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13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13B1
KR101366313B1 KR1020070000095A KR20070000095A KR101366313B1 KR 101366313 B1 KR101366313 B1 KR 101366313B1 KR 1020070000095 A KR1020070000095 A KR 1020070000095A KR 20070000095 A KR20070000095 A KR 20070000095A KR 101366313 B1 KR101366313 B1 KR 10136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input
output
inpu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3548A (en
Inventor
원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13B1/en
Publication of KR2008006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단말기와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관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와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출력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음성을 입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통화 시 헤드셋을 사용할 경우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 시 상대방에게 자신의 목소리 외에 더욱 사실감 있는 소리를 들려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a call; Check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Setting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a microphone of the terminal as a voice input path, and setting one of a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a receiver of the terminal as a voice output path Executing any 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based on the setting. When a headset is used, a voice input and output can be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allows you to hear more realistic sounds in addition to your own voice.

헤드셋, 음성 경로 Headset, voice path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ice input / output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를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을 위한 일 실시예 환경 설정 화면 설명도이다.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screen for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을 통화 시 설정할 수 있는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during a cal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송,수신부 110: 연결부100: transmitter, receiver 110: connection

120 : 마이크 130 : 스피커120: microphone 130: speaker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140: display unit 1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시 헤드셋 을 사용할 경우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분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parating input and output of a voice from a headse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headset is used during a call.

최근 블루투스는 컴퓨터, 휴대 단말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해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 유비쿼터스 시대를 이룩하는데 가장 적합한 무선 통신 규격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폭넓은 범용성을 지원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제품끼리는 각종 데이터 전송 및 공유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Recently, Bluetooth has become the most suitabl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for achieving the ubiquitous era as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hat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by wirelessly connecting computers, mobile terminals, and home appliances. In particular, it supports a wide range of versatility, so that products supporting Bluetooth can transmit and share various data.

근래에 가장 활발한 응용 분야는 단연 휴대폰과 블루투스 헤드셋이다. 처음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휴대폰이 발매되었을 때는 비싼 전용 헤드셋 가격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유선 헤드셋이 케이블 길이의 제약이 있는 것에 반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은 약 10m 내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The most active applications in recent years are mobile phones and Bluetooth headsets. When the first Bluetooth-enabled mobile phone was released, it was not attracting much attention due to the expensive price of a dedicated headset.However, while a wired headset has a limitation in cable length, a Bluetooth headset can be used freely within about 10m.

그러나 헤드셋의 가장 기본적인 용도는 말하고, 듣는 것이다. 무선이라는 특성이 편리하기도 하지만, 외부나 소음이 심한 내부에서는 깨끗한 음질로 통화를 할 수 없다. 통상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면 통화 중 음성 입출력이 휴대폰에서 헤드셋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에 블루투스 헤드셋을 장착하면 사용자는 통화 중 헤드셋을 통해 통화를 하고, 헤드셋을 탈착하거나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헤드셋 연결을 끊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한다. 이러한 방식은 헤드셋을 사용할 경우 음성 입출력을 휴대폰 또는 헤드셋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분리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상대방 음성을 듣을 땐 헤드셋을 이용하고, 말을 할때는 휴대폰의 마이크를 이용한 분리가 불가능하다.But the most basic use of a headset is to speak and listen. The wireless feature is convenient, but you can't make calls with clean sound from the outside or noisy interiors. In general, using a Bluetooth headset, voice input and output during a call is changed from a mobile phone to a headset. Therefore, when a mobile phone is equipped with a Bluetooth headset, the user can make a call through the headset, disconnect the headset or disconnect the headset through the menu provided by the mobile phone and use the mobile phone to make a call.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cannot be separated because the voice input and output can be performed only through the mobile phone or the headset.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use a headset to listen to the other party's voice and to use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phone when tal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셋을 사용시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parating input and output of a voic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using a headse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무선 송수신부와; 단말기와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호 연결상태에서의 음성 입출력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입력 경로로서 설정하거나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와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출력 경로로 설정하고, 그 설정에 기초하여 호 연결상태에서의 음성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wireless transceiver configured to connect a call;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 input unit for setting a voice input / output path in a call connection state; Set one of 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microphone of the terminal as the voice input path through the input unit, or set one of the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as the voice output path.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voice input / output in a call connection state based on the set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은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단말기와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관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와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출력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음성을 입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voice input and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a call; Check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Setting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a microphone of the terminal as a voice input path, and setting one of a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a receiver of the terminal as a voice output path Executing any one; And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based on the setting.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송수신부(100)는 듀플렉서(Duplexer), 수신기 및 송신기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transceiver 100 includes a duplexer,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듀플렉서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신호가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하고,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가 수신기로 수신되도록 한다.The duplexer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to transmit a radio signal from the transmitter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and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to the receiver. To be received.

수신기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아,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출력한다.The receiv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and receives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from the duplexer, demodulates the baseband, and outputs the demodulated signal.

송신기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소정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한다.The transmitter modulates a predetermined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50 into a radio signal and outputs the modulated radio signal to the duplexer.

연결부(110)은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써,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는 마이크와 리시버가 결합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선 헤드셋 또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선 헤드셋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할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부을 통해 연결한다.The connection unit 110 i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an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is a microphone and a receiver, and means a wired headset or a Bluetooth heads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when the wired headset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는 이하 헤드셋으로 설명한다.Preferably,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is described below as a headset.

마이크(1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 음성을 입력받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도 음성을 입력받는다.The microphone 120 receives a microphone and a voi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ly, the microphone of the headset receives voice.

스피커(1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The speaker 130 is configured as a speaker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an audio signal in an audible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부(미도시)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0 receives and displays display data corresponding to a key signal from an input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and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icons and text. Display in form.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는 호 연결상태에서의 음성 입출력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다. 간단히 설명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Preferably, the input unit is an input unit for establishing a voice input / output path in a call connection state. In brief,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signals for the keys to the controller 150.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입력 경로로서 설정하거나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와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출력 경로로 설정하고, 그 설정에 기초하여 호 연결상태에서의 음성 입출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sets one of 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microphone of the terminal as the voice input path through the input unit, or sets one of the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The voice input / output is controlled in the call connection state based on the setting.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에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엔,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에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when the voice is output from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to output voice from the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여부는 사용자가 UI를 통해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Preferably, the setting is a user selecting a voice input / output path between the headse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UI.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를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키를 누르면 발신을 하게 되고, 제어부(150)는 호를 연결하게 된다(S200). 즉, 사용자는 적어도 한명의 사람과 통화를 하는 통화 중 상태가 되고 이때, 단말기의 연결부(120)에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관계를 확인한 후(S210),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와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출력 경로로의 설정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상기 음성 입력 및 음성 출력의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S220).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presses a key through the input unit, the user makes a call and the controller 150 connects a call (S200). That is, the user is in a call state in which a call is made with at least one person, and at this time, after confirm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in the connection unit 120 of the terminal (S210), when the connection is confirmed, Set either one of the microphone and the microphone of the terminal as the voice input path, and once again, the setting of the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as the voice output path, and the voice input and voice At least one of the paths of the output is executed (S220).

그리고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음성을 입출력한다(S230).The voice is input and output based on the setting (S230).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는 헤드셋이다.Preferably, the external voice input and output device is a headset.

한편 통화 중 상기 헤드셋이 연결되지 않거나 헤드셋이 연결되어도 음성 입출력의 경로의 설정이 해제로 되어 있으면 음성 경로 조정없이 계속 호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headset is not connected or the headset is connected during a call, if the setting of the voice input / output path is canceled, the call continues without adjusting the voice path.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셋은 유선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셋 중 하나인 것으로서, 통화 중 상태에서 이어폰 잭에 유선 헤드셋을 연결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의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헤드셋이 연결되면 설정 상태에 따라 음성 경로를 조정한다.Preferably, the headset is one of a wired headset and a Bluetooth headset, and connects the wired headset to the earphone jack in a call state or adjusts the voice path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when the headset using the Bluetooth, which is on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is connected. .

예를 들어, 상기 음성의 입력과 출력은 상기 헤드셋에서 음성을 입력받을 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입력받을 땐, 상기 헤드셋에서 음성을 출력한다.For example, the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outputs the voi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voice is input from the headset, and outputs the voice from the headset when the voice is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말을 하고 듣는다. 또한 헤드셋을 사용하면 상기 헤드셋에 구비된 마이크와 리시버를 이용하여, 말을 하고 듣는다. That is, generally,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peaks and listens us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when using a headset, using the microphone and receiver provided in the headset, to speak and listen.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통화중 말을 할 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고, 들을 때는 헤드셋의 리시버를 이용한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온 폰 또는 비디오 공유 전화(Video Sharing Call)에 적용하여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가장 사실적인 소리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기존에 VSC시 카메라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가 멀어 사운드 현장감이 떨어지고 잡음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for speaking during a call, and a receiver of the headset is used for listening. Of course the opposite is also true. Therefore, since the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can be separated, it can be applied to a video phone or a video sharing call so that the most realistic sound can be input to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Previously, the VSC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has been improved, reducing the sound presence and noise.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을 위한 일 실시예 환경 설정 화면 설명도이다.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screen for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운드 설정화면에서 음성 입출력 선택을 설정한다(도 3a). 상기 음성 입출력 선택엔 스피커와 마이크 두 가지 메뉴가 있어서(도 3b), 각각 헤드셋과 휴대폰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도 3c, 도 3d). 이하 도 4를 통해 실제 통화중 음성 경로를 선택하는 화면을 살펴본다.Voice input / output selection is set on the sound setting screen (Fig. 3A). The voice input / output selection has two menus, a speaker and a microphone (FIG. 3B), so that one of the headset and the mobile phone can be selected (FIG. 3C, 3D). Hereinafter, a screen for selecting a voice path during an actual c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을 통화 시 설정할 수 있는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during a call.

사용자가 114로 전화를 걸어 상담원과 통화를 하는 모습을 연출한 것으로서, 이미 메뉴를 통해 음성 경로를 설정했거나 특정 키를 입력하여 음성의 입출력을 휴 대폰과 헤드셋으로 분리한다. 이때 특정 키를 이용하여 현재 음성 경로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키 조작에 의해 마이크와 스피커를 ON,OFF 시킬 수 있으며, 헤드셋의 리시버는 스피커로써, 사용자가 알기 쉽게 스피커로 표기하였다.The user calls 114 and talks to an agent, who has already set up a voice path through a menu or inputs a specific key to separate voice input and output into a mobile phone and a headset. At this tim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voice path can be checked by using a specific key, and the microphone and speaker can be turned on and off by key manipulation. The receiver of the headset is a speaker, which is clearly indicated by a speaker.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셋은 유선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셋을 지칭하지만, 상기 유선 헤드셋은 3극 이어폰, 10극 이어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와 선으로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한 헤드셋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headset refers to a wired headset or a Bluetooth headset, but the wired headset includes a headset which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3-pole earphone or a 10-pole earphone in a line to make a call.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도 근거리 통신 모듈 중 블루투스를 이용하였지만 Irda, UWB를 이용한 헤드셋에도 적용이 가능하다.More preferably, the Bluetooth headset may be applied to a headset using Irda and UWB although Bluetooth is used 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은 통화 시 헤드셋을 사용할 경우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 시 상대방에게 자신의 목소리 외에 더욱 사실감 있는 소리를 들려줄 수 있다.The voice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using a headset during a call, so that the other party can hear a more realistic sound in addition to his or her voice. have.

또한, 비디온 폰 또는 비디오 공유 전화(Video Sharing Call)에 적용하여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가장 사실적인 소리를 입력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video phone or a video sharing call (Video Sharing Call) to receive the most realistic sound in the video taken by the camera.

또한,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경로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이 심한 곳에서 더욱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oice path of the headse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parated, it can be used more usefully in a noisy place.

Claims (6)

호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call; 단말기와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관계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음성의 입력과 출력이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 상기 단말기에 각각 분리되도록,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 및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 및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상기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리시버를 음성 출력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 및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microphone of the terminal are set as a voice input path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ar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terminal, respectively. Setting any one of a receiver and a receiver of the terminal not set as the voice input path as a voice output path; And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음성을 입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Voice input and output based on the setting; Voice input and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는 유선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셋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And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is one of a wired headset and a Bluetooth headse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음성의 입력과 출력은,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에서 음성을 입력받을 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에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을 땐,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에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The voice input and output,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and output device, when the voice output from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input and out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voice from the receiver of the external voice input and output device. 호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무선 송수신부;A wireless transceiver configured to connect a call; 단말기와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호 연결상태에서의 음성 입출력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setting a voice input / output path in a call connection state; And 상기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와 상기 단말기에 각각 분리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 및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 및 상기 단말기의 리시버 중 상기 음성 입력 경로로 설정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리시버를 음성 출력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호 연결상태에서의 음성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icrophone of any one of 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and output device and the microphone of the terminal is set as a voice input path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ar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voice input and output device and the terminal, respectively.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one of the receivers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not set as the voice input path as a voice output path, and control voice input and output in a call connection state based on the se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을 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을 땐, 상기 외부 음성 입출력 장치의 리시버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ler outputs the voice to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and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ice of the external voice input / output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output the voice to the receiver.
KR1020070000095A 2007-01-02 2007-01-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KR101366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95A KR101366313B1 (en) 2007-01-02 2007-01-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95A KR101366313B1 (en) 2007-01-02 2007-01-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548A KR20080063548A (en) 2008-07-07
KR101366313B1 true KR101366313B1 (en) 2014-02-20

Family

ID=3981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095A KR101366313B1 (en) 2007-01-02 2007-01-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309B1 (en) 2015-06-04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nput or output in th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551B1 (en) * 2005-12-28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551B1 (en) * 2005-12-28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548A (en) 200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4798B2 (en) Transferring of audio routing in a premises distribution network
US7890147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EP3185520B1 (en) Automatic prompt at call-end for disconnection of headset
JP2012070050A (en) On-vehicle apparatus
CN102857807A (e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control method and digital television terminal
KR101330476B1 (en)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JP2003319062A (en) Handfree portable telephone and handfree switching program
JP53871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820369B1 (en)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Of Smartphone To A Headset
JP5890289B2 (en) Portable terminal, voice control program, and voice control method
JP2010278857A (en) Hands-free cellular phone
CN108566221B (en) Call control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JP2001339485A (en) Fixed network telephone set capable of being used in common to portable telephone
KR1013663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JP5376688B2 (en) Telephone device and call transfer method
KR20040038003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incoming call information of mobile phone
JP2009111888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with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JP6717542B2 (en)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JP2002247173A (en) Charging rack for mobile phone
KR1007365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596232B (en) Sound channel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JP51580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538719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JP5140319B2 (en) Communication device, slave unit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