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915B1 -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 Google Patents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915B1
KR101358915B1 KR1020070137492A KR20070137492A KR101358915B1 KR 101358915 B1 KR101358915 B1 KR 101358915B1 KR 1020070137492 A KR1020070137492 A KR 1020070137492A KR 20070137492 A KR20070137492 A KR 20070137492A KR 101358915 B1 KR101358915 B1 KR 10135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film
plasticizer
fatty acid
composition
fil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724A (ko
Inventor
송희재
김기섭
장욱
이용현
김철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13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9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야채, 생육, 가공음식 등의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고중합도 PVC 수지, 가소제로 에틸렌 글리콜계 가소제,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방담제로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랩 필름 조성물은 기존의 중중합도 PVC 수지 랩 필름 대신에 중합도가 상이한 고중합도 PVC 수지를 포함하여 랩 필름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을 만족시킴은 물론, 가소제, 방담제 등의 종류 및 이의 함량을 조절하여 기존의 고중합도 PVC로 제조된 랩 필름의 촉감이 뻣뻣하여 사용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한계를 극복하여 우수한 부드러움과 신율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염화비닐수지, 랩, 고중합도, 가소제, 방담제

Description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 필름{COMPOSITION FOR POLYVINYLCHLORIDE WRAP FILM, AND WRAP FILM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중중합도의 PVC 대신에 다른 수지를 이용하고 가소제 및 방담제의 종류와 함량을 최적화하여 랩 필름의 점착력 및 투명도는 만족시키면서 신율 및 경도(부드러움성)가 개선되고 특히 풀림성이 향상된 랩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종 과일, 야채, 생육, 가공식품, 배달 음식 등은 포장된 상태로 보관 및 유통되고 있다. 이들의 포장에는 합성수지 필름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합성수지 필름 중에서도 통상 랩(Wrap)이라 불리고 있는 랩 필름은 이물질 유입 방지 기능 외에 포장방법이 간편하고, 습기 차단 효과 등에 의한 신선도 유지 효과가 있어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랩 필름은 주재료가 중합도 950 내지 1,050의 중중합도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PVDC)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인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랩 필름은 여러 가지 물성 중에서 특히 투명성(transparency), 점착성(adhesiveness), 방담성(anti-fogging property), 신율(expansibility) 및 부드러움(softness)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상기 PVDC 수지와 LDPE 수지는 중중합도 PVC 수지에 비해 투명성, 점착성 및 방담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중중합도 PVC 수지가 랩 필름 제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PVC 수지 랩 필름 조성물에는 랩 필름에 연질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가소제가 필수적으로 첨가되는데, 가소제로는 높은 신장율과 점착력을 가지는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DOA) 또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OP)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아디페이트계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미국 환경보호청 등에 의해서 내분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로 규정됨에 따라, 현재에는 내분비 교란물질이 분비되지 않는 글리세린계 가소제나 글리콜계 가소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PVC 수지 랩 필름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60중량부 이상이 사용되는 PVC의 물성이 가장 중요하다. 통상 랩 필름용 PVC는 중합도 950 내지 1050사이의 중중합도 PVC가 많이 사용된다. 이는 PVC 제조업체에서 연질의 필름용으로 제조된 것으로 식품용 랩 필름의 원료로써 매우 적합하다. PVC의 중합도가 중중합도 이하이면 랩의 핵심품질 요소인 신율 및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중중합도 이상의 고중합도인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은 향상되나 필름이 너무 뻣뻣하여 랩 필름용으로 소비자들의 사용감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랩 필름 조성물의 가공성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소제는 PVC 중합 사슬 사이에 침투함으로써 PVC수지에 연성을 부여하여 PVC필름을 부드럽게 하고 연신력 및 점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소제도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과량으로 투입되면 랩 필름의 풀림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랩 필름끼리 서로 달라붙어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랩 필름의 표면에 가소제가 베어 나오는 현상이 심하여 경시에 따라 투명성이 저하되고 외관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비자들은 그 사용행태에 따라서 강한 신율 및 점착성, 풀림성 등을 요구하는 조건이 다양하기 때문에 최적의 원료와 사용함량을 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PVC 수지 랩 필름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PVC 수지 랩 필름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소제의 종류와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부드러움과 신율, 우수한 점착성, 풀림성, 투명성을 나타내는 PVC 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합도가 1200 내지 1300 또는 1550 내지 1750인 폴리염화비닐;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소제; 및 방담제인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러한 랩 필름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식품 포장용 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랩 필름 조성물은 기존의 중중합도 PVC 수지 랩 필름 대신에 랩 필름의 신율 등 기계적 물성의 개선, 제조비용의 경감 등을 위하여 중합도가 상이한 고중합도 PVC 수지를 이용하여 랩 필름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을 만족시킴은 물론, 가소제, 방담제 등의 종류 및 이의 함량을 조절하여 기존의 고중합도 PVC로 제조된 랩 필름의 촉감이 뻣뻣하여 사용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한계를 극복하여 우수한 부드러움과 신율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랩 필름 조성물은 통상 랩 필름용으로 사용되는 중합도 950 내지 1050의 PVC 수지 대신에 내마모성과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중합도가 1200 내지 1300인 폴리염화비닐, 중합도가 1550 내지 1750인 폴리염화비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다. 상기 고중합도 PVC 수지는 무독성이며, 기존 랩 필름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중중합도 PVC 수지와 비교하여 랩 필름의 신율,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고중합도 PVC 수지로는 예를 들어 급성 경구독성, 복귀돌연변이, 소핵시험 등에서 안정성이 확보된 (주)엘지화학의 LS130S, LS17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중합도 PVC 수지의 중합도가 1,750을 초과할 경우 투명성 및 점착력이 저하되고 가공시 부하가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고중합도 PVC 수지만으로 랩 필름을 제조할 경우 랩 필름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중합도 PVC 수지를 사용하되 가소제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혼합하여 랩 필름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을 만족시킴은 물론, 랩 필름의 신율과 풀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계 방담제를 사용하여 고중합도 PVC 수지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랩 필름의 뻣뻣함이 없어지고 매우 부드럽고 사용감이 우수한 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고중합도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할 경우 폴리염화비닐 5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특정 가소제 20 내지 40 중량부 및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5 중량부의 혼합비로 각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고중합도 PVC 수지의 연성과 부드러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소제는 글리콜계 가소제 또는 글리세린계 가소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글리콜계 가소제로서는 네오 펜틸 글리콜(neo pentyl glycol)계로서 (주)엘지화학의 상품 '이비엔(EBN)'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분비 교란물질이 없을 뿐만 아니라 투명성 확보에도 유리한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계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 예를 들면 (주)엘지화학의 엘지플렉스 이비엔더블유(LGflex EBNW) 또는 엘지 플렉스 이비엔.더블유(LGflex EBN.W)가 있다. 또한, 또 다른 가소제로 글리세린계 가소제는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acetylated monoglyceride)을 사용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며, 이러한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Riken Vitamin의 리케말 피엘-012(Rikemal PL-012), 리케말 피엘-019(RikemalPL-019) 또는 리케말 엘지-1 (Rikema LG-1) 등이 있다.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의 비중은 0.95 내지 1.05 g/c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은 비중이 0.94 내지 0.95 g/㎤이고, 산 값(acid value)이 1 내지 3이고, 비누화 값(saponification value)이 440 내지 455이고, 수산기 값(hydroxyl value)이 15 내지 20인 옅은 황색계열의 오일상 에스테르(ester)계 글리세린인 것이 좋으며, 이러한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의 상품으로는 일본 소재 리켄 비타민(Riken Vitamin)사의 LG-1, PL-012, PL-019 등의 상품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중합도 PVC를 이용한 랩 필름에는 상기 가소제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글리콜계 가소제 또는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에틸렌 글리콜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 내지 4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가소제가 함량범위 미만이면 접착력 및 생산성이 떨어지고, 함량범위를 초과하면 풀림성 및 투명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랩 필름 조성물은 방담제를 포함한다. 방담제는 김서림을 방지하여 랩 필름 표면의 투명성 유지를 위한 목적 외에, 랩 필름의 풀림성 및 부드러움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과량을 투입하면 랩 필름 표면에 베어 나와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적정한 양을 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의 방담제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제로 사용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글리세롤 올레이트(G lycerol oleate), 솔비탄 모노코코아네이트(sorbitanmonococoanate), 솔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폴리글리세롤 올레이트(polyglycerol oleate), 폴리글리세롤 라우레이트(polyglycerol laurate) 및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uar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산 에스테르계 방담제의 상품으로는 ㈜한국 C.S.C社의 상품명 Super HK-505, HK-507A 또는 일본Riken Vitamin社의 상품명 Rikemal KA-901, KA-903, KA- 904, L-71-D, 또는 일본 Miyoshi社의 Finflex OSN-100, TS-160, TS-238, TS-350, TS-360 등의 상품이 있다.
특히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산 값이 1 내지 5이고, 비누화 값이 10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80이고, 수산기 값이 230 내지 380인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복합물(복합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이 더욱 좋다. 이러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복합물로는 상품명 XO-71 등과 같은 폴리글리세린 올레이트(polyglycerin oleate), 상품명 B-205 등과 같은 에톡시화 알코올(ethoxylated alcohools), 상품명 OL-100 등과 같은 글리세롤 올레이트(glycerol oleate), 폴리글리세롤 라우레이트(polyglycerol laurate),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복합물의 상품으로는 일본 소재 리켄 비타민(Riken Vitamin)사의 KA-901, KA-903, KA-904, L-71-D 등의 상품이 있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조성물은 또한 전술한 글리콜계 및 글리세린계 가소제 이외에 에폭시화 대두유(epoxidized soybean oil), 염소화 파라핀 및 지방산계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2차 가소제는 5 내지 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가소제 중 에폭시화 대두유(epoxidized soybean oil)는 가소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열안정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랩 필름 조성물은 고중합도 PVC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 1차 가소제로 글리콜계 가소제 및/또는 글리세린계 가소제 20 내지 40 중량부; 상기 2차 가소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방담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조성물은 또한 칼슘-아연계 화합물 또는 바륨-아연계 화합물인 열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포장을 위해서 무독성인 칼슘-아연계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안정제로 2,6-디-터셜리-부틸-파라-크레졸(2,6-di-tert.-butyl-p-cresol)이 첨가된 칼슘-아연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랩 필름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안정제로는 칼슘 지방산염, 아연 지방산염, 디하이드로아세틱 산(dehydroacetic acid), 리시놀릭 산(ricinolic acid), 및 엔-13[엔-파라핀](N-13[n-paraff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6-디-터셜리-부틸-파라-크레졸 1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의 구체적 예를 들면, (주)한국대협의 엘티엑스-630피(LTX-630P) 또는 엘티엑스-630제이(LTX-630J)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랩 필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랩 필름은 통상적인 필름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가공기기 및 조건은 하기와 같다.
랩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가공기기는 상업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단층 또는 다층 폴리올레핀 필름 제조용 일자형 다이(T-다이) 필름기기 또는 인플레이션 블로우(Inflation Blow)를 사용하며, 다이에서 압출되는 수지의 온도는 180 내지 250 ℃가 바람직하다. 성형온도가 낮을 경우는 필름 표면에 용융 파괴(Melt Fracture)가 발생하여 필름의 광택도 및 투명도가 떨어지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지가 분해되어 필름의 색깔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필름두께는 8 내지 15 um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제품들은 12 내지 15 um 정도 두께의 필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11 um 이하의 필름은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저하로 사용시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중합도 PVC 수지를 이용한 랩 필름은 필름의 두께가 11 um 이하로 떨어져도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얇은 두께의 랩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중합도 PVC를 이용한 두께가 8 내지 11 um인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랩 필름 조성물은 기존의 중중합도 PVC 수지 대신 신율 등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합도가 상이한 고중합도 PVC 수지를 이용하여 랩 필름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인 점착력 및 투명도를 만족시킴은 물론, 소비자 사용 측면에서 고중합도 PVC 수지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뻣뻣함을 없애고 부드러움성이 우수하며, 특히 풀림성이 뛰어난 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랩 필름의 두께인 12 내지 15 um에서 필름의 두께를 11 um 이하로 하향시켜도 기본 물성이 우수한 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PVC 수지 및 첨가제의 사용량을 근본적으로 상당히 줄임으로써 랩 제조시 발생되는 원재료 비용을 줄이고, 사용 후 발생되는 환경 폐기물의 양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PVC 랩 필름 조성물을 조성하고, T-다이 익스트루더(T-die Extruder)를 이용하여 두께 13 um의 랩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고중합도 PVC 수지로 (주)엘지화학 제품 LS1300S, 1차 가소제로 디에틸렌 글리콜(엘지화학, LGflex EBN-W)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리켄 비타민, Rikemal LG-1), 2차 가소제로 에폭시화 대두유, 열안정제로 칼슘 지방산염과 아연 지방산염으로 이루어진 (주)한국대협의 LTX-630P를 사용하였으며, 첨가제로 방담제로 글리세롤 올레이트와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솔비탄 모노코코아네이트를 혼합한 복합 지방산 에스테르 방담제인 Super HK-505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PVC 랩 필름 조성물을 조성함에 있어 고중합도 PVC 수지 대신 중중합도 PVC 수지 ㈜ 엘지화학 제품 LS100S를 사용하였으며, 1차 가소제를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구분(단위: 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중중합도 PVC 수지(엘지화학, LS 100S) - 65
고중합도 PVC 수지(엘지화학, LS 130S) 65 -
1차 가소제(디에틸렌 글리콜: LGflex EBN-W) 20 25
1차 가소제(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 Rikemal LG-1) 10 -
2차 가소제(에폭시화 대두유) 5 5
열안정제(한국대협, LTX-630P) 1 1
방담제(복합 지방산 에스테르, Super HK-505) 2 2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랩 필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점착력 및 풀림성
만능 재료 시험기를 이용하여 랩 필름에 대한 점착력 및 풀림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점착력은 클수록, 풀림성은 작을수록 우수함을 나타낸다.
투명도
투명도는 헤이즈메타(Haze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2에서 헤이즈 값이 작을수록 투명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신율 및 경도( 부드러움성 )
신율은 만능 재료 시험기를 이용하여 ASTM 3001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값이 높을수록 신율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는 ZWICK사 제품의 경도 측정기(모델번호 POSTFACH 435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도는 그 수치가 낮을수록 랩 필름의 터치(touch)감, 즉 부드러움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점착력 (g) 20 21
풀림성 (g) 450 780
투명도 (%, Haze) 0.2 0.2
신율 (g, TD방향) 380 345
경도 (Shore "A") 78 8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은 비교예의 랩 필름과 비교하여 점착력 및 투명도에 있어서 동등 수준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신율 및 경도(부드러움성)에 있어서는 물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풀림성이 비교예의 랩 필름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중합도가 1200 내지 1300 또는 1550 내지 1750인 폴리염화비닐;
    가소제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과의 혼합물 또는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및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인 방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50 내지 70 중량부, 가소제 20 내지 40 중량부 및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의 비중은 0.95 내지 1.05이며,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린의 비중은 0.94 내지 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산 값이 1 내지 5이고, 비누화 값(Saponication value)이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글리세롤 올레이트(G lycerol oleate), 솔비탄 모노코코아네이트(sorbitanmonococoanate), 솔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폴리글리세롤 올레이트(polyglycerol oleate), 폴리글리세롤 라우레이트(polyglycerol laurate) 및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uar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폭시화 대두유(epoxidized soybean oil), 염소화 파라핀 및 지방산계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가소제는 5 내지 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칼슘-아연계 화합물인 열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칼슘 지방산염, 아연 지방산염, 디하이드로아세틱 산(dehydroacetic acid), 리시놀릭 산(ricinolic acid), 및 엔-13[엔-파라 핀](N-13[n-paraff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100 중량부에 대해 2,6-디-터셜리-부틸-파라-크레졸(2,6-di-tert-butyl-p-cresol) 1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랩 필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그 두께가 8 내지 15 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8 내지 11 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필름.
KR1020070137492A 2007-12-26 2007-12-26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KR10135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92A KR101358915B1 (ko) 2007-12-26 2007-12-26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92A KR101358915B1 (ko) 2007-12-26 2007-12-26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24A KR20090069724A (ko) 2009-07-01
KR101358915B1 true KR101358915B1 (ko) 2014-02-06

Family

ID=4132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492A KR101358915B1 (ko) 2007-12-26 2007-12-26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74B1 (ko) 2013-11-01 2016-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품용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 필름
KR102128081B1 (ko) 2020-04-06 2020-06-30 유한회사 새한팩 친환경 생분해성 다층 랩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441A (ja) * 1984-02-24 1985-09-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トレツチフイルム
JPH06179787A (ja) * 1991-12-06 1994-06-28 Shin Etsu Polymer Co Ltd 食品包装用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100560290B1 (ko) 2003-10-27 2006-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환경친화적 랩 필름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20070071028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염화비닐 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랩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441A (ja) * 1984-02-24 1985-09-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トレツチフイルム
JPH06179787A (ja) * 1991-12-06 1994-06-28 Shin Etsu Polymer Co Ltd 食品包装用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100560290B1 (ko) 2003-10-27 2006-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환경친화적 랩 필름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20070071028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염화비닐 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24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7495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thermoplastic starch
EP2456620B1 (en) Multilayer film
KR20180032896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물품
CA2882755A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thermoplastic starch
JP2006063302A (ja) ポリ乳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58915B1 (ko)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KR20070071028A (ko) 폴리염화비닐 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랩 필름
KR101586274B1 (ko) 식품용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 필름
JP5140523B2 (ja) ポリ乳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6214A (ko)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20080114278A (ko)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US9109099B2 (en) Polyethylene additive
KR950014918B1 (ko) 분해성 통기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592087B1 (ko)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랩 필름
JPS6351178B2 (ko)
JP4800242B2 (ja) 積層ストレッチ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01552B1 (ko) 표면특성 및 가공특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조성물
JP4955469B2 (ja) 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25741B2 (ja) 塩化ビニル系積層ストレッチ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54308A (ja) 軟質塩化ビニル系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24483B2 (ja)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シート又はフィルム
US20230250263A1 (en) Plasticized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US20230348692A1 (en) Plasticized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melt strength and processability and flooring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2487898B1 (ko) Wrap 필름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Wrap 필름
WO2024142049A1 (en) Biodegradable and barrier pvoh-based material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