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02B1 -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02B1
KR101358302B1 KR1020120029491A KR20120029491A KR101358302B1 KR 101358302 B1 KR101358302 B1 KR 101358302B1 KR 1020120029491 A KR1020120029491 A KR 1020120029491A KR 20120029491 A KR20120029491 A KR 20120029491A KR 101358302 B1 KR101358302 B1 KR 10135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submersible
damping member
offshore structur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587A (ko
Inventor
홍삼권
김세은
서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은, 수면 상에 계류되거나 이동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로서, 수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작업데크; 작업데크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 복수의 칼럼부; 복수의 칼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 또는 수중에 위치하는 폰툰부(pontoon part);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자세를 유지하는 운동 감쇠 부재;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에 대해 운동 감쇠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잠수식 해상구조물{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라 각종 자원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바, 그 중에서 원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자원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탐사 및 시추를 위한 장비를 탑재한 특수선박, 예를 들어 드릴쉽, 반잠수식 드릴링 리그 및 부유식 해상구조물(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과 같은 해양작업선박 등이 개발되어 심해로부터 각종 자원의 생산을 위한 탐사와 채굴 작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해상작업용 특수선박은 해상에서 안정적이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해상에 안정적으로 계류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선박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바람이나 파고 등 해상 조건이 좋지 않을 경우, 선박에 외력이 작용하여 예를 들어 상하동요(heave)와 같은 큰 운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동이 탐사를 위한 드릴링 작업 또는 라이저를 통해 해저 원유를 채굴하는 작업을 하는 해상 작업용 특수선박의 운용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이러한 선박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극한파도조건에서도 해상구조물의 안정적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체의 상하동요를 억제할 수 있도록 상하동요 억제판과 같은 부가물을 선체 저면에 부착하는 형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가물은 선박의 정박이나 계류시 자세제어 측면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항해시에는 항해 안정성 또는 추진 성능 측면(예를 들어, 추가저항 등)에서 매우 불리한 구조이다.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07410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면 상에 계류시에는 풍랑이나 조류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상하동요(heave)를 저감시켜 운용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수면을 이동시에는 추진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항가능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면 상에 계류되거나 이동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로서, 수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작업데크;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 복수의 칼럼부; 상기 복수의 칼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 또는 수중에 위치하는 폰툰부(pontoon part);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자세를 유지하는 운동 감쇠 부재;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에 대해 상기 운동 감쇠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폰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동 감쇠 부재는, 상기 복수의 칼럼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그부(leg part)와; 상기 레그부의 하단부에 결합된 댐핑 플레이트(damping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래크 기어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운동 감쇠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감쇠 부재는 상기 복수의 칼럼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유체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트러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은 상기 운동 감쇠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운동 감쇠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복수의 칼럼부에 상응하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플레이트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개구부(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면 상에 계류시에는 풍랑이나 조류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상하동요(heave)를 저감시켜 운용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수면을 이동시에는 추진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운동 감쇠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운동 감쇠 부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운동 감쇠 부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운동 감쇠 부재를 구동부(150)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은, 예를 들어 세미리그(semi-rig)와 같이 자항능력을 구비하여 추진 가능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or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은 수면 상에 계류되거나 이동하는 자항가능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로서, 작업데크(110)와, 칼럼부(120)와, 폰툰부(pontoon part, 130)와, 운동 감쇠 부재(140)와, 구동부(15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선체 저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운동 감쇠 부재(140)를 이용하여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상하동요(heave)나 좌우동요(횡동요) 등을 제어함으로써,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이 수면 상에 계류시에는 풍랑이나 조류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상하동요 등을 저감시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해상작업의 운용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이 수면을 이동시에는 운동 감쇠 부재(140)를 폰툰부(130) 상측으로(즉, 수면 위로) 이동시켜 불필요한 부가물에 의한 선체 추진저항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즉,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이 해상에 계류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이동을 위해 해상을 항해할 경우, 필요에 따라 운동 감쇠 부재(140)의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운용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시 운동 감쇠 부재(140)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지 않음에 따라 이로 인한 항력(즉, 추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저항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추진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은 전체적으로 반잠수식 드릴링 리그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은, 수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작업데크(110)와, 작업데크(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 복수의 칼럼부(120)와, 수면 또는 수중에 위치하며 복수의 칼럼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칼럼부(120)를 지지하는 폰툰부(130)와,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체의 자세를 유지하는(즉, 선체의 요동을 저감하는) 운동 감쇠 부재(140)와,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에 대해 운동 감쇠 부재(14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50)와, 구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데크(110)가 수면 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칼럼부(120)가 작업데크(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복수의 칼럼부(120)가 적어도 두 개조가 되도록 복수의 칼럼부(120)의 하단부에 폰툰부(130)가 결합된다.
작업데크(110)는 복수의 칼럼부(120)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칼럼부(120) 상부에 설치되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용도에 따라 예를 들어 드릴파이프나 머드 모듈(mud module) 등과 같은 각종 장비와 설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작업데크(110)에는 헬기 착륙장이나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거주시설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작업데크(110) 상에는 관통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부(112)의 상부에 데릭(derrick,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관통부(112)는 문풀(moonpool)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해저설비나 드릴파이프와 같이 시추작업에 필요한 장비들을 작업데크(110)에서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칼럼부(120)는 원기둥 형상과 다각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다각 기둥이라 함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한 평면상에 여러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횡단면으로 하는 모든 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칼럼부(120)가 장방형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장방형이라 함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칼럼부(120)의 배치 형태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폰툰부(130)은, 복수의 칼럼부(120) 하부에 설치되며, 선체의 요동이 감소되도록 밸러스트(ballast, 또는 평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폰툰부(130)은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이 해상에 계류 시 각 상황별 하중분포에 따라 해상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형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폰툰부(130)에는 밸러스트를 맞추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폰툰부(130)는 작업데크(1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폰툰부(130) 상에는 장방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칼럼부(120)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칼럼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폰툰부(130) 상에는 복수의 칼럼부(120) 중 절반에 해당하는 개수의 칼럼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4개의 칼럼부(120)가 배치된 경우, 하나의 폰툰부(130) 상에는 2개의 칼럼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운동 감쇠 부재(140)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면상에 계류하거나 정박하는 해상구조물(100) 선체의 자세를 유지(즉, 선체의 요동을 저감)한다.
이러한 운동 감쇠 부재(140)는, 복수의 칼럼부(120)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그부(leg part, 142)와, 레그부(142)의 하단부에 결합된 댐핑 플레이트(damping plate, 1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그부(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칼럼부(120)의 개수에 상응하는 복수의 레그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칼럼부(120)에 인접하도록 복수개의 레그부(1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레그부(142)의 하단부에 댐핑 플레이트(144)가 결합될 수 있다.
운동 감쇠 부재(140)는 위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장방형 횡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레그부(142) 사이에는 파이프와 같은 연결부재가 예를 들어 트러스(truss) 형태로 개재되어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레그부(142)가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 것을 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운동 감쇠 부재(140)의 레그부(142)가 트러스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레그부(142)에 형성된 많은 공극부(즉, 개방된 구멍)를 통해 해수와 같은 유체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으며, 해상에 계류시 파도나 조류에 의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에 횡동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 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운동 감쇠 부재(140)는 예를 들어 레그부(142)와 댐핑 플레이트(144)를 포함하는 단위 모듈이 각각의 칼럼부(120)에 하나씩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각각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칼럼부(12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각각의 단위 모듈이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황에 맞게 각각 작동함으로써, 풍랑이나 조류와 같은 다양한 외부 환경에서도 해상구조물(100) 선체에 작용하는 상하동요(heave) 등을 효율적으로 저감시켜 작업의 운용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운동 감쇠 부재(140)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가진 박스형 레그부와, 이러한 박스형 레그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댐핑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박스형 레그부의 측면부에는 유체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 감쇠 부재(140)의 레그부가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한 박스형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레그부에 형성된 많은 관통홀(즉, 개방된 구멍)를 통해 해수와 같은 유체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으며, 해상에 계류시 파도나 조류에 의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에 횡동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례들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감쇠 부재(1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댐핑 플레이트(144)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개구부(opening, 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46)는 상술한 관통부(112)와 연동하여 해저설비나 드릴파이프와 같이 시추작업에 필요한 장비들을 작업데크(110)에서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이러한 운동 감쇠 부재(140)를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즉, 구동부(150)를 이용하여 상술한 운동 감쇠 부재(140)를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정박이나 계류시에는 운동 감쇠 부재(140)를 통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위치나 자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시에는 운동 감쇠 부재(140)를 수면 위로 들어올려(이 경우, 운동 감쇠 부재(140)는 복수의 칼럼부(120) 사이 공간에 적재될 수 있음) 운동 감쇠 부재(140)로 인해 추진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그부(1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와 같은 래크 기어(rack gear, 152)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이러한 래크 기어(152)에 기어결합되어 운동 감쇠 부재(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154)와, 이러한 피니언 기어(154)를 회전시키는 모터(1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의 운동 감쇠 부재(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50)의 모터(156)가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모터(156)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154)가 회전하게 되며, 피니언 기어(154)는 모터(156)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레그부(142)에 형성된 래크 기어(152)를 해상구조물(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동 감쇠 부재(140)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폰툰부(130)와 칼럼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0)가 폰툰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0)의 모터(156)는 폰툰부(130)의 몸체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며, 모터(156)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154)는 운동 감쇠 부재(140)의 레그부(142)와 마주보도록 폰툰부(130)의 측면부에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56)와 피니언 기어(154)와 래크 기어(152)의 작동 원리는 래크 앤 피니언 시스템(rack and pinion system)과 같은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동부(150)가 폰툰분(130)에 설치됨으로써, 운동 감쇠 부재(140)의 댐핑 플레이트(144)를 수면 아래로 충분히 내리기 위해 레그부(142)의 길이를 길게 만들 필요가 없다. 또한, 상대적으로 짧은 레그부(142)로도 댐핑 플레이트(144)를 수면 아래로 충분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운동 감쇠 부재(140)를 수면 위로 승강시킬 때 레그부(142)가 작업데크(110)를 관통하여 그 상측으로 돌출될 필요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142)가 작업데크(110)의 저면에서 폰툰부(130)의 상면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폰툰부(130)의 측면부에 구비된 구동부(150)의 피니언 기어(15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14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래크 기어(152)에 기어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부(142)의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의 양측에 각각 래크 기어(15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구조물(100)은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운동 감쇠 부재(140)가 선체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할 경우 이러한 운동 감쇠 부재(140)가(구체적으로, 레그부(142)가) 칼럼부(120)의 이동 경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홈(162)을 따라 레그부(142), 구체적으로 레그부(142)의 돌기부가 이동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가이드홈(162)은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반대로 레그부(14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칼럼부(120)와 레그부(142)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홈(16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홈(162)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돌기(미도시)가 칼럼부(120)와 레그부(142)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의 형태는 몇 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는 이외에도 많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구동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각각의 칼럼부(120)에 설치되어 운동 감쇠 부재(1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각각의 구동부(150)를 작동시켜 운동 감쇠 부재(140)의 승하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110: 작업데크 112: 관통부
120: 칼럼부 130: 폰툰부
140: 운동 감쇠 부재 142: 레그부
144: 댐핑 플레이트 146: 개구부
150: 구동부 152: 래크 기어
154: 피니언 기어 156: 모터
162: 가이드홈

Claims (10)

  1. 수면 상에 계류되거나 이동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로서,
    수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작업데크;
    상기 작업데크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 복수의 칼럼부;
    상기 복수의 칼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 또는 수중에 위치하는 폰툰부(pontoon part);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자세를 유지하는 운동 감쇠 부재;
    상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에 대해 상기 운동 감쇠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동 감쇠 부재는,
    상기 복수의 칼럼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그부(leg part)와;
    상기 레그부의 하단부에 결합된 댐핑 플레이트(damping plate)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감쇠 부재는 상기 복수의 칼럼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각각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폰툰부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 기어가 형성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래크 기어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운동 감쇠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유체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트러스 구조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감쇠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운동 감쇠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복수의 칼럼부에 상응하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플레이트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KR1020120029491A 2012-03-22 2012-03-22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KR10135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91A KR101358302B1 (ko) 2012-03-22 2012-03-22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91A KR101358302B1 (ko) 2012-03-22 2012-03-22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87A KR20130107587A (ko) 2013-10-02
KR101358302B1 true KR101358302B1 (ko) 2014-02-05

Family

ID=4963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91A KR101358302B1 (ko) 2012-03-22 2012-03-22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271A (ko) 2014-09-23 2016-03-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025B1 (ko) 2014-12-01 2016-03-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운동 감쇠 기능을 갖는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갖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2260454B1 (ko) * 2015-03-19 2021-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950A (ko) * 1995-07-26 1999-05-25 마리우스 크리스티안 해양 석유생산 플래트 폼
US7219615B2 (en) * 2003-10-08 2007-05-22 Deepwater Technology Group Pte. Ltd Extended semi-submersible vessel (ESEM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950A (ko) * 1995-07-26 1999-05-25 마리우스 크리스티안 해양 석유생산 플래트 폼
US7219615B2 (en) * 2003-10-08 2007-05-22 Deepwater Technology Group Pte. Ltd Extended semi-submersible vessel (ESEM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271A (ko) 2014-09-23 2016-03-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87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80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EP2726362B1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US4646672A (en) Semi-subersible vessel
US8707882B2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US6666624B2 (en) Floating, modular deepwater platform and method of deployment
CN105151241A (zh) 一种筒形浮箱多立柱半潜式平台
EP1339922A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US20040182297A1 (en) Riser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1358302B1 (ko)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KR101687968B1 (ko)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US6632112B2 (en) Buoyancy module with external frame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EP1292491B1 (en) Floating platform for offshore drilling or production of hydrocarbons
KR20120004160A (ko) 선박용 수차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75184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횡 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장치, 그리고 그 횡 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801924B1 (ko) 바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설치선
KR101571305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687974B1 (ko) 하나의 텐던에 의해 계류되는 반잠수식 생산 시스템
KR101475023B1 (ko) 선박
KR20150053042A (ko) 반 잠수식 시추선의 푼툰 상하동요 저감장치
KR101491672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50146005A (ko) 선박
PIKE Drilling Unit
KR20150049770A (ko) 반 잠수식 시추선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KR20150037342A (ko) 세미리그의 수선면적 변동형 외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