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524B1 - 액자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자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524B1
KR101367524B1 KR1020120146002A KR20120146002A KR101367524B1 KR 101367524 B1 KR101367524 B1 KR 101367524B1 KR 1020120146002 A KR1020120146002 A KR 1020120146002A KR 20120146002 A KR20120146002 A KR 20120146002A KR 101367524 B1 KR101367524 B1 KR 10136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bracket
rail portion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철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이동형
권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형, 권은철 filed Critical 이동형
Priority to KR102012014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게시물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 단부가 상호 연결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들의 각 단부를 연결상태로 결합 고정되게 하는 결합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하도록 체결부재가 구비된 연결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게시물에 연결되어, 상기 게시물이 상기 프레임 내측에서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자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게시물의 게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게시물의 다변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자프레임{Picture frame}
본 발명은 액자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컨텐츠의 게시물을 용이하게 게재할 수 있는 액자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그림이나 사진 등을 돋보이게 부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재와 형상을 갖는 액자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액자는, 배면에 단차부가 형성된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단차부에 안착되고 별도로 구비된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액자틀에 고정되는 뒷판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액자프레임에 게시물을 게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해체하여 상기 뒷판을 상기 액자틀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게시물을 상기 액자프레임의 단차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뒷판을 게시물이 안착된 상기 액자틀의 단차부에 안착 시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액자틀에 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0733325호에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축 결합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사이에 게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자프레임"이 제안된다.
그러나 상기한 액자프레임은,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전면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이는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액자프레임은 이미 정형화된 사이즈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자프레임보다 게시물의 규격이 작을 경우에는 고정이 불가능하여 동일한 컨텐츠로만 시각적 기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게시물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게시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작이 가능한 액자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게시물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 단부가 상호 연결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들의 각 단부를 연결상태로 결합 고정되게 하는 결합브라켓;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하도록 체결부재가 구비된 연결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게시물에 연결되어, 상기 게시물이 상기 프레임 내측에서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자프레임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양단이 절곡된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게시물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브라켓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결합레일부와, 상기 결합레일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레일부와 상기 연결레일부는, 양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도록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브라켓은, 양단에 각각 상호 연결된 상기 프레임의 각 결합레일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부가 마련된 판부와, 각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관통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판부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된 체결레일부와, 상기 체결레일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과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시물의 테두리 둘레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걸림 연결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게시물의 게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게시물의 다변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이나 시공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액자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확대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자 프레임(100)은, 사진이나 그림 또는 광고 등의 게시물(10)을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10)과 결합브라켓(120)과 연결브라켓(130)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내측에 게시물(10)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110a)가 형성되도록, 각 단부가 상호 연결 배치된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상, 하 및 좌, 우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4개의 프레임(1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들은 각 단면이 동일한 단면을 형성하며, 각 단부는 45˚ 의 경사각으로 절단되어 이웃하는 프레임(110)과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그 외의 틀 형상에 따라 경사각을 달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소재의 압출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10)은 베이스(111)와, 결합레일부(113) 및 연결레일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1)는, 양단이 절곡된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으로 절곡된 상기 베이스(111)의 일단에는, 상기 게시물(10)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된다.
상기 결합레일부(113)는, 상기 베이스(1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레일부(11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111) 상에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레일부(113)에는 후술할 결합브라켓(120)의 일단이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레일부(113)의 양단 테두리부에는,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되는 걸림단(113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13a)은 상기 결합레일부(113)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브라켓(120)이 상기 결합레일부(113)의 양단 테두리부 사이에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레일부(115)는, 상기 결합레일부(113)와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1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레일부(115)의 양단 테두리부는 상기 베이스(111)의 타단과 상기 결합레일부(113)의 측벽과 일체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레일부(115)에는, 후술할 연결브라켓(130)이 삽입 배치된다. 특히, 상기 연결레일부(115)는, 상기 결합레일부(113)보다 높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양단에는 걸림단(115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15a)은, 상기 연결레일부(115)의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단(115a)은, 상기 연결레일부(115)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양단 테두리부 사이에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연결레일부(115)는, 양단 테두리부 내측에 지지플레이트(115b)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15b)는 상기 베이스(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술할 체결부재(133)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브라켓(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10)들의 각 단부를 연결상태로 결합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판부(121)와 체결부재(123)를 포함한다. 상기 판부(1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결합레일부(113)의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타단이 이웃하는 상기 결합레일부(113)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특히, 상기 판부(121)는, 상기 프레임(110)과 이웃하는 프레임(110)에 대응하여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10)들의 연결되는 단부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판부(121)에는 결합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1a)는, 후술할 체결부재(123)가 삽입 관통되도록 홀을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21a)는, 상기 체결부재(123)에 대응 형성되며, 내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23)는, 상기 결합브라켓(120)을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23)는, 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23)는, 상기 결합부(121a)에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재(123)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판부(121)의 상부가 상기 걸림단(113a)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브라켓(130)은, 상기 프레임(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할 탄성부재(14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130)은, 판부(131)와 체결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판부(1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 측에 한 쌍의 결합부(131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31a)는, 후술할 체결부재(133)가 관통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31a)는, 상기 체결부재(133)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33)는, 상기 결합부(131a)에 관통상태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30)을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33)는 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33)는, 상기 연결브라켓(130)이 상기 연결레일부(115)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131a)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체결부재(133)를 회전시키면, 상기 판부(131)의 상부면이 상기 걸림단(115a) 하부면에 걸림상태로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브라켓(130)을, 상기 연결레일부(115)에 고정시킨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게시물(10)이 상기 프레임(110) 내측에서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코일스프링 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게시물(10)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재(13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게시물(1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게시물(10)의 테두리 둘레에는 복수의 연결공(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공(11)은, 상기 탄성부재(140)의 타단을 걸림 연결하도록 상기 탄성부재(140)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의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들이 사각의 틀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의 각 단부가 이웃하는 프레임(110)의 각 단부와 서로 맞닿도록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10)들의 결합레일부(113)들에 상기 결합브라켓(120)을 각각 삽입한 후 체결부재(123)로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브라켓(130)들을 상기 프레임(110)들의 연결레일부(115)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게시물(1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공(11)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재(140)들의 각 타단을 걸림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140)들의 각 일단이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결합부(131a)에 체결된 체결부재(133)들에 각각 걸림 연결한다.
끝으로, 상기 게시물(1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브라켓(130)들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게시물(10)이 팽팽하게 유지되면, 상기 체결부재(133)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브라켓(130)을 상기 프레임(110) 상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프레임(100)에 의하면, 탄성부재(140)가 구비되어 게시물(10)의 게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게시물(10)의 다변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2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체결레일부(217)와 지지브라켓(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레일부(217)는, 후술할 지지브라켓(250)이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레일부(217)는, 상기 베이스(111)의 절곡된 타단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레일부(217)는, 상기 베이스(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111)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체결레일부(217)의 양단에는, 걸림단(217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17a)은 상기 체결레일부(217)의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된다. 이러한 걸림단(217a)은 상기 체결레일부(217a)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브라켓(250)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50)은, 상기 체결레일부(217)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210)과 이웃하는 프레임(210)과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250)은, 상기 프레임(210)과 이웃하는 프레임(210)을 상호 연결하도록 직각으로 꺽인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210)들의 배치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프레임(200)에 의하면, 상기 체결레일부(217)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브라켓(250)이 상기 프레임(210)과 이웃하는 프레임(210)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액자프레임(200)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액자프레임 110: 프레임
110a: 공간부 111: 베이스
113: 결합레일부 113a, 115a, 217a: 걸림단
115: 연결레일부 115b: 지지플레이트
120: 결합브라켓 121, 131: 판부
121a, 131a: 결합부 123, 133: 체결부
130: 연결브라켓 140: 탄성부재
217: 체결레일부 250: 지지브라켓
10: 게시물 11: 연결공

Claims (7)

  1. 내측에 게시물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 단부가 상호 연결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들의 각 단부를 연결상태로 결합 고정되게 하는 결합브라켓;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하도록 체결부재가 구비된 연결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게시물에 연결되어, 상기 게시물이 상기 프레임 내측에서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자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단이 절곡된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게시물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브라켓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결합레일부와,
    상기 결합레일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레일부를 포함하는 액자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일부와 상기 연결레일부는,
    양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도록 걸림단이 형성된 액자프레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은,
    양단에 각각 상호 연결된 상기 프레임의 각 결합레일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부가 마련된 판부와,
    각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관통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판부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자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프레임.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된 체결레일부와,
    상기 체결레일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과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액자프레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의 테두리 둘레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걸림 연결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프레임.
KR1020120146002A 2012-12-14 2012-12-14 액자프레임 KR10136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002A KR101367524B1 (ko) 2012-12-14 2012-12-14 액자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002A KR101367524B1 (ko) 2012-12-14 2012-12-14 액자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524B1 true KR101367524B1 (ko) 2014-02-25

Family

ID=5027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002A KR101367524B1 (ko) 2012-12-14 2012-12-14 액자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55B1 (ko) * 2015-07-03 2015-11-16 권은철 액자
KR102103427B1 (ko) 2019-05-03 2020-04-22 전윤희 광고액자
KR102105908B1 (ko) *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563U (ja) * 1991-02-09 1994-06-21 シンエイ株式会社 組立式額縁の連結構造
KR20030089573A (ko) * 2002-05-16 2003-11-22 김인호 액자
KR20070001290U (ko) * 2007-11-23 2007-12-12 배성철 전면개폐형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563U (ja) * 1991-02-09 1994-06-21 シンエイ株式会社 組立式額縁の連結構造
KR20030089573A (ko) * 2002-05-16 2003-11-22 김인호 액자
KR20070001290U (ko) * 2007-11-23 2007-12-12 배성철 전면개폐형 액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55B1 (ko) * 2015-07-03 2015-11-16 권은철 액자
EP3113156A1 (en) 2015-07-03 2017-01-04 Eun Choul Kwon Picture frame
KR102103427B1 (ko) 2019-05-03 2020-04-22 전윤희 광고액자
KR102105908B1 (ko) *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8602C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KR100740039B1 (ko) 라이트패널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병풍식 광고판
KR200407796Y1 (ko) 간판용 프레임 구조
US10039392B2 (en) Modular poster print stretch frame
KR101367524B1 (ko) 액자프레임
US7237349B2 (en) Display suspending frame
US6412743B1 (en) Signage support base
US20110222221A1 (en) Modular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unit
CN103423565A (zh) 一种显示屏转角连接件
KR200461257Y1 (ko) 파티션
KR101284254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1106246B1 (ko) 광고용 프레임 조립체
KR20110008157U (ko) 광고판의 라이트 패널
JP4358600B2 (ja) 机における配線処理装置
CN203852120U (zh) 一种展示框
KR101447691B1 (ko) 광고 간판 프레임용 모서리캡 및 상기 모서리캡을 이용한 광고 간판 프레임 장치
KR101231056B1 (ko) 세로형 현수막 다량 게시대
KR20140131467A (ko) 광고대
CN219270580U (zh) 一种带有背板安装板与侧板安装板的展柜
CN111688386B (zh) 一种便于使用的名片盒
JP3939947B2 (ja) 枠状家具
JPH0741377Y2 (ja) ピンナップボード立設装置
KR200437104Y1 (ko) 탁상용 국기게시틀
KR101703011B1 (ko) 착탈식 간판
KR200280538Y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