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19B1 -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19B1
KR101358319B1 KR1020110139190A KR20110139190A KR101358319B1 KR 101358319 B1 KR101358319 B1 KR 101358319B1 KR 1020110139190 A KR1020110139190 A KR 1020110139190A KR 20110139190 A KR20110139190 A KR 20110139190A KR 101358319 B1 KR101358319 B1 KR 10135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rame
vacuum chamber
groov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772A (ko
Inventor
송건영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for ver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는 대상물의 표면처리를 위한 장치로, 상기 대상물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제1진공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대상물의 표면과 상기 제1진공실의 사이 공간을 에워싸며, 그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과 조합되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진공 패드; 상기 제1진공실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 인가부; 및 상기 제1진공실과 상기 제2진공실을 연결하며, 상기 제1진공실에 인가된 진공압을 상기 제2진공실에 전달하는 진공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은 상기 제2진공실의 감압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흡착 고정된다.

Description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BLASTING APPARATUS USING METHOD OF VACUUM ABSORBING}
본 발명은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 외판의 조인트부에는 용접 후, 별도의 보호 도막 등이 없으므로 쉽게 부식된다. 이러한 부식을 막기 위하여, 용접된 부위를 도장하는 도장 작업이 요구된다.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도장 작업 전, 그라인딩(Grinding)이나 연마재를 분사하는 등의 표면처리 작업을 통해 용접 부위의 오염 및 녹 등을 미리 제거해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작업은 선체 외판에서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위험하여 안전에 주위가 요구된다. 때문에,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작업을 행하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464462호(이하, 선행특허 1이라 한다)에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된다. 선행 특허 1의 도 2에 개시된 블라스팅 장치는 선체의 외벽면과 밀착되는 진공 패드가 볼트/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진공 패드의 분리 및 조립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블라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그리트 등의 유입으로 나사산이 망가지는 경우, 진공 패드의 분해 작업이 어렵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46446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공 패드의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공 패드를 흡착하는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는 대상물의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제1진공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대상물의 표면과 상기 제1진공실의 사이 공간을 에워싸며, 그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과 조합되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진공 패드; 상기 제1진공실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 인가부; 및 상기 제1진공실과 상기 제2진공실을 연결하며, 상기 제1진공실에 인가된 진공압을 상기 제2진공실에 전달하는 진공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은 상기 제2진공실의 감압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흡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진공실은 상기 진공 패드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진공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진공홈에 삽입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진공홈을 형성하는 내측면과 상기 요철부를 형성하는 외측면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진공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홈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진공 패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에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바디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홈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가 삽입되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홈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바디가 삽입되는 제2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홈을 형성하는 상기 진공 패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진공 흡착력에 의해 진공 패드가 고정되므로 진공 패드를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진공실에 노출되는 진공 패드의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진공 패드를 흡착하는 흡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과 진공 패드의 영역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 패드와 프레임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에 형성된 요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진공 패드와 프레임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라스팅 장치(10)는 선박, 대형 건축물, 그리고 대형 탱크 등과 같은 철골 구조물의 외벽에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도막에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외벽면의 녹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블라스팅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철골 구조물의 외측 표면 중 조인트(joint)부와 같이 용접이 수행된 영역은 프라이머(primer) 처리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른 영역에 비해 쉽게 녹이 슨다. 이러한 용접 영역에는 블라스팅 장치(10)에 의한 표면 처리 작업 후 도장 작업이 수행될 것이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10)가 블라스팅 공정을 수행하는 상기 구조물들을 대상물(S)이라 칭한다.
블라스팅 장치(10)는 몸체(20), 이동부(30), 블라스팅부(40), 그리고 진공 흡착부(50)를 포함한다.
몸체(20)에는 장치(10)의 구동에 제공되는 각종 구동 및 전장 장치, 그리고 전력 케이블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몸체(20)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454452호의 도 2에 개시된 구조와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대상물(S)의 외벽면을 따라 몸체(20)를 이동시킨다. 이동부(30)는 구동휠(31)과 동력 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휠(31)은 몸체(20)의 하단부에 제공되며, 대상물(S)의 외벽면과 접촉하여 회전한다. 구동휠(31)은 2륜 또는 4륜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는 구동휠(3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휠(31)이 대상물(S)의 외벽면과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몸체(20)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블라스팅부(40)는 대상물(S)의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한다. 블라스팅부(40)는 연마재 공급라인(41)과 연마재 공급 노즐(42)을 포함한다. 연마재 공급 라인(41)은 연마재 공급 노즐(42)로 연마재를 공급한다. 연마재는 압축 공기와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연마재 공급 라인(41)의 일단에는 연마재 공급 노즐(42)이 연결된다. 연마재 공급 노즐(42)의 끝단에는 연마재가 분사되는 분사구(43)가 형성된다. 분사구(43)는 대상물(S)의 표면과 마주한다. 연마재는 압축 공기와 함께 강력하게 분사되어 대상물(S)의 표면을 처리한다.
진공 흡착부(50)는 블라스팅 장치(10)가 대상물(S)의 표면에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대상물(S)의 표면에 흡착된다. 그리고, 진공 흡착부(50)는 블라스팅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분진 및 오염물들(이하, '부산물'이라 한다)이 대기중으로 흩어지지 않고 특정 공간에 포집되도록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진공 흡착부(50)는 프레임(110), 진공 패드(120), 진공 라인(130), 그리고 진공압 인가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을 가지며, 대상물(S)의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대상물(S)의 표면과 마주하는 프레임(110)의 저면은 개방되며,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제1진공실(V1)이 형성된다. 제1진공실(V1) 내에는 연마재 공급 노즐(42)이 위치한다. 프레임(110)은 연마재 공급 노즐(42)에 인접한 영역을 에워싼다.
진공 패드(120)는 프레임(110)과 대상물(S) 사이에 위치하며, 대상물(S)의 표면과 제1진공실(V1)의 사이 공간(120a)을 에워싼다. 진공 패드(12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120a)은 제1진공실(V1)과 통한다. 진공 패드(120)는 저면이 대상물(S)의 표면과 접촉하여 진공 패드(120)와 대상물(S)의 표면 사이 틈을 통해 부산물이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진공 패드(120)의 저면에는 마모 방지 패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마모 방지 패드는 블라스팅 장치(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하여 진공 패드(120)의 저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마모 방지 패드는 마찰 계수가 적은 재질로 제공되어 대상물(S)의 표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이는 블라스팅 장치(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동력 손실이 최소화한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과 진공 패드의 영역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공 패드(120)의 상단은 프레임(110)의 하단과 조합하여 제2진공실(V2)을 형성한다. 제2진공실(V2)은 진공 패드(120)의 상면과 프레임(110)의 저면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진공홈(V2)이 형성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진공 라인(130)은 제1진공실(V1)과 제2진공실(V2)을 연결한다. 진공 라인(130)의 일단은 제1진공실(V1)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110)에 형성된 연결 유로(111)를 통해 제2진공실(V2)에 연결된다. 진공 라인(130)에 의해 제1진공실(V1)과 제2진공실(V2)은 연통되며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진공실(V1)에 진공압이 인가되는 경우, 진공압은 진공 라인(130)과 연결 유로(111)를 통해 제2진공실(V2)에 전달될 수 있다. 제2진공실(V2)에 진공압이 전달되는 경우, 제2진공실(V2)은 감압되어 진공 패드(120)가 프레임의 하단에 흡착 고정될 수 있다. 진공 라인(130)은 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진공압 인가부(140)는 제1진공실(V1)에 진공압을 인가한다. 진공압 인가부(140)는 배관(141) 및 진공 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배관(141)은 프레임(110)에 직접 연결되며, 내부 통로가 제1진공실(V1)과 연통된다. 진공 펌프는 배관(141)에 설치되며, 배관(141)의 내부 통로에 진공압을 인가한다. 진공 펌프에서 형성된 진공압은 배관(141)을 통해 제1진공실(V1)에 인가되어 블라스팅 장치(10)를 대상물(S)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진공압은 진공 라인(141)과 연결 유로(111)을 통해 제2진공실(V2)에 인가되어 진공 패드(120)를 프레임(110)에 흡착 고정시킨다. 또한, 진공압은 블라스팅 과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배관(141)을 통해 제1진공실(V1)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진공 패드와 프레임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진공 패드(120)의 상면(120a)에는 요철부(121)가 형성된다. 요철부(121)는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요철부(121)는 진공 패드(12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된다. 요철부(121)들은 그 길이방향이 진공 패드(120)의 중심을 향하며, 진공 패드(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요철부(121)들의 형성은 제2진공실(V2)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동일한 압력조건에서 힘의 크기는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에 비례하므로, 요철부(121)들은 진공 패드(120)에 작용하는 흡착력을 증가시킨다.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요철부(121)들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여 진공홈(1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홈(112)들은 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된다. 진공홈(112)들에는 요철부(121)들이 각각 삽입된다. 진공홈(112)들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은 일부 영역이 요철부(12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프레임(110) 내측면의 다른 영역은 요철부(122)에 밀착될 수 있다. 접촉되지 않는 프레임(110)의 내측면과 요철부(121)의 외측면 사이 공간은 제2진공실(V2)로 제공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요철부(121)의 상면(121a)은 이와 마주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반면, 요철부(121)의 전·후방면(121b, 121c), 그리고 양 측면(121d, 121e)은 이와 마주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2진공실(V2)에 진공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프레임(110)과 요철부(121)의 접촉면(121b 내지 121e)은 진공 패드(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요철부(121)들의 상면(121a)에는 삽입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122)은 요철부(121)의 상면(121a)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진공홈(112)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돌기(115)가 형성된다. 돌기(115)는 삽입공(12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끝단부가 삽입공(122)에 삽입된다. 삽입공(122)에 삽입된 돌기(115)는 진공 패드(120)가 요철부(12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프레임(110)과 요철부(121')가 서로 밀착되지 못하게 하여 제2진공실(V2)의 공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부(121)들이 진공 패드(120)의 상면(120a)에 형성되고 진공홈(112)들이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요철부(121)들이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진공홈(112)들이 진공 패드(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에 형성된 요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진공 패드와 프레임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진공 패드(120)의 상면(120a)에는 요철부(121')가 형성된다. 요절부(121')는 도 3과 같이 진공 패드(12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21')는 제1바디(123)와 제2바디(124)를 포함한다. 제1바디(124)는 진공 패드(120)의 상면(120a)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다. 제2바디(124)는 제1바디(123)의 상면 중심영역에 형성된다. 제2바디(124)는 제1바디(123)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다. 제2바디(124)는 제1바디(123)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제1 및 제2바디(123, 123)는 서로 조합되어 'ㅗ'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형상은 제2진공실(V2)에 노출되는 요출부(121')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요출부(121')의 표면적 증가는 진공압으로 인하여 요출부(121')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요철부(121')들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여 진공홈(1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홈(112)들은 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된다. 각각의 진공홈(112)은 제1홈(112a)과 제2홈(112b)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제1홈(112a)은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2홈(112b)은 제1홈(112a)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제1홈(112a)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홈(112a)에는 제1바디(123)가 위치하고, 제2홈(112b)에는 제2바디(124)가 위치한다. 진공홈(112)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 중 일부 영역은 요철부(121')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진공실(V2)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내측면 중 다른 영역은 요철부(121')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바디(123, 124)의 상면 그리고 제2바디(124)의 양 측면은 이와 마주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반면, 제1 및 제2바디(123, 124)의 전·후방면, 그리고 제1바디(123)의 양 측면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2진공실(V2)에 진공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프레임(110)의 내측면과 요철부(121')의 접촉면은 진공 패드(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바디(123)의 상면에는 삽입공(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123a)은 제2바디(124)를 기준으로 제2바디(12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진공홈(112)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돌기(115)가 형성된다. 돌기(115)는 삽입공(123a)들의 개수, 위치 그리고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그 끝단부가 삽입공(123a)에 삽입된다. 돌기(115)는 진공 패드(120)가 요철부(12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부(121')들이 진공 패드(120)의 상면(120a)에 형성되고 진공홈(112)들이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요철부(121')들이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진공홈(112)들이 진공 패드(120)의 상면(120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프레임(110)의 저면과 진공 패드(120)의 상면에는 각각 진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홈은 진공 패드(120) 또는 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한다. 진공홈들은 서로 조합하여 제2진공실(V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라스팅 장치
20: 몸체
30: 이동부
40: 블라스팅부
50: 진공 흡착부
110: 프레임
112: 진공홈
120: 진공 패드
121: 요철부
130: 진공 라인
140: 진공압 인가부
V1: 제1진공실
V2: 제2진공실

Claims (6)

  1. 대상물의 표면처리를 위한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제1진공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대상물의 표면과 상기 제1진공실의 사이 공간을 에워싸며, 그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과 조합되어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진공 패드;
    상기 제1진공실로 연마재를 제공하고, 상기 연마재를 상기 대상물에 분사하는 블라스팅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제1진공실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 인가부; 및
    상기 제1진공실과 상기 제2진공실을 연결하며, 상기 제1진공실에 인가된 진공압을 상기 제2진공실에 전달하는 진공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은 상기 제2진공실의 감압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공실은 상기 진공 패드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진공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진공홈에 삽입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진공홈을 형성하는 내측면과 상기 요철부를 형성하는 외측면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홈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진공 패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진공 패드의 상단에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바디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홈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가 삽입되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홈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바디가 삽입되는 제2홈을 가지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홈을 형성하는 상기 진공 패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는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1020110139190A 2011-12-21 2011-12-21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10135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90A KR101358319B1 (ko) 2011-12-21 2011-12-21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90A KR101358319B1 (ko) 2011-12-21 2011-12-21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72A KR20130071772A (ko) 2013-07-01
KR101358319B1 true KR101358319B1 (ko) 2014-02-07

Family

ID=4898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90A KR101358319B1 (ko) 2011-12-21 2011-12-21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377B1 (ko) 2014-06-20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972U (ko) * 1989-10-02 1991-05-29
JP2003205873A (ja) * 2002-01-10 2003-07-22 Fukashi Uragami 吸着移動装置(1)
KR20040059615A (ko) * 2002-12-27 2004-07-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20100078553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블라스팅 장치 및 그 내부압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972U (ko) * 1989-10-02 1991-05-29
JP2003205873A (ja) * 2002-01-10 2003-07-22 Fukashi Uragami 吸着移動装置(1)
KR20040059615A (ko) * 2002-12-27 2004-07-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20100078553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블라스팅 장치 및 그 내부압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72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3272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治具
CN210280063U (zh) 一种水利施工管道外表面除污装置
KR102211328B1 (ko) 연마면 세정 장치, 연마 장치 및 연마면 세정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58319B1 (ko)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100464462B1 (ko)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KR101057548B1 (ko) 블라스팅장치
KR101060011B1 (ko) 블라스팅 장치
JP5814087B2 (ja) 散水装置
CN101863294A (zh) 用于干、湿环境的磁隙式爬壁机器人
JP2003205873A (ja) 吸着移動装置(1)
US20120045978A1 (en) Grinding workpiece
CN113148051A (zh) 一种多工具船舶维修机器人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140005451U (ko) 먼지 비산 방지용 간이 커버
KR200385273Y1 (ko) 텐숀지지제가 연마제를 지지한 연마휠
JP6362574B2 (ja) 転圧機械
JP5870658B2 (ja) 電動工具及び素地調整方法
KR102184626B1 (ko) 블라스트머신 주행장치
JP3221211U (ja) 鋼板塗膜面を移動して塗膜剥離をする取替剥離室付き剥離装置
KR101944928B1 (ko) 평판 블라스팅 장치
KR101175683B1 (ko) 휠 석션 장치
JP2014058216A (ja) 装軌式車両の路面損傷防止具
WO1999067121A1 (fr) Dispositif mobile adherant a une surface par aspiration
KR101011204B1 (ko) 워터젯을 이용한 철벽면무인도장제거시스템 및 철벽면리자드제거장치
JP7236070B2 (ja) ミストジェ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