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492B1 -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 Google Patents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492B1
KR101367492B1 KR1020100070752A KR20100070752A KR101367492B1 KR 101367492 B1 KR101367492 B1 KR 101367492B1 KR 1020100070752 A KR1020100070752 A KR 1020100070752A KR 20100070752 A KR20100070752 A KR 20100070752A KR 101367492 B1 KR101367492 B1 KR 10136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styrene
resin composition
acrylonitrile
asa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860A (ko
Inventor
송기헌
황용연
김민정
한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7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되고, 비닐시안 단량체가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상기 필름과 PVC 수지 필름이 공압출되어 제조된 압출시트 및 이 압출시트로부터 제조된 건축용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VC 수지 필름과의 접착력, 충격강도,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ASA Resin Composite For Preparing PVC-ASA Co-extruded Sheet, Film Therefrom, Co-extruded Sheet And Exterior Sheet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VC 수지 필름과의 접착력, 충격강도,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PVC)는 범용수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난연성, 내화학성 및 제품의 경도조절이 용이하여 건축용 외장재, 특히 윈도우 프로파일 등에 적용되고 있으나, 내후성, 착색성 및 내후변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PVC 수지는 건축용 외장재에 적용되는 경우 도장을 하거나, 내후성 등이 우수한 수지 필름과 라미네이팅하여 사용된다.
미국공개특허 2008/0281023은 착색된 PVC 포일에 내후성이 뛰어난 PMMA(polymethyl (meth) acrylate) 포일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한 시트를 개시하고 있으나, PVC 포일을 보호하는 PMMA 포일의 기계적 강도, 접착력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전기·전자 부품, 건축용 자재, 스포츠용품, 자동차부품 등에 많이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ASA) 열가소성 수지는 내후변색성, 내약품성 및 열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PVC 수지의 부족한 물성을 채워줄 수 있는 공압출용 수지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여전히 내스크래치성, 접착력 및 착색성 등이 충분치 못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PVC 수지 필름과의 접착력, 충격강도,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되고, 비닐사안 단량체가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이 필름과 PVC 수지 필름이 공압출되어 제조된 압출시트 및 이 압출시트로부터 제조된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VC 수지 필름과의 접착력, 충격강도,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PVC-PMMA 또는 PVC-ASA 압출시트의 접착력 측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VC-ASA 압출시트의 접착력과 종래의 PVC-PMMA 압출시트의 접착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과 종래의 PMMA의 충격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PVC 필름, ASA 필름 및 PMMA 필름의 열안정성 측정방법 및 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은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되고, 비닐시안 단량체가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ⅰ)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고무 중합체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서 '알킬' 부분을 의미함)는 2 내지 8 개의 탄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개의 탄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또는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이하,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라 함)는 유화 그라프트 중합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일정한 크기의 입자가 안정적으로 제조되고, 그라프트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유화중합은 ASA계 공중합체 제조시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유화제, 개시제, 그라프팅제, 가교제, 분자량 조절제 및 전해질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ⅰ)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응집 및 건조하여 건조분말 형태로 회수되어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180 내지 21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90 내지 12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것인데, 상기 평균입경 범위 내에서 광택 및 착색성 등과 같은 외관 특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함량비(대구경/소구경)는 3/4 내지 4/3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외관특성이 모두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ⅰ)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가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2 중량%로 포함된 것인데, 이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PVC 공압출용 ASA 필름의 PVC와의 접착력 및 내화학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비닐시안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가 2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고, 비닐 방향족 단량체가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내지 200,0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인데, 이 경우 제조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50 내지 80 중량%이고, 비닐 방향족 단량체가 20 내지 40 중량%이며, 비닐시안 단량체가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및 착생성 및 광택 등과 같은 외관 특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150,0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삼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원 공중합체는 유리전이 온도가 80 내지 1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인 것이다.
상기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은 상기 ⅰ)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PVC 수지와의 접착력,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커플링제, 형광 증백제, 금속불활성제, 블루밍제, 대전방지제, 활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염료, 안료, 난연제 및 무기 충전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은 구체적인 일례로, 건조분말 형태의 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펠렛 형태의 ⅱ)의 공중합체를 압출기에 투입한 다음, 용융혼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VC 공압출용 ASA 필름은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만드는 방법은 통상 ASA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압출시트는 상기 PVC 공압출용 ASA 필름, 및 PVC 수지 필름이 공압출되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출은 통상적으로 PVC 필름과 ASA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축용 외장재는 상기 압출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축용 외장재는 윈도우 프로파일 등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1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 제조>
반응기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0.03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05 중량부,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0.02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0.1 중량부, 및 증류수 60 중량부를 일괄 투입하고, 70 ℃까지 승온시킨 후, 칼륨 퍼설페이트 0.05 중량부를 넣어 반응을 개시하였다. 이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평균입경 200 ㎚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 제조>
반응기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0.06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05 중량부,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0.02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0.1 중량부, 및 증류수 60 중량부를 일괄 투입하고, 70 ℃까지 승온시킨 후, 칼륨 퍼설페이트 0.05 중량부를 넣어 반응을 개시하였다. 이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평균입경 100 ㎚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상기 평균입경 200 ㎚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 및 평균입경 100 ㎚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혼합한 혼합물에 스티렌 36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4 중량부, 로진산 칼륨 1.5 중량부, 칼륨 퍼설페이트 0.1 중량부, 3급 도데실 머캅탄 0.1 중량부, 및 증류수 6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 ℃에서 3 시간 동안 연속투입하면서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투입 종료 후 중합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75 ℃로 승온시킨 후 1 시간 동안 더 반응시킨 다음, 60 ℃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여 바이모달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바이모달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제조>
제조된 바이모달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염화칼슘 수용액을 사용하여 80 ℃에서 상압 응집한 후, 95 ℃에서 숙성하고, 세척 및 탈수한 다음, 90 ℃의 열풍으로 30 분 동안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0.5 % 미만이고, 밀도가 0.4 g/㎤인 최종 바이모달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제조>
상기 바이모달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40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3원 공중합체(XT-500, LG화학 제품) 60 중량부, 활제로 EBS(선구화학제품) 1 중량부, 산화방지제로 Irganox 1076(Ciba-Geigy제품) 0.5 중량부, 및 자외선 안정제로 Tinuvin 327(Ciba-Geigy제품) 0.5 중량부를 220℃에서 용융하여 이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혼련하여 최종적으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비교예 1에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중량%인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평균입경 200 nm(대구경)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되, 이 포함되지 않는 양만큼 평균입경 100 nm(소구경)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평균입경 100 nm(소구경)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되, 이 포함되지 않는 양만큼 평균입경 200 nm(대구경)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중합체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을 각각 200 ℃의 실린더 온도에서 40 파이 압출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한 다음,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고, 이 시편들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태내었다.
ㄱ) 충격강도(아이조드 충격강도, 1/4" notched at 23 ℃, ㎏·㎝/㎝):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ㄴ) 내스크래치성: 연필경도로 측정하였다.
ㄷ) 내후성: Atlas사 Ci35A W-O-M(Xenon Lamp, Energy 0.35 w/㎡ at 340nm)를 사용하여 2,000 시간 테스트 후, 변색도를 △E로 측정하였다.
ㄹ) 평균입경: Particle size analyzer 인 NICOMP 380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ㅁ) 중량평균분자량: 샘플을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여 G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ㅂ) 유리전이온도: DSC Q100(TA Instruments사)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ㅅ) 접착력: 하기 도 1에 개시된 방법으로,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47246873-pat00001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충격강도 12 10 4 14
내스크래치성 HB B HB B
내후성 0.2 0.4 0.3 0.2
접착력 38 31 35 3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실시예 1)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비교예 1)와 모노모달(monomodal)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비교예 2 및 3)에 비하여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접착력, 충격강도 및 내화학성 등이 모두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하기 도 4의 열안정성 테스트에서 ASA 필름, PMMA 필름 및 PVC 필름의 열변형 정도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결과는 공압출시 가공성과는 별개이다.

Claims (17)

  1.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이고, 비닐시안 단량체가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입경 180 내지 2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평균입경 80 내지 130 nm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함량비(대구경/소구경)가 중량비로 3/4 내지 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는, 알킬기가 2 내지 8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화 그라프트 중합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25 내지 45 중량%, 비닐 방향족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단량체 35 내지 4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1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80 내지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은, 상기 ⅰ) 바이모달(bimodal) 알킬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은, 활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염료, 안료, 난연제 및 무기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15. 제 1항,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PVC 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PVC 공압출용 ASA 필름.
  16. 제 15항의 PVC 공압출용 ASA 필름, 및 PVC 수지 필름이 공압출되어 제조된 압출시트.
  17. 제 16항의 압출시트로부터 제조된 건축용 외장재.
KR1020100070752A 2010-07-22 2010-07-22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KR10136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752A KR101367492B1 (ko) 2010-07-22 2010-07-22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752A KR101367492B1 (ko) 2010-07-22 2010-07-22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860A KR20120009860A (ko) 2012-02-02
KR101367492B1 true KR101367492B1 (ko) 2014-02-25

Family

ID=4583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752A KR101367492B1 (ko) 2010-07-22 2010-07-22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7536B (zh) * 2012-09-28 2014-10-15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丙烯腈/丙烯酸酯/苯乙烯共聚物树脂及其制备方法
KR101651736B1 (ko) 2013-09-04 2016-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 보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제조방법
WO2015034209A1 (ko) * 2013-09-04 2015-03-12 (주) 엘지화학 내후성 보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2183327B1 (ko) * 2016-12-26 2020-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2135428B1 (ko) * 2017-02-23 2020-07-17 (주)엘지하우시스 합성수지 창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창호
KR102386835B1 (ko) 2019-02-19 2022-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CN110435195A (zh) * 2019-09-06 2019-11-12 广东共力建材有限公司 一种asa/pvc多层瓦共挤生产线及生产方法
KR102426519B1 (ko) * 2020-10-21 2022-07-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6411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478A (en) * 1980-11-24 1984-02-07 Burghard Schmitt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US6649117B1 (en) * 1999-02-12 2003-11-18 Basf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KR20050050808A (ko) *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73230A (ko)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478A (en) * 1980-11-24 1984-02-07 Burghard Schmitt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US6649117B1 (en) * 1999-02-12 2003-11-18 Basf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KR20050050808A (ko) *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73230A (ko)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860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492B1 (ko)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KR1020801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48656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487204B2 (en) Method of preparing ASA graft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moplastic ASA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ASA molded part
EP3385327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KR10218332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JP200850438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9829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597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EP3584264B1 (en) Method for preparing asa-based graft co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product
KR101040827B1 (ko) 무광택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74489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20140086729A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3613807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5704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3307989B2 (ja) ラミネート用艶消フィルム
KR100990586B1 (ko)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91347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KR2019004340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40046760A (ko)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알킬아크릴레이트-비닐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667781B2 (en) Polyvinyl chloride compositions containing impact modifiers and calcium carbonate
KR101718955B1 (ko)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839483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창호재용 수지 조성물
KR101737169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673200A (ja) ラミネート用艶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