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907B1 -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907B1
KR101358907B1 KR1020070069632A KR20070069632A KR101358907B1 KR 101358907 B1 KR101358907 B1 KR 101358907B1 KR 1020070069632 A KR1020070069632 A KR 1020070069632A KR 20070069632 A KR20070069632 A KR 20070069632A KR 101358907 B1 KR101358907 B1 KR 10135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gion
bonding
display devic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64A (ko
Inventor
한미정
백승진
홍왕수
최정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907B1/ko
Priority to US12/031,549 priority patent/US20090014111A1/en
Publication of KR2009000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32B38/1841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during laying u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기판의 접착시 기포 발생과 정렬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1 기판의 제1 영역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1차 절단 단계(S11)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을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 형성 단계(S12)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S13)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정렬 후 가접착 단계(S14)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접착 단계(S15)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2차 절단 단계(S16)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형 필름 제거 단계(S25)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기판 120,220: 정렬 기준점
130: 가접착 수단 200: 제2 기판
230: 전기 영동층 240: 점착층
250: 이형 필름 320: 정렬 감시 장치
330: 흡착기 350: 롤러
본 발명은 두 기판의 접착시 기포 발생과 정렬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반사율과 명암 대비비가 높고, 시야각 의존성이 없어서 종이와 같은 편안한 느낌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블랙 또는 화이트 상태가 쌍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속적인 전압의 인가없이 이미지가 유지되므로 소비 전력이 적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달리 편광판, 배향막, 액정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격 측면에서도 상당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색 대전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과, 전기 영동 물질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를 표현하기 위한 컬러필터 기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전기 영동 물질을 잡아주는 바인더와 전기 영동 물질이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층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접착된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전계에 의해 전기 영동 물질을 구동하므로 접착층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사이에 기포가 생길 경우 전계 형성이 불량하여 기포 부분에서 표시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간의 정렬 불량이 발생하면 컬러필터의 혼색으로 인한 표시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기판의 접착시 일측 영역을 임시로 접착한 뒤 나머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접착하여 기포 발생과 정렬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상기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영동층의 일면에 점착층 및 이형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절단 기준점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정렬 기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 기준점은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접착 수단은 실런트, 점착제 및 고정 지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가접착 수단 중 하나인 상기 실런트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 기준점을 통해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정렬을 관리하는 정렬 감시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 감시 장치는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고정시키는 흡착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흡착 고정 장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흡착력이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1 영역에서부터 제2 영역까지 순차적으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롤러를 사 용하여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와 다른 기술적 과제 및 기술적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첨부한 도면 및 설명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00), 전기 영동층(230), 제2 기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기판(100)은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기 영동층(230)은 제1 기판(100)의 상부에 백색 및 흑색의 대전 입자(232,233)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231)과, 마이크로 캡슐(231)을 고정하는 바인더(235)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 영동층(230)과 제1 기판(100)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컬러필터 및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전기 영동층(23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1차 절단하는 단계(S11),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을 형성하는 단계(S12), 제1 기판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S13),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정렬 후 가접착하는 단계(S14),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S15),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2차 절단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1차 절단 단계(S11)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준비한다. 이때,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은 각각 마더 글래스에서 1차 절단 기준점(미도시)을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절단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1차 절단 기준점을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절단된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을 도시하였으므로, 1차 절단 기준점을 도시하지 않았다.
제1 기판(100)은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2차 절단 기준점(105)을 잇는 가상의 선에 의해 구분된다. 제1 영역(A)은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1 전극이 형성되는 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2 영역(B)은 제2 기판(200)의 접착을 위한 임시 영역으로서,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2차 절단 기준점(205)에 의해 제3 영역(C) 및 제4 영역(D)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2 기판(200)은 제3 영역(C)에 제2 전극 및 컬러필터(CF)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기판(200)의 제4 영역(D)은 제1 기판(100)과의 접착을 위한 임시 영역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기판(200)은 표시 장치의 특성에 따라 컬러필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에는 서로 대칭하는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은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의 제1 영역(A) 내지 제4 영역(D)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을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렬 기준점(120)은 사각 형태의 제1 기준부(121)와, 원 형태의 제2 기준부(122) 및 십자 형태의 제3 기준부(123)를 포함한다. 이때, 제2 기준부(122)는 제1 기준부(121) 내측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제3 기준부(123)는 제2 기준부(122)의 내측에서 음각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 정렬 기준점(120)은 불투명한 금속 또는 유기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정렬 기준점(120)은 상술한 제1 기판의 금속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다수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렬 기준점(120)은 제1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시나 유기막 형성시 같이 형성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렬 기준점(220)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사각 테두리 형태의 제4 기준부(221)와, 원 형태의 제5 기준부(222) 및 십자 형태의 제6 기준부(223)를 포함한다. 제4 기준부(221)는 예를 들어, 액자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지는 테두리 형태로 형성한다. 제4 기준부(221)의 내측에 제5 기준부(222)를 형성한다. 제5 기준부(222)는 제4 기준부(221) 내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고, 제6 기준부(223)는 제5 기준부(222)의 내측에 홀 형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6 기준부(223)는 상부에서 관측시 제3 기준부(123)가 관측되도록 제3 기준부(123)와 동일한 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 정렬 기준점(220)은 제1 정렬 기준점(120)과 마찬가지로 불투명한 금속 또는 유기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정렬 기준점(220)은 상술한 제2 기판의 금속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시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다수개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관측할 수 있게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렬 기준점(120)과 제2 정렬 기준점(220)은 상부에서 관측시 정렬 기준이 될 수 있는 선 또는 면을 가지도록 각 기판에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 형성 단계(S12)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200)에 전기 영동층(230)을 부착한다. 전기 영동층(230)은 제2 기판(200)의 컬러필터 상부에 직접 코팅하거나 양면에 점착제가 붙은 전기 영동 시트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영동층(230)은 백색 및 흑색 대전 입자(232,233)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231)과, 마이크로 캡슐(231)들을 잡아주기 위해 바인더(235)로 이루어진다. 전기 영동층(230)을 형성하는 제1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231)과 바인더(235)를 제2 기판(200)의 상부에 얇게 펴서 코팅한다. 이때, 전기 영동층(230)은 마이크로 캡슐(231)이 단층으로 이루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기 영동층(230)의 상부에 점착층(240)을 형성하고, 점착층(240)의 상부에 이형 필름(250)을 부착한다.
한편, 전기 영동층(230)을 형성하는 제2 방법으로, 시트 형태로 형성된 마이크로 캡슐(231)과 바인더(235)의 양면에 점착층(240)을 부착한다. 여기서, 제2 기판(200)과 전기 영동층(230) 사이의 점착층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전기 영동층(230)의 일면에 부착된 점착층(240)에 이형 필름(250)을 부착한다. 그 다음, 전기 영동층(230)의 타면에 부착된 점착층을 제2 기판(200)에 라미네이트(Laminate) 방식으로 부착한다. 여기서, 전기 영동층(230)의 부착 방법이 라미네이트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 부착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S13)를 설명 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B)에 가접착 수단(130)을 형성한다.
가접착 수단(130)은 제2 영역(B) 내에서 2차 절단 기준점(105)을 잇는 가상의 선과 나란하게 선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가접착 수단(130)은 제1 기판(100)이 안정적으로 접착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진 선형으로 형성한다. 그런데, 가접착 수단(130)은 선형이 아닌 형태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접착 수단(130)은 2개 이상의 점으로 이루어져 제2 영역(B)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접착 수단(130)은 2차 절단 기준점(105)을 잇는 가상의 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시켜 형성한다. 그 이유는,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B)이 2차 절단시 절단되어 제거되므로, 가접착 수단(130)을 제2 영역(B)과 함께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가접착 수단(130)은 실런트 및 점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런트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접착 수단(130)은 자외선 경화용 실런트 및 점착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 지그와 같이 기구적으로 고정하는 다양한 수단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정렬 후 가접착 단계(S14)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 및 제2 기 판(200)을 정렬한 뒤 가접착 수단(130)을 통해 가접착한다. 여기서,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접착을 위해 이형 필름이 제거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은 제2 영역(B) 및 제4 영역(D)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을 통해 정렬한다. 이때,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은 흡착 고정 장치(310,330)를 사용하여 고정한 뒤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00)은 스테이지(310) 상에 고정하고, 제2 기판(200)은 흡착기(330)의 흡착 패드(335)로 고정한다. 그리고, 정렬 감시 장치(320)를 통해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을 보고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정렬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정렬 감시 장치(320)는 카메라와 같은 화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을 촬영하고, 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을 관측한다. 그 다음, 가접착 수단(130)을 사용하여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제2 영역(B) 및 제4 영역(D)을 접착한다. 이때, 제2 기판(200)의 접착되지 않은 영역은 흡착기(330)를 사용하여 제1 기판(100)과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한편, 가접착 수단(130)으로 자외선 경화용 실런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제2 영역(B) 및 제4 영역(D)의 사이에 형성된 실런트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실런트를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실런트는 제2 영역(B)과 제4 영역(D)을 단단하게 접착시킨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접착 단계(S15)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접착한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가접착 영역 상부에 롤러(350)를 위치시킨다. 이때, 제2 기판(200)의 접착되지 않은 영역은 흡착기(330)를 사용하여 제1 기판(100)과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그 다음, 롤러(350)를 접착된 부분에서 접착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흡착기(330)는 일측(I) 부분부터 타측(I') 부분으로 흡입력을 차례대로 제거하여 제2 기판(200)을 서서히 분리한다. 그리고, 롤러(350)는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착기(330)로부터 분리되는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접착시킨다. 따라서, 제2 기판(20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착하므로 제1 기판(100)과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2차 절단 단계(S16)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2차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접착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제2 기판(200)에 형성된 2차 절단 기준선을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절단한다. 이를 통해,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제1 영역 및 제3 영역(C)만 남게된다. 도 10a에서는 2차 절단 기준선을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절단된 후의 제2 기판(200)을 도시하였으므로, 2차 절단 기준선을 도시하지 않았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도시된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는 전기 영동층(230)과 점착층(240)을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대한 제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1차 절단하는 단계(S21),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을 형성하는 단계(S22), 제1 기판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S23),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정렬 후 가접착하는 단계(S24),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S25),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S26),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2차 절단하는 단계(S27)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과 몇몇 단계에서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동일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도시된 각 도면을 참조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1차 절단하는 단계(S2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각각 마더 글라스에서 1차 절단 기준점(미도시)을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때,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에는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을 형성하는 단계(S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200)에 전기 영동층(130)을 직접 코팅하거나 시트 형태로 부착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기판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S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B)에 2차 절단 기준점(105)을 잇는 가상의 선과 나란하게 선형 또는 2개 이상의 점으로 가접착 수단(1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정렬 후 가접착하는 단계(S2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제1 및 제2 정렬 기준점(120,220)을 통해 정렬한 뒤 가접착 수단(130)을 이용하여 가접착한다. 이때, 제2 기판(200)은 이형 필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기판(200)은 이형 필름에 의해 제1 기판(100)과 접착되지 않으므로, 제2 기판(200)의 접착되지 않은 영역을 흡착기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S25)는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 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형 필름 제거 단계(S25)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기판(200)에 부착된 이형 필름(250)을 제거한다. 이때, 제2 기판(200)은 가접착 수단(130)에 의해 일측이 제1 기판(100)과 접착되어 있으므로, 이형 필름(250)을 가접착 수단(130)과 가까운 부분에서 먼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떼어낸다. 이때, 이형 필름(250)은 제1 기판(100)의 표면을 손상하지 않도록 떼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 필름(250)은 제2 기판(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S26)는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가접착 영역 상부에 롤러(350)를 위치시킨 후 롤러(350)를 회전시키며 순차적으로 접착한다.
다음으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2차 절단하는 단계(S27)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2차 절단 기준선을 잇는 가상의 선에 따라 절단한다. 이를 통해,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전기 영동층(230)과 점착층(240)을 사이에 두고 접착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라미네이션과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접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정렬 기준점이 형성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일측 영역을 가접착한 후 나머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접착하여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정렬 불량으로 인한 표시 불량을 방지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정렬 감시 장치 및 흡착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정렬함으로써, 정렬 불량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시켜 기포 발생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기포에 의한 표시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가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상기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 및
    절단 기준점을 따라 접착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에 전기 영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영동층의 일면에 점착층 및 이형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정렬 기준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기준점은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각각 형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접착 수단은 실런트, 점착제 및 고정 지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가접착 수단 중 하나인 상기 실런트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정렬 기준점을 통해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정렬을 관리하는 정렬 감시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감시 장치는 화상 촬영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고정시키는 흡착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고정 장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흡착력이 감소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1 영역에서부터 제2 영역까지 순차적으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제2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는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70069632A 2007-07-11 2007-07-11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5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32A KR101358907B1 (ko) 2007-07-11 2007-07-11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2/031,549 US20090014111A1 (en) 2007-07-11 2008-02-14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32A KR101358907B1 (ko) 2007-07-11 2007-07-11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64A KR20090006364A (ko) 2009-01-15
KR101358907B1 true KR101358907B1 (ko) 2014-02-06

Family

ID=4025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632A KR101358907B1 (ko) 2007-07-11 2007-07-11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14111A1 (ko)
KR (1) KR101358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7884A3 (en) * 2017-11-03 2023-04-19 E Ink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electro-optic display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7327A1 (en) * 2002-06-10 2004-02-12 E Ink Corporation Components and methods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KR20040108095A (ko) * 2003-06-16 2004-12-23 한국과학기술원 미립자 전기이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0164B2 (en) * 2002-06-10 2006-09-19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295279B2 (en) * 2002-06-28 2007-11-13 Lg.Philips Lc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WO2007002452A2 (en) * 2005-06-23 2007-01-04 E Ink Corporation Edge seals and processes for electro-optic displa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7327A1 (en) * 2002-06-10 2004-02-12 E Ink Corporation Components and methods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KR20040108095A (ko) * 2003-06-16 2004-12-23 한국과학기술원 미립자 전기이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64A (ko) 2009-01-15
US20090014111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35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0926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JP2011227205A (ja) 表示装置
KR10045266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WO2014080604A1 (ja) 表示装置
WO2011058796A1 (ja) 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107482022A (zh) 柔性基板及其制造方法、柔性显示器件和柔性显示装置
JP2007187866A (ja)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電子機器
WO2013001771A1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1613177A (zh) 划线设备及采用该划线设备制造显示面板的方法
CN104465528B (zh) 柔性基板的制备方法和柔性基板预制组件
KR101358907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0014901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6184148A (ja) 液晶表示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4999836B2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WO2008026374A1 (fr) Plaque de polarisation,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laque de polarisation, panneau d&#39;affichage et élément d&#39;affichage
JP2003255390A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00246A (ko)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KR2013002438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80060124A (ko)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118364B1 (ko) 광변조 장치의 제조 방법
JP3928363B2 (ja) 電気泳動装置の製造方法
JP2010054749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5391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03005208A (ja) 液晶表示パネルの積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