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92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92B1
KR101361092B1 KR1020120105961A KR20120105961A KR101361092B1 KR 101361092 B1 KR101361092 B1 KR 101361092B1 KR 1020120105961 A KR1020120105961 A KR 1020120105961A KR 20120105961 A KR20120105961 A KR 20120105961A KR 101361092 B1 KR101361092 B1 KR 10136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light
lamp uni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102012010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60Q1/3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for signalling that a door is open or intended to be op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21S43/315Optical layout thereof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램프유닛, 램프유닛을 커버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스플리터를 포함하되, 램프유닛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램프유닛은 상하로 적층되고, 램프유닛은 차량의 측방으로 가이드라이트를 조사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차량 측면 방향 광원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 및 작은 크기로 인한 램프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면서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을 종료한 후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야간의 경우에는 차량 개문 방향으로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이나 오토바이 또는 자건거 등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하차자가 주의를 기울이는 것 이외에도, 위험한 상황을 미리 차단할 수 있도록 사각에서 차량 개문 방향을 통과하는 사람에게 적절한 알림을 미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 운전자가 목적지에 도달하여 차량 운행을 종료한 후, 차량에서 하차하여 목적지 예를 들어 집, 회사 등으로 도보 이동하게 되는데, 특히 야간에 불빛이 없는 지역에서 도보 이동하는 경우,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후 목적지까지 도보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 또는 하차시에 다른 차량 또는 구동체에 적절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목적지로 도보 이동하는 경우, 도보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램프유닛, 램프유닛을 커버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스플리터를 포함하되, 램프유닛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램프유닛은 상하로 적층되고, 램프유닛은 차량의 측방으로 가이드라이트를 조사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 또는 하차시에 다른 차량 또는 구동체의 운전자가 차량 개문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이트를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목적지로 도보 이동하는 경우, 도보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조도가 부족한 외진 지역을 안전하게 도보할 수 있도록 하며 범죄 위험에 노출되는 확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에 따른 기본 동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가이드라이트의 조사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차량 개문시의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가이드라이트와 지면과의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의 원격 컨트롤러로 램프유닛을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측방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하는 램프유닛(110), 램프유닛(11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외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송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다른 램프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100)은 램프유닛(110),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유닛(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측면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며, 송수신부(130)는 외부의 원격 컨트롤러(30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램프유닛(110)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력을 공급받아 광원이 발광함으로써 차량(100)의 측방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할 수 있다.
램프유닛(110)은 차량(1000의 소정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좌우측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램프유닛(110)은 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유닛(110)은 복수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GB 타입의 LED 광원이 채용되어, 다양한 색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이트(200)가 생성될 수 있다. 일예로, 램프유닛(110)의 광원은 복수의 광학소자로 구성되고, 복수의 광학소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학소자는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을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램프유닛(110)은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되, 가이드라이트(200)는 점등 후 소정 시간 간격 이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소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램프유닛(11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램프유닛(110)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램프유닛(110)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램프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송수신부(130)에 의해 원격으로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램프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램프유닛(110) 등의 구성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컨트롤 유닛(ECU) 등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부(130)는 외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원격 컨트롤러(3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인 Wi-Fi, Bluetooth를 처리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3G, 4G 또는 HSDPA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차량(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소정의 동작을 포착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해 램프유닛(110)을 제어하여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140)를 구성하는 센서 유닛은 특정 물체가 근접했는지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 내지 초음파 형태의 감지센서, 사람의 체온 등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정전식으로 동작하는 터치센서, 또는 광센서 등이 채용되어, 다양한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가이드라이트(200)의 광패턴으로 반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램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구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램프유닛(110)은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은 제어부(12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은 소정의 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은 서로 배치되는 높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각의 광원(111a, 111b, 111c)으로부터 형성되는 가이드라이트(200)의 조사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111a)은 램프유닛(110)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조사 범위가 가장 넓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광원(111b)은 램프유닛(110)의 중단에 배치되어 조사 범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제3 광원(111c)은 램프유닛(11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근거리를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 각각은 한 쌍의 스플리터(114)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스플리터(114)는 광원(1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경로를 가이드하며, 한 쌍의 스플리터(114)의 표면에 의해 교차로 반사된다.
하나의 광원(111)은 한 쌍의 스플리터(114)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스플리터(114)의 가이드에 대응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광을 출사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광원(111a)은 제1 스플리터(114a) 및 제2 스플리터(114b)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광원(111b)은 제2 스플리터(114b) 및 제3 스플리터(114c) 사이에 배치되며, 제3 광원(111c)은 제3 스플리터(114c) 및 제4 스플리터(114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플리터(114)는 양면으로 빛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플리터(114)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사 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인접한 스플리터(114) 사이의 간격이 재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플리터(1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측면의 도로 또는 지면을 향해서 가이드라이트(200)가 형성되도록 광 출사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을 순차적으로 광량을 제어하거나, 디밍(dimming)을 제어할 수 있고,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순서는 차량(100)의 운전자의 평균보행속도를 기초로 결정되는 소정의 시간간격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에서 생성된 가이드라이트(200)가 운전을 마친 차량 운전자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에스코트하는 기능을 수행할 경우, 차량 운전자가 차량(100)으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고려하여, 최초 구간에서는 근거리를 조사하는 제3 광원(113)을 조사하여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고, 이후 차량 운전자가 차량(1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2 광원(112)을 조사하여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고, 이후 차량 운전자가 차량(100)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경우에는 원거리를 조사하는 제1 광원(111)을 동작시켜서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어순서는 차량(100)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가 5m 이내면 근거리를 조사하는 제3 광원(113)을 조사하여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고, 거리가 10m이면 제2 광원(112)이 조사되고, 15m 이상이면 제1 광원(111)이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리 간격 설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차량의 크기, 도로 상태, 광원의 세기나 조사범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광원(111a, 111b, 111c)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저전력으로 동작되는 LED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램프유닛(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111a, 111b, 111c) 중에서 하나의 광원이 점등되면, 나머지 다른 광원은 소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램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111)과, 광원(111)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12)를 포함하는 램프유닛(110), 램프유닛(110)을 커버하는 하우징(113), 및 하우징(113)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스플리터(114)를 포함하되, 램프유닛(110)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램프유닛(110)은 상하로 적층되고, 램프유닛(110)은 차량(100)의 측방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한다.
이전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와 달리, 리플렉터(112) 및 하우징(113)이 추가되며, 광원(111)과 리플렉터(112)가 램프유닛(110)을 구성하는 점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111)과 리플렉터(112)가 램프유닛(110)을 구성하며, 램프유닛(110)은 한 쌍의 스플리터(114)가 형성한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구조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램프유닛(110)이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하나의 램프유닛(110)에 포함된 광원(111)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프로젝션 타입의 광원일 수 있다.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는 빛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 면에서 유리하고, 차량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1)은 방전 벌브 및 방전 벌브로 인해 발광하는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전 벌브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벌브일 수 있다.
또한, 광원(1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ED 소자일 수 있으며, 복수의 다른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소자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1)은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을 발광하는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1)은 소정의 빛을 발생시켜서 발생된 빛을 차량의 측방 외부로 제공한다. 광원(111)은 하나의 광원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램프유닛(110)은, 광원(111)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히트싱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115)는 히트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 스프레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열 전달 면적 증가를 위하여 히트 스프레드의 일측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히트싱크(115)는 다수의 방열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트싱크(115)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빠르게 냉각시키기 위한 팬(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히트싱크가(115)가 광원(111) 및/또는 기판(미도시)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원(111)과 히트싱크(115)와의 배치관계는 변경될 수 있다.
광원(111)과 히트싱크(115) 사이에는 서로 맞닿는 면을 균일하게 하고 연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히트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히트싱크(115)의 일단부(도면 오른쪽)는 하우징(113)의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115)는 복수의 램프유닛(110)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히트싱크(115a, 115b, 115c)는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리플렉터(112)는 광원(1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원하는 위치로 광을 1차적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플렉터(112)는 광원(111)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발생한 빛의 반사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면상에서 리플렉터(112)의 일단은 광원(111)과 인접해 있으며, 리플렉터(112)의 타단은 후방으로 하우징(113)과 서로 맞닿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리플렉터(112)의 표면에는 난반사층 또는 확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111)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면 리플렉터(112)에 의해 불규칙하게 난반사되어 빛이 고르게 퍼진 상태로 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플리터(114) 사이를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스플리터(114) 사이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면광원에서 출사된 형태와 같이 휘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리플렉터(112)의 표면에 형성된 난반사층은 반복적인 형태의 미세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이 미세 요철에 의해 불규칙하게 반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리플렉터(12)는 다초점 리플렉터(MFR; Multi Focus Reflector)일 수 있다.
하우징(113)은 복수의 램프유닛(110)을 커버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램프유닛(110)을 보호하며, 램프유닛(1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13)은 복수의 램프유닛(110)을 커버하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플리터(114)는 하우징(113)으로부터 일측(도면에서 왼쪽)으로 연장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플리터(114)가 하나의 램프유닛(11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의 램프유닛(110a, 110b, 110c) 각각은 한 쌍의 스플리터(114)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스플리터(114)는 램프유닛(110a, 110b, 11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경로를 가이드하며, 한 쌍의 스플리터(114)의 표면에 의해 교대로 반사되면서 출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램프유닛(110a)은 제1 스플리터(114a) 및 제2 스플리터(114b)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램프유닛(110b)은 제2 스플리터(114b) 및 제3 스플리터(114c) 사이에 배치되며, 제3 램프유닛(110c)은 제3 스플리터(114c) 및 제4 스플리터(114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플리터(114)는 역반사체(Retro Reflector)일 수 있으며, 한 쌍의 스플리터(114)는 램프유닛(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에 따른 기본 동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가이드라이트의 조사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운전자(D)가 차량(100) 내부에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가이드라이트(200)가 조사되지 않으며, 차량운전자(D)가 차문을 열거나 하차한 후 스마트키와 같은 원격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라이트(200)가 조사될 수 있다.
기존 차량의 헤드램프가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며 테일램프가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과 달리, 가이드라이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방으로 조사된다.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는 램프유닛(110)은 차량의 측면을 향해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되 발광 방향만 측면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유닛(110)은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 2개 이상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램프유닛(11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은 램프유닛(110)은 차량(100)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가이드라이트(200)를 생성하며, 가이드라이트(200)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경로를 조사하여 도보시 에스코트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격 컨트롤러(300)로 차량(100)을 잠금(lock) 또는 잠금해제(unlock)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차량 개문시에 후방의 진입체에게 차량 개문을 미리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램프유닛(110)은 차량의 헤드램프(10) 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차량의 테일램프(20)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유닛(110)은 차량의 헤드램프(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차량의 테일램프(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헤드램프(10) 또는 테일램프(20)의 광원과 동일한 전력원으로부터 공급받아서 발광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차량 개문시의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가이드라이트와 지면과의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램프유닛(110)은 제어부(120)에 의해 차량(100)의 도어 중 개방된 도어측 방향(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센서부(140)의 구성과 연계되어 개방된 도어측 방향으로 가이드라이트(200)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차량(100)의 도어의 실내측 잠금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차하고자 하는 탑승자의 손이 잠금장치에 인접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탑승자가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차량(100)의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이를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신호를 감지한 제어부(120)는 개방되는 도어가 있는 방향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차자가 하차하는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개방되는 도어와 인접하게 통과하는 대상체(P)에게 미리 도어측 방향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함으로써, 도어가 개문되는 것을 알릴 수 있으며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라이트(20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소등될 수 있으며, 또는 개방되었던 도어가 닫히면 램프유닛(110)이 소등되어 가이드라이트(200)를 해제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하차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라이트(200)는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대상체(P)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차량(100)의 측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램프유닛(110)에서 생성되는 가이드라이트(200)는 차량(100)의 측방 지면과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측방 지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조사 방향의 정면에 존재하는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기존의 헤드램프 또는 테일램프와 달리 가이드라이트(200)는 근거리를 조영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100)의 측방의 지면을 조사하여 보행자를 에스코트하거나 단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구조이기 때문에, 가이드라이트(200)는 지면과 소정 각도(θ)로 조사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조사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유닛(110)는 스위블되고, 소정 각도(θ)는 가변될 수 있다. 즉, 램프유닛(110)은 소정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 즉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가이드라이트(20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θ)는 가변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원격 컨트롤러(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램프 제어 시스템의 원격 컨트롤러로 램프유닛을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격 컨트롤러(300)는 차량(100)의 송수신부(130)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컨트롤러(300)는 차량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수행하는 스마트키, 또는 차량 리모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휴대형 단말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등의 일부 모듈로 구성될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컨트롤러(300)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며,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원격 컨트롤러(300)가 전송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가이드라이트(200)를 형성할 수 있다.
원격 컨트롤러(300)는 차량 잠금 상태 변경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차량의 잠금상태가 해제 또는 잠금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 잠금 상태 변경 버튼이 눌려질 경우, 송수신부(1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가이드라이트(200)가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라이트(200)는 차량(100)의 측방으로 전체 광원이 동시에 점등되어 생성되는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광원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멸등되어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컨트롤러(300)는 차량 위치 탐색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위치 탐색 버튼이 눌려지면 송수신부(12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램프유닛(110)이 동작하여 소정의 가이드라이트(200)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위치 탐색 버튼은 차량 잠금 상태 변경 버튼과 별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2개의 버튼이 동일한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위치 탐색 버튼을 클릭한 경우, 가이드라이트(200)에 의해 자신의 차량(100)이 어디에 주차되어 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포함된 램프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램프 제어 시스템은, 차량(100)의 측방으로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하는 램프유닛(110), 램프유닛(11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외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송수신부(130)를 포함하며, 차량(100)의 측방을 감지하여 소정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5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20)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100)의 운전자의 보행 경로를 추출하고, 보행 경로에 대응하여 가이드라이트(200)의 조사 범위가 변경된다.
카메라부(150)는 차량(100)의 측방을 감지하여 외부영상(400)에 대한 소정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카메라부(150)는 차량(100)의 양측면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양측면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차량(100)의 측방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차량(100)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50)는 기존의 주행시에 동적 헤드램프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카메라와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 운행을 종료한 후, 차량(100)에서 하차하여 소정의 목적지까지 도보 이동할 경우에, 차량 운전자의 도보 이동 경로에 가이드라이트(200)를 조사할 때, 차량 운전자의 도보 경로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차량(100)이 잠금상태로 설정된 경우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카메라부(150)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운전자의 보행 경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복수의 보행자 또는 피사체 중에서 차량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알고리즘 또는 식별마크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차한 차량 운전자의 보행 경로를 추출한 후, 제어부(120)는 보행 경로에 대응하여 가이드라이트(200)의 조사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차량 운전자가 차량(100)의 측방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120)는 램프유닛(110)를 스위블시켜서 가이드라이트(200)가 차량 운전자의 실제 도보 경로와 일치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램프유닛(110)이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될 경우, 근거리를 조사하는 광원에서 원거리를 조사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점등시켜서 차량 운전자의 보행 경로 상에 가이드라이트(2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110: 램프유닛
120: 제어부
130: 송수신부
140: 센서부
150: 카메라부
200: 가이드라이트
300: 원격 컨트롤러

Claims (16)

  1.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램프유닛;
    상기 복수의 램프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분할하여 차량의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스플리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램프유닛은 상하로 적층된 제1 램프유닛과 제2 램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램프유닛은 상기 차량 측방의 근거리에 가이드라이트를 조사하고, 상기 제2 램프유닛은 상기 차량 측방의 원거리에 가이드라이트를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닛의 상기 광원은 복수의 광학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광학소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소자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기 스플리터를 향해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다초점 리플렉터(MFR)인,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닛은 상기 차량의 측방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측방 지면을 향해 기울어진,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닛은 스위블되고, 상기 소정 각도는 가변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유닛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유닛은 상기 제1 램프유닛과 상기 제2 램프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램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램프유닛은 상기 제1 램프유닛에서 출사된 빛이 조사되는 상기 차량 측방의 근거리와 상기 제2 램프유닛에서 출사된 빛이 조사되는 상기 차량 측방의 원거리 사이에 가이드라이트를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유닛과 상기 제2 램프유닛은 소정의 제어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광량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어순서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평균보행속도를 기초로 한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결정되거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상기 차량의 거리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유닛과 상기 제2 램프유닛은 상기 소정의 제어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소등, 또는 디밍(dimming)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이트는 점등 후 소정 시간 간격 이후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닛은 상기 한 쌍의 스플리터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플리터는 역반사체(Retro Reflector)인, 차량용 램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플리터는 상기 램프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20105961A 2012-09-24 2012-09-24 차량용 램프 KR10136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61A KR101361092B1 (ko) 2012-09-24 2012-09-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61A KR101361092B1 (ko) 2012-09-24 2012-09-2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092B1 true KR101361092B1 (ko) 2014-02-13

Family

ID=5027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961A KR101361092B1 (ko) 2012-09-24 2012-09-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0011A1 (fr) * 2018-02-02 2019-08-08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éclairage du sol
KR20210053734A (ko) * 2019-11-04 2021-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턴 스킨 조명 장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501A (ko) * 1995-12-27 1997-07-24 김태구 차체 사이드 마크의 가변식 점등 장치
KR100798143B1 (ko) * 2006-08-17 2008-01-28 에스엘 주식회사 Led 램프 유닛을 적용한 적응형 전조등 장치
KR20100103697A (ko) * 2008-01-17 2010-09-27 웨이비엔, 인코포레이티드 광 다중화기 및 재활용기와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KR20110128546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램프용 광학기능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501A (ko) * 1995-12-27 1997-07-24 김태구 차체 사이드 마크의 가변식 점등 장치
KR100798143B1 (ko) * 2006-08-17 2008-01-28 에스엘 주식회사 Led 램프 유닛을 적용한 적응형 전조등 장치
KR20100103697A (ko) * 2008-01-17 2010-09-27 웨이비엔, 인코포레이티드 광 다중화기 및 재활용기와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KR20110128546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램프용 광학기능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0011A1 (fr) * 2018-02-02 2019-08-08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éclairage du sol
FR3077540A1 (fr) * 2018-02-02 2019-08-09 Psa Automobiles Sa Ve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clairage du sol
KR20210053734A (ko) * 2019-11-04 2021-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턴 스킨 조명 장치 제어방법
KR102299339B1 (ko) 2019-11-04 2021-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턴 스킨 조명 장치 제어방법
US11708022B2 (en) 2019-11-04 2023-07-2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attern ski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2213B1 (en) Vehicle headlight system
CN102853378B (zh) 投射装置、及具备该投射装置的车辆用前照灯
EP1969395B1 (en) Object-detecting lighting system and method
EP3270042A1 (en)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311628B2 (ja) 車両照明システム
JP4964195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5859631B2 (ja) 投光装置、および当該投光装置を備えた車両用前照灯
JP6841020B2 (ja) ポジション照明装置および車両
JP6062214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CN107300146A (zh) 照明装置和用于设定照明装置的方法
KR20140039609A (ko) 차량용 램프제어 시스템
JP2013257996A (ja) 近赤外線投光器
US11696383B2 (en) Continuous safety light
KR101307976B1 (ko) 다중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led 헤드램프
TW201534504A (zh) 車輛前照燈
CN110121444A (zh) 照明装置
JP2009286199A (ja) 歩行者照射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7024647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361092B1 (ko) 차량용 램프
CN101244707A (zh) 照明装置
KR20140079153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JP2015071386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50020317A (ko) 가변 배광을 형성하기 위한 전조등 장치
ITRM980780A1 (it) Impianto di illuminazione per autoveicoli
JP5468863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