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841B1 - 차량용 저장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저장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841B1
KR101360841B1 KR1020120043847A KR20120043847A KR101360841B1 KR 101360841 B1 KR101360841 B1 KR 101360841B1 KR 1020120043847 A KR1020120043847 A KR 1020120043847A KR 20120043847 A KR20120043847 A KR 20120043847A KR 101360841 B1 KR101360841 B1 KR 10136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torage container
fixing part
vehicl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732A (ko
Inventor
지준동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2004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84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저장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물품을 수납하는 저장 용기; 및 저장 용기 내에 형성되고, 물품의 제1 측을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 및 제1 고정부와 이격되며 물품의 제2 측을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물품을 고정시키는 물품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저장고 장치{STORAGE DEVICE USING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냉난방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및 히터 등), 오디오 장치, 및 영상 장치 등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 시설 가운데는 여름철에는 음료를 시원하게 냉각시켜 주고, 겨울철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워주는 차량용 냉온장고가 있다.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는 저장 용기의 바닥면이 평평하게만 형성되었기 때문에, 차량이 갑자기 이동 또는 정지하거나 울퉁 불퉁한 비포장 도로를 달리는 경우, 저장 용기에 수납된 물품이 저장 용기 내에서 이리 저리 굴러다녀 저장 용기와의 충돌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장 용기에 수납된 물품이 탄산 음료캔인 경우, 탄산 음료캔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탄산 음료 캔을 개봉할 때, 갑자기 거품이 흘러 나와 차량 탑승자의 의복이나 차량 내부를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 용기에 수납된 물품(특히, 음료캔 또는 물병 등과 같이 원 기둥의 형상을 갖는 물품)이 저장 용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저장 용기의 열기 또는 냉기가 물품으로 전달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저장 용기에 수납되는 물품이 원 기둥 형상의 음료캔인 경우, 저장 용기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음료캔은 저장 용기의 바닥면과 선 접촉하기 때문에, 저장 용기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저장 용기에서 음료캔으로 전달되는 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 용기 내에서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 용기에서 물품으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킨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물품을 수납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물품의 제1 측을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며 상기 물품의 제2 측을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물품을 고정시키는 물품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 용기 내에서 물품을 물품 안착부에 안착시킴으로써, 물품이 저장 용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물품으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 용기 내에서 물품 고정부를 통해 물품을 고정시킴으로써, 물품이 저장 용기 내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물품은 물품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품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물품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서 음료캔이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서 음료캔이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서 물병이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장 용기의 상부 플레이트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여기서,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차량 내에서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고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냉온장고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냉온장고는 냉장고와 온장고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장고 또는 온장고로만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의 글로브 박스, 차량의 앞좌석의 콘솔 박스, 뒷좌석의 암레스트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위치(예를 들어, 도어 포켓, 차량 전면의 판넬 내부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저장고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저장 용기(102), 물품 고정부(104), 물품 안착부(106), 열전 소자(108), 및 방열부(11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가 눕혀진 상태에 있는 것을 기준으로 각 구성 요소의 위치를 설명하나, 각 구성 요소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의 자세에 따라 각 구성 요소의 위치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가 눕혀져 있는 경우에는 물품 안착부(106)가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될 수 있으나,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가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물품 안착부(106)가 저장 용기(102)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를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설치하는 경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눕혀진 상태로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를 차량의 콘솔 박스 또는 암레스트에 설치하는 경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세워진 상태로 차량의 콘솔 박스 또는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2)는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또는 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 용기(102)의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 용기(102)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저장 용기(102)는 예를 들어, 물병, 음료캔 등과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저장 용기(102)는 열 전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 용기(102) 내에는 음이온 등을 발생시키는 제균 및 살균 장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2)의 내면은 산화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산화 나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칼륨, 그라핀, CNT(Carbone Nano Tub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소자(108)에서 발생한 열이 저장 용기(102)에 수납된 물품에 전달될 때, 저장 용기(102)의 표면 처리된 면에서 원적외선의 파장이 변경되어 물품 내부로 깊숙이 전달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저장 용기(102)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 할 수 있게 된다.
물품 고정부(104)는 저장 용기(102) 내의 물품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품 고정부(104)는 장착부(111),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를 포함한다. 장착부(111)는 저장 용기(102)의 내측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11)는 저장 용기(102)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부(111)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 용기(102)의 내측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11)는 장착부(111)의 양단이 저장 용기(102)의 양 측면 플레이트 상단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114)는 적어도 하나가 장착부(111)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4)는 물품이 저장 용기(102) 내에 수납되었을 때, 물품의 제1 측을 압박하여 물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물품이 눕혀진 상태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될 때, 제1 고정부(114)는 물품의 상측을 압박하여 물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부(114)에는 물품의 일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착부(116)가 물품의 상부에서 물품과 밀착되어 해당 물품을 압박하기 때문에, 해당 물품을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2)가 원기둥 형상의 음료캔이 눕혀진 상태에서 수납되도록 형성된 경우, 압착부(116)는 음료캔의 측면 일부 형상과 대응되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음료캔이 저장 용기(102) 내에 수납되었을 때, 압착부(116)가 음료캔의 상부에서 음료캔의 측면과 밀착되어 음료캔을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제2 고정부(117)는 적어도 하나가 장착부(111)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장착부(111)에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7)는 물품이 저장 용기(102) 내에 수납되었을 때, 물품의 제2 측을 압박하여 물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물품이 눕혀진 상태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될 때, 제2 고정부(117)는 물품의 측면을 압박하여 물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고정부(117)의 테두리에는 측면 고정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7)의 측면 고정틀(119)은 물품이 저장 용기(102) 내에 수납되었을 때, 물품의 측면과 밀착되어 물품의 측면을 고정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의 (a) 및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각각 일단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물품이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물품이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서 저장 용기(102)의 배면 쪽으로 유입되어 수납되는 경우,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저장 용기(102)의 배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를 저장 용기(102)의 배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물품이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될 때,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각각 종단이 상부 방향(즉, 저장 용기(102)의 상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을 저장 용기(102) 내에서 빼낼 때, 물품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음료캔의 경우, 음료캔의 종단에는 음료캔의 측면을 구성하는 금속판과 음료캔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금속판을 결합시켜주는 연결틀이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의 각 종단을 상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하면, 음료캔을 저장 용기(102)에서 빼낼 때 음료캔의 연결틀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의 종단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음료캔을 저장 용기(102)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가 장착부(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부(111),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부(111) 없이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를 저장 용기(102)의 상부 플레이트 하부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물품 안착부(106)는 저장 용기(102)에 수납되는 물품을 저장 용기(102) 내에 안착시키고, 열전 소자(108)에서 발생한 열(이때, 열은 0℃ 이상의 고온일수도 있고 0℃ 미만의 저온일수도 있음)을 저장 용기(102) 내에 수납되는 물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물품 안착부(106)는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을 포함한다.
제1 안착홈(106-1)은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에 저장 용기(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홈(106-2)은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에 저장 용기(102)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에는 음료캔 또는 물병 등의 물품이 안착된다.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의 형상은 물품의 일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에 원기둥 형상의 음료캔 또는 물병이 안착되는 경우,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음료캔 또는 물병이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음료캔 또는 물병이 저장 용기(102)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열전 소자(108)에서 발생한 열을 음료캔 또는 물병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은 물품이 안착되어 저장 용기(102)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을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하면, 저장 용기(102)에서 물품으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다른 부분의 두께를 1 ~ 2mm로 형성한다면,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은 3 ~ 10mm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저장 용기(102)를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하면,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다른 부분의 두께를 2mm로 형성하고,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을 5mm로 형성한 경우, 열전 소자(108)에 12V의 전압을 30분 동안 인가한 후, 저장 용기(102) 중 열전 소자(108)가 형성된 부분과 열전 소자(108)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의 온도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다른 부분은 4.5℃의 온도 차이를 보이는 반면,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은 7℃의 온도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 중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형성된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저장 용기(102)에서 음료 캔으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저장 용기(10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홈(106-1)을 저장 용기(102)의 일측에서 저장 용기(102)의 타측에 이르기까지 형성하면, 저장 용기(102)의 일측에 형성된 열전 소자(108)로부터 제1 안착홈(106-1)으로 열 패스 라인이 형성되어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에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물품 안착부(106)가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품 안착부(106)는 저장 용기(10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착홈(106-1) 및 제2 안착홈(106-2)은 서로 다양한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의 길이, 크기, 폭 등의 형태에 따라 물품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열전 소자(108)는 저장 용기(102)의 일측에 형성된다. 열전 소자(108)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말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08)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때 열전 소자(108)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열전 소자(108)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방열부(110)는 열전 소자(108)와 접촉하여 형성된다. 방열부(110)는 열전 소자(108)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방열부(110)는 열전 소자(108)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열 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 용기(102) 내에서 물품을 물품 안착부(106)에 안착시킴으로써, 물품이 저장 용기(102)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물품으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 용기(102) 내에서 물품 고정부(104)를 통해 물품을 고정시킴으로써, 물품이 저장 용기(102) 내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물품은 물품 안착부(106)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품 고정부(104)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물품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서 음료캔이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서 음료캔이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장 용기의 상부 플레이트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료캔(150)은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된다. 음료캔(150)은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저장 용기(102)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착홈(106-2)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캔(150)은 제2 안착홈(106-2)에서 저장 용기(102)와 면 접촉하기 때문에, 음료캔(150)에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음료캔(150)이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될 때, 음료캔(150)은 제1 고정부(114)를 밀면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되게 된다. 여기서, 제1 고정부(114)의 일단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고정부(114)는 음료캔(150)의 상부에서 음료캔(150)의 상측을 눌러주게 된다. 이때, 압착부(116)가 음료캔(150)에 밀착되어 음료캔(150)을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음료캔(150)의 좌우에서 제2 고정부(117)가 음료캔(150)의 양측면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2 고정부(117)의 측면 고정틀(119)이 음료캔(150)의 양측에 밀착되어 음료캔(150)의 양측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캔(150)이 제2 안착홈(106-2)에 안착된 상태에서, 음료캔(150)의 상측을 제1 고정부(114)가 눌러주고, 음료캔(150)의 양측을 제2 고정부(117)가 고정 지지해주기 때문에, 저장 용기(102) 내에서 일정 위치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서 물병이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장 용기의 상부 플레이트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물병(150)은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된다. 물병(150)은 길이가 길기 때문에 저장 용기(10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안착홈(106-1)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병(150)은 제1 안착홈(106-1)에서 저장 용기(102)와 면 접촉하기 때문에, 물병(150)에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병(150)이 저장 용기(102)의 전면에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될 때, 물병(150)은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를 밀면서 저장 용기(102) 내로 수납되게 된다. 여기서,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의 일단이 각각 장착부(111)에 장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는 물병(150)의 상부에서 물병(150)을 눌러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병(150)이 제1 안착홈(106-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14) 및 제2 고정부(117)가 물병(150)을 눌러주기 때문에, 물병(150)은 저장 용기(102) 내에서 일정 위치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저장고 장치 102 : 저장 용기
104 : 물품 고정부 106 : 물품 안착부
106-1 : 제1 안착홈 106-2 : 제2 안착홈
108 : 열전 소자 110 : 방열부
111 : 장착부 114 : 제1 고정부
116 : 압착부 117 : 제2 고정부
119 : 측면 고정틀

Claims (9)

  1. 물품을 수납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물품의 제1측을 압박하여 상기 물품의 상기 압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품의 제2측을 압박하여 상기 제1 고정부의 압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물품을 고정시키는 물품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물품이 상기 저장 용기 내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종단이 각각 상기 저장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물품의 일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 내에서 상기 물품의 제1 측과 밀착되어 상기 물품을 압착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물품의 제2 측과 밀착되어 상기 물품을 고정 지지하는 측면 고정틀을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물품 고정부에서 교대로 형성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품을 안착시키는 물품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안착부는,
    상기 저장 용기의 내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1 안착홈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1020120043847A 2012-04-26 2012-04-26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10136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47A KR101360841B1 (ko) 2012-04-26 2012-04-26 차량용 저장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47A KR101360841B1 (ko) 2012-04-26 2012-04-26 차량용 저장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32A KR20130120732A (ko) 2013-11-05
KR101360841B1 true KR101360841B1 (ko) 2014-02-12

Family

ID=4985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47A KR101360841B1 (ko) 2012-04-26 2012-04-26 차량용 저장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8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941A (ja) * 2000-11-07 2002-05-22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JP2002193019A (ja) * 2000-12-26 2002-07-10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941A (ja) * 2000-11-07 2002-05-22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JP2002193019A (ja) * 2000-12-26 2002-07-10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32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CN106183716B (zh) 用于车辆的加热板
KR101738787B1 (ko)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US9416994B2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US20160325665A1 (en) Receiv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US20170144577A1 (en) Cup holder for vehicle
US20140130517A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US20150107270A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KR101360841B1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101349723B1 (ko)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US20160167556A1 (en) Storage container
KR102603063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140100182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US20180313583A1 (en) Beverage Cooler or Warming Apparatus
KR20140084759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20130083357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US20150158406A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1335494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KR20150075458A (ko) 열전도 수납 장치
US20150158407A1 (en) Heat radiator for cup holder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KR20150120691A (ko) 컵 홀더 장치
KR101319463B1 (ko) 냉온장고 장치
KR20170071449A (ko)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KR102655285B1 (ko)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