 축(32, 42)을 연장하였을 시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의 상호 결착 시 교차점에서 편광 축(31, 41) 사이의 각도와 위상차 축(32, 42) 사이의 각도는 각각 75°에서 105°사이의 각을 이루어도 3D영상의 시청이 가능함으로 이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편광판(30)에 구성되는 편광 축(31)과 위상차 축(32)과 제 2편광판(40)에 구성되는 편광 축(41)과 위상차 축(42)을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된 렌즈(20)에 상기 렌즈(20)와 대칭되도록 렌즈(20‘)를 구성하되 제 1편광판(30’)의 편광 축(31‘)과 위상차 축(32’)과 제 2편광판(40‘)의 편광 축(41’)과 위상차 축(42‘)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하여 3D영상의 시청을 할 수 있는 3D안경(10)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 편광선글라스의 편광 축은 90°로 이루어져 있으며, 3D안경렌즈(100)는 0°와 90°가 각각 구성되어 있어 선글라스로서는 사용하기가 불편한 점이 많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 1편광판(30)의 편광 축(31)과 제 2편광판(40)의 편광 축(41)을 서로 교차하여 배치함에 따라 자연적인 컬러를 가짐과 동시에 안경렌즈(20)로 투과되는 빛으로 인해 눈부심을 한층 더 걸러주게 되어 있어 눈에 직접적인 피로감을 없애주며, 더불어 편안함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3D안경렌즈(100)를 착용할 경우 좌측과 우측의 위상차 축(300)과 편광 축(200)의 방향성이 상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볼 경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었던 문제점을 본 발명과 같이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의 편광 축(31, 41)이 각기 90°차이나도록 하여 어지러움을 해소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안경렌즈(20)와 같은 원리를 통해 가능한 다른 실시 예를 보게 되면, 편광 축(31, 41)의 각도에 따라 TV용, 극장용(0°), 모니터용, 노트북용, 극장용(-45°, +45°, 90°)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위상차 축(32, 42)은 편광 축(31, 41)에서부터 일정 각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을 사용하게 되면, 안경렌즈(20)의 형성 시 제 1편광판(30)과 제 2편광판(4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제 1편광판(30)의 편광 축(31), 위상차 축(32)과 제 2편광판(40)의 편광 축(41), 위상차 축(42)을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빛의 회절에 의해 자연스레 안경렌즈에 컬러가 발생하게 되어 평소에는 선글라스 기능으로 사용하고, 안경렌즈(20)를 관통한 빛에 대한 눈부심을 한층 더 걸러주게 되어 눈에 대해 편안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 3D안경렌즈(100)의 착용 시 좌우측의 위상차 축(300)과 편광 축(200)의 방향성이 상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볼 경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지만 본 발명으로 인해 어지러움을 해소할 수 있고, 3D 영상이 지원되는 화면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렌즈와 상기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어 그 경제성과 효율성이 높은 발명이라 하겠다.
10 : 3D안경 20 : 안경렌즈
30 : 제 1편광판 31 : 편광 축 32 : 위상차 축
40 : 제 1편광판 41 : 편광 축 42 : 위상차 축
50 : 제 1코팅지 60 : 제 2코팅지
70 : 광학용 투명접착제
100 : 렌즈(종래)
200 : 편광 축
300 : 위상차 축
400 : 입체영상표시장치 410 : 입체영상표시장치렌즈
420 : 편광 축 421 : 가로편광 축 422 : 세로편광 축

Claims (7)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삭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삭제
  4. 안경렌즈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Polymethyl Methacrylate) 로 구성된 제 1코팅지;
    상기 제 1코팅지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편광 축과 0°를 초과하는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위상차 축으로 구성된 제 1편광판;
    상기 제 1편광판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편광 축과 위상차 축을 가진 제 2편광판;
    상기 제 2편광판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구성된 제 2코팅지; 가 일체화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의 결착 시 편광축과 위상차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편광판의 편광축과 위상차 축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편광판의 편광축과 위상차 축 사이의 각도는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 1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제2편광판의 편광축 사이의 각도는 75°이상 105°이하의 각을 이루게 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렌즈
  5. 상기 제4항의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안경렌즈의 제 1편광판의 위상차 축을 연장하였을 시 서로 직교되도록 안경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
  6. 상기 제4항의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안경렌즈의 제 1편광판 편광 축들은 가상의 수평이동시 겹침 되게 동일한 각도로 구성되고, 각각의 위상차 축을 연장하였을 시 서로 직교되도록 안경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
  7. 상기 제4항의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안경렌즈의 제 1편광판 편광 축들은 가상의 수평 이동 시 겹침 되게 동일한 각도로 구성되고, 각각의 위상차 축을 연장하였을 시 위상차 축 사이의 각도는 각각 75°에서 105°사이의 각을 이루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렌즈를 이용한 안경
KR1020110014864A 2011-02-21 2011-02-21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KR10136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64A KR101367656B1 (ko) 2011-02-21 2011-02-21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PCT/KR2011/001578 WO2012115301A1 (ko) 2011-02-21 2011-03-08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64A KR101367656B1 (ko) 2011-02-21 2011-02-21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08A KR20120095508A (ko) 2012-08-29
KR101367656B1 true KR101367656B1 (ko) 2014-02-28

Family

ID=4672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64A KR101367656B1 (ko) 2011-02-21 2011-02-21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7656B1 (ko)
WO (1) WO2012115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910B1 (ko) * 2012-09-03 2019-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표시장치용 편광안경
FR3011090B1 (fr) 2013-09-26 2016-12-23 Valeo Vision Lunettes a affichage de donnees munies d'un ecran anti-eblouissement
FR3011096B1 (fr) * 2013-09-26 2015-10-16 Valeo Vision Lunettes anti-eblouissement et de vision a trois dimensions
FR3011091A1 (fr) 2013-09-26 2015-03-27 Valeo Vision Lunettes a affichage de donnees munies d'un ecran anti-eblouissement
FR3011095B1 (fr) 2013-09-26 2016-12-23 Valeo Vision Filtre optique adaptatif pour verre de lunettes
FR3010938B1 (fr) 2013-09-26 2015-10-30 Valeo Vision Dispositif et procede d'aide a la conduite
KR102250858B1 (ko) * 2019-10-23 2021-05-11 주식회사 스포컴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KR102405540B1 (ko) * 2019-10-23 2022-06-07 주식회사 스포컴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158A (ko) * 2002-09-06 2004-03-1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편광안경장치
US7106509B2 (en) * 2002-09-06 2006-09-12 Colorlink, Inc. Filter for enhancing vision and/or protecting the eyes and method of making a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1883A (en) * 1997-11-26 1999-06-02 Sharp Kk Dual image viewing system
KR20100137695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링크텍스 액정 셔터와 안경 필터가 적용된 입체 영상 구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158A (ko) * 2002-09-06 2004-03-1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편광안경장치
US7106509B2 (en) * 2002-09-06 2006-09-12 Colorlink, Inc. Filter for enhancing vision and/or protecting the eyes and method of making a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08A (ko) 2012-08-29
WO2012115301A1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56B1 (ko)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WO2009066408A4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head-up display
US20080252718A1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iii
EP2924991B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method and device
US20080174866A1 (en) Three dimensional viewing spectacles
US7545405B2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II
CN106842599A (zh) 一种3d视觉成像方法及实现3d视觉成像的眼镜
CN101694549A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US4333707A (en) Method of image enhancement
JP2018508841A (ja) 調節可能光学立体メガネ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US20130176526A1 (en) Semi-rim three dimensional glasses
KR20130110105A (ko)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209086560U (zh) 增强现实立体显示装置
GB2478358A (en) Viewing device providing an increase in depth perception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TW201209479A (en) 3D image display device and signal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202230250U (zh) 3d显示装置
WO2015035248A1 (en) Adjustable optical stereoscopic glasses
CN104270628A (zh) 基于菲涅尔透镜的裸眼悬浮立体显示***及使用方法
KR20080093789A (ko)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학시트
CN213634009U (zh) 看2d视频为3d视频的立体眼镜
KR10186687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214335377U (zh) 全彩色高清晰(5k~8k)高亮度双竖屏观立体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