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724B1 -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724B1
KR101356724B1 KR1020130088732A KR20130088732A KR101356724B1 KR 101356724 B1 KR101356724 B1 KR 101356724B1 KR 1020130088732 A KR1020130088732 A KR 1020130088732A KR 20130088732 A KR20130088732 A KR 20130088732A KR 101356724 B1 KR101356724 B1 KR 10135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s
flange
shaped beam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철
한숙원
Original Assignee
김규철
(주)동진건설산업
한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철, (주)동진건설산업, 한숙원 filed Critical 김규철
Priority to KR102013008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7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the retaining wall includes blocks for a retaining wall multiply piled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fixed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ground and an H-beam which are arranged between the blocks for a retaining wall in order to connect the blocks which are mutually separated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locks for a retaining wall by concrete placed between the blocks for a retaining wall.

Description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옹벽 및 옹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블록과 H-형 빔을 이용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and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simplify the construction by using a precast method and an H-beam.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옹벽은 도로, 공원지역의 비탈면, 하천제방, 해안도로, 주거지역의 사면 등과 같은 고의 현장에서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 습식공사로 시공하여 왔고, 이에 의해 시공된 옹벽으로는 역 T자형 옹벽이 가장 많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has been constructed by site wet construction that installs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 and installs concrete at high-level sites such as roads, slopes in park areas, river embankments, coastal roads, and slopes in residential areas. The most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 옹벽은 지반굴착, 기초 콘크리트 타설, 철근조립, 본체 콘크리트 타설, 뒷 채움 공사 등의 과정을 거쳐 시공된다.The retaining wall, which is constructed by placing concrete at the site, is 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ground excavation, foundation concrete laying, reinforcing steel, body concrete laying, and backfilling.

즉, 종래 옹벽시공은 현장에서 옹벽의 배근도를 참조하여 철근의 배근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자립을 위한 강도를 유지하는데 약 7일 이상의 양생 시간이 필요하며, 양생 완료 후 거푸집을 해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옹벽시공은 여러 단계의 시공과정 및 긴 공사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성 및 시공성에서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hould perform the reinforcement work of the reinforcing bar with reference to the reinforcement of the retaining wall at the site, and after the formwork is installed, it takes about 7 days or more to cure the concrete and maintain the strength for self-reliance. It is necessary, and the mold is dismantled after curing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akes a number of stages of construction process and a long construction time, there is a problem in economic and construction.

또한, 종래의 옹벽 시공방법은 장기간의 차량통행 차단과 우회도로 확보 등으로 민원발생가능성이 높으며, 장기간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안전성의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has a high possibility of civil complaints by blocking the long-term vehicle traffic and securing a bypass roa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afety since there is a problem of being exposed to a long-term danger.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488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4886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블록과 H-형 빔을 이용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simplify the construction by using a block made by a precast method and an H-shaped beam, and can improve rigidity.

본 발명은, 지반의 경사면에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반을 횡 방향으로 지지하는 옹벽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며, 상기 지반의 횡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종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들; 상호 이격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옹벽용 블록들과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용 블록들과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H-형 빔을 포함하는 옹벽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taining wall for supporting the soi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from collaps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round, is made of precas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interval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round,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H-shaped beam dispos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so as to connect the retaining wall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ly coupl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s by concrete pour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It provides a retaining wall comprising 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반의 경사면에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반을 횡 방향으로 지지하는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옹벽이 설치될 위치의 지반을 횡 방향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지반의 천공된 부분에 H-형 빔을 근입하는 단계; 상기 H-형 빔의 양측에 기 제작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을 종 방향으로 적층하며 근입하는 단계; 종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에 강선을 삽입하고 긴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H-형 빔과 상기 옹벽용 블록들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들과 상기 H-형 빔을 일체로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ing the grou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event the soil from collaps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round, manufacturing a retaining wall block; Perforating the ground in a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Incorporating an H-shaped beam in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ground; Stack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pre-fabricated on both sides of the H-shaped beam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ing and tensioning steel wire in the retaining wall blocks stack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H-shaped beam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to integrally couple and fix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H-shaped beam integrally.

본 발명에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기 제작된 블록들과 H-형 빔을 이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시공방법이 단순해지고 시공시간을 단축하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기 제작되는 블록들은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되는 것이 아니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큰 효과를 가질 수 있다.First, by using precast method blocks and H-shaped beams, and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that are integrally coupled and fixed by placing concrete, the construction method is simplified, construction time is reduced, and cost is reduced. Can have In particular, blocks prefabricated in a precast manner are not manufactured at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ite, and thus may have a great effect in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둘째, 옹벽용 블록들에 강선을 삽입하고 강선에 인장력을 가하여 긴장시킴으로써, 강선에 가해진 인장력이 옹벽용 블록들에 전해지는 지반의 토압과 상쇄하여 옹벽용 블록들이 지반의 토압에 버티는 시간이 증가하고 이는 옹벽용 블록들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Second, by inserting a steel wire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applying tension to the steel wire,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eel wire cancels the earth pressure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s, thereby increasing the time for the retaining wall blocks to stand on the earth pressure.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셋째, 옹벽용 블록들을 연결시키는 H-형 빔에 전단연결부재들을 설치함으로써, 옹벽용 블록들과 H-형 빔을 일체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ird, by installing the shear connecting members in the H-beam connect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y improv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concrete to be fixed to integrally fix the H-beam.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일부 구조를 평면에서 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옹벽의 H-형 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옹벽의 옹벽용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이 도시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강선을 긴장시킨 상태의 이해를 돕도록 도시한 것이다.
1 is a plan view of a partial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beam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FIG. 1.
4 to 13 illustrate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shown to help understand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구조에 대해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시공방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1 to 3 are shown for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14 are shown fo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옹벽은 지반의 경사면에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반을 횡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옹벽은, 옹벽용 블록들(110) 및 블록 연결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각 옹벽용 블록(110)은 복수 개의 철근들(111)을 포함한다. 상기 철근들(111)은 수직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근하고, 수평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근한다. 상기 철근들(111)이 배근되면, 상기 철근들(111)을 뼈대로 상기 옹벽용 블록(110)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철근들(111)을 감싸는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110)을 제작할 수 있다. First,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o support the grou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event the soil from collapsing on the slope of the ground. 1 to 3,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taining wall blocks 110 and a block connecting unit 130. Each retaining wall block 110 includes a plurality of rebars 111. The rebars 11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reinforcing bars 111 are arrange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reinforcing bars 111 as a skeleton. That is,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may be manufactured by installing a formwork (not shown) surrounding the reinforcing bars 111 and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nd curing the mold.

한편, 상기 옹벽용 블록(110)은 쉬스관(1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쉬스관(113)은 상기 철근들(111)로부터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되, 상기 철근들(111) 중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철근들(111)과 나란하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쉬스관(113)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쉬스관(113)은 상기 거푸집(미도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들(111)로부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철근들(111)과 나란하도록 상기 거푸집(미도시) 내부에 설치한다. 특히, 상기 쉬스관(113)은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쉬스관(113)은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미도시)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가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채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further includes a sheath tube 113. The sheath tube 113 is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bars 1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reinforcing bars 111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reinforcing bars 111. The sheath tube 113 is penetrat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eath pipe 113 is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bars 1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described above, before placing concrete in the formwork (not shown), parallel to the reinforcing bars 111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installed inside the formwork (not shown) so as to. In particular, the sheath tube 113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Therefore, the sheath tube 113 is fixed by the concrete, and when placing the concrete on the formwork (not shown), be careful not to fill the inside of the sheath tube 113 by the concrete.

상기 옹벽용 블록(110)은 강선(1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강선(115)은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강선(115)은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부족한 인장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인장 강도가 작아 인장 응력이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주어 강도를 향상시키는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 또는 포스트텐션(post-tension) 공법이 이용된다. 상기 강선(1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프리텐션 공법 또는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The retaining wall block 110 further includes a steel wire 115.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3. The steel wire 115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against the insufficient tension in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Concrete structures generally have low tensile strengths, so tensile stresses are easily generated. Therefore, a pre-tension method or a post-tension method is used to increase the strength by giving a prestress to the concret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wire 115 is provided to prestress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by a pretension method or a posttension method.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프리텐션 공법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줄 때에는 상기 강선(115)을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강선(115)에 인장력을 가한다. 상기 강선(115)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키면 상기 강선(115)에 가해진 인장력에 의해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프리스트레스가 주어져 강성이 향상된다.When prestressing is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by the pretensioning method,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3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heath tube 113 in the state where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and hardened, prestress is given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by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to improve rigidity. do.

한편,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줄 때에는 상기 강선(115)을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상기 강선(115)에 인장력을 가하여 정착한다. 상기 옹벽용 블록(110)은 상기 강선(115)에 가해진 인장력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주어져 강성이 향상된다.Meanwhile, when prestressing the post retaining metho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3, and concrete is then poured into the sheath tube 113. Harden.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the steel wire 115 is fixed by applying a tensile force.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is prestressed by a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thereby improving rigidity.

상기 강선(115)은 상기 옹벽용 블록(110)마다 삽입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선(115)은 상기 옹벽용 블록(110)이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개수만큼 적층되면, 적층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에 하나의 강선(115)이 삽입된다. 즉, 적층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은 하나의 강선(11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The steel wire 115 is not inserted into each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When the steel wire 115 is stacked as many as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tacked retaining wall blocks 110. That is, the stacked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connected by one steel wire 115.

상기 블록 연결유닛(130)은 H-형 빔(131), 전단연결부재(133) 및 마감 플레이트(135)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연결유닛(130)은 상기 지반(1)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반(1)의 횡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H-형 빔(131), 상기 전단연결부재(133)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 중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상기 H-형 빔(131)이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H-형 빔(131), 상기 전단연결부재(133)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를 모두 포함하는 상기 블록 연결유닛(130)에 대해 설명한다.The block connecting unit 130 includes an H-shaped beam 131, a shear connecting member 133, and a closing plate 135. The block connection unit 130 serves to connect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interval 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round 1 in order to prevent the ground 1 from collapsing. do. Meanwhile, the H-shaped beam 131 substantially connects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mong the H-shaped beam 131, the shear connecting member 133, and the closing plate 135. The finishing plate 135 may be omitt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ck connecting unit 130 including all of the H-shaped beam 131, the shear connecting member 133, and the closing plate 135 will be described.

상기 H-형 빔(131)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웹(131a), 상기 웹(131a)의 양단에서 상기 웹(131a)과 교차하는 방향과, 상기 웹(1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131b)와, 제2 플랜지(131c)를 포함한다. 상기 H-형 빔(13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고, 기성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H-shaped beam 131 is formed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web 131a tha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131a, the web 131a at both ends of the web 131a, and the web 131a. It includes an extended first flange 131b, and a second flange 131c. The H-beam 131 may be manufactured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r may be a ready-made product.

상기 H-형 빔(131)은 양 측의 개구된 부분이 횡 방향으로 상기 옹벽용 블록(110)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플랜지(131b) 및 상기 제2 플랜지(131c)의 개구된 부분이 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플랜지(131b)와 상기 제2 플랜지(131c)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는 상기 옹벽용 블록(110)들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 플랜지(131b)와 상기 제2 플랜지(131c)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는 상기 옹벽용 블록들 내측 즉, 시공되는 상기 옹벽에 의해 지지되는 지반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플랜지(131b)가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플랜지(131c)가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 내측으로 돌출된다.The H-shaped beam 131 is disposed so that the open portions on both sides thereof face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opened portions of the first flange 131b and the second flange 131c are arranged to face the transverse direction. Any one of the first flange 131b and the second flange 131c is sandwich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nd among the first flange 131b and the second flange 131c. The other flange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ground supported by the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lange 131b is sandwich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nd the second flange 131c protrudes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H-형 빔(131)은 거푸집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 사이의 빈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을 일체로 결합시키며 고정시킬 수 있다.The H-shaped beam 131 dispos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serves as a formwork. Therefore,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the cast concrete is cured while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are disposed. Can be integrated and fixed integrally.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는 상기 H-형 빔(13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는 철근 또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는 “ㄴ”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는 일단부가 상기 H-형 빔(131)에 고정되며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는 상기 H-형 빔(131)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웹(1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The shear connecting member 133 is installed on the H-shaped beam 131. The shear connection member 133 may be provided with a rebar or a thin plate. The shear connection member 133 is formed in a "b" shape or "T" shape. One end of the shear connecting member 133 is fixed to the H-shaped beam 131 and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shear connecting member 133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shaped beam 131, tha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131a.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이 결합될 때,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는 타설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H-형 빔(131)에 상기 전단연결부재(133)가 더 설치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are coupled by pouring concrete, the shear connecting member 133 serves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poured concrete. . The shear connection member 133 is further installed on the H-shaped beam 131,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to be poured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는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의 전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H-형 빔(131)과 결합된다.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만 상기 H-형 빔(131)의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전면에서 보면,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 사이에는 상기 H-형 빔(131)의 폭 만큼 홈이 형성된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는 시공이 완료된 옹벽의 미관을 해치며, 보는 이로 하여금 불안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를 상기 연결용 블록들(110)의 전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H-형 빔(131)과 결합시킨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가 상기 H-형 빔(131)과 결합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 상기 옹벽의 외관이 안정감을 갖게 되며 미려함도 향상될 수 있다.The finishing plate 135 is coupled with the H-shaped beam 131 to be in line with the front end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s described above, only part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inserted into the opened portion of the H-shaped beam 131. Therefore,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viewed from the front, a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by the width of the H-shaped beam 131. This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and may cause anxiety to the viewer. Accordingly, the closing plate 135 is disposed to be in line with the front end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s 110 to be coupled to the H-shaped beam 131. As the closing plate 135 is combined with the H-shaped beam 131, the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which is completed in construction, may be stabilized and beauty may be improved.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가 목재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nishing plate 135 is formed of wood. However, this is only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옹벽의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옹벽용 블록들(110)을 제작한다.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제작을 살펴보면, 철근(111)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배근한다. 단계) 상기 철근(111)이 배근되면, 제작될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쉬스관(113)을 설치한다. 상기 쉬스관(113)은 상기 철근들(111)과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근되는 상기 철근들(111)과 나란하게 설치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4 to 14, first,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manufactured.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the reinforcement 111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tep) When the reinforcing bar 111 is arranged, the sheath pipe 113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to be manufactured. The sheath tube 113 is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bars 1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reinforcing bars 11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철근(111)이 배근되고, 상기 쉬스관(113)까지 설치된 후 상기 철근들(111)과 상기 쉬스관(113)을 감싸는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미도시)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면,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제작이 완료된다.The reinforcing bar 111 is installed, and installed to the sheath tube 113, and then install the formwork (not shown) surrounding the reinforcing bars 111 and the sheath tube 113. An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 (not shown) to cure, the produ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is completed.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제작한 다음에는, 옹벽이 시공될 위치의 지반(1)을 천공한다. 상기 지반(1)의 천공은 예시적으로 오거라는 크레인 장비(3)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반(1)을 천공하기 전에는 상기 크레인 장비(3)가 놓일 수 있도록 상기 지반(1)의 일부(A)를 제거한다. 상기 옹벽이 횡 방향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지반(1)의 천공도 횡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After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manufactured, the ground 1 at the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is drilled. Perforation of the ground (1) can be made by using a crane equipment (3), for example, auger. Before drilling the ground 1, part A of the ground 1 is removed so that the crane equipment 3 can be placed. The perforation of the ground 1 is also ma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지반(1)을 천공한 후에는, 천공된 부분(1a)에 H-형 빔(131)을 근입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H 형강 구조의 상기 H-형 빔(131)을 상기 천공된 부분(1a)에 근입한다. 상기 H-형 빔(131)이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근입하며, 상기 H-형 빔(131)의 개구된 부분이 횡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H-형 빔(131)에는 상기 H-형 빔(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전단연결부재(133)들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천공된 부분(1a)에 상기 H-형 빔(131)이 근입된 후에는,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근입된 상기 H-형 빔(131)을 고정시키도록 한다.After drilling the ground 1, the step of incorporating the H-shaped beam 131 into the perforated portion 1a is performed. Equipment such as a crane is used to insert the H-shaped beam 131 of the H-beam structure into the perforated portion 1a. The H-shaped beam 131 is mounted so as to be vertical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pened portion of the H-shaped beam 131 faces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ng members 13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shaped beam 131 is fixed to the H-shaped beam 131. After the H-shaped beam 131 is indented in the perforated portion 1a, the concrete C is poured by a set height to fix the indented H-shaped beam 131.

상기 H-형 빔(131)을 근입한 후에는, 기 제작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상기 천공된 부분(1a)에 근입한다.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근입하기 전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의 높이(1b)만큼 상기 지반(1)을 굴착한다. 그리고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은 상기 H-형 빔(131)을 기준으로 상기 H-형 빔(131)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H-형 빔(131)의 상기 제1 플랜지(131b)가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플랜지(131c)는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After incorporating the H-shaped beam 131,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made in advance are indented into the perforated portion 1a. Before enter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the ground 1 is excavated by the height 1b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H-shaped beam 131 based on the H-shaped beam 131. In this case, the first flange 131b of the H-shaped beam 131 is sandwich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nd the second flange 131c is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It is arranged to protrude.

전술하였듯이,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은 수직 방향(종 방향)으로 적층되게 근입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옹벽용 블록(110)을 근입할 때마다 상기 지반(1)을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높이만큼 굴착한 후, 상기 옹벽용 블록(110)을 근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적층할 때,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설치된 상기 쉬스관(113)이 동일한 중심축 상에 위치하도록 주의하며 적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stacked to b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8 to 11, each time the one retaining wall block 110 is entered, the ground 1 is excavated by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and then the retaining wall block ( 110).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stacked, the sheath pipe 113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is carefully stack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central axis.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근입한 후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에 구비된 상기 쉬스관(113)에 강선(115)을 삽입하고, 프리텐션 공법 또는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상기 강선(115)에 인장력을 가해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킨다.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에 의해 시공되는 상기 옹벽이 지지하는 상기 지반(1)으로부터 토압이 작용하는 방향을 향해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킨다.After enter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3 provid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nd the steel wire is pretensioned or post-tensioned.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115 to tension the steel wire 115. The steel wire 115 is tensioned by applying a tensile force from the ground 1 supported by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by the retaining wall block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earth pressure is applied.

프리텐션 공법으로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쉬스관(113)에 상기 강선(115)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 상기 강선(115)에 인장력을 가해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킨다. 반면,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쉬스관(113)에 상기 강선(115)을 삽입하고 상기 쉬스관(113)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강선(115)에 인장력을 가해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킨 후 정착시킨다. Looking at the case of tensioning the steel wire 115 by the pre-tension method,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3 and the concrete is poured. At this time, before the concrete is cured, tension is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to tension the steel wire 115.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ase of tensioning the steel wire 115 by a post-tension method,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113 and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heath pipe 113.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to tension and fix the steel wire 115.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강선(115)은 적층된 소정 개수의 상기 옹벽용 블록(110)에 삽입되므로,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키기 위해 상기 쉬스관(113)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을 임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stacked, so that the concrete poured in the sheath pipe 113 to tension the steel wire 115 is vertical It may also serve to temporarily fix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stacked in the direction.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킨 후에는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을 일체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H-형 빔(131)은 거푸집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렇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면 상기 H-형 빔(131)과 상기 옹벽용 블록(110)은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고정된다. 이때, 상기 H-형 빔(131)에 설치된 상기 전단연결부재(133)들은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fter the steel wire 115 is tensioned,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and cured to form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It is fixed by combining them integrally. Since the H-shaped beam 131 serves as a formwork, concrete may be poured into a space between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the H-shaped beam 13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are integrally coupled and fixed by the concrete. In this case, the shear connecting members 133 installed in the H-shaped beam 131 may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마지막으로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전면으로 상기 H-형 빔(131)에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를 결합시킨다. 상기 H-형 빔(131)에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를 결합시키면, 상기 H-형 빔(131)에 의한 상기 옹벽용 블록(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로 채울 수 있다. 상기 H-형 빔(131)에 결합된 상기 마감 플레이트(135)의 전면은 상기 옹벽용 블록(110)의 전면과 동일선 상을 이룬다. 따라서 전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Finally, the closing plate 135 is coupled to the H-shaped beam 131 toward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When the closing plate 135 is coupled to the H-shaped beam 131,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by the H-shaped beam 131 may be filled with the closing plate 135. have. The front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135 coupled to the H-shaped beam 131 forms the same li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10.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beautiful.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키면 상기 옹벽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ensioning the steel wire 115 may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4에는 상기 강선(115)을 긴장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B"는 상기 강선(115)이 긴장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강선(115)은 상기 쉬스관(113)의 내부에 삽입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B"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되지는 않으나, "B"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강선(115)이 인장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강선(115)은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이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반(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이다.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l wire 115 is tense. In FIG. 14,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l wire 115 is tense, and since the steel wire 11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3, it is substantially bent as shown by "B". However, the steel wire 115 is under tension as shown by the letter “B.” That is, the steel wire 115 supports the ground 1 supported by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Tensile force is being applied in the direction to which it is directed.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은 상기 지반(1)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의 토압을 전달받는다.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이 상기 토압을 버티지 못하면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은 상기 토압에 의해 무너지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강선(115)이 "B"와 같이 인장력이 가해져 긴장되어 있으면 상기 지반(1)의 토압과 상기 강선(115)에 가해진 인장력이 상쇄되게 된다. 즉, 상기 지반(1)의 토압을 상기 강선(115)의 인장력 "B`"와 같이 상쇄시키면서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이 상기 지반(1)을 지지하여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옹벽용 블록들(110)의 강성이 상기 강선(115)에 가해진 인장력에 의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receive earth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rom the ground 1. If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cannot sustain the earth pressure,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collapsed by the earth pressure.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eel wire 115 is tensioned due to tension such as "B",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are canceled out. That is, while the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1 is offset by the tensile force “B ′” of the steel wire 115,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may support the ground 1 to prevent soil from collapsing. It is. It can be seen that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is improved by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eel wire 115.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옹벽용 블록 111: 철근
113: 쉬스관 115: 강선
130: 블록 연결유닛 131: H-형 빔
133: 전단연결부재 135: 마감 플레이트
110: retaining wall block 111: rebar
113: sheath pipe 115: steel wire
130: block connection unit 131: H-beam
133: shear connecting member 135: closing plate

Claims (11)

지반의 경사면에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반을 횡 방향으로 지지하는 옹벽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며, 상기 지반의 횡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종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들; 및
상호 이격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상기 지반에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웹과, 상기 웹의 양단에서 상기 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웹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H-형 빔을 포함하며,
상기 웹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전단연결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각 옹벽용 블록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각 옹벽용 블록과 공간을 이루어 상기 웹에 설치된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이 배치되도록 상기 옹벽용 블록들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옹벽용 블록들과 상기 H-형 빔 사이의 상기 공간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용 블록들과 상기 전단연결부재들 및 상기 H-형 빔이 동시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옹벽.
In the retaining wall for supporting the soi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event the soil from falling on the slope of the ground,
Retaining wall blocks made of precas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round, and stacked in pluralit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eb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so as to be perpendicularly inserted into the ground to connect the retaining wall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eb at both ends of the web; And an H-shaped beam comprising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The we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Any on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is sandwich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espective retaining wall blocks,
The other on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protrudes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s so that the shear connection members disposed on the web form a space with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a retaining wall in which the retaining wall blocks, the shear connecting members, and the H-shaped beam are integrally coupled and fixed simultaneously by the concrete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H-shaped bea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의 전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H-형 빔과 결합하는 마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nishing plate engaging with the H-shaped beam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front 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옹벽용 블록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들; 및
상기 철근들로부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근된 상기 철근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쉬스관을 포함하는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retaining wall block,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tain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bar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etaining wall including a sheath pip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은 상기 쉬스관이 동일 축 상에 위치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옹벽.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that the sheath pipe is positioned on the same axi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적층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의 상기 쉬스관에 삽입되는 강선을 더 포함하는 옹벽.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teel wire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stack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반의 토압이 상기 옹벽에 전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강선에 인장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 retaining wall for tensioning by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eel wire in a direction in which earth pressure of the ground is transmitted to the retaining wall.
지반의 경사면에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반을 횡 방향으로 지지하는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옹벽이 설치될 위치의 지반을 횡 방향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지반이 천공된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웹과, 상기 웹의 양단에서 상기 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웹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H-형 빔을 수직하게 근입하는 단계;
상기 H-형 빔의 양측에 기 제작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을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어느 하나는 면접촉되고,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다른 하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옹벽용 블록들 내측으로 돌출되어 종 방향으로 적층하며 근입하는 단계;
종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옹벽용 블록들에 강선을 삽입하고 긴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H-형 빔과 상기 옹벽용 블록들 사이의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웹에는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웹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전단연결부재들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종 방향으로 적층하며 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이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서,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용 블록들, 상기 전단연결부재들 및 상기 H-형 빔이 동시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옹벽 시공방법.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ing the grou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from falling on the slope of the ground,
Manufacturing a retaining wall block;
Perforating the ground in a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And a web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erforated part of the ground,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eb at both ends of the web,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Vertically injecting an H-shaped beam;
The retaining wall blocks manufactured on both sides of the H-shaped beam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on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may have a space. Protruding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stack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ing and tensioning steel wire in the retaining wall blocks stack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Placing concrete in the space between the H-shaped beam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The we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and lamin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ep of entering the shear connecting members are disposed in the spac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n the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the retaining wall blocks, the shear connecting members and the H-shaped beam is integrally coupl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by the poured concrete.
삭제delete
KR1020130088732A 2013-07-26 2013-07-26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56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32A KR101356724B1 (en) 2013-07-26 2013-07-26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32A KR101356724B1 (en) 2013-07-26 2013-07-26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724B1 true KR101356724B1 (en) 2014-02-03

Family

ID=5026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32A KR101356724B1 (en) 2013-07-26 2013-07-26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72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71B1 (en) * 2015-04-09 2015-11-27 김규철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58280B1 (en) * 2020-03-16 2021-06-01 시지이엔씨주식회사 Reinforced slurry wall structure connecting discrete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51277B1 (en) * 2021-02-18 2022-01-14 뉴콘텍이앤씨(주) Prestressed retaining panel
WO2022165315A1 (en) * 2021-01-29 2022-08-04 Rosaruiz Enterprises Inc. Barrier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797A (en) * 1997-12-18 1999-07-06 Modern Material:Kk Method for fixing support for retaining-wall block and foundation member for use therein
KR100625115B1 (en) * 2004-05-29 2006-09-20 (주)새길이엔시 downward reinforced-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emporary assistant columns
KR100671959B1 (en) * 2005-06-15 2007-01-19 안승한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1147460B1 (en) * 2011-07-19 2012-05-21 이평우 Cutting the ground retaining wall using the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797A (en) * 1997-12-18 1999-07-06 Modern Material:Kk Method for fixing support for retaining-wall block and foundation member for use therein
KR100625115B1 (en) * 2004-05-29 2006-09-20 (주)새길이엔시 downward reinforced-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emporary assistant columns
KR100671959B1 (en) * 2005-06-15 2007-01-19 안승한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1147460B1 (en) * 2011-07-19 2012-05-21 이평우 Cutting the ground retaining wall using the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71B1 (en) * 2015-04-09 2015-11-27 김규철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58280B1 (en) * 2020-03-16 2021-06-01 시지이엔씨주식회사 Reinforced slurry wall structure connecting discrete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O2022165315A1 (en) * 2021-01-29 2022-08-04 Rosaruiz Enterprises Inc. Barrier systems and methods
KR102351277B1 (en) * 2021-02-18 2022-01-14 뉴콘텍이앤씨(주) Prestressed retaining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80B1 (en) Wall us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331261B1 (en)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JP6427045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existing concrete structure
KR20030019937A (en) Device of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for Improving Workability
KR20090021708A (en) Precas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356724B1 (en)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19086B1 (en) Bridg using t-girder with pile supporting apparatus and bridg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55027B1 (en)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KR101363489B1 (en) Noise barrier basis
KR101211469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1324231B1 (en) Soil cement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2269141B1 (en)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JP7334948B2 (en) Culver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192972B2 (en) Calvert
KR102482690B1 (en)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KR20130073577A (en) Sheet pile combined modular bridge abu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919921B1 (en) Retaining Wall using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5750246B2 (en)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KR10064024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s and walls using erection piles without preliminary wall-attached supports
KR20040031451A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KR101572571B1 (en)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251698B2 (en) Tunnel lining element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8716Y1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JP5830068B2 (en) Slope reinforcement method
KR101809554B1 (en) Structure using key-block and sheet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